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도덕적 탐구의 유학적 접근:

        배병대(Bae Byeong-Da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7

        본 논문의 목적은 도덕적 탐구를 유학의 관점에서 고찰하여 그 의의를 제시하는데 있다. 도덕적 탐구는 도덕과 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도덕함’ 의 방법으로 도덕적 성찰과 함께 중요한 축을 담당하고 있다. 도덕적 탐구는 듀이의 탐구 개념을 윤리학 적 방식으로 적용한 개념으로 방법론적 연구는 활발히 진행되었으나, 그 철학적 접근은 매우 미미할 뿐만 아니라 지나치게 추론 중심의 인지 발달 이론에 치우쳐 있다. 그러므로 이 논문에서는 도덕적 탐구에 대한 철학적 연구로서 주역과 궁리를 중심으로 유학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의의를 도출하였다. 첫째, 도덕적 탐구의 대상이 도덕 문제에만 한정될 것이 아니라 다양한 영역으로 확장 되어야 한다. 둘째, 도덕적 탐구의 주체인 학습자의 사고에만 치중할 것이 아니라 마음 상태에도 관심을 가져야 한다. 마지막으로 모든 문제 상황을 적극적 방법으로 해결하는 것이 능사가 아니며, 때로는 올곧음으로 인내할 필요도 있다. 이상의 도덕적 탐구에 대한 유학적 접근의 연구가 도덕적 탐구에 대한 시야를 넓혀주어 앞으로 도덕과에서 추구하는 도덕적 탐구의 방향 설정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moral inquiry from a Confucian perspective and propose its significance. Moral inquiry is a method of being moral, which is emphasized in the Morality curriculum, and makes an important axis along with moral reflection. Moral inquiry is a concept of applying Dewey s inquiry concept in an ethical fashion. There have been active researches on its methodologies, but philosophical approaches to it have been excessively inclined toward inference-based cognitive development theories as well as extremely poor. Therefore, in this paper, we attempted to approach the Confucian approach to the philosophical study of moral inquiry focusing on the Zhouyi and the Gungri. As a result, the following several points were derived: First, the subjects of moral inquiry should be expanded to various areas instead of being limited to moral issues. Secondly, interest should be taken in the mind state of learners, the subjects of moral inquiry, in addition to focusing on their thinking. Finally, there should be researches on the gradual stages of moral inquiry. This research on moral inquiry in a Confucian approach will hopefully help to broaden the view of moral inquiry and set the direction of moral inquiry sought after by the Morality subject.

      • KCI등재

        공자의 직(直) 개념에 기초한 도덕과 ‘정직’ 교육에 관한 연구

        배병대 ( Bae Byeong-dae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23 초등도덕교육 Vol.- No.81

        현재 주로 초등 도덕과에서 가르치고 있는 ‘정직’ 교육은 2022 교육과정에서 학습 대상의 연령이 낮아짐에 따라 소홀히 다루어질 가능성이 커졌다. 본 연구는 ‘정직’에 관한 연구가 확대 적용될 필요가 있다는 문제의식을 지니고, ‘정직’에 관한 학문적 기반을 공자의 ‘직(直)’ 개념에서 찾았다. 먼저 공자의 사상이 담긴 『논어』의 분석을 통해 ‘직’이 ‘올곧음’, ‘강직함’, ‘솔직함’으로 폭넓게 사용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논자는 이러한 공자의 ‘직’ 개념에 근거하여 도덕과 교육에서 ‘정직’의 의미가 올바르게 사용되고, 모든 학년에서 정직 교육이 이루어 지기를 제안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정직’ 교육의 강화로 말미암아 공자가 경계한 위선자가 우리의 도덕 질서를 파괴하지 않기를 기대한다. The honesty education, which is currently taught in the elementary moral department, is likely to be neglected as the age of the learning target decreases in the 2022 curriculum. This study has a sense of problem that research on honesty needs to be expanded and applied, and found the academic basis for honesty in Confucius' Jik(直). First, through the analysis of Confucius's Analects, it was found that Jik was widely used as straight, stiff, and honesty. And, based on Confucius' Jik, it was suggested that the meaning of 'honesty' be used correctly in Moral subject education, and that honest education be conducted in all grades. And I hope that this strengthening of education on honesty will not destroy our moral order by hypocrites who Confucius is wary of.

      • KCI등재

        유교의 종교적 변용 연구 -성호학파의 상제관을 중심으로-

        배병대 ( Bae¸ Byeong-dae ) 한국동서철학회 2021 동서철학연구 Vol.- No.101

        일반적으로 유교를 종교로 간주하지 않은 이유는 사원, 종교, 성직자와 같은 제도적·형식적 조건의 부재도 있지만, 보다 근본적인 이유는 유교가 비신앙적이라는 점이다. 하지만 본 논문에서는 18-19세기 성호학파라고 불리운 한국의 유학자들의 상제관을 연구함으로써 유교에 있어서 신앙적인 성격으로 변용되는 조짐을 밝힌다. 구체적으로 성호학파의 종주인 성호 이익, 그리고 그의 후학인 순암 안정복과 다산 정약용의 상제관을 차례대로 살펴보았다. 그들은 주희에 의해 철저히 배제된 상제에서의 인격성을 고경(古經)을 근거로 부활시키는 데 성공하였다. 또한, 고경에 잔존하고 있던 원시의 자연신의 속성은 제거하고, 불확실하였던 창조신으로서의 속성을 보다 선명하게 드러냈다. 성호학파에 의해 인격성, 주재성, 창조성을 갖춘 상제는 이제 더 이상 리(理)라고 하는 철학적 원리의 상징적 존재가 아닌 신앙의 대상으로서 자격을 갖추게 된 것이다. 이러한 상제관의 변화를 통해 유교가 완전히 종교적 속성을 지니게 되었다고 말할 수는 없어도, 적어도 유교의 종교적 변용의 조짐으로는 볼 수 있다. In general, Confucianism is not considered a religion because there are some institutional and formal conditions not met such as temples, religions, and priests, but the more fundamental reason is that Confucianism is non-faithful. However, this paper reveals the signs of developing a religious character in Confucianism by studying views of Sangje(上帝) from the Korean Confucian scholars called Seongho School in the 18th and 19th centuries. Specifically, we looked at Seongho Ik, the head of Seongho School, and his descendants Sunam Ahn Jeongbok and Dasan Jeong Yak-yong. They succeeded in reviving their personalities in High God, which were thoroughly excluded by Zhu Xi, on the basis of the old scriptures. In addition, the nature of primitive natural gods, which remained in the old scriptures, was removed, and the uncertainty of the creation deity was revealed more clearly. Sangje, which derives personality, presidency, and creativity from Neo-Confucianism, is no longer a symbolic existence of philosophical principles called Li(理), but a subject of faith. Although it may not be said that these changes in the view of Sangje have made Confucianism entirely religious, they can at least be seen as a sign of religious transformation of Confucianism.

      • KCI등재

        녹문 임성주의 수양론 연구 ― <맹자부동심장설>을 중심으로 ―

        배병대 ( Bae Byeong-dae ) 동양철학연구회 2019 東洋哲學硏究 Vol.97 No.-

        이 논문의 목적은 녹문 임성주의 수양론을 <맹자부동심장설>을 중심으로 고찰하여 그 구조와 성격을 드러내는 데 있다. 녹문은 조선의 6대 성리학자로서 이기동실(理氣同實)과 심성일치(心性一致)를 학문의 종지로 삼았다. 그는 악의 근원을 타고난 기질의 차이에 두지 않고, 후천적으로 발생하는 사재(渣滓)로 지목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먼저 녹문의 이기심성론을 사재설과 관련지어 살펴본다. 녹문은 이동기이(理同氣異)의 틀에서 벗어나 이기동실의 관점에서 본체로서 기의 순일성을 제시한다. 그리고 담일한 ‘기의 찌꺼기[渣滓]’가 심과 성에 영향을 줄 수 있지만 수양을 통해 자연스럽게 제거되는 일시적인 현상임을 보여준다. 다음으로 녹문 수양론의 구조와 성격을 드러내기 위하여 그의 <맹자부동심장설>을 분석한다. ‘북궁유에서부터 고자에 이르기까지 부동심의 방법’, ‘뜻을 지킴과 기를 포악하게 하지 않음’, ‘뜻과 기의 관계’, ‘그 기 됨에 있어 의와 도가 짝한다’, ‘의를 축적함’, ‘반드시 호연지기를 기름에 종사하되 효과를 미리 기대하지 말라’, ‘마음에 잊지도 말고 조장하지 말라’, ‘지언과 양기의 관계’를 중심으로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녹문의 <맹자부동심장설>의 분석 내용을 중심으로 녹문수양론의 구조와 성격을 조명한다. 이 논문은 녹문의 수양론을 내외(內外)·동정(動靜)·체용(體用)이 종횡으로 관통하는 구조로 파악하고, 그 핵심에 ‘경(敬)’과 ‘지지(持志)’가 있음을 주장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ress its structure and character of the Nokmoon Lim Seungju's self-cultivation theory by focusing on ‘explanation of the Mengzibudongxin(孟子不動心)’. Nokmoon, the top six Neo-Confucianist of Joseon Dynasty, made ‘liqidongshil(理氣同實)’ and 'simseongilchi(心性一致)' the core of his studies. He points to the origins of evil as a acquired Sajae(渣滓), not as a difference of natural temperament. In this paper, we first look at the theory of self-interest in greenback. First, this study looks at Nokmoon's theory of ‘liqisimseong(理氣心性)’ in relation to theory of ‘Sajae(渣滓)’. Nokmoon gets out of the 'lidongqiyi(理同氣異)' frame and presents purity of qi(氣) as the main body in terms of ‘liqidongshil(理氣同實)’. And the Sajae(渣滓), which is the residue of pure qi(氣), can affect mind(心) and nature(性) but it is a temporary phenomenon that is removed naturally through the self-cultivation. Next, this study analyzes his ‘explanation of the Mengzibudongxin(孟子不動心)’ to reveal the structure and character of the Nokmoon's self-cultivation theory. This paper focuses on the contents of ‘budongxin methods from BeigongYou(北宮黝) to Gaozi(告子)’, ‘Keep the will(持志) and don't make the qi vicious(無暴其氣)’, ‘the relationship between meaning and qi’, ‘Righteousness and the Way are a match for being qi(配義與道)', 'the accumulation of righteousness(集義)', 'Be sure to work on cultivating Haoranzhiqi(浩然之氣) but do not anticipate the effects(必有事焉,而勿正)', 'Don't forget your heart and do not encourage it(心勿忘,勿助長)', 'the relation of Zhiyan(知言) and Yangqi(養氣)'. Finally, this study highlights structure and character of Nokmoon's self-cultivation theory based on analysis of a Nokmoon's ‘explanation of the Mengzibudongxin(孟子不動心)’. This paper considers Nokmoon's self-cultivation theory as a structure through which Nei-wai(內外), Dong-Jing(動靜), and t'i-yung(體用) penetrate vertically and horizontally, and claims that there are kyoung(敬) and chizhi(持志) at the co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