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 상하이 중학교 교사의 교수실천 영향 요인

        방효비 한국교원교육학회 2022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9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teacher level variables and school level variables that affect the teacher instructional practices of Shanghai Middle School in China. For this purpose, this study based on the TALIS China Shanghai data surveyed in 2018, the influencing factors on teaching practice were investigated using the Hierarchical Linear Model(HLM). In the data of TALIS 2018 in Shanghai, China, principals of 196 middle schools and 3,221 teachers were finally analyzed. Firs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schools in the teacher instructional practices of Shanghai Middle School in China. Second, the teacher's demographic variables such as teaching experience, preparation for training, and working hours per week were effective. Third, teacher efficacy was the most influential in teaching competency variables, followed by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teacher cooperation sub-factors professional cooperation and exchange and coordination for classes. Fourth, the influence of the school organization variable on teacher instructional practices was greater than the school background variable, and the influence of teachers’ autonomy of teaching autonomy was the highest. Based on these conclusions, in order to improve the teacher instructional practices at Shanghai Middle School, it wa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influencing factors at the school level as well as their own efforts. 이 연구는 중국 상하이 중학교 교사의 교수실천에 영향을 주는 교사수준 변인 및 학교수준 변인들의 효과를 다층적으로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2018년에 조사한 TALIS 중국 상하이 자료를 토대로 위계적 선형모형(HLM)을 활용하여 교수실천에 대한 영향요인을 알아보았다. 중국 상하이 TALIS 2018 자료에서 최종적으로 196명 중학교 학교장 및 3,221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 상하이 중학교 교사의 교수실천은 학교 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의 인구통계학적 변인 중 교직경력, 양성교육 준비도 및 주당업무시간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수역량 변인에서 교사효능감의 영향력이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교사-학생 관계, 교사협력의 하위요인 중 전문적 협력 및 수업을 위한 교환 및 조정의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교조직 변인은 학교배경 변인보다 교수실천에 주는 영향력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업자율성의 영향력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론을 바탕으로 중국 상하이 중학교 교사의 교수실천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교사가 스스로 노력하는 것뿐 아니라 학교 차원의 영향요인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KCI등재

        가정의 문화자본과 다문화 수용성이 글로벌 역량에 미치는 영향 - 중국 대학생을 중심으로

        방효비 글로벌교육연구학회 2023 글로벌교육연구 Vol.15 No.3

        이 연구는 중국 대학생을 대상으로 가정의 문화자본과 다문화 수용성이 글로벌 역량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확인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중국 대학교 재학생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최종적으로 413부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개인 배경변인에 따라 글로벌 역량의 하위요인 수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 학력은 대학생 자녀의 글로벌 역량에 대한 영향력이 없음을 확인하였고, 가정 보유 도서 요인의 경우 글로벌 역량의 4개 하위요인인 지식, 능력, 태도와 가치 그리고 행동 등 모든 변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다문화 수용성은 글로벌 역량의 4개 하위요인인 능력, 지식, 태도와 가치 그리고 행동에 영향을 미치며, 가정의 문화자본보다 영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중국 대학생의 글로벌 역량 향상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여 제시하였다. This study focuses on improving the global competency of Chinese university students, so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cultural capital,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nd global competency. Using a quantitative method based on structured questionnaires to collect data from 413Chinese undergraduate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Firs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level of sub-factors of global competency according to the individual background variable of undergraduates.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parents' educational background had no influence on the global competence of college students, and that home-held books affect all variables, including knowledge, ability, attitude and value, and behavior, which are the four sub-factors of global competence. Third,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ffects the four sub-factors of global competence: ability, knowledge, attitude, values, and behavior, and is more influential than family cultural capital.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global competency of Chinese undergraduates were discussed and presented.

      • KCI등재

        교직 생애 단계에 따른 전문성 개발 프로그램의 필요도-참여도 분석

        방효비(Fang, Xiaofei),박수정(Park, Sooj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9

        목적 이 연구는 교직 생애 단계에 따른 전문성 개발 프로그램의 필요도와 참여도를 분석하고, 이를 연계 분석함으로써 교사 전문성 개발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방법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OECD 교수학습국제조사(TALIS) 2018 자료 중 한국 초등학교 교사 2,994명과 중학교 교사 2,180명, 총 5,174명의 응답 자료를 활용하였고, 전문성 개발 프로그램의 주제에 대한 필요도와 참여도를 생애 단계별로 분석하고, IPA(Importance Performance Analysis) 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필요도와 참여도에 대한 매트릭스(Matrix)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전문성 개발 프로그램에 대한 필요도 인식은 적응단계(5년 미만)에 해당하는 신임교사들에게 대부분 가장 높게 나타났고, 생애 단계가 올라갈수록 필요도가 높은 주제는 ICT 활용(초)이었다. 둘째, 전문성 개발 프로그램에 대한 참여도는 숙련단계(25년 이상)에 해당하는 고경력교사들에게 대부분 가장 높게 나타났고, 생애 단계가 낮을수록 참여도가 높은 주제는 특수교육이었다. 셋째, 전문성 개발 프로그램에 대하여 높은 필요도와 낮은 참여도를 보인 주제가 가장 많은 생애 단계는 적응단계(중)와 성장, 발전, 숙련단계(초)로 나타났고, 교과, 교육과정, 평가, 범교과 등의 주제를 포함하였다. 결론 교직 생애 단계에 따라 전문성 개발 프로그램 주제에 대한 필요도와 참여도에 차이가 있으므로, 생애 단계를 고려한 교사 전문성 개발의 접근과 다양한 지원 방안이 필요하다. Objectives This study analyzed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s in terms of teachers participation of the need and participation based on career life cycle, through this analysis aim to derive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teacher professional. Method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OECD international research of Teaching and Learning International Survey(TALIS) were sued, this study analyzed the perception of 5,174 teachers from 2,994 Korean elementary school and 2,180 middle school. The need and participation’s topic of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was analyzed based on career life cycle, and the need and participation(Matrix) analysis was performed by using the Importance Performance Analysis(IPA) analysis method. Results First, the need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s was the highest for most new teachers who corresponded to the stage teachers(~5years), and the topic of increasing need as the life stage went up was ICT skills. Second, most highly experienced teacher(25years~) were more participation in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s, the lower life stage teachers have a higher participation in the topic of the special education. Third, the life stages with the most high needs and low participation in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s were the stage teachers(~5years)(middle school) and stage teachers(5years~)(elementary school) and it included topics such as subjects, curriculum, evaluation, and cross-curricular. Conclusions Since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need and participation of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s depending on the teaching life stage, access to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various support measures considering the life stage are needed.

      • KCI등재

        배려적 학교풍토와 전문적 교사협력이 교사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방효비 ( Fang Xiao-fei ),박수정 ( Park Soo Jung ),박선주 ( Park Sun Ju )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17 교육연구논총 Vol.38 No.1

        이 연구는 배려적 학교풍토와 전문적 교사협력이 교사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2013년 OECD 교수학습국제조사(TALIS)』의 국내 177개 중학교 2,933명의 교사가 응답한 자료 중, 결측치를 제외한 2,597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배경변인에 의한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교사의 성별, 연령, 교직경력, 고용형태를 통제변인으로 투입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배려적 학교풍토와 전문적 교사협력, 교사 직무만족 간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배려적 학교풍토와 전문적 교사협력 모두 직무만족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교사 직무만족의 하위요인인 직업 만족과 근무환경 만족에도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해 교사의 직무만족을 향상시키기 위해 배려적 학교풍토와 전문적 교사협력에 대한 관심이 좀 더 필요함을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the caring school climate and professional teacher collaboration on teachers` job satisfaction. For this purpose, 『OECD Teaching and Learning International Survey(TALIS) 2013』of 2,597 middle school teachers` responses in Korea were used in the analysis.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SPSS 22.0 and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carried out. In order to examine the influences of the background variables, the teachers` gender, age, teaching career experience and employment type were used as the control variables.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among caring school climate, professional teacher collaboration and teachers` job satisfaction. Second, both the caring school climate and professional teacher collabora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and they also had a positive effect on profession satisfaction and working environment satisfaction which were the sub-factors of teachers` job satisfaction. As the result, this study empirically verified that more attention was needed on the caring school climate and the professional teacher collaboration in order to improve the teachers` job satisfaction.

      • KCI등재

        중국 상해시 수습교사제의 도입과 운영 분석

        박수정,방효비 한국교원교육학회 2019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6 No.3

        신임교사에 대한 체계적인 입문교육과 적응 지원의 중요성을 바탕으로, 이 연구는 중국 상해시에서 2012년에 도입한 ‘수습교사 규범화 훈련제도'(이하 수습교사제)의 운영 현황과 특성을 분석하고, 한국의 신임교사 입문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중국 상해시의 수습교사제와 관련된 문헌 고찰, 현장 참관, 인터뷰 등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중국 상해시 수습교사제의 도입배경 및 목적, 운영체계, 운영 기관, 운영 관리 및 운영 지원 등을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습교사제를 통해 신임교사 교육의 표준이 통일되고 교육의 질을 균등하게 담보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둘째, 수습교사 교육은 임용학교, 훈련학교, 교사연수원에서 동시에 이루어지는 ‘네트워크형’ 구조로 이루어지고 있다. 셋째, 수습교사들을 교육하는 훈련학교는 일종의 ‘전문성개발학교(PDS)’로서 수습교육을 전문적으로 담당하고 있다. 넷째, 수습교사와 지도교사에 대한 지원 정책은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종합적으로 볼 때, 중국 상하이 수습교사제는 교사 평가와 선별보다는 교육과 지원에 중점을 둔 입문교육 프로그램의 성격이 강하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신임교사 입문교육에 있어서 체계적인 적응과 성장 지원, 현장 중심형 교육, 관련 기관과 학교 간의 협력 등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Based on the importance of systematic introductory education and adaptive support for new teachers, this study analyzed the current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the "Standardized Training System for beginning teachers" (refer to as the Training System for Beginning Teachers) that was conducted in 2012 by Shanghai of China, and found out the implications for Korea's new teachers education. For this purpos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systematic reviews, field observation and interview related to the Training System for Beginning Teachers in Shanghai. The beginning teachers’ background of introduction and purpose, operating system, operating institution, operation management and operation support were analyzed. The main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rough the Training System for Beginning Teachers the standards of new teacher education are unified and moving toward equal assurance of the quality of education. Second, Training System for Beginning Teachers consists of a 'network-type' structure, which is conducted simultaneously at an appointment school, a training school, and a teacher training institute. Third, the training school that educates training teachers is a kind of ‘PDS(Professional Development School)’, which specializes in training. Fourth, there are various support policies for beginning teachers and mentors. Overall, Training System for Beginning Teachers in Shanghai has a strong personality in its introductory education program focusing on education and support rather than evaluating and screening teachers.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it presented suggestions such as systematic adaptation and growth support, field-centered education, and cooperation between related institutions and schools in the introductory education of new teachers.

      • KCI등재

        교사학습공동체와 민주적, 협력적 학교문화의 관계

        박수정(Park, Soojung),방효비(Fang, Xiaofe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

        교사학습공동체가 학교 변화와 교사 전문성 개발의 중요한 방법으로 부상하였고, 바람직한 학교문화를 조성하는데 교사학습공동체가 얼마나 기여할 수 있는지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이 연구는 교사학습공동체가 민주적, 협력적 학교문화와 어떠한 관계에 있는지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적극적인 교사학습공동체 정책을 추진하고 있는 서울시교육청의 초등학교와 중등학교 교원을 대상으로 2017년에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고, 교사학습공동체가 민주적, 협력적 학교문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사학습공동체는 민주적, 협력적 학교문화에 각각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학습공동체에서 이루어지는 ‘비전공유와 협력학습’, ‘시간확보와 재정지원’은 민주적, 협력적 학교문화에 정적인 영향이 있으며, 특히 중요한 요인은 비전공유와 협력학습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장 교사, 교장, 교감, 그리고 초등학교, 공립학교, 혁신학교에 근무하는 교원이 민주적, 협력적 학교문화를 상대적으로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논의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is very important methods for school change and development of teacher professional. Focused on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how to create the desirable school cultur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learning community and democratic, collaborative school culture. Therefore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in 2017 for elementary school,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teachers belong to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and which the policy has been actively promoted. The effect of teacher learning community on democratic, collaborative school culture was analyzed.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Teacher learning community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democratic, collaborative school culture. Both the vision sharing and collaborative learning and supply of time and financial support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democratic, collaborative school culture. Especially, vision sharing and collaborative learning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Head teacher s, principals, vice-principals, elementary schools, public schools and innovation schools had an high influence on democratic, collaborative school culture. Based on these finding, the discussion and implications were suggested.

      • KCI등재

        고교학점제 도입을 위한 일반고 교·강사 제도의 운영 실태 분석

        박수정(Park, SooJung),방효비(Fang, XiaoFei),박정우(Park, JeongWoo),고경희(Ko, GyungHu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8

        고교학점제 도입에 있어서 교·강사 관련 제도가 중요하다는 문제의식에 따라, 고등학교 현장에서 운영되고 있는 교·강사 제도의 운영 실태를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2019학년도 일반고등학교 전체(정보공시)와 고교학점제 연구·선도학교(설문조사)의 교·강사 제도 운영 실태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고 교사의 평균 수업시수는 창의적체험활동 포함시 평균 16.9시간, 제외시 평균 15.1시간이고, 일반고 교사의 52%가 1개 과목, 38%가 2개 과목을 담당하며, 88%의 교사가 1개 자격을 소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다과목 지도에 대한 부담 완화와 지도 역량 강화가 필요하다. 둘째, 순회교사의 활용은 평균 5시간 정도로, 좀 더 적극적인 활용과 제도적 토대 마련이 필요하다. 셋째, 일반고의 정규수업을 담당하는 강사의 비율은 1%로 현재 미미한 수준이나, 향후 다양한 선택과목이 개설될 경우 강사의 확보와 질 관리, 강사료 현실화가 필요하다. 넷째, 다과목을 지도하는 교사와 순회교사에 대한 인센티브로 현재 가장 우세한 성과급 산정 시 가산점 외에, 교직 문화의 인식 전환과 총체적인 지원 방안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다섯째, 선택과목 확대로 인한 교과목과 수업학급수 증가는 수업시수, 학급당 학생수, 담임제도 등에 대한 기존 개념의 변화를 요구한다. In accordance with the awareness that the system related to teachers and instructors is important in the introduc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For this purpose, the actual conditions of all the general high schools(Korean Education Statistics Service, KESS) in 2019 and Research·Initiative schools(Survey) were analyzed.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regular teaching time in high schools including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is 16.9 hours, except for 15.1 hours. 52% of teachers in high schools teach one subject, 38% of teachers teach two subjects, 88% of teacher have one teacher certification. The teachers who teach multiple subjects should ease the burden and strengthen the guidance. Second, the average teaching time of the itinerant teacher was five hours, require more active use of teacher and need to establish institutional foundation. Third, only 1% of instructors in general high schools regular classes, which is currently low, if various elective subjects are offered in the future, the number and quality of instructors need to increased, and realize lecturer pay. Fourth, the itinerant teacher and the teacher who teach multiple subjects, in addition to the most advantageous bonus of performance-based pay as an incentive to give, also need to discuss the change and support of teaching culture. Fifth, the number of course and classes increased due to the increase of elective course that requires a change in the existing concepts of teaching time, class size studies, homeroom system.

      • KCI등재

        시도교육청의 혁신교육지구 정책 분석:2020학년도 혁신교육지구 계획을 중심으로

        박수정(Park, SooJung),김경주(Kim, KyoungJu),방효비(Fang, XiaoFe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1

        목적 혁신교육지구 사업은 2011년에 경기도교육청에서 처음 시작하여 10년이 경과하였고, 대부분의 교육청에서 계획·운영하고 있는 정책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시도교육청에서 추진하는 혁신교육지구 정책의 내용을 파악하여 종합적, 지역적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혁신교육지구 정책의 현황에 대한 이해와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하여 혁신교육지구를 추진하는 16개 시도교육청의 2020학년도 혁신교육지구 계획 문서를 수집하고, 혁신교육지구의 명칭, 비전, 개념, 목표, 거버넌스, 조례, 추진과제, 구성원 역량 강화, 질 관리를 분석 항목으로 설정하여 주요 내용을 분석하였다. 결과 혁신교육지구의 명칭으로는 혁신, 행복, 지역명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혁신교육지구의 비전에서는 마을/지역이, 개념에서는 소통/협력이 많이 나타났다. 혁신교육지구 사업이 기초자치단체 단위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기초단위 거버넌스에 대한 내용이 많았고, 원활한 사업 추진을 위해 관련 조례를 제정하는 곳이 많았으며, 마을교육공동체 조례에 기반하는 경우가 많았다. 혁신교육지구의 추진과제는 마을학교 및 교육공동체 운영 지원이, 구성원 역량 강화는 마을 강사(활동가)에 대한 연수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질 관리를 위해 자체평가와 종합평가를 실시하고 있었다. 결론 첫째, 혁신교육지구 정책 도입 시기에 따른 지역 간에 시차가 있었지만 정책의 동형화 현상이 나타났다. 둘째, 혁신교육지구 추진과제는 지역의 특색을 반영하고 있으며, 지역 주민의 수요와 참여에 기반한 정책이 되어야 한다. 셋째, 혁신교육지구에 대한 거버넌스가 구축되고 조례가 제정된 지역에서 혁신교육지구 사업이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다. 넷째, 혁신교육지구의 구성원의 역량 강화는 다양한 대상과 방법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Objectives The innovation education district project first started in 2011 at the Gyeonggi Office of Education, and 10 years have passed, and it is a policy planned and operated by most offices of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n understanding and implications for the current state of the innovation education district policy by analyzing the comprehensive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by grasping the contents of the innovation education district policy promoted by the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Methods To this end, 16 provincial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that promote the innovation education district collect the planning documents for the 2020 innovation education district, and analyze the name, vision, concept, goal, governance, ordinances, promotion tasks, member competency strengthening, and quality management of the innovation education district. The main contents were analyzed by setting them as items. Results Innovation, happiness, and local names were most often used as the names of innovation education districts. In the vision of the innovation education district, villages/regions appeared, and in the concept, communication/cooperation appeared a lot. Since the innovation education district project is carried out by the basic municipality, there is a lot of content on local governance, and there are many places that enact related ordinances for smooth project promotion, and in many cases it is based on the ordinance of the village education community. The promotion task of the innovation education district was support for the operation of village schools and educational communities, and training for village instructors (activists) was conducted to strengthen the capacity of members, and self-evaluation and comprehensive evaluation were conducted for quality management. Conclusions First, there was a time lag between regions according to the time of introduction of the innovation education district policy, but the policy was isomorphism. Second, the initiatives for the innovation education distric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and should be a policy based on the needs and participation of local residents. Third, innovation education district projects are actively being promoted in regions where governance for the innovation education district has been established and ordinances have been enacted. Fourth,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competence of members of the innovation education district through various targets and methods.

      • KCI등재

        혁신교육지구의 마을자원 지도 제작 사례 및 시사점

        박수정(Park, SooJung),박경희(Park, KyungHee),김경주(Kim, KyoungJu),방효비(Fang, XiaoFei),한소민(Han, SoM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5

        목적 최근 혁신교육지구 사업과 마을교육 실천을 위하여 지역의 자원을 조사하고 활용하자는 요구와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 연구는 혁신교육지구 사업을 새롭게 추진하는 대전 서구 지역의 마을자원 지도 제작 사례의 과정과 내용을 정리하고, 마을자원의 조사, 구성, 활용에 대한 교육적 시사점을 제안하고자 한다. 방법 마을자원 지도 제작은 1) 지역의 교육 여건 및 현황, 교육자원에 대한 조사, 2) 교육자원 현황 조사 결과에 대한 주민들의 요구와 인식 분석, 3) 주민 수요에 기반 한 마을자원 분석 및 구조화, 4) 주민 수요 중심의 마을자원 지도 제작의 4단계 과정으로 이루어졌다. 결과 혁신교육지구의 마을자원 지도 제작은 마을자원의 유형 분류와 현황 조사, 다양한 배경과 전문성을 가진 연구자들의 협업과 피드백, 주민 수요에 관한 심층 면담과 요구 분석을 통해 진행되었다. 마을 주민들은 거주하는 마을에서 다양하게 경험할 수 있는 마을교육에 대한 요구가 높았고, 마을자원에 대한 정보 부족이 혁신교육지구 사업의 장애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주민 수요를 중심으로 제작한 마을자원 지도는 학교 교육과정과 연계한 수업 자료로 활용될 수 있고, 다양한 경험을 가진 마을활동가들을 연계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주며, 혁신교육지구나 마을교육공동체 사업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결론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조사된 자원과 지도를 활용하기 위한 적극적인 홍보 및 데이터베이스화, 그리고 온라인 서비스 제공과 같은 활용 방안이 요구되며, 마을자원 지도의 제작과 지속적인 개선, 기초 단위(시, 군, 구)보다 작은 마을 단위의 지도 연계 제작을 제안하였다. Objectives Recently, the needs to investigate and utilize local resources for Innovative Education District Project and village education has been highlighted. This study systematically summarizes the case of making process on the village resource map of Seo-gu, Daejeon, in Korea, which is promoting the new Project of the Innovation Education District, and intended to present implications for the investigation, organization, and utilization of village resources. Methods Village resource mapping was conducted in the order of 1) Survey of local educational conditions, current status in the region and resource-linking resources, 2) Survey and analysis of residents perceptions on the educational resources status, 3) Analysis and structure of educational resources centered on residents needs, 4) It consisted of four stages of developing need-oriented village resource maps. Results Village resource mapping in innovative education districts was conducted through classification and status surveys of village resources, collaboration and feedback from researchers with diverse backgrounds and expertises, in-depth interviews and analysis of needs of residents. Villagers had a high need for local education, which they could experience in various ways in their villages, and it was confirmed that a lack of information on village resources could be a hindrance to the innovative education district project. A map of village resources produced by the resident needs may be utilized as teaching materials in connection with the curriculum of schools, It provides an opportunity to link local activists with diverse experiences. It may be used as basic data for innovative education zones or local education community projects. Conclusions Based on the above results, active promotion, databaseization, and online service provision are required to utilize investigated resources and maps, it proposed the mapping of village units smaller than the local government (city, county, and distri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