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의 비대면 교육 경험에 대한 수업 에세이 분석

        박효진(Hyojin Park),주현정(Hyunjung Ju)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2

        목적 본 연구는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하여 코로나19 사태를 맞은 지 2년째가 되는 2022년, 대학생이 경험한 비대면 교육에 대한 인식을 심도 있게 탐구하고자 하였다. 방법 2022학년도 1학기에 A 대학교 35명을 대상으로 비대면 교육 경험에 대한 에세이를 수집하고, 비대면 교육에 대한 대학생의 경험을 분석하기 위하여 단어빈도분석을 수행하였다. 그리고 잠재 디리클레 할당 모형 기반의 토픽 모델링을 통하여 비대면 교육 경험을 주제별로 분석하였다. 결과 단어 빈도 분석 결과, 사회, 참여, 활용, 학교, 방식 등의 단어가 높은 빈도로 나타났다. 잠재 디리클레 할당 모형 기반의 토픽 모델링을 수행한 결과, 실재감, 안전함, 학습권, 커뮤니케이션, 테크놀로지 한계, 시공간 유연성, 학습격차, 소속감과 대학생활적응 등 8개의 토픽이 도출되었고, 비대면 교육에 대해 대학생의 인식은 긍정-부정으로 차이가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비대면 교육 환경에서의 안전함,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도구, 시공간 유연성으로 인해 긍정적인 학습을 경험한 학생이 있는 반면, 낮아진 실재감, 학습권, 비효율적인 커뮤니케이션, 테크놀로지 한계점으로 인한 비안정적인 수업운영, 학습격차, 낮아진 소속감으로 인한 대학생활적응의 어려움 역시 도출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대학생의 비대면 교육 경험에 대한 인식과 이해를 넓히고, 효과적인 비대면 교수학습 설계 및 개발, 운영에 필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erceptions of college students about non-face-to-face education by using text mining techniques. Methods A total of 35 essays on college students’ experiences with non-face-to-face education were collected and analyzed using term frequency and latent Dirichlet allocation (LDA)-based topic modeling. Results The result of the term-frequency analysis revealed that keywords, such as society, participation, utilization, school, and method, were prominent ones. The LDA-based topic modeling generated eight topics: presence, safety, the right to learn, communication, technological limitation, space-time flexibility, learning gap, and sense of belonging and adaptation to college life.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help broaden the perceptions of college students’ experiences with non-face-to-face education and provide implications for enhancing the quality of non-face-to-face education.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좋은 죽음 인식, 자아존중감, 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태도가 생명의료윤리 의식에 미치는 영향

        박효진,양현주,변은경,Park, Hyo Jin,Yang, Hyun Joo,Byun, Eun Kyung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1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7 No.3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좋은 죽음 인식, 자아존중감, 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태도가 생명의료윤리 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참여자는 B시의 간호대학생 15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 피어슨 상관계수,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생명의료윤리 의식은 2.87±0.26점이었고, 일반적 특성에 따른 생명의료윤리 의식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종교(t=-2.90, p=.004)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연구대상자의 생명의료윤리 의식은 좋은 죽음 인식(r=.27, p=.001), 자아존중감(r=.36, p<.001)과는 정적상관관계를, 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태도(r=-.27, p<.001)와는 부적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대상자의 생명의료윤리 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좋은 죽음 인식(β=.26, p<.001), 자아존중감(β=.29, p<.001), 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태도(β=-.30, p<.001), 종교(β=.20, p=.004)로 나타났고, 설명력은 28.7%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생명의료윤리 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반복연구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good death recognition, self-esteem, attitude toward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on the consciousness of biomedical ethics in nursing students. Data were collected from 154 nursing students in B city and analyzed by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using SPSS/WIN 22.0. The degree of consciousness of biomedical ethics in nursing students was 2.87±0.26.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nsciousness of biomedical ethics with respect to religion(t=-2.90, p=.004). There was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onsciousness of biomedical ethics and good death recognition(r=.27, p=.001), self-esteem(r=.36, p<.001),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consciousness of biomedical ethics and attitude toward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r=-.29, p<.001). The factors affecting consciousness of biomedical ethics of the study subjects were good death recognition(β=.26, p<.001), self-esteem(β=.29, p<.001), attitude toward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β=-.30, p<.001), religion(β=-.20, p=.004), with an explanatory power of 28.7%. Through this research requires the fellow study to determine the factors affecting consciousness of biomedical ethics of nursing students.

      • KCI등재

        일 간호대학생의 다문화수용성과 셀프리더십이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박효진 ( Hyojin Park ),희옥 ( Heeok Park ) 성결대학교 다문화평화연구소 2020 다문화와 평화 Vol.14 No.2

        본 연구는 다문화수용성과 셀프리더십이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는 D시에 소재한 1개 4년제 간호학과에 재학 중인 3, 4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일반적 특성, 다문화 수용성, 셀프리더십, 간호전문직관을 확인하는 설문지를 활용하여 시행하였으며, 자료 수집은 2020년 6월 19일부터 2020년 6월 25일까지 시행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 통계량, t-검정, 분산 분석, Pearson의 상관 계수 및 다중 회귀 분석을 사용하여 실시하였고, 다문화수용성과 셀프리더십, 간호진문직관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전문직관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셀프리더십(β=.476, p<.001), 외국거주경험(β=.160, p<.01), 전공만족도(β=.141, p<.05)로 나타났고, 가장 설명력이 큰 변수는 셀프리더십이었다. 이 연구의 의의는 간호대학생이 다문화 사회에 적합한 간호전문직관을 확립하기 위하여 다양한 접근과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기초자료를 제시했다는데 있다.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to identify the effects of multicultural acceptance and self-leadership on nursing professionalism for nursing students. The study used a questionnaires that include general characteristics, multicultural acceptance, self-leadership for nursing students in D city. The data collected from June 19, 2020 to June 25, 2020.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using the SPSS 21.0 program.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multicultural acceptance, self-leadership and nursing professionalism. The factors affecting nursing professionalism are self-leadership(β=.476, p<.001), the experience staying other country more than 1 year(β=.160, p<.01), and major satisfaction(β=.141, p<.05). The most strongest predictor was self-leadership.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that theoretical basis for develop various approaches and educational programs for establish nursing professionalism that suitable for multicultural society.

      • 경막하출혈 이후 발생한 복통환자 치험 1례

        효진,류호선,고인성,이수빈,유성운,이유진,세진,상동,Ahn, Hyo-Jin,Ryu, Ho-Sun,Ko, In-Sung,Lee, Su-Bin,Yu, Sung-Wun,Lee, Yu-jin,Park, Se-Jin,Park, Sang-Dong 대한중풍순환신경학회 2012 대한중풍.순환신경학회지 Vol.13 No.1

        The purpose of this report is to investigate the clinical application of Korean Traditional treatment to abdominal pain patient after subdural hemorrhage occurred. The main herb medicine used in this study is Ondam-tang (wenda-tang) which is frequently used in psychiatric disorders. Also, acupuncture, moxibustion and physical rehabilitation treatment were practiced. After taking an Ondam-tang (wendan-tang), the clinical symptoms of the patient were improved.

      • KCI등재

        변비의 진단과 치료

        박효진 ( Hyo Jin Park ),전한호 ( Han Ho Jeon ) 대한내과학회 2012 대한내과학회지 Vol.83 No.5

        Constipation is a common condition affecting approximately 16.5% of population in Korea. Evaluation of constipation should be done with a history and physical examination at first. In patients with alarm sign, blood test, radiography or colonoscopy should be considered. Additionally, for defining the pathophysiology and treatment of severe constipation, physiologic studies are needed. Treatment of constipation based on the pathophysiology is generally successful. Exercise and fiber are helpful in some patients with constipation. The laxative including osmotic agent, stimulant laxatives and stool softer have been shown to be more effective than placebo at relieving symptoms of constipation. Traditional laxatives are not tolerated and are not effective in all patients with constipation. Promising drug classes, new enterokinetic agents such as 5-hydroxytyptamine-4 receptor agonists and chloride channel activators could be effective in patients with severe constipation. Biofeedback could relieve symptoms in selected patients with pelvic floor dysfunction and severe constipation. Surgical treatment could be helpful in carefully selected patients with refractory constipation. (Korean J Med 2012;83:568-579)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