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원효의 ‘바른인식’에 관한 유식학적 이해

        배경아 ( Bae¸ Gyeong-ah ) 한국동서철학회 2021 동서철학연구 Vol.- No.101

        디그나가는 직접지각의 인식구조를 인식대상, 인식주체, 자기인식의 세 가지로 나눈다. 또한 이 세 가지는 별개의 것이 아니라는 점에서 유식학의 입장에 선다. 그러나 인식대상으로서 형상을 허위라고 보지는 않기 때문에 유상유식(有相唯識)의 입장이라고 할 수 있다. 다르마끼르띠는 디그나가를 계승하여 유형상지식론의 입장에 서지만 동시에 외계의 대상을 추리를 통해 인정할 수 있다고 한 경량부의 관점을 수용한다. 이에 비해 원효는 『대승기신론』이나 『입능가경』 등에 기반해서 무상유식(無相唯識)의 관점을 강조한다. 그렇다고 유상유식의 관점을 부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상(實相)의 측면에서는 무상유식을, 가명(假名)의 측면에서는 유상유식을 인정하기 때문이다. 원효에게 무상유식이 보다 중요한 것은 인식주체, 인식대상, 자기인식이라는 인식구조의 분류는 오염된 분별심에 의해 일어나는 것이기 때문이다. 근본무지가 알라야식을 오염시키고 오염된 알라야식이 일어나 갖가지 분별하는 마음이 일어난다. 즉, 깨닫지 못한 마음이 일어나 인식주체와 인식대상으로 나누어짐으로써 분별이 일어나고 상속한다. 원효에게 중요한 것은 이 모든 논의를 통해 오염된 분별심을 실질적으로 소멸시키는 바른 인식이 무엇인지를 아는 것이다. Dignāga(ca.480-540) divides the recognition structure of direct perception into three categories: the grasped, the grasper, and self-recognition. Moreover, he takes the position of Yogācāra in the sense that these perceptual aspects are inseparable. Additionally, he is an “aspectarians” (sākāravāda) in the Yogācāra tradition because he does not take “aspect” to be false. By comparison, Wonhyo (元曉 ca. 617-686) emphasizes the view of “non-aspectarians” (nirākāravāda) based on the Dasheng qixin lun(大乘起信論) and the Ru Lengqie jing(入楞伽經). This is not to say that he denies the view of “aspectarians” (sākāravāda) because he recognizes “aspectarians” in terms of reality and “non-aspectarians” in terms of convention. The view of the “non-aspectarians” is more important to Wonhyo because the classification of direct perception recognition structures, i,e., the grasped, the grasper, and self-recognition, is caused by a contaminated conception. A fundamental ignorance pollutes “foundational consciousness”(ālayavijñāna) and therefore the contaminated “foundational consciousness” generates a variety of discerning minds. In other words, conceptual cognition occurs and is inherited by what the contaminated conception divides into “the grasped” and “the grasper” What is important to Wonhyo then, is knowing the valid cognition so as to extinguish this contaminated conception.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특집논문 : 아포하론의 새로운 분류에 대한 고찰

        배경아 ( Gyeong A Bae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3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14

        최근에 디그나가와 다르마끼르띠, 그리고 다르못따라의 아포하를 각 각 외적인 아포하, 내적인 아포하,비외비내적인 아포하로 분류하는 새로운 시각의 아포하론 연구가 제시되었다.그러나 이러한 분류는 아포 하론에 대한 새로운 이해인 동시에 몇 가지 점에서 오해의 가능성을 내 포하고 있기도 하다.우선 디그나가의 경우,언어는 언어관습에 기반 해 서 배제된 그룹의 공통성,즉 보편개념을 지칭한다는 점에서 외적이라 고 단정하기는 어렵다.또한 다르마끼르띠의 경우,언어의 직접적인 대 상인 지 내부의 형상과 간접적인 대상인 외계의 대상은 동일한 결과를 갖지 않는 것으로부터 배제된다는 점에서 동일성을 갖는다.인간은 대 상에 대한 기대를 배반하지 않는 인식에 의해 자신의 목적을 달성하기 때문이다.이와 같이 언어의 효용성에 촛점을 맞추는 다르마끼르띠의 아포하론 역시 내적이라고 규정하기엔 무리가 있어 보인다. It has been suggested, by recent research results, that in Dignaga`s view, a word denotes an entity qualified by exclusion and thus operates externally, and Dharmakirti regards apoha as an extension of internal cognition itself that appears as if external being influenced by various residual impressions, whereas Dharmottara denies any kind of existential possibility of apoha and regards apoha as exists neither internally nor externally. This classification is, However, not only new understanding of apoha theory but also has the potential for misunderstanding some respects. First, Dignaga has to rely on verbal convention as the final recourse to explain our act of grouping similar things together. Therefore, it is hard to believe that Dignaga regards apoha theory as an externally In the opinion of Dharmakirti`s view, perceptual objects and conceptual objects has the unification (ekikarana, or ekatva) that arises through conceptual error, in terms of that individuals which by nature have the same effect and which are excluded from other things not having the same effect are the cause of this kind of conceptual cognition. Because of, as some scholars have pointed out, humans obtain practical activity on the basis of a cognition which does not deceive our expectation toward its object (avisamvadijnanam).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prove that Dharmakirti regards apoha theory as an internally. And Dharmakirti`s focus upon the usefulness of language.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쁘라즈냐까라굽따(Prajnakaragupta)의 언어의미론

        배경아 ( Bae Gyeong-a ) 인도철학회 2017 印度哲學 Vol.0 No.50

        Prajnakaragupta(ca. 780-840) disallows `the excluded particular (vy avrttasvalaksana)` in the any apoha which S akyabuddhi(ca. 660-720) classifies into the three kinds. Because of `the excluded particular` does not exist in reality. It is implied by the definition to he`s the epistemological theory of having an apearance explaining the yog ac ara on the basis of self cognition. Because of, in according to Prajnakaragupta`s opinion, the reason that other-exclusion( any apoha) connected with the image of an object, or pratibimbaka. According to Praj n akaragupta, there is no need to external entities for the sake of linguistic item which refer to word meaning. Because of Prajnakaragupta refuse to acknowledge sameness(ekat a) or an intimate (genetic) connection between word meaning and real entities and word meaning resides in the mind (inner faculty, buddhi). he thinks that the qualifier, the qualified and their connection do not exist in reality. Though Prajnakaragupta also regards the referents (artha) as a conception`s apearance is formed by vasan a, not an external something or s am anya such as Dharmakirti. In the view of Praj n akaragupta, apoha theory was centred in the conceptual functions of language.

      • KCI등재

        원효의 진리론 논증

        배경아 ( Gyeong A Bae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6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25

        원효는 대승불교가 불설(buddhavacana)인지 아닌지를 가르는 진리기준을 논리적 타당성에 두었다. 이와 같은 입장은 자신이 속한 부파의 전승교학만이 불설이라고 하는 견해를 비판함과 동시에 진리를 인식하고 받아들이는 불교의 근원적인 태도를 보여준다. 전승되어온 성전이 아니라도 ‘논리에 부합하는 것’이라면 대승불교경전도 불설이며 진리일 것이기 때문이다. 대승불교가 불설이라는 것을 입증하려고 시도한 것은 아상가, 자야쎄나, 현장, 원효가 모두 마찬가지였다. 하지만 원효는 그 논증이 성공적이려면 우선은 상대편인 대론자도 인정할 수 있는 논법이어야 할 것이고 다음으로는 불설의 근거에 부합한다면 대승불교가 아니라고 할지라도 불설 일 수 있다. 는 입장에 흔들림이 없어야 한다는 것을 분명히 한다. 이와 같은 태도야 말로 대승불교의 정신과 직결되기 때문이다. 또한 이와 같은 원효의 대승불설논증은 초기유가행파의 대승불설논증과 맥락이 닿아 있다. 이와 관련된 문헌적인 근거로 우선 원효의『대혜도경종요 大慧度經宗要』를 들 수 있다. 원효는 여기에서 붓다의 말이 진실한 것,진리라는 것은 증성도리(證成道理)의 추리(比量)에 의해 증명된다고 말한다. 해심밀경에 등장하고 유가사지론에서 다루어지는 증성도리는 바른인식수단을 의미한다. 유가사지론에서는 불설이란 근본경전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며 성문경, 율전, 아비달마와 대승의 경전과 논서들 모두 성언에 상응한다면, 즉 증성도리에 부합한다면 그것은 불설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아상가에서부터 자야쎄나, 현장, 원효에 이르기까지 『증일아함경』을 유례로 든 것 또한 같은 맥락이라고 할 수 있다. 유가사지론에 의하면 『증일아함경』은 하나하나의 불교주제들을 전승된 성전이 아니라 상응, 혹은 도리의 관점에서 불설이라고 설명하고 있기 때문이다. For a long time in the east asia, Mahayana Buddhism was thought to be concerned with the established truths. Because it is teaching included in Buddhavacana. Especially, Won-Hyo made an syllogism proving Mahayana``s orthodoxy as follows. Pratijna:The teachings of all the Mahayana scriptures are reasonable. Hetu: Because they are teachings not included in ``non-Buddhavacana admitted by both parties``. Drstanta: Like Anguttaraagama etc. The paksa, ‘Theteachings of all the Mahayana scriptures are reasonable’ is to be distinguished from the cases of the paksa, ‘All the Mahayana scriptures are included in Buddhavacana’ which established by Jayasena, Xuan-Zang. Because of ‘included in Buddhavacana’ changed ‘reasonable’. ‘reasonable’ means to correspond with logic (yukti or nyaya, 正理) in Sanskrit. ‘Yukti’ is interpreted in three regards. Firstly, according to Samghabhadra, ‘reasonable’ means ‘dharmata’(法性) that the criterion by which abhidharma is included in Buddhavacana. Yukti (logic), thus, is a method to achieve the purpose, ‘dharmata’ (法性) Secondly, Bhavaviveka (ca. 490-570) maintained that yukti(logic), or anumana is the criterion by which Mahayana Buddhism is included in Buddhavacana. In the pramana tradition, yukti, or anumana is a source or ‘means’ of right knowledge. Namely, it is understood in respect of pramana or means of right knowledge. Thirdly, in the Yogacaratradition, it means the proof of truth established by ‘means’ of right knowledge, pratyaksa (direct perception), anumana, agama, or upapattisadhanayukti. Won-Hyo’s ‘yukti’ also can be interpreted as to be related Yogacaratradition``s upapattisadhanayukti which is ``means`` of right knowledge. Because of Won-Hyo referenced that Buddhavacana is proved by upapattisadhanayukti in『大慧度經宗要』

      • 지상(紙上)블로그 - 전자책에 대처하는 도서관의 자세

        배경,Bae, Gyeong-Jae 한국도서관협회 2011 圖協會報 Vol.52 No.6

        다소 먼 이야기이긴 하지만 1990년대에 전자책 시장이 형성되기 시작하면서 전자책이 단순히 책의 새로운 한 형태가 아니라 아날로그 도서의 대체재가 될 수 있다는 막연한 기대감은 당시 전자책에 대한 폭발적인 관심을 불러 일으켰다. 하지만 여러 가지 환경적인 조건과 콘텐츠 부재 등의 이유로 지대한 사회적 관심이 직접적인 전자책 산업의 발전으로 연결되지는 않았다. 최근 전자책 산업은 모바일 산업의 발전과 더불어 관련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지속적인 혁신으로 세계적인 시장이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고, 이제 국내에서도 차츰 그 영향에 따라 전자책 산업이 활력을 되찾고 있는 모양새이다. 전자책 산업의 성장으로 영향을 받는 이해 관계자들은 저자와 출판사, 유통사 등 다양하게 존재하겠지만 도서관 또한 책을 둘러싼 구성원에서 빼놓을 수 없는 존재일 것이다. 본 고에서는 전자책의 발전 배경과 최근의 추세를 살펴보고, 도서관의 입장에서 전자책을 바라볼 때의 관점에 대해 개인적인 소고를 밝히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