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학교적응 영향요인들 간 구조적 관계

        방수민,김경근 한국교육사회학회 2017 교육사회학연구 Vol.27 No.2

        Drawing on second wave data of the 2nd panel from the Community Child Center Survey, we examin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the factors influencing school adjustment among Korean fifth graders using community child center. Our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results exhibited that child deprivation index, parent-child relationship, community child center teacher-child relationship, and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the center have significant effects on school adjustment. Parental socioeconomic status(SES) was found not to exert a direct influence on child's school adjustment. Parental socioeconomic status was a key determinant of the child deprivation index, however, which has the strongest influence on school adjustment. The child deprivation index had a strong impact on parent-child relationship but had little to do with the variables associated with community child center. On the other hand, teacher-child relationship at the center yielded a strong direct effect on school adjustment, and also had a significant indirect effect on school adjustment through satisfaction with the center. Based on the results, we discussed briefly the ways in which community child center can contribute to the upward mobility of low-income children. 본 연구는 지역아동센터 아동패널조사 2기 패널 2차년도 데이터를 사용하여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아동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고자 수행되었다. 초등학교 5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한 결과, 아동 결핍지수, 부모-자녀 관계, 지역아동센터 교사-아동 관계, 지역아동센터 만족도가 아동의 학교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는 아동의 학교적응에 직접적인 영향력을 발휘하지 않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하지만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는 학교적응에 가장 강력한 영향을 끼치는 아동 결핍지수를 결정하는 핵심요인으로 밝혀졌다. 아동 결핍지수는 부모-자녀 관계에는 강력한 영향을 미치지만 지역아동센터 관련 변인들에는 별다른 영향력을 행사하지 않았다. 센터 내 교사-아동 관계는 학교적응에 직접적으로 강력한 정적 효과를 발휘하는 한편 센터에 대한 만족도를 매개로 학교적응에 유의미한 간접효과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저소득층 아동의 계층상승에 지역아동센터가 기여할 수 있는 방안들을 간략하게 논의하였다.

      • KCI등재

        Windows 10 내의 hiberfil.sys 파일에 대한 포렌식 활용 방안

        방수민(Sumin Bang),진필근(Philgeun Jin),김동현(Donghyun Kim),박정흠(Jungheum Park),이상진(Sangjin Lee),박아란(Aran Park),조병모(Byoungmo Cho),정일훈(Ilhoon Jung) 한국디지털포렌식학회 2021 디지털 포렌식 연구 Vol.15 No.1

        Windows 운영체제는 다양한 전원 및 절전 옵션을 제공하며 옵션 선택에 따라 휘발성 메모리 데이터를 보조기억장치 내에 hiberfil.sys 파일로 저장한다. 특히 ‘빠른 시작’ 옵션이 활성화되어 있는 경우, 시스템 종료를 하면 종료 직전 휘발성 메모리에 적재되어 있던 Windows 커널 및 드라이버의 메모리 영역이 보조기억장치에 백업되기 때문에 메모리 데이터를 활성 상태가 아닌 비활성 상태에서 확보할 수 있게 되었다. 이에 비활성 시스템에서도 hiberfil.sys 파일을 통해 메모리 포렌식을 할 수 있는 가능성이 생겨났다. 이러한 가능성을 바탕으로 본 논문에서는 메모리 데이터의 커널 영역에서 관리되는 파일시스템 드라이버 관련 객체들을 기반으로 시스템 종료 직전 행해진 외부 저장 장치로의 파일 복사 흔적을 추적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Windows provides a variety of power saving options and store volatile memory data as the hiberfil.sys file in a auxiliary memory according to option selection. Especially, when the "fast start" option is activated, the memory area of the Windows kernel and driver loaded in the volatile memory just before the end of the system is backed up in the auxiliary memory, so that the memory data can be secured in not only the active system but also the inactive state. This has led to the possibility of memory forensics through memory data obtained from the hiberfil.sys file in the inactive system. Based on this possibility,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to track file copy traces to external storage devices that were performed just before the end of the system based on file system driver-related objects managed in the kernel area of memory data.

      • KCI등재

        청소년의 공동체의식 영향요인에 대한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학업성취수준 및 학업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기혜,방수민,이은혜 한국교육사회학회 2017 교육사회학연구 Vol.27 No.4

        Drawing on the first and third wave of GEPS in which students from Gyeonggi province are represent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he determinants of a sense of community are investigated in this study. The effect of academic related stress on adolescents' sense of community is particularly focused in this analysis. By apply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we found positive impact of teacher-student relationship, GPA and parent-child relationship on adolescents' sense of community; academic related stress had negative influence on the sense of community. On the other hand, socioeconomic background did not have direct effect but was found to have indirect effect through parent-child relationship, teacher-child relationship, and GPA. Furthermore, the indirect effect of academic related stress was negatively related to the sense of community while the direct effect of academic related stress had positive influence on the sense of community. Lastly, the multi-group analysis showed that the impact of GPA on academic related stress was greater among high school students than middle school students. Based on these results, the need for change in educational climate that highly focuses on excessive competition for college entrance is discussed. 본 연구는 경기교육종단연구(Gyeonggi Education Panel Study: GEPS) 1, 3차 자료를 활용하여 청소년의 공동체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였다. 특히 이 과정에서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가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에 주목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결과 첫째, 청소년의 공동체의식에는 교사와의 관계, 학업성취수준, 부모-자녀 관계가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학업스트레스는 부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는 청소년의 공동체의식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으나 부모-자녀 관계, 교사와의 관계, 학업성취수준 등을 매개로 하여 간접적인 영향력을 발휘하였다. 아울러 청소년의 공동체의식에 대한 학업성취수준의 직접효과는 정적인 반면, 학업스트레스를 매개로 한 간접효과는 부적으로 유의미하였다. 마지막으로 학교급에 따른 다집단 분석을 실시한 결과, 학업성취수준이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이 중학교 집단보다 고등학교 집단에서 더욱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의 공동체의식 함양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입시위주의 경쟁지향적인 교육풍토의 개선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Qualitative assessment of precocious puberty-related user-created contents on YouTube

        남효경,방수민,이영준,박상희,이기형 대한소아내분비학회 2015 Annals of Pediatirc Endocrinology & Metabolism Vol.20 No.3

        Purpose: User-created content (UCC) has provided a considerable amount of medical information and become an important source. We aimed to evaluate the quality and scientific accuracy of precocious puberty-related UCC on YouTube. Methods: The keywords “precocious puberty,” “early puberty,” “sexual precocity,” and “precocity” were searched for on YouTube during June and July 2014. More than 1,500 UCC matched the keywords.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provider, UCC was classified as medical, oriental, or commercial & others. We evaluated the quality and scientific accuracy of the information provided in UCC using the DISCERN instrument and information scores, respectively. Results: We selected 51 UCC, which were categorized into three types: medical (n=17), oriental (n=17), or commercial & others (n=17). The overall quality score for medical UCC (3.4) was significantly higher relative to those of oriental and commercial & others UCC (2.8 and 2.3, respectively) (P<0.001). In the assessment of scientific accuracy, the mean information score for medical UCC (30.7)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oriental and commercial & others UCC (15.9 and 5.1, respectively) (P<0.001). The mean duration of oriental UCC was the longest (P<0.001), however, it was viewed less frequently among them (P=0.086). Conclusion: The quality and accuracy of precocious puberty-related health information in UCC were variable and often unreliable. The overall quality of UCC regarding precocious puberty was moderate. Only medical UCC provided scientifically accurate information. As UCC becomes a popular source of health information, it is important to provide reliable, scientifically accurate information.

      • 중학생의 공동체의식 영향요인에 대한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이기혜,방수민,이은혜 한국교육사회학회 2017 한국교육사회학회 학술대회 발표 자료 Vol.2017 No.-

        최근 청소년의 공동체의식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도래와 함께 미래 인재의 핵심 역량으로 배려와 소통을 기본으로 한 협력적 태도를 우선으로 꼽고 있다. 아울러 상급학교 진학 과정에서도 인성과 사회성을 중요한 평가요소로 간주하는 추 세이다. 이처럼 협력, 배려와 소통, 시민의식 등으로 거론되는 공동체의식은 사회·국가적 차원에서는 미래 사회의 주역인 청소년에게 갖추도록 해야 하는 핵심 역량이자, 개인적 차 원에서는 현재의 학교생활과 미래 사회생활 적응의 예표일 뿐 아니라 향후 진학과정에서도 상당히 비중 있게 고려되는 요소로 그 중요성과 함께 관심도 점증하고 있는 것이다.

      • KCI등재

        한국 청소년의 사회적 약자 배려 성향 영향요인

        심재휘,방수민,김경근 한국교육사회학회 2016 교육사회학연구 Vol.26 No.1

        Drawing on public opinion data on Korean adolescents’ perception on the socially disadvantaged collected in 2015 by the SSK Cultural Diversity and Coexistence Research Team, we examined determinants of caring attitudes towards the socially disadvantaged among adolescents. We applied multiple regression model to investigate factors associated with caring attitudes towards the socially disadvantaged. Our regression results exhibited that family background has little to do with the caring attitudes. In contrast, such social psychological factors as egalitarian attitudes, a sense of community, peer relationship, student-teacher relationship, perception on the scope of the underprivileged were closely related to the caring attitudes. Also, it was discovered that parental education has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 adolescent relationship and caring attitudes. When the determinants of caring attitudes were estimated separately for junior high and high school students, discernible difference was found in factors affecting the caring attitudes between the two groups. Specifically, for junior high school students, family background was not associated with their caring attitudes towards the socially disadvantaged. For high school students, however, household income had a negative impact on their caring attitudes, albeit a weak one. Moreover, junior high school students tended to show stronger caring attitudes when they regarded themselves as not being the socially disadvantaged, which was not witnessed among high school students.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parental education and parent-adolescent relationship was also revealed among junior high school students only. We discussed briefly based on the major findings implications and policy suggestions that can enhance adolescents’ caring attitudes towards the socially disadvantaged. 본 연구는 SSK 문화적 다양성과 공존 사업단이 2015년에 수집한 ‘사회적 약자 배려에 대한 인식 조사’ 데이터를 사용하여 한국 청소년의 사회적 약자 배려 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고 그 정책적 함의를 살펴보았다.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사회적 약자 배려 성향에 대한 가정배경의 영향은 상당히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평등주의적 태도, 공동체의식, 친구관계, 교사관계, 사회적 약자 범위에 대한 인식 등과 같은 사회심리학적 변인들은 사회적 약자 배려 성향에 지대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아울러 부모관계와 사회적 약자 배려 성향 간 관계에 부모 교육수준이 조절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한편 중학생과 고등학생을 분리하여 분석을 실시한 결과, 두 집단 간에 사회적 약자 배려 성향 영향요인에서 가시적인 차이가 있었다. 구체적으로 중학생의 경우 가정배경과 사회적 약자 배려 성향 사이에 연관성이 전혀 없었지만, 고등학생의 경우에는 미약하나마 가구소득이 사회적 약자 배려 성향에 부적 효과를 행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중학생은 자신이 사회적 약자에 해당되지 않는다고 간주할 때 사회적 약자 배려 성향이 오히려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고등학생은 이러한 태도를 보이지 않았다. 부모 교육수준과 부모관계 간 상호작용 효과도 중학생에게서만 목도되었다. 이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정책적 시사점을 간략하게 논의하였다.

      • 스마트폰에서 촬영된 HEIF 파일의 디지털 포렌식 특징 분석

        권영진 ( Youngjin Kwon ),방수민 ( Sumin Bang ),한재혁 ( Jaehyeok Han ),이상진 ( Sangjin Lee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1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8 No.1

        HEIF (High Efficiency File Format)는 MPEG에서 개발된 이미지 포맷으로써, 비디오 코덱인 H.265를 활용하여 정지된 화면을 하나의 이미지 형태로 저장할 수 있도록 개발된 컨테이너이다. 아이폰은 2017년부터 HEIF를 사용하고 있으며, 2019년부터는 갤럭시 S10과 같은 안드로이드 기기도 해당 포맷을 지원하고 있다. 이 포맷은 우수한 압축률을 가지도록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으나, 복잡한 내부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기기나 소프트웨어 간 호환성이 현저하게 부족하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JPEG(또는 JPG) 파일을 대체하기에는 아직 대중적이지 못한 상황이다. 하지만 이미 많은 기기에서 HEIF를 사용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디지털 포렌식 연구는 부족한 상황이다. 이는 디지털 포렌식 조사 과정에서 파일 내부에 포함된 정보의 파악이 미흡하여 잠재적인 증거를 놓칠 수 있는 위험에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아이폰에서 촬영된 HEIF 형식의 사진 파일과 갤럭시에서 촬영된 모션포토 파일을 분석하여 파일 내부에 포함된 정보와 특징들을 알아본다. 또한 이미지 뷰어기능을 지원하는 소프트웨어를 대상으로 HEIF에 대한 지원 여부를 조사하고 HEIF 뷰어를 분석하는 포렌식 도구의 요구사항을 제시한다.

      • KCI등재

        스마트폰에서 촬영된 HEIF 파일 특징 분석에 관한 연구

        권영진 ( Youngjin Kwon ),방수민 ( Sumin Bang ),한재혁 ( Jaehyeok Han ),이상진 ( Sangjin Lee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1 정보처리학회논문지.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 공학 Vol.10 No.10

        HEIF(High Efficiency Image File Format)는 MPEG에서 개발된 이미지 포맷으로써, 비디오 코덱인 H.265를 활용하여 정지된 화면을 하나의 이미지 형태로 저장할 수 있도록 개발된 컨테이너이다. 아이폰은 2017년부터 HEIF를 사용하고 있으며, 2019년부터는 갤럭시 S10과 같은 안드로이드 기기도 해당 포맷을 지원하고 있다. 이 포맷은 우수한 압축률을 가지도록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으나, 복잡한 내부 구조를 가지고 있어 기기나 소프트웨어 간 호환성이 현저하게 부족하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JPEG(또는 JPG) 파일을 대체하기에는 아직 대중적이지 못한 상황이다. 하지만 이미 많은 기기에서 HEIF를 사용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디지털 포렌식 연구는 부족한 상황이다. 이는 디지털 포렌식 조사 과정에서 파일 내부에 포함된 정보의 파악이 미흡하여 잠재적인 증거를 놓칠 수 있는 위험에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아이폰에서 촬영된 HEIF 형식의 사진 파일과 갤럭시에서 촬영된 모션 포토 파일을 분석하여 파일 내부에 포함된 정보와 특징들을 알아본다. 또한 이미지 뷰어 기능을 지원하는 소프트웨어를 대상으로 HEIF에 대한 지원 여부를 조사하고 HEIF를 분석하는 포렌식 도구의 요구사항을 제시한다. The High Efficiency Image File Format (HEIF) is an MPEG-developed image format that utilizes the video codec H.265 to store still screens in a single image format. The iPhone has been using HEIF since 2017, and Android devices such as the Galaxy S10 have also supported the format since 2019. The format can provide images with good compression rates, but it has a complex internal structure and lacks significant compatibility between devices and software, making it not popular to replace commonly used JPEG (or JPG) files. However, despite the fact that many devices are already using HEIF, digital forensics research regarding it is lacking. This means that we can be exposed to the risk of missing potential evidence due to insufficient understanding of the information contained inside the file during digital forensics investigations. Therefore,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HEIF formatted photo file taken on the iPhone and the motion photo file taken on the Galaxy to find out the information and features contained inside the file. We also investigate whether or not the software we tested support HEIF and present the requirement of forensic tools to analyze HEIF.

      • KCI등재

        A Case of Vanishing Bile Duct Syndrome after Drug-Induced Liver Injury Caused by Pelubiprofen

        박해인,김하연,이시은,이윤석,방수민,이영선 연세대학교의과대학 2020 Yonsei medical journal Vol.61 No.12

        Vanishing bile duct syndrome (VBDS) is a rare disease characterized by ductopenia and cholestasis, and is linked to immunologicaldamage to the bile duct system. VBDS can be triggered by infection, ischemia, autoimmune diseases, adverse drug reactions,and humoral factors associated with malignancy. A few cases of VBDS associated with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relateddrug-induced liver injury (DILI) have been reported. Here, we report a case of a 29-year-old patient who developed DILI thatprogressed to VBDS after the administration of pelubiprof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