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학교 과학과 서술형 평가의 문항 특성 및 요인 분석

        김성기,최은주,백성혜,Kim, Sungki,Choi, Eunju,Paik, Seounghey 대한화학회 2015 대한화학회지 Vol.59 No.5

        문제해결력 및 창의력 등과 같은 고등정신능력 배양을 위한 평가체제 구축의 일환으로 2005년 도입된 서술형 평가는 매년 평가비율이 증가하면서 단순 지식을 요구하는 선다형 평가의 대안적 평가로 떠오르고 있다. 정부의 서술형 평가 비율 확대로 학교현장에서 표면적으로는 어느 정도 정착이 되어 운영되고 있으나 실제 서술형 평가가 의도한 목적을 달성했다고 확언할 수 없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5개 중학교에서 실시된 과학과 서술형 평가 문항을 대상으로 서술형 평가 문항의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이러한 특성을 갖는 요인을 분석하고자 문항을 출제한 교사를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서술형 평가 문항들은 ① 출제되는 단원의 편중, ② 단원별 문제 형식의 차이, ③ ‘고등정신능력’ 측정의 미흡이라는 문항의 특성을 갖고 있었다. 이러한 문항의 특성을 갖는 요인은 교사들의 평가 문항 제작, 평가 도구의 이해 등에 대한 능력이 결여되었기 때문이었다. 이러한 요소들은 모두 평가 전문성의 결여로 설명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교사들의 평가 전문성을 신장을 위한 방안이 요구됨을 알 수 있었다. In 2005, descriptive assessment was introduced to increase students’ higher mental ability like problem-solving ability and creativity. Every year the ratio of descriptive assessment increases and it is regarded as an alternative evaluation to a multiple-choice item which measures simplicity knowledge. Externally the descriptive assessment took a root in school, but we can’t say definitely that it meets its original goal. In this paper, science descriptive assessment items of 5 middle schools in Gyeonggi-do were analysed; examiners was interviewed about how well they understood the characteristic of the assessment items. According to the analysis, characteristic of the items are ① unequal distribution of unit, ② difference of item’s type by unit, and ③ disappearance of measuring higher mental ability. It is considered that there are several factors of these characteristic - the lack of teachers’ ability to make assessment item; understanding of assessment instrument. These factors can be explained by the lack of assessment expertise. So the society’s effort is needed to raise teacher’s ability for the descriptive assessment.

      • 화학교사들의 메타 모델링 지식 수준 향상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남윤지(Nam, Yunji),백성혜(Paik, Seounghey) 한국교원대학교 융합교육연구소 2022 융합교육연구 Vol.8 No.1

        본 연구는 화학교사들의 메타 모델링 지식 수준을 향상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교육적 효과를 알아보는 연구이다. 이를 위해 여러 가지 차원의 메타 모델링 지식 수준 중 모델에 관련된 ‘모델의 다중성’과 모델링에 관련된 ‘모델의 변화성’ 및 ‘모델의 평가’를 선정하여 메타 모델링 지식 수준을 재구성하였다. 연구자가 개발한 총 15차시 교육프로그램은 재구성한 메타 모델링 지식 수준과 GEM cycle을 기준으로 개발하였으며, 화학교육의 맥락적 상황 구성을 위해 물질의 세 가지 상태를 소재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육프로그램을 투입하기 전에는 모델의 다중성, 모델의 변화성, 모델의 평가에 대한 화학교사들의 수준이 모두 0 혹은 1 단계였으나, 교육프로그램을 통해 점차 수준이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모델의 다중성과 모델의 변화성에서는 교육프로그램이 마무리될 때 모든 교사들이 3 단계까지 향상되었다. 그러나 모델의 평가는 절반 정도의 교사들이 교육프로그램 마무리 단계에서도 2 단계에 머물렀다. 이는 모델의 평가 2 단계는 모델의 정교성에서 멈추지만, 3 단계는 모델로 현상을 예측할 수 있어야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많은 화학교사들이 모델로 현상을 예측하는 활동으로의 전환을 어려워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른 화학교사들을 대상으로 모델의 평가에 대한 교수 역량을 기를 수 있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educational programs that can improve the level of meta-modeling knowledge of chemistry teachers and to find out the educational effects. For this study, we reconstruct the level of meta-modeling knowledge based by ‘model multiplicity’ which is related to model, and ‘model changeavility’ and ‘evaluation of models’ which is related th the modeling. Educational program is consisted of 15 sessions and its based on reconstructed meta-modeling knolede level and GEM cycle. Also three states of materials were selected as materials for the Non-contextual situation of chemical education.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level of chemistry teachers about ‘model multiplicity’, ‘model changeavility’ and ‘evaluation of models’ were all 0 or 1 at beginning the program, but after the program, the lever gradually improved. In particular, in terms of model multiplicity and model changeavility, all teachers improved to level 3 at the end of the educational program. However, about half of the teachers’ evaluation of models stayed at the level 2 at the end of the educational program. This is because level 2 of ‘evaluation of models’ stops at the sophistication of the model, but level 3 must be able to predict the phenomenon with the model. Therefore, it can be confirmed that it is difficult for many chemistry teachers to switch to activities that predict phenomena with models.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conduct research on chemical teachers to develop teaching capabilities for model evaluation.

      • KCI등재

        교사의 실행에 기반한 융합수업 모형 개발

        이한나 ( Hanna Lee ),정광순 ( Kwangsoon Jeong ),백성혜 ( Seounghey Paik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21 통합교육과정연구 Vol.15 No.3

        이 연구에서는 교사에게 융합교육을 실제적으로 안내할 수 있는 융합수업 모형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Schwab의 실제적 접근을 연구 방법으로 따라,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쳐서 융합수업 모형을 구안하고 타당화하였다. 먼저, 연구에 참여한 교사들이 이해하는 융합교육에 기반하여 융합수업의 설계 원칙을 도출하였다. 둘째, 이 수업설계 원칙에 기초하여 융합수업 모형(초안)을 구안하였다. 셋째, 이 초안은 연구자 집단 숙의를 통해 융합교육의 철학과 목적에 비추어 모형의 타당성을 검토하여 수정·보완하였다. 넷째, 교사 집단숙의를 통해서 수정모형을 적용하여 융합수업을 실제로 설계하여 실행해보면서 이 모형의 실행 가능성을 검토하고 수정·보완하여 완성하였다. 이 연구에서 개발한 융합수업은 자신의 사고를 발전시키는데 목적을 둔다. 이런 융합수업은 ‘주제정하기→자신의 생각 세우기↔다른 생활과 만나기→자신의 생각 정리하기→새로운 생각 평가하기’ 절차를 따른다. 이 모형은 직접적으로는 융합적 사고 및 역량을 함양하는 효과가 있고, 간접적으로는 교과 이해를 도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instructional model for convergence education based on teachers’ understanding and practice. To this end, we derive the design principles of convergence education based on the understanding formed by teachers in convergence classes. And based on this design principle, we develop a convergence instruction model. And then the draft model was modified by reviewing the validity and appropriateness of the model through primary researcher collective deliberation. After deliberation with the secondary teacher group, the model was reviewed and revised once again. The procedures of this final model is as follows; ‘setting topics', ‘establishing one's own thoughts ⇄ meeting other thoughts', ‘clearing up new ideas' and ‘evaluating new ideas'. This model is expected to have a direct effect of developing convergent thinking and capabilities. And indirectly, it expected to promote understanding of the curriculum(subjects).

      • QGIS와 Scapetoad 프로그램으로 만든 주기율표 카토그램을 활용한 고등학교 화학 교과서에서 다루는 원소의 출현 빈도 분석

        이재혁(Lee, Jaehyeok),김영훈(Kim, Young Hoon),백성혜(Paik, Seounghey) 한국교원대학교 융합교육연구소 2022 융합교육연구 Vol.8 No.1

        이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통합과학 교과서 5종의 화학 관련 대단원 3개, 화학Ⅰ 교과서 9종과 화학Ⅱ 교과서 6종에 제시된 물질들을 구성하는 원소의 출현 빈도를 주기율표를 활용한 카토그램으로 분석하였는데, 이는 영역의 정확한 지리적인 위치와 경계보다는 경계 내에 있는 특정한 주제에 대한 수치를 강조하는 지도로 표현하는 것이다. 분석 결과, 고등학교 통합과학의 화학 영역, 화학Ⅰ, 화학Ⅱ 교과서와 관계없이 산소, 수소, 탄소 및 일부 원소의 출현 빈도가 다른 원소들에 비해 매우 심각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종류의 교과서에 있는 원소들을 11개 대단원별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8개 대단원에서 다루는 원소의 출현 편중의 경향이 유사하게 나타내었다. 3개의 대단원에서만 독특한 카토그램의 형태를 보였는데, 화학Ⅰ 교과목에서 1개, 화학Ⅱ 교과목에서 2개였다. 화학 개념을 다루는 소재를 몇 개의 원소들만으로 제한하게 되면, 학생들이 원소의 주기성이나 다양한 원소의 성질을 이해할 기회를 얻기 어려울 것이다. 따라서 화학 교과서 저자들은, 더욱 다양한 원소를 활용한 사례를 화학 교과서에서 다룸으로써, 화학을 배우는 학생들이 다양한 원소에 대한 지식을 풍부하게 얻을 기회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nalyzed the emergence frequency of the elements that make up materials presented in the textbooks of 3 chemistry chapters in 5 ‘Integrated Science’ textbooks, 9 ‘Chemistry Ⅰ’ textbooks, and 6 ‘Chemistry Ⅱ’ textbooks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using periodic table cartogram, which describes as map that accents numerical value of certain theme inside of the boundaries besides exact geographical locations and boundari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emergence frequency of oxygen, hydrogen, carbon, and some elements was very seriously high compared to other elements regardless of the textbooks of chemistry section of high school Integrated Science, Chemistry Ⅰ, and Chemistry Ⅱ. As a result of dividing and analyzing the elements in 3 types of textbooks into 11 chapters, the tendency of the bias of the emergence of the elements covered by 8 chapters is similar. The study found that the frequency of the element s appearance was biased to oxygen, hydrogen, carbon, and some elements, regardless of each subject. And eight out of 11 chapters of these textbooks were also showing the same tendency. Only three chapters showed unique appearance of cartogram; one in the Chemistry Ⅰ course and two in the Chemistry Ⅱ course. If the material dealing with the concept of chemistry is limited to only a few elements, students will not have the opportunity to understand the periodicity of the elements or the properties of various elements.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authors of chemistry textbooks to provide an opportunity for students who learn chemistry to have a wealth of knowledge about various elements by dealing with cases using more various elements in chemistry textbooks.

      • RISS 인기논문

        교육공간으로서 메타버스에 관한 고찰

        김영진(Kim, Youngjin),허지훈(Heo, Jihoon),최승훈(Choe, Seunghun),백성혜(Paik, Seounghey) 한국교원대학교 융합교육연구소 2022 융합교육연구 Vol.8 No.1

        최근 메타버스에 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교육계에서도 새로운 교육공간으로서 메타버스에 관한 논의가 이어지고 있다. 본고에서는 이론적 맥락에서 교육공간으로서 메타버스의 활용 가능성과 내재된 한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에 메타버스를 다룬 기존 연구들을 정리한 후, 장상호의 교육본위론을 바탕으로 교육공간을 정의하여 교육공간으로서 메타버스의 가능성과 한계를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메타버스의 교육적 가능성으로서 역동적 교육관계의 가능성, 언어에서 체험으로 교육 소재 확장의 가능성, 관습적 교육관이라는 그릇된 교육관 수정의 가능성이 도출되었다. 한편 메타버스의 교육적 한계로서 교육적 시숙의 어려움, 접근성의 문제, 교육적 효과의 경험적 검증 부재라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As interest in metaverse has increased recently, the education community has been discussing metaverse as a new educational space. In this paper, we examine the possibility and inherent limitations of metaverse as an educational space in theoretical context. After summarizing the existing research on metaverse, the possibility and limitations of metaverse as an educational space are presented by defining the educational space based on Jang Sang-ho s educational-centered theory. Studies have shown that the possibility of dynamic educational relationships, the possibility of expanding educational materials from language to experience, and the possibility of correcting the wrong view of education. On the other hand, the educational limitations of metaverse include the difficulty of educational trial, accessibility, and lack of empirical verification of educational effectiven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