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교사를 위한 액션러닝 중심 부모 면담 역량 강화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고은영(Ko, EunYoung),박희숙(Park, HeeSu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0

        본 연구의 목적은 ‘액션러닝에 기초한 부모면담 역량강화 유아교사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 하는 것에 있다.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문헌 분석, 1차 모형 도출, 심층면담, 전문가 집단 협의, 2차 모형 도출, 예비 적용, 프로그램 최종안 구성 절차로 진행하였으며 프로그램은 교육 목적 및 목표, 교육내용, 교수-학습 방법, 평가로 구성하였다. 본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험집단 교사 17명, 통제집단 교사 17명을 선정하였으며 실험집단은 2018년 5월 31일부터 2018년 7월 11일까지 주 2회 6주간 12회기로 유아교사를 위한 액션러닝 중심 부모 면담 역량 강화 프로그램이 이루어졌다. 통제집단은 별다른 처치 없이 교사들이 소속한 기관에서 자체적으로 계획한 교사교육에 참여하였다. 연구 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이 교사의 의사소통능력, 상담자 자기 효능감, 교사 핵심역량의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교수 학습 방법으로 액션러닝을 적용하여 부모면담 역량을 증진하기 위한 유아교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효과를 검증하였다는 점에 그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new action learning-based program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to improve parent counseling competency and to verify effectiveness of the developed program on the participated teachers. For development, I have conducted literature analysis, developed first model, carried out in-depth interviews with the participants, consulted with expert group, derived second model, applied the second model preliminarily, and resulted in the final version of program.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I divided the participants into the experimental group of 17 teachers and the control group of 17 teachers.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from May 31, 2018 to July 11, 2018. During this period, the experimental group applied 12 lessons from Development of Early Childhood Learning Program for the Improvement of Counseling Capacity for Parents and Evaluation of its Effectiveness , whereas the control group did not apply such program. After applying the developed program to the participated teachers, I examined effects of the program on communicative competency, counselor s self-efficacy, and teacher s core competence statistically using SPSS 22.0. The results of this statistical analysis show that the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is effective in improving communicative competency, counselor s self-efficacy and teacher s core competence. Thus, I conclude that the new action learning-based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is helpful to improve teachers’ interviewing ability and its effects on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can be verified.

      • KCI등재

        유아 전래놀이에 관한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주현정(Hyun-Jung, Ju),박희숙(HeeSuk, Park)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22 어린이미디어연구 Vol.21 No.2

        본 연구에서는 최근 10여년 간의 온라인 공간에서 대중들에게 공유된 전래놀이 관련된 키워드를 추출하고 네트워크 분석하여 최근 우리 사회의 유아 전래놀이와 관련 이슈를 탐색하고 유아 전래놀이의 활성화를 위하여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의미가 있다. 이를 위해 Textom에서 ‘유아+전래놀이’, ‘유아+전통놀이’ 키워드를 활용하여 2010년 1월부터 2021년 10월까지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 중 본 연구와 관련 없는 자료를 삭제하고 키워드를 정제하였으며, 정제된 키워드를 활용하여 전체 및 유형별 빈도, 중심성, 커뮤니티를 분석하고 네트워크를 시각화 하였다. 분석 및 시각화에 활용한 도구는 Node.js와 JavaScript, Ucinet, Gephi이다. 연구결과 ‘체험’, ‘프로그램’, ‘명절’, ‘유치원’, ‘활동’ 키워드가 높은 빈도와 중심성을 나타냈으며, ‘놀잇감 활용 전래놀이’, ‘신체놀이’, ‘전래동요놀이’ 중 ‘놀잇감 활용 전래놀이’ 유형에 가장 많은 전래놀이가 포함된 것으로 나타났다. 커뮤니티 분석결과 ‘유아전래놀이 자격증’, ‘유아 다문화 교육’, ‘지역사회 체험 공간과 행사’ ‘도서관의 책놀이’, ‘유아교육과 전래놀이’ 군이 나타났다. 이러한 본 연구의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최근의 우리나라 유아 전래놀이와 관련 현상에 대해 다각적으로 살펴보고 이해하고자 하였으며 활성화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본 연구가 향후 유아 전래놀이 계승과 발전에 기여하는 자료가 되기를 기대한다.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search the keywords for traditional games shared from the online space for the past 10 years and to analyzed how young children’s traditional games are upheld in our society. The keywords related to ‘children+traditional game’ from January 2010 to October 2021 are mined using Textom. Among the collected data, data not related to this study are deleted and keywords are refined. Frequency, centrality, and community are analyzed using the refined keywords using Node.js, Ucinet and Gephi. The network is visualized using Gephi.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keywords ‘experience’, ‘program’, ‘holiday’, ‘kindergarten’, and ‘activity’ show high frequency and centrality. As a result of the community analysis, groups of ‘certificate for children’s traditional play’, ‘multicultural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space and events for community experience’, ‘book play at the library’, and ‘young children’s education and traditional play’ were found. It is expected that the analysis and the generated data are a valuable resource contributing inheritance and development of children’s folk games in the future.

      • KCI등재

        4차 산업혁명 기반 유아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교사교육 요구도에 관한 연구

        송윤나(Song, YunNa),박희숙(Park, HeeSu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13

        본 연구의 목적은 4차 산업혁명 기반 유아교육을 위한 교사교육을 위해 현직 유아 교사들의 인식 및 요구를 분석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D지역과 충남의 G지역을 중심으로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현직 유아교사 20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본 연구 참여에 동의한 유아교육기관 17개원을 대상 으로 2017년 3월 10일부터 4월 1일에 걸쳐 배부 및 회수되었으며, 2017년 4월 2일부터 4월20일까지 설문지의 결과 분석이 이루어졌다. 자료의 결과 분석은 SPSS 14.0을 이용하여 연구 참여자의 일반적 특성의 파악 및 연구문제를 알기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교사들은 4차 산업혁명 준비를 위해 가장 먼저 개혁해야 할 분야는 ‘교육’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유아교사들은 4차 산업혁명 기반 교육이 필요한 이유로 ‘유아의 미래 산업 준비’를 우선으로 꼽았다. 셋째, 대부분의 유아교육기관에서는 4차 산업혁명과 관련된 교육을 하고 있지 않았으며 넷째, 4차 산업혁명 기반 교육을 위한 해결과제로는 ‘교수학습프로그램의 개발 및보급’이 높게 나타났다. 다섯 번째로, 대부분의 유아교사들은 4차 산업혁명 기반 유아교육을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erceptions and needs of current early childhood teachers for teacher educ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based o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introduced to the concept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rough media such as newspapers and TV , and the first area to be reformed was education in order to prepare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Second, early childhood teachers cited preparation of future industry for children as the first reason for the necessity of education based o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inappropriate education during children as a reason not necessary. Third, most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did not provide education related t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Fewer early childhood teachers participated in teacher training related to fourth industry. Fourth, the solution fo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based education is that development and dissemina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s were high and improvement of environ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surrounding environment appeared. Fifth, most early childhood teachers recognized the need for a teacher education program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based o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answered that they would participate in teacher education. Conceptual and Understanding education was the most preferred education content in teacher education, and practical education focused on activity cases was preferred as education method.

      • KCI등재

        유아의 스마트폰 사진 놀이에 관한 현상학적 의미 탐색

        김윤나 ( Kim Yunna ),박희숙 ( Park Heesuk ) 한국유아교육학회 2021 유아교육연구 Vol.41 No.3

        본 연구는 유아들이 체험한 스마트폰 사진 놀이의 현상학적 의미를 살피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자는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을 연구방법론으로 하여 사진과 관련된 연구자의 체험, 관용어, 예술작품, 그리고 본 연구자가 담임교사로 있는 대전S초등학교병설유치원 만4세 행복반 유아 19명의 스마트폰 사진 놀이에 관한 현장 자료들을 2020년 6월부터 12월까지 수집하였다. 수집자료들은 귀납적 주제 분석을 거쳐 총 10개의 본질적 주제로 도출되었으며, 이들은 4가지 실존체로 분류되었다. 스마트폰 사진 놀이에서 유아가 체험한 신체성은 ‘새로운 봄, 새로운 몸’, ‘나를 보는 나’, 시간성은 ‘붙잡힌 시간’, ‘다시 만나는 시간’, ‘미래를 품는 시간’, 공간성은 ‘새롭게 다가오는 공간’, ‘제한과 확장의 공간, 프레임’, 관계성은 ‘“우리는 친구”라는 조용한 선포’, ‘다가감의 통로’, ‘특별한 존재, 선생님’의 본질적 주제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디지털 네이티브(digital native)로서의 현 시대 유아의 놀이와 유아교육 내 사진에 관한 이해의 지평을 넓히리라 기대된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phenomenological meaning of young children’s photo play using their smartphones.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collected her own experiences, idioms, works of art related to photography, and field data from June to December, 2020 at the researcher’s class of 19 4-year-olds in the kindergarten attached to S Elementary School in Daejeon. The collected data were derived from a total of 10 essential themes through inductive subject analysis, and then classified into four existentials. During the young children’s photo play, their corporeality was experienced under the essential themes of “a new way of seeing, a newly-made body”, and “me looking at myself”. The temporality was explored as “time which is caught”, “time that reappeared”, and “time that bears future”. In addition, young children’s spatiality was considered under “renewed space”, and “the frame of limit and expansion”. Lastly, the relativity was experienced with “a silent announcement of ‘we are friends’,” “a way to reach each other,” and “my teacher as a special subject.” This study is expected to broaden the understanding of play of today’s young children, i.e., digital natives, and that of the photograph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 KCI등재

        유아 건강교육 관련 연구동향 분석: 2010~2019년 국내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송윤나(Song, YunNa),송영인(Song, YoungIn),박희숙(Park, HeeSu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9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 건강교육 관련 국내연구 동향을 분석하여 추후 진행될 유아 건강교육 관련 연구의 방향을 탐색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2010년부터 2019년 7월 10일까지 발표된 유아 건강교육 관련 국내 학술지 연구 자료 185편을 대상으로 연구시기, 연구주제, 연구방법, 연구대상별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여 분석하였다.이에 따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 건강교육 연구는 2014년에서 2015년까지 연구량이 급증하였으나 2016년 이후부터 최근까지 점차적으로 연구량이 감소 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유아 건강교육과 관련 연구는 기초연구가 응용연구보다 많이 연구되고 있었다. 셋째, 유아 건강교육 관련 연구는 양적연구가 질적연구 보다 많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넷째, 유아 건강교육 관련 연구는 인적 대상 연 구가 물적 대상 연구보다 많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는 유아 건강교육관련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고 앞으로 개발될 유아 건강교육 활동 및 프로그램의 중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 of early childhood health education in Korea and to explore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related to early childhood health education. For this purpose, we analyzed research chronology, research subject, research method, frequency and percentage by research subject by examining 185 Korean journals related to early childhood health education published from 2010 to July 2019.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research on early childhood health education increased rapidly from 2014 to 2015, but it has been gradually decreasing since 2016. Second, there were more basic researches conducted than applied researches on early childhood health education. Third, more quantitative researches were being conducted than qualitative researches on early childhood health education. Fourth, more researches on human subjects were conducted than physical subjects related to early childhood health education. This study is valuable with the perspective that it can provide directions on research related to early childhood health education and provide important basic data for health education activities and programs to be developed in the future.

      • KCI등재

        원내 교사학습공동체 참여가 영유아 교사의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성정민(Jeong Min, Sung),송윤나(YunNa, Song),박희숙(HeeSuk, Park)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21 어린이미디어연구 Vol.20 No.4

        본 연구는 영유아 교사의 원내 교사학습공동체 참여에 관한 인식을 살펴보고 원내 교사학습공동체 참여가 영유아 교사의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영유아 교사 196명을 연구대상으로 2021년 3월 24일부터 4월 2일까지 자료를 수집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분석, 중다회귀분석으로 처리하였고 본 연구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영유아 교사의 원내 교사학습공동체 참여에 대한 조사결과, 원내 학습공동체가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원내 교사학습공동체 참여는 영유아 교사의 전체 교수효능감에 25%의 설명력을 나타내는 유의미한 변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교수효능감의 하위요인별로 살펴보면 개인적 교수효능감에서는 16%의 설명력이 있으며 일반적 교수효능감에서는 15%의 설명력을 나타내어 유의미한 변인임을 밝혔다. 본 연구결과 영유아 교사의 원내 교사학습공동체 참여는 어린이집에서 어려움을 겪을 수 있는 교사들이 동료 교사들과 정보를 교환하고 협력해 나가는 과정을 경험하면서 교수효능감에도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영유아교육 현장에서 원내 교사학습공동체 참여가 활성화 되고 교사의 전문성 향상에도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는 지원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articipation of the in-house teacher learning community and the effect of their participation on their teaching efficacy. For this purpose,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March 24 to April 2, 2021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for 196 teachers working at daycare centers. Data were analyze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survey on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participation in a teacher learning communities, they recognized the need for a teacher learning community within their day care centers. Second, early childhood teachers’ participation in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within their day care centers was found to be a significant variable that accounts for 25% explanatory power in their overall sense of their teaching efficacy. Looking into the sub-factors of teaching efficacy, it accounts for 16% of the variance in the individual teaching efficacy and 15% in the general teaching efficacy, indicating that it is a significant variable. This result shows that teachers who may have difficulties in the daycare center exchange their information and collaborate with colleague teachers through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within their day care centers, and thus this experience gives a positive effect on their teaching efficacy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can foster the way to activate community engagement and positively influence teacher professional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