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무선인터넷 서비스 사용성 지수 평가 체계

        박환수(Hwansu Park) 한국HCI학회 2008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08 No.2

        모바일 무선인터넷 서비스(WAP)는 휴대폰이라는 제한된 화면 크기와 조작부, 브라우저 및 0S 에서의 UI 구현상의 제약 등으로 인해 사용성이 고객만족도에 더욱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되고 있다. 특히 여러 다양한 콘텐츠 제공사에 의해 각각의 서비스가 개발되어 제공되는 현 상황에서, 이러한 서비스들의 UI 품질수준을 일관된 기준과 방법으로 효과적인 관리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무선 인터넷 서비스들에 대한 일관된 UI 수준관리를 위한 사용성 지수 평가 체계를 제안한다. 제안된 평가 체계는 사용성 관련 사용성 지표와 UI 원칙으로부터 무선 인터넷 서비스에서의 UI 설계 요소와 평가 항목들을 도출하는 top-down 방식과, 기존 UI 설계 지침으로부터 사용성과 관계된 평가 항목들을 도출하고, 이들을 사용성 원칙과 지표 관점에서 그룹핑하는 bottom-up 방식을 통해 평가 체계 및 항목들이 구축되었다. 이러한 양방향 평가 체계 구축 방법은 사용성 문제를 야기할 수 있는 다양한 측면을 사용성 지표 관점에서 빠짐없이 고려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실제 서비스 환경과 관련된 UI component 관점에서 구체적인 평가 항목들을 도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구조화된 평가 체계는 사용성 지표와 각 지표와 관계된 사용성 원칙인 UI 가이드라인, 각 가이드라인 별로 구체적인 평가를 위한 UI component 별 평가항목들간 연결을 통해 계층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각 평가 항목들을 0/X 로 판정할 수 있는 구체적인 내용과 형태로 구성하고, 전체 평가 항목 대비 만족된 평가항목의 비율로써 해당 서비스의 사용성 점수가 도출될 수 있게 하여 무선 인터넷 서비스의 사용성 수준을 정량적인 값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제안된 평가 체계는 사용자 테스트를 통한 실제 사용성 문제와 비교 분석되어 그 효과를 검증하였으며, 평가 항목별로 평가 대상 및 기준, 사례를 안내해주고 지표별 점수를 자동으로 계산해 주는 S/W 로 구현되어 실제 무선 인터넷 서비스의 평가 및 개선작업에 적용되었다. The customer satisfaction of WAP service greatly relies on the usability of the service due to the limited display size of a mobile phone and limitation in realizing UI (User Interface) for function keys, browser, and OS (operating system). Currently, a number of contents providers develop and deliver varying services, and thus, it is critical to control quality level of UI in consistent standards and manner. This study suggests usability index evaluation system to achieve consistent UI quality control of various WAP services. The system adopts both top-down and bottom-up approaches. The former concerns deriving UI design components and evaluation checklists for the WAP, based on the usability attributes and UI principles. The latter concerns deriving usability-related evaluation checklists from the established UI design features, and then grouping them from the viewpoint of usability principles and attributes. This bidirectional approach has two outstanding advantages: it allows thorough examination of potential elements that can cause usability problems from the standpoint of usability attributes, and also derives specific evaluation elements from the perspective of UI design components that are relevant to the real service environment. The evaluation system constitutes a hierarchical structure by networking usability attributes, UI guideline which indicates usability principles for each attribute, and usability evaluation checklist for each UI component that enables specific evaluation. Especially, each evaluation checklist contains concrete contents and format so that it can be readily marked in O/X. The score is based on the ratio of number of items that received positive answer to the number of total items. This enables a quantitative evaluation of the usability of mobile WAP service. The validity of the proposed evaluation system has been proved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with the real usability problems based on the user test. A software was developed that provides guideline for evaluation objects, criteria and examples for each checklist, and automatically calculates a score. The software was applied to evaluating and improving the real mobile WAP service.

      • KCI등재
      • KCI등재
      •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상황 기반 디바이스 추천 시스템

        환수 ( Hwan-soo Choi ),강선희 ( Sun-hee Kang ),이용대 ( Yong-dae Lee ),장서윤 ( Seo-yoon Jang ),원익 ( Won-ik Park ),종현 ( Jong-hyun Park ),김영국 ( Young-kuk Kim ),강지훈 ( Ji-hoon Kang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7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4 No.2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이란 생활 속에 존재하는 컴퓨팅 자원들을 이용해 사용자가 언제 어디에서든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환경을 의미한다. 유비쿼터스 환경에 존재하는 수없이 많고 다양한 컴퓨팅 자원들을 사용자가 최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어떤 상황에 있으며 이때 어떤 자원이 사용자의 현 상황에서 가장 적절한지를 판단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이를 위하여 사용자가 현재 존재하는 유비쿼터스 공간에서 사용자의 상황을 인식하고 사용 가능한 최적의 자원들을 공유할 수 있도록 추천해주는 상황 기반 디바이스 추천 시스템을 제안한다. 우리의 추천 시스템은 상황에 따른 사용자 개개인의 특성이 고려된 사용자의 개인정보 및 규칙들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상황에 최적의 디바이스를 추론한다. 향후 제안한 서비스 추론 방법은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더 나은 개인화 서비스 시스템의 개발 및 운용을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기도 내 이물질 소아에서 단순 흉부방사선사진과 가슴 전산화단층촬영

        유미 ( Yu Mi Park ),김경훈 ( Kyunghoon Kim ),이혜진 ( Hye Jin Lee ),이의경 ( Eu Kyoung Lee ),양은애 ( Eun Ae Yang ),환수 ( Hwan Soo Kim ),전윤홍 ( Yoon Hong Chun ),윤종서 ( Jong-seo Yoon ),임수아 ( Soo Ah Im ),김현희 ( Hyun He 대한천식알레르기학회(구 대한알레르기학회) 2018 Allergy Asthma & Respiratory Disease Vol.6 No.5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diagnostic value of radiologic findings in children with suspected foreign body aspiration. Methods: A retrospective medical chart review was done on 32 children with suspected foreign bodies in terms of age, sex, symptoms, signs, bronchographic findings, and type and location of foreign bodies. The diagnostic value of radiography was analyzed: 29 with chest anteroposterior (AP) or posteroanterior (PA) view, 23 with chest lateral decubitus view, 27 with chest computed tomography (CT), 29 with chest AP, PA or chest lateral decubitus view, and 25 with bronchoscopy. Results: As a measure for detecting foreign body aspiration, the sensitivity, specificity, positive predictive value, negative predictive value, and accuracy of radiologic findings were: chest AP or PA view, 50%, 100%, 100%, 29.4%, and 58.6%, respectively; chest lateral decubitus view, 57.9%, 50.0%, 84.6%, 20.0%, and 56.5%, respectively; chest AP, PA or chest lateral decubitus view, 69.6%, 66.7%, 88.8%, 36.4%, and 69.0%, respectively; and chest CT, 100.0%, 85.7%, 95.2%, 100.0%, and 96.2%, respectively. Conclusion: There is clinical benefit to take chest radiographs to diagnose foreign body aspiration. However,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may be not necessary to take chest lateral decubitus to diagnose foreign body aspiration. If chest radiographs show unilateral hyperinflation, foreign body aspiration can be diagnosed. In cases of normal chest radiography and history of a witnessed choking episode combined with positive signs, the diagnosis of airway foreign body aspiration should be made by using chest CT. (Allergy Asthma Respir Dis 2018;6:241-247)

      • KCI등재

        열간가압소결법으로 제조한 탄화규소의 균열자기치유 특성

        김성훈,김경훈,환수,주석,김경자,심광보,Kim, Seong-Hoon,Kim, Kyung-Hun,Dow, Hwan-Soo,Park, Joo-Seok,Kim, Kyung-Ja,Shim, Kwang-Bo 한국결정성장학회 2016 韓國結晶成長學會誌 Vol.26 No.2

        본 연구에서는 열간가압소결법으로 SiC를 소결하여 균열자기치유 특성을 분석하였다. SiC는 $Al_2O_3$와 $Y_2O_3$를 소결조제로 $1950^{\circ}C$, 50 MPa, 아르곤(Ar) 분위기에서 소결하였다. 소결된 시편을 $3{\times}4{\times}40mm$, 절단 및 가공하고, Vickers 경도기를 이용하여 49.6 N으로 예비균열을 생성하였다. $1200{\sim}1400^{\circ}C$, 1~10시간 산화분위기에서 열처리한 후 XRD, SEM, 3점 굽힘강도를 측정하였다. $1300^{\circ}C$ 1시간에서 741 MPa, 5시간에서 770 MPa로 가장 우수한 균열자기치유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In this study, it was investigated that characteristic of crack-self-healing of hot-pressed SiC. SiC ceramics was sintered with $Al_2O_3$ and $Y_2O_3$ sintering additive by hot press. Sintering was performed in hot-press furnace in flowing argon (Ar), holding for 3 hr under $1950^{\circ}C$ and 50 MPa. The sintered SiC was machined into 3-point bending strength specimen of $3{\times}4{\times}40mm$, and introduced pre-crack by Vickers indentation at 49.6 N. Specimens were analyzed by X-ray diffraction (XR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3-point bending strength after heat treatment at $1200{\sim}1400^{\circ}C$ for 1~10 hr. The best crack-self-healing ability was achieved 770 MPa 3-point bending strength by heat treatment at $1300^{\circ}C$ for 5 hr.

      • 철도 차량용 LED 헤드라이트 적용 및 개선

        구자경(Jakeyung Khoo),박환수(Han Soo Park),김동일(Dong Il Kim) 한국철도학회 2012 한국철도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2 No.10

        헤드라이트의 목적은 차량의 운전자, 다른 차량의 운전자 및 플랫폼에 있는 승객에게 운전에 대한 도움 및 경고를 하는 목적이다. 기존에 적용되었던 헤드라이트는 필라멘트 형식의 실드빔 헤드라이트 및 HID (High Intensity Discharge)형식의 고압방전관 형식이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수명 및 용량의 문제점으로 헤드라이트의 신뢰성에 문제가 발생되고 있으며, HID 방식의 경우 고속으로 달리는 열차와 열차교차 시 기관사에게 눈부심을 제공하여 운전에 악 영향 (적목현상)을 주며, 열차가 역사 진입 시 승객들에게 눈부심을 제공해 불쾌함을 준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고압방전관을 구동키 위해 고압모듈, 제어모듈이 필요하며, 이들 장치가 설치되기 위한 공간 확보 와 유지 비용이 많이 든다는 단점이 있다. 이를 개선키 위해 LED 헤드라이트는 아직 국내 철도 차량에는 적용한 사례가 없으며, 해외의 경우는 일부 노선에 적용 및 시행 초기 단계이다. 본 논문은 LED 헤드라이트의 철도 차량에서의 적용 사례 및 개선 사항을 명기하고 있다. The aim of head light is assist and warn to drivers, other train"s drivers and passenger of platform. At the last time, the head light of sealed beam type and HID (High Intensity Discharge) had been applied at the rolling stock. But the head light of sealed beam type has a lot of problem like a lifetime, capacity of power. In case of HID lights, this light gives to drivers the red-eye effect when full duplex trains are passed and when the train will be arrived at the station, this light gives to passenger waiting in station the dazzling effect. Also those lights required the high voltage module and control module to operate the high discharger and additional space and/or cost for installation. The LED head light improved for lifetime and capacity of power should be changed from the sealed beam head light. Therefore, this paper is mentioned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LED head light. This paper is mentioned the application case and improvement of LED headlight for rolling stoc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