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논문(論文) : 교육과학기술부 출범을 위한 입법과정 분석 -법 정책학적,역사적 신제도주의 관점-

        배상훈 ( Sang Hoon Bae ) 대한교육법학회 2010 敎育 法學 硏究 Vol.22 No.2

        본 연구는 교육부와 과기부의 통합 과정에 영향을 미친 정치사회적 맥락을 탐색하고, 정부조직법 개정 과정에서 나타난 정치권과 이해관계집단의 갈등 및 타협 과정에 대하여 분석하며, 교과 부 출범 이후 후속조치 과정에서 이러한 상황이 어떻게 전개되었는지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첫째 교육부와 과 기부가 통합 과정에는 정책적, 정치적 그리고 법적 현상이 긴밀히 상호 작용하였다. 둘째, 전 과정에서 걸쳐 정치적 고려와 판단이 주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셋째 역사적 제도주의 관점에서 볼 때, 양 부처의 통합 과정에서 나타난 긴장과 갈등은 오랜 기간 제도화 과정을 거친 서로 다른 역사적 산물을 단기간에 바꾸는 것이 쉽지 않음을 보여준다. 넷째, 비록 국회의 입법과정을 통해 최종 정책결정이 이루어졌지만, 정책의제 설정과정은 정책결정시 고려하게 될 정책대안을 생산하는 과정으로써 의미를 가지며, 따라서 최대한 합리성에 입각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모든 정책 과정에서 같은 유형의 긴장과 갈등이 반복되는 현실을 볼 때, 보다 근본적으로 이를 파악하여 대처하는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ociopolitical context that affected the establishment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and Technology by merging two different ministries -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with the Ministry of Science and Technology. The study found: a) combining two ministries entailed interactive process among policy making, politics and legislation; b) political consideration may not be overemphasized in the legislative process for building the new ministry; c) difference in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of two ministries created tension and conflicts when they were merged; d) the agenda-setting process was important in that it in fact limited the scope of decision-making. To throughly combine two ministries, it is necessary to resolve the cultural, psychological, and institutional conflicts between two parties.

      • KCI등재후보

        지역인적자원개발 사업의 유형 및 특징 분석

        배상훈(Sang Hoon Bae) 중앙대학교 한국인적자원개발전략연구소 2011 역량개발학습연구 Vol.6 No.1

        이 연구는 지역에서 다양하게 추진되는 인적자원개발 사업을 유형화하고, 각 유형별 특징과 한계를 살펴봄으로써 향후 정책발전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다양한 사업을 유형화하여 분석하기 위한 개념적 틀로 ‘인적자본 개발’과 ‘사회적 자본 형성’을 하위 변수로 하는 ‘정책 목표’와 공공기관과 민간기관을 하위 변수로 하는 ‘사업 추진주체’를 설명 변수로 하는 ‘지역인적자원개발 정책모형’을 수립하여 활용하였다. 이 방법에 따라 지역인적자원개발 사업을 개념적으로 분류하면, 공공기관 주도의 인적자본 개발 사업, 공공기관 주도의 사회적 자본 형성 사업, 민간 기관 주도의 인적자본개발 사업, 민간기관 주도의 사회적 자본 형성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이러한 분류에 따라 중앙정부의 재정지원 아래 추진되어 온 지역인적자원개발 사업을 시범 분석한 결과, 인적자본 개발과 사회적 자본 형성을 위한 사업은 대체로 균형적으로 추진되고 있었지만, 공공 기관은 상대적으로 사업에 외부성이 존재하는 사회적 자본 형성을 위한 분야를 주로 담당하고, 인적자본 개발과 관련된 사업은 전문성이 있는 민간기관과의 협력 아래 추진되는 경향이 있었다. Since Regional Human Resources Development (RHRD) was proposed in 2001 as a part of comprehensive National Human Resources Development (NHRD) initiatives, it has evolved as an effective public policy to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regions by promoting human capital development and social capital formation. A wide range of RHRD programs has been provided by local government authorities and many private HRD agencies in order to offer considerable benefits to various groups of local residents. From a public policy perspective, this study examined the concept and development trajectory of the RHRD policy in Korea and sought to build an explanatory and conceptual model to better understand theoretical and practical characteristics of the RHRD policy. This study also suggests that the model contributes to theoretical development of the RHRD policy, helps promote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analysis of RHRD programs and effective RHRD policy planning at the local level, and may be of great use in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of the RHRD policy at the national level.

      • KCI등재
      • KCI등재

        다중 센서 융합을 사용한 자동차형 로봇의 효율적인 실외 지역 위치 추정 방법

        배상훈(Sang-Hoon Bae),김병국(Byung-Kook Kim)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11 제어·로봇·시스템학회 논문지 Vol.17 No.10

        An efficient outdoor local localization method is suggested using multi-sensor fusion with MU-EKF (Multi-Update Extended Kalman Filter) for car-like mobile robots. In outdoor environments, where mobile robots are used for explorations or military services, accurate localization with multiple sensors is indispensable. In this paper, multi-sensor fusion outdoor local localization algorithm is proposed, which fuses sensor data from LRF (Laser Range Finder), Encoder, and GPS. First, encoder data is used for the prediction stage of MU-EKF. Then the LRF data obtained by scanning the environment is used to extract objects, and estimates the robot position and orientation by mapping with map objects, as the first update stage of MU-EKF. This estimation is finally fused with GPS as the second update stage of MU-EKF. This MU-EKF algorithm can also fuse more than three sensor data efficiently even with different sensor data sampling periods, and ensures high accuracy in localization. The validity of the proposed algorithm is revealed via experiments.

      • KCI등재

        마이스터고 학생의 가정배경 및 정서적ㆍ학습심리적 특징 분석

        배상훈(Bae, Sanghoon),김효선(Kim, Hyosun),김국군(Kim, Kukkun) 한국열린교육학회 2011 열린교육연구 Vol.19 No.3

        본 연구의 목적은 2010년 마이스터고 신입생들의 가정 배경과 정서적ㆍ학습심리적 특성을 전문계고 및 일반계고 집단과 비교하여 살펴보는데 있다. 구체적으로 부모 소득, 부모-자녀관계 등 가정 변인, 자기효능감, 자기주도적 학습태도, 진로이해 정도 등 정서적․학습심리적 변인, 그리고 교사-학생 관계와 학교 만족도 등 학교생활 변인을 비교․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마이스터고 학생들은 전문계고 동료들과 비교하여 보다 긍정적인 부모 관계를 형성하고 있었고, 높은 자기효능감과 자기주도적 학습태도를 보였으며, 학교 만족도 역시 높았다. 졸업 후 진로에 대해서도 일반계고와 전문계고 집단이 대학 진학을 선호한 반면, 마이스터고는 취업하겠다는 학생이 많았다. 이 연구 결과는 마이스터고가 일단 "조기에 직업 기술인으로 진로를 결정한 학생"을 모집하는데 만족할만한 성과를 거두었음을 보여준다. 또한 마이스터고 학생들의 학습심리적 특성을 볼 때, 그들이 장차 높은 직업교육 성취를 보일 가능성이 있다고 추론할 수 있다. 아울러 마이스터고가 중등단계 직업교육기관으로서 정체성의 위기를 겪고 있는 전문계고에 새로운 발전방향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compared family backgrounds, psychological factors related to learning performance and school satisfaction among first-year high school students from different school types - meister, vocational, and general high schools. The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whether the meister school based vocational education reform would be effective. Samples included 198 meister school students, 218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and 220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One-way ANOVA and Chi-squared test were employed. Meister school students showed better relationship with parents, higher self-efficacy, higher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 greater career awareness, and better school satisfaction compared to their peers from vocational high schools. Results suggest that meister schools succeeded in recruiting students who are more likely to achieve higher performance in the vocational education setting. Based on study results, it may also be argued that meister schools have a potential to be a successful case in reforming vocational high schools.

      • KCI등재

        한국 대학 총장의 리더십 사례

        배상훈(Sang Hoon Bae),김성열(Kim, Seong Yul),전수빈(Jeon, Sue Bin),윤수경(Yoon Soo-Kyung) 한국교육행정학회 2018 敎育行政學硏究 Vol.36 No.1

        본 연구는 성공적으로 대학을 운영했다고 인정받은 4명의 대학 총장을 선정하여 그들의 리 더십 발휘에 영향을 미친 총장 개인 요인과 대학 맥락 요인을 탐색하였다. 또한 재직했던 대학 에서 기회 요인을 극대화하고 위기 요인을 극복하는 과정에서 발휘했던 리더십 양상과 특성을 살펴보았다. 우선 성공적인 리더십 발휘에 영향을 미친 개인 요인 중 공통적인 것은 1)준비된 총장, 2)책임감과 소명의식, 3)학생중심 대학경영 철학 등이었다. 그런데 1)갈등대처 방식, 2)재 정확보 전략에서는 총장직을 맡기 전 개인 배경 및 경험에 따라 차이가 났다. 성공적인 대학 총장들은 대학의 상황에 따라 1)위기를 기회로 전환하고 2)대의명분과 진정성을 기반을 두고 교수집단을 설득하며, 3)대학의 교육적 사명을 강조하는 점에서 공통적이었다. 그러나 1)위기 원인에 대한 이해와 대처방식, 2)대학혁신 전략에서 차별성을 보였다. 성공적인 대학 총장의 공통적 리더십 발휘양상은 1)명확한 비전과 목표 공유, 2)대학 발전의 동력으로써 정부 재정지 원사업의 적극적 활용, 3)대학 구성원과의 민주적이며 활발한 의사소통, 4)투명한 대학 운영 5) 유능한 참모 집단의 활용 등이었다. 그러나 1)특별한 상징의식 활용, 2)위기에 대한 정면 돌파 여부 등에서는 개인 배경과 대학 맥락에 따라 발휘했던 리더십 양상이 다르게 나타났다. Universities and colleges in Korea have been facing a challenging situation than ever, such as a decrease in student numbers, financial pressures due to insufficient budget, and increased competition owing to education market opening in higher education. In this situation, the leadership and role of the university president are becoming more important. Bearing these contexts in mind, the researchers interviewed four university presidents. From the in-depth interviews, their successful leadership cases were analyzed based upon theories and concepts of educational leadership and higher education. In addition, the researchers explored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idents, the contextual factors of the university, and specific leadership cases that the presidents commonly utilized in overcoming the crisis that their universities faced with as well as leading to changes in their institutions. Moreover, the researchers also explored the factors which might cause differences in their leadership behaviors and cases.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the researchers suggested the roles and leadership behaviors that can be expected from the university presidents for successful university administration

      • KCI등재

        학업적 자기효능감 자기주도적 학습태도, 학교 만족도에 대한 마이스터고 학교 효과

        배상훈(Bae, Sanghoon),조성범(Cho, Sungbum),홍지인(Hong, Jeein) 한국열린교육학회 2013 열린교육연구 Vol.21 No.3

        본 연구는 학업적 자기효능감, 자기주도적 학습태도, 학교 만족도에 대한 마이스터고의 학교효과를 일반고 및 특성화고와 비교의 관점에서 탐색하는데 있다. 2010년부터 3년에 걸쳐 마이스터고 11교 일반고 11교 특성화고 11교에 재학했던 학생 중 2,571총 명(마이스터고 853명 일반고 854명 특성화고 864명)의 학생을 표집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즉, 3시점 유사종단 자료를 구축하고 다층모형 분석을 수행하였다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경우, 2010년 개교 당시 마이스터고 집단은 일반고 집단과 비슷하고 특성화고 집단보다 높은 수준이었다. 그러나 이후 3년 동안 마이스터고 집단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일반고 집단보다 높은 수준의 성장률을 보였고 2012년에는 일반고 집단보다 높은 수준이었다. 자기주도적 학습태도의 경우, 마이스터고 집단은 2010년 입학 당시 일반고 집단과는 차이가 없었지만 특성화고 동료들 보다는 높은 수준이었다 이후 년 동안 비교 집단보다. 성장률에서 차이를 보일 만큼 눈에 띄는 성장은 없었다 학교 만족도에 있어서는 마이스터고 집단은 3개교 당시부터 일반고 동료들과 비슷하고 특성화고 집단보다 높은 수준이었다. 그러나 년 동안 마이스터고 학생들의 학교 만족도 성장률은 일반고 동료들의 학교 만족도 성장률 보다 높았다. 마지막으로 2010년 초기상황을 통제했을 때, 위의 세 종속 변인에 대한 마이스터고의 학교수행 효과는 사라졌다.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Meister school programs on students’ academic self-efficacy,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 and school satisfaction, this study compared the growth of outcome variables for three years among students from three different school types - Meister, vocational, and general high schools. Samples include 853 Meister students, 854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and 864 vocational students from across the nation. Multi-level modelling was conducted to find the effects of the Meister school programs on outcome variables. The study found no difference on academic self-efficacy between Meister and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in 2010 when Meister schools were established. However, the growth of academic self-efficacy of the Meister students was greater than that of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during the period 2010-2012. The same holds true for school satisfaction. Meister students had a higher level of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 compared to two comparison groups, but there were no differences on the growth of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 among three groups.

      • KCI등재

        학교유형 및 지원적 학교풍토가 교사의 변화지향성과 지식공유에 미치는 영향

        배상훈(Bae, Sanghoon),홍지인(Hong, Jeein) 한국열린교육학회 2013 열린교육연구 Vol.2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유형과 지원적 학교풍토가 교사의 변화 지향성 및 지식공유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있다. 독립변인으로 교사 수준에서 성별, 교직경력, 보직여부, 직무열의, 직무효능감을 활용하였고, 학교 수준에서는 학교유형, 지원적 학교풍토를 적용하였다. 전국의 일반고 17교에서 564명, 특성화고 21교에서 605명이 응답한 설문조사 자료를 대상으로 다층모형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교사가 재직하고 있는 학교의 유형은 개인배경 및 학교 조직풍토를 통제했을 때, 교사들의 변화 지향성 및 지식공유 활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학교가 조직차원에서 교사들의 노력과 공헌을 적극적으로 인정하고 격려하며, 교사들의 복지 및 학교생활에 보다 많은 관심을 보이는 조직풍토를 가질수록 교사들은 조직변화에 대하여 높은 수준의 개방성을 보였고, 보다 활발히 서로의 지식을 공유하는 경향이 있었다. 본 연구는 교사 개인에 대한 유인 및 보상의 제공과 경쟁을 유도하는 제도의 도입 외에도 단위학교 차원의 조직문화 및 풍토가 교사의 변화를 견인하는데 중요한 기제가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school type on openness to organizational change and knowledge sharing between high school teachers. The study also investigated the impact of supportive school climate on two dependent variables. Samples include 605 vocational teachers and 564 general high school teachers. Multilevel modelling was employed. Controlling for teacher-level variables, school type was not related to two dependent variables. However, supportive school climate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eachers’ openness to organizational change as well as knowledge sharing attitudes of teachers. The study results suggest that supportive school climate perceived by teachers is important in improving teachers’ openness toward change and enhancing sharing of knowledge among teachers.

      • KCI등재

        A대학의 교수-학생 상호작용과 그 문화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배상훈(Bae, Sanghoon),강민수(Kang, Minsoo),홍지인(Hong, Jeein) 한국열린교육학회 2016 열린교육연구 Vol.24 No.3

        본 연구는 지방 소재 중소형 사립대학에서 교수와 학생의 활발한 상호작용이 하나의 문화로 자리 잡으면서 나타난 질적 현상을 탐색한 사례 연구이다. 학생과 교수 개인은 물론 대학 차원에서 교수와 학생의 교류 문화가 제도적으로 성숙해 가는 과정을 단계별로 살펴보고, 각 단계별로 나타난 특징과 이를 위한 제도적, 실천적 노력 및 현실적 문제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사례 대학의 교수-학생 상호작용 문화는 크게 발아기, 발전기, 정착기를 거치면서 진화하고 있었다. 발아기에는 기존의 관련 제도를 발전적으로 계승하는 것과 동시에 이를 더욱 활성화하기 위한 정책적 움직임이 활발하였다. 총장의 리더십이 중요한 요인으로 드러났으며, 교수와 학생의 자발적인 참여를 이끌어내는 것이 관건이었다. 둘째, 발전기에는 교수-학생 상호작용을 지원하는 제도와 프로그램의 체계성 및 정합성을 구축하는 것이 중요한 이슈였다. 사례 대학에서는 교수-학생 상호작용이 발전기에 접어들면서 한층 참여율이 증가하고 실질적으로 보편화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학생들은 교수들과 함께 다양한 프로그램에 참여하면서 대학에 대한 소속감을 함양하고 있었으며, 학습동기와 전공실력을 높이면서 자기 계발에 대한 노력을 확대하는 정서적, 사회적 경험을 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정착기에서는 지속적인 교수-학생 상호작용이 하나의 문화로 자리 잡고 이를위해 교류와 소통의 장을 정례화하는 현상이 발견되었다. 이 단계에서는 교수가 독립적이고 자율적으로 학생과 교류할 수 있도록 교수의 위상을 담보하는 노력을 펼치고 있었다. 한편 대학의 혁신을 주도하는 집단과 일반 교수 및 학생들 사이에서 나타나는 갈등이나 마찰을 해결해 나가는 것도 중요한 과제로 드러났다 This case study examined interpersonal and organizational dynamics that were accompanied with the development of student-faculty interaction as a culture in one university. The study aimed to look into the evolutionary and institutional development of a culture of student-faculty interaction, with a close look a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of the developmental stages, institutional efforts, and barriers in practices in the university. The study found that student-faculty interaction in the case institution had developed in the following stages: embryo, developing, and matured stages. First, during the embryo stage, the institution made efforts to further develop existing systems and create the new programs to promote an institution-wide student-faculty interaction. The leadership of the university President was found to be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implementing the programs and this developed the culture of student-faculty interaction. Another key issue was to have both student and faculty willingly engaged in the programs and thus the process of interactions. Second, during the developing stage, building institutional structures to support student-faculty interaction was found to be an important factor. During this stage, the participation in the programs of both student and faculty had substantially been increased. Interacting with the faculty, students were found to experience a variety of emotional and social development that led to institutional commitment, improvement of academic motivation and knowledge, and development of their own talent. Lastly, in relation to the matured stage, the systemization of the programs for student-faculty interactions was found to be a key issue. In this stage, the case institution has made an effort to secure and promote the status of the faculty so that they further develop interaction with students. During this stage, another important issue was to resolve the problem of conflicts between the head quarter of the institution seeking for innovation and the faculty having a tendency of resisting change or not adapting to change as quickly as desired.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