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독일의 ‘신사조 행정법학’과 한국의 행정법학

        배상준(Bae Sangjoon) 전북대학교 법학연구소 2021 法學硏究 Vol.66 No.-

        독일에 비견하면 한국의 행정환경과 정책실무는 적지 않은 차이가 있으나, 다원화된 사회에서 사회문제 해결에 보다 적실성 있는 방향으로 행정법학의 연구 방향에 전환이 필요하다는 점에 관하여는 독일과 논의의 궤를 같이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최근 독일에서 논의되고 있는 소위 ‘신사조 행정법학’은 ‘일반 · 추상적인 국가의 제어행위’와 이를 규율하고 있는 ‘입법(행정입법 포함) 및 입법학’에 관한 연구, ‘행정조직법학’ 및 ‘특별행정법학’에 관한 연구, ‘인접학문을 포함한 학제 간 연구’ 및 ‘현실 적합한 규제양태와 규제 조건’에 관한 연구(소위 ‘규제된 자율규제’ 또는 ‘보장국가론’)들에 보다 주목하고 있는데, 이는 한국의 행정법학에도 새로운 지향점을 제공할 수 있다. 한국적 맥락에서 이를 살펴보면, 행정입법에 대한 법원의 규범통제와 헌법제판소의 규범통제, 그리고 그 결과물들은 한국사회의 문제해결에 보다 적실성 있는 방향으로 행정입법과 행정조직을 재설계하는 데 좋은 자양분이 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종전 행정소송의 합법성 심사 기준과 헌법재판의 기본권 도그마틱에 관하여, 합목적적 관점에서 새로운 심사기준을 모색해 볼 필요가 있다. The administrative environment and policy practice of Korea is quite different compared to that of Germany. However, as a plural society, the two countries have similarity in the aspect that the direction of the study of administrative law needs to be changed to a more appropriate direction for solving social problems. In that regard, I suggest that the so-called ‘New Administrative Law’ in Germany may provide new implications for administrative law research in South Korea. The New Administrative Law mainly investigates the ‘General and Abstract Steering of State,’ which is governed by a series of studies as follows: ‘Legislation including Administrative Legislation and Legislative Science,’ ‘Administrative Organization Law,’ ‘Special Administrative Law,’ ‘Interdisciplinary Research on Adjacent Disciplines,’ and ‘the Practically Appropriate Aspects and the Conditions of Regulation,’ referred to as ‘Regulated Self-Regulation or Ensuring State Theory. Looking at this in a Korean context, the courts norms control over administrative legislation, the Constitutional Courts norms control over administrative legislation (by constitutional complaint), and the results will be good nourishment for redesigning administrative legislation and administrative organization of Korea, in a direction more appropriate for solving problems in Korean society. To do so, I especially demonstrate that it is necessary to seek a new review standard that fulfills purposiveness beyond the previous review standards of administrative litigation and the fundamental right dogma of constitutional trials.

      • KCI등재

        수확 후 전처리에 의한 고랭지 배추 ‘춘광’ 품종의 저온 저장 중 품질 변화에 대한 비교

        배상준(Sang Jun Bae),엄향란(Hyang Lan Eum),김병섭(Byung-Sup Kim),윤정로(Jungro Yoon),홍세진(Sae Jin Hong) 한국원예학회 2015 원예과학기술지 Vol.33 No.2

        강원도 강릉에 위치한 고랭지 지역에서 재배된 배추 ‘춘광’ 품종은 수확 직후 차압식예냉, 통풍식예냉, 예건 처리를 하였고, 전처리 후 각각 처리에 대해 0.02mm HDPE film으로 liner 처리 유무에 따라 분류한 다음 2°C에 저장을 하면서 품질 조사를 실시하였다. 저장 중 무게 손실은 liner 처리구에서 차압예냉이 3% 미만의 손실률을 보였고, 통풍예냉 또한 4% 미만의 손실률을 보였다. 그러나 liner 무처리 구에서는 통풍예냉이 10% 미만의 손실률을 보였고, 차압예냉의 경우 15% 이상으로 가장 많은 손실률을 보였으며, 오히려 대조구가 손실률이 가장 적었다. 가용성고형물의 경우 2-4<SUP>o</SUP>Brix 정도로 나타났으며, 색도는 CIE L* 값은 50 내외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hue angle 값은 조금씩 감소하였으나 120 ± 2°C 사이 녹색의 범위 안에 분포하여 색의 변화에 대한 차이는 없었다. Chroma 값의 경우에도 28-32 사이에 분포하였다. 경도는 22N 정도로 나타났으며, 처리에 따른 유의적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관능 평과 결과, 외관과 아삭거림 정도의 경우 차압예냉을 실시한 후 liner를 적용한 배추에서 가장 좋은 결과가 나타났으며, 나머지 항목에서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저장 6주 경과 후 liner 무처리구에서 외관이 많이 손상되었고, 7주 경과 후 liner 처리구에서 통풍예냉과 예건에서 내부 갈변이 심하게 발생하였다. Kimchi cabbage ‘Choon Gwang’ cultivar that was grown in highlands in Gangneung was subjected to predrying, room cooling, and forced air cooling, and then packed with/without 0.02 ㎜ HDPE film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ostharvest treatment on quality characteristics during 8 weeks storage at 2℃ (RH 90 ± 5%). Weight loss in forced air cooling and room cooling was lower than 3-4% with 0.02 ㎜ HDPE film liner treatment during storage. However, it was only below 10% in room cooling without liner treatment and forced air cooling without liner treatment led to the highest weight loss, above 15%. Conversely, the control had lower weight loss than the others. SSC was 2-4°brix for all treatments and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postharvest treatments and liner treatments. Color index and firmness both showed no differences with/without 0.02 ㎜ HDPE film and postharvest treatments. In sensory evaluation, forced air cooling with liner treatment was effective, with the highest score, especially in appearance and crispness. After 6 weeks, control kimchi cabbage without liner treatment was damaged seriously in appearance and the internal color had changed to brown. Room cooling and predrying with liner treatment changed the start of internal browning to after 8 weeks storage.

      • KCI등재

        원고적격 및 재량의 일탈, 남용 심사에서 “헌법의 풍경”

        배상준 ( Bae Sangjoon )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024 서울법학 Vol.32 No.1

        국민의 권리구제를 “해석론”을 통해 더 폭넓게 담보해가려는 방향성이 뚜렷한 항고소송의 원고적격론(법률상이익의 해석론 등)에 관해, 그리고 이론적/실무적 난맥상이 상당한 행정재량의 일탈, 남용 심사기준과 심사방법에 관해, 헌법(Verfassungsrecht)적 고찰과 판단으로 그 새로운 돌파구를 모색해가려는 시도가 행정법학계와 행정재판실무에 최근 상당하다. 본고는 ① 경쟁의 자유, 영업의 자유에 관한 헌법적 고찰을 통해 경쟁자소송에서 법률상이익과 원고적격을 인정해 갈 수 있는 새로운 유형론을 제시한 최근 선행연구, ② 헌법 제35조 등에 기인하여 환경소송의 원고적격을 더 전향적으로 인정/확장해 가려는 최근의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서, 행정환경의 변화에 조응해 가게끔 행정법 도그마틱이 헌법적 고찰로 확장되어 갈 수 있는 지점들을 원고적격의 층위에서 먼저 모색해보았다. 나아가 헌법재판소 결정들과 기본권 도그마틱을 통해 형성되어 온 규범 등에 관한 일반론적 위헌심사기준, 심사방법 등을 ① 대법원이 원용/참고해가며 재량일탈, 남용 판단의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해 간 최근 판결들, 혹은 ② 대법원이 그 시의성에 의문을 표한 뒤, 보다 전향적이면서도 후속사건에서 일관되고 예측가능하게 적용해 갈 수 있는 재량 일탈, 남용 판단의 새로운 심사기준과 방법론(헌법합치적 해석론 등)을 제시해 간 최근 판결들을 살펴보고 그 함의를 모색해보았다. 주로 일반, 추상적인 규범의 위헌성을 살피며 형성되어 온 기본권 도그마틱과 헌법재판소의 일반론적 심사기준을 이제 개별, 구체적 층위에서, 그리고 오늘의 시각으로 재검증해 가려는 대법원과 행정법학계의 헌법적 고찰과 방법론들이 ①행정법의 정체성을 분명히 할 수 있는 경로, ② 더 나아가서 행정법이 헌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경로들을 모색해가는 것이 행정법학에 긴요하다고 보인다. 헌법적 고찰과 판단 및 그 방법론에 관해 이제 상호 보완/경쟁해 가는듯한 대법원과 헌법재판소의 판결/결정들을 주시해가며, 행정환경변화에 발맞춰 행정법 도그마틱이 ① 더 현실설명력 있게 확장되어가도록, ② 국민의 실질적 기본권보호를 이뤄가도록 진일보해 가야 할 지점들을 계속 고민할 필요가 상당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some constitutional methodologies in which administrative law dogmatic can be expanded to respond to changes in the administrative environment. For this purpose, this study examines recent preceding researches that ① suggest a new typology of plaintiff’s standing in administrative action by considering some fundamental rights, especially freedom of compete/business, ② seek to expand plaintiff’s standing in administrative action involving environmental damage by having ground under Art.35 of the Constitution. Furthermore, this study examines the Korean Supreme Court’s recent decisions that suggest new standards of judicial control of administrative discretion by ① considering fundamental rights doctrine and standards of judicial review suggested in decisions of Constitutional Court of Korea, ② questioning relevance of fundamental rights doctrine and standards of judicial review suggested in decisions of Constitutional Court of Korea and suggesting new methodology of constitution-conforming intepretations.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those constitutional methodologies for expanding administrative law dogmatic are necessary and not menacing on identity of administative law.

      • KCI등재

        타블로(tableau)의 영화미학 -파스빈더(R. W. Fassbinder)와 카우리스마키(A. Kaurismaki)를 중심으로-

        배상준 ( Sang Joon Bae )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2013 현대영화연구 Vol.9 No.1

        There are images, which emphasize the frontality of the two-dimensional closed frame and induce with it particular distance to the reality. This images express openly the theatricality in connection with the acting and the pictoriality in connecting with the silent-art and by so doing suggest irrational character as film images. This paper concentrates on this film images and defines it as filmic tableau (vivant). The tableau in the theory of theater is an important structural element for the pictorial dramaturgy, which focuses on the gesture and physiognomy of actors. The result of such tableau expresses the intense impressions, which appeal to the mind of audience. The tableau in the sculpture shows as an independent performance the reviviscence through the invest of spirit. Therefore, it is regarded as a frozen happening, which is constituted pictorial or theatrical. The concept of the filmic tableau (vivant) expresses the strange stopped situation and the gesture with the physiognomy, which show mute actors, and performs the function to disjunc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crete physicality and the abstract conception. The tableau in here can be considered as place for the perception in the narrative of film and as a reflective attitude of the director at the same time. The films of Rainer Werner Fassbinder and Aki Kaurismaki provide proper examples for the aesthetic of the filmic tableau. Fassbinder made the best use of the filmic tableau for the realization of his film-philosophy to integrate the art into the life. Likewise, Kaurismakis filmic handwriting is composed characteristically of the filmic tableau, which reproduces the gloomy reality of Finland with the unique melancholy. Also, this article aims to study the tableau as a film-aesthetic apparatus and analyze on the basis of this definition the films of the above-mentioned two directo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