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한국의 의사양성 교육체계에 대한 고찰

        박혜진,김유라 (사)한국대학교육협의회 2020 고등교육 Vol.3 No.1

        This study is a study on the medical education system in Korea for nurturing doctors. The education system of Korea Medical University and Graduate School of Medicine, which is a doctor's training institution in Korea, was studied. Korea's doctor training is currently conducted by a total of 40 institutions with 37 medical schools, 3 medical graduate schools. Korea's medical school has long maintained a single six-year medical school system consisting of medical school and medical school, but since the medical school system was introduced since 2005, it has continued to be a system of parallel systems between medical school and medical school. Therefore, currently, medical education for the nurturing of doctors in Korea is maintained for 6 years in medical school and 4 years in medical school. There are a total of 3076 students enrolled in medical schools and medical graduate schools in 2020. Based on enrollment in 2020, more than 3000 doctors can be officially trained per year. The medical school curriculum is moving from a subject-based curriculum to a outcome-based curriculum, and it is continuously improving to cope with the changing medical environment and to meet the needs of various societies. In addition, despite the considerable burden of medical education evaluation and certification, we are making continuous efforts for qualitative growth by voluntarily requesting evaluation and certification. In response to changing social needs and circumstances, medical schools and related institutions will have to continue their efforts to cultivate good doctors. 본 연구는 의사양성을 위한 한국의 의학교육체계에 대한 연구로 한국의 의사양성 기관인 한국 의과대학, 의학전문대학원의 교육체계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한국의 의사양성은 현재 의과대학 37개, 3개의 의학전문대학원, 총 40개의 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한국의 의과대학은 오랫동안 의예과와 의학과로 이루어진 6년 학제의 의과대학 단일 학제를 유지하였지만, 2005년부터 의학전문대학원 제도가 도입되면서 의과대학과 의학전문대학원의 병행 학제 체제로 지속되고 있다. 따라서 현재 한국의 의사양성을 위한 의학교육은 의과대학 6년 학제와 의학전문대학원 4년 학제가 유지되고 있다. 의과대학과 의학전문대학원의 2020학년도 입학생은 총 3,076명이며, 2020년 입학생 기준 공식적으로 한 해 3,000명 이상의 의사가 양성될 수 있다. 의과대학 교육과정은 교과중심 교육과정에서 성과중심 교육과정으로 나아가고 있으며, 변화되는 의료환경에 대처하고 다양한 사회의 요구에 부합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개선되고 있다. 또한 한국의 의과대학은 평가인증이 상당한 부담임에도 불구하고, 자발적으로 평가인증을 요청하여, 질적 성장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을 하고 있다. 변화하는 사회적 요구와 환경에 따라 의과대학과 관련 기관들은 좋은 의사를 양성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자동차 급발진 사고와 결함 및 인과관계의 추정

        박혜진 한국사법학회 2024 비교사법 Vol.31 No.2

        본 연구에서는 급발진(sudden unintended acceleration)이 의심되는 사고로 인한 제조물책임소송 사건에서 주로 문제가 되는 쟁점이 무엇이고, 이에 대하여 법원은 어떻게 판단을 하고 있는지를 파악하고, 이를 통하여 깊이 들여다 볼 필요가 있는 법적 문제를 추출하기 위하여 공개된 관련 판결문을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동차 급발진 사고로 인한 제조물책임 사건 모두에서 제조물책임의 증명책임 완화법리의 적용이 주된 쟁점이 되고 있었는데, 이와 관련하여 검토가 필요하다고 보이는 세 가지 법적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는 구체적인 결함의 특정과 관련한 문제이다. 다음은, 자동차 급발진 사건에서 주로 문제가 되는 정상적 사용 요건과 배타적 지배영역 요건에서 각 어떠한 사정들을 고려하여야 하는지에 관한 문제이다. 마지막은, 기존 판례상 확립된 제조물책임 증명책임 완화법리와 새로이 신설된 제조물 책임법 제3조의2에서 규정하는 내용이 실질적으로 차이가 있는지 여부의 문제이다. 우리나라의 제조물 증명책임 완화법리는 주로 미국의 res ipsa loquitur 법리 또는 기능이상 이론(malfunction theory)에서 유래하였다고 알려져 있으므로, 위 각 법적 문제들을 검토할 때에는 우리나라에서의 논의 및 판례와 더불어 미국에서의 논의 및 판례도 충분히 고려하였다. To understand the main issues in recent product liability cases involving alleged sudden unintended acceleration, this study has extracted legal issues worthy of further investigation from publicly available court decisions of sudden unintended acceleration product liability cases. The relaxation of the burden of proof in product liability has been a major issue in every product liability case involving sudden unintended acceleration over the last ten years. This paper identified three major issues: first, the identification of a specific defect; next, the circumstances that should be considered in the normal use and exclusive control tests; finally, whether there is a substantial difference between the existing case law on the relaxation of the burden of proof for product liability and the newly enacted Article 3(2) of the Product Liability Act. Since the relaxation of the burden of proof in product liability is known to derive from the res ipsa loquitur doctrine or malfunction theory from the United States, this paper examines these issues with extensive reference to discussions in both the United States and Korea.

      • 회처리장 매립회를 이용한 옥상용 식생블럭 개발에 관한 연구

        박혜진,문종욱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08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0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investigated and analyzed of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country recycling present condition and connection literature, special permission present condition. It was Investigated basic properties of matter through Bottom Ash's standard investigation that happen in internal bituminous coal. It was approached of the Bottom Ash's mouth style and becoming a Taoist distribution with final decision, approached of the lightweight aggregate making possibility method through organic matter impurities examination. It was analyzed energy curtailment effect that rooftop tree plant construction work executed the new lightweight block for actuality material thing tester, and measured effect that indoor temperature is compared the gardening system with non-gardening system of rooftop.

      • KCI등재

        시각 커뮤니케이션 디자인에서의 일상적 오브제 적용 연구 - AEIOU 기법을 기반으로 -

        박혜진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7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5 No.4

        There are a variety of materials in daily life and the range of applications for visual communication. It is important to approach all matters independently and perceive in various ways.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at new interpretations and the formation of relationships can become the cause of creation for developing originality and creativity and then suggest an effective educational model as an approach to the ideas that explore the potential for design. For this purpose, this study examined overall theoretical system on quotodiennete and analyzed 5 different taxonomies of AEIOU framework with the empirical project practiced in the visual communication design education course by a researcher. Through the approach to everyday life, it found out how it can bring new perspectives and change in perceptions. The application of everyday objects in visual communication design must proceed with self-initiated participatory observation and firsthand experience. They make it possible to find objects and phenomena that were not expressed outwardly through a broad visual exploration of the creator. It is more important to figure out mutual relationship than to be accessed independently various elements surrounding everyday objects. This attempt helped make it possible to connect a simple object with a visual language based upon own viewpoint and interpretation. This creative process derived more concrete and unique projects from everyday objects. The approach everyday objects from a multilateral viewpoint is considered effective in extending the realm of design. 시각 커뮤니케이션을 행하는데 있어서 일상에서 발견할 수 있는 소재는 무수히 많다. 우리는 본인의 주체적 입장에서 일상을 독자적으로 접근하고 다양하게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일상에서 비롯된 새로운 해석과 관계형성이 독창성과 창의성의 발현을 위한 창작의 동인이 될 수 있음을 이해하고, 디자인영역에서의 일상적 오브제의 활용가능성을 모색하기 위한 아이디어 접근방법으로서의 효과적인 교육모델을 제안하고 실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일상(성)에 관한 전반적인 이론적 체계를 갖추었고, 연구자의 시각 커뮤니케이션 디자인 교육과정에서 시행된 프로젝트를 AEIOU 기법을 기반으로 일상에서의 Activity, Environment, Interaction, Object, User의 5가지 요소들을 분석하여 일상으로의 접근을 통해 어떻게 새로운 관점과 지각의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지를 파악하였다.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시각 커뮤니케이션 디자인에서의 일상성 적용을 위해서는 자기주도적인 참여관찰과 직접적인 경험이 바탕이 되어야 한다. 이는 창작자의 폭넓은 시각적 탐색을 통해 겉으로 드러나지 않는 사물이나 현상을 찾아내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일상적 오브제를 둘러싼 여러 요소들의 개별적 접근보다는 상호연관성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본인만의 해석을 근거로 일상에서 발견된 오브제를 주관이 담긴 시각언어로 연결시켜 주었다. 이러한 창작과정의 체계는 보다 구체적이고 유니크한 작품으로의 연결로 이어지며 자신만의 고유한 프로젝트를 이끌어내었다. 이렇듯 다각적 관점을 통한 일상적 오브제로의 접근은 디자인 창작영역을 확장해 나가는데 효과적이다.

      • KCI등재

        Respiratory syncytial virus에 의한 세기관지염에서 연령에 따른 면역 반응의 변화

        박혜진,김소연,이계향,이경훈,최은진,김진경,김우택,정혜리 대한 소아알레르기 호흡기학회 2007 Allergy Asthma & Respiratory Disease Vol.17 No.2

        Purpose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developmental changes in the innate or adaptive immune responses in serum during naturally occurring acute respiratory syncytial virus (RSV) bronchiolitis. Methods : Forty-five children who were admitted with acute RSV bronchiolitis were enrolled. Two patient groups were defined: Group 1: young infants under 6 months of age; and Group 2: young children of less than 2 years of age. Immune responses in serum were determined in these two patient groups and compared with two age-matched control groups (Control 1 and 2), respectively. Serum samples were obtained on admission and analyzed for sCD14, a receptor for innate immune response, and the cytokines, IFN-γ and IL-13 using ELISA. Results : Serum sCD14 levels were significantly higher but IFN-γ and IL-13 levels were lower in control 2 compared with control 1. During RSV bronchiolitis, serum sCD14 increased significantly in both patient groups comparing each age-matched control group, which was even greater in group 2. IFN-γ significantly increased in group 2, but showed a trend to decrease in group 1. IL-13 level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group 2, but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group 1 compared with age-matched controls. Conclusion : Our study showed that innate immunity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pathophysiology of acute RSV bronchiolitis during early life and suggests that developmental changes in the innate and adaptive immunity may be considered in treatment of the disease. 목 적 : RSV 감염에 의한 급성 세기관지염의 증상은 흔히 6개월 이하의 영아에서 더 심한 양상으로 관찰된다. 선천성 및 획득성 면역 반응은 출생 후 첫 1-2년 동안 성장하면서 변화를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급성 RSV 세기관지염에 이환된 어린 소아에서 연령과 관련된 면역반응의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급성 세기관지염으로 입원한 소아들 중 RSV에 의한 감염이 증명되었던 45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들을 다시 6개월 미만인 군(환자군 1)과 12-24개월 사이 군(환자군 2)으로 나누었다. 동시에 각각의 환자군과 동일한 연령대의 두 대조군(대조군1, 2)을 선정하였다. 환자의 혈액에서 ELISA 방법을 이용하여 sCD14, IFN- γ, IL-13, 그리고 IL-4를 측정하였다. 각각의 환자군과 대조군, 두 대조군 간에 각 지표들의 차이가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결 과 : 두 대조군을 비교하면 혈청 sCD14 농도는 생후 2년 동안 의미 있게 증가하였으며, IFN-γ와 IL-13 농도는 감소하였다. 혈청 내 sCD14 농도는 두 환자군 모두에서 각각의 대조군에 비해 의미 있게 증가하였으며 높은 연령에서 더욱 뚜렷하였다. IFN-γ는 환자군 2에서 대조군 2에 비해 의미 있게 증가하였으나, 환자군 1에서는 대조군 1에 비해 낮은 경향을 보였다. IL-13 농도는 환자군 2에서 대조군 2에 비해 의미 있게 높게 관찰되었으나 환자군 1과 대조군 1 간에는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 론 : 본 연구의 결과는 CD14를 통한 선천성 면역 반응이 생후 첫 2년 동안의 RSV 세기관지염의 병태생리학적인 기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과 RSV 감염에 대한 사이토카인 반응이 연령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양상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는 RSV 세기관지염의 치료에 있어 고려되어야 할 부분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알트메트릭스를 이용한 SSCI 등재 한국 저널의 온라인 소셜 플랫폼에서의 영향력에 관한 연구

        박혜진,박한우 한국자료분석학회 2018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0 No.3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Korean journals listed in SSCI to suggest an alternative method of research evaluation. In particular, the most mentioned journal in online social platforms was sele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in the perspective of quadruple helix, focusing on knowledge, innovation, consensus, and government platforms. The results revealed that Psychiatry Investigation was the most mentioned in the social platforms. The number of the total mentions of each journal was positively related to the number of the articles, mentioned articles, and social platforms with mentions. The articles published in Psychiatry Investigation were the most mentioned in Mendeley, followed by social media such as Twitter, Facebook, and blog. In addition, mentions in Mendeley showed the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ose in social media, Wikipedia, and policy documents. Twitter and Facebook had the positive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while blog had the positive relationship not only with social media but also with news, Wikipedia, and policy document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show the case of the alternative measurement of Korean research impact. 본 연구는 전통적 학술 평가 방식을 보완하는 새로운 방식을 제시하고자 학술지를 알트메트릭스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특히 온라인 플랫폼에서 인용이 많이 된 한국 학술지를 선정하여 쿼드러플헬릭스 관점에서 학술, 소셜 미디어, 뉴스 및 위키피디아, 정책문서에서의 인용빈도가 어떻게 되는지 살펴보고 매체 별 상관성을 조사하였다. 첫째, 한국 저널의 알트메트릭스 성과는 어떠한지 살펴보고 영향력이 높은 저널을 선정하여 조사하였다. 둘째, 알트메트릭스 성과의 분야별 인용 빈도는 통계적 상관성이 있는지 살펴보았다. 셋째, 알트메트릭스 영향력이 높은 한국 저널의 알트메트릭스 분야별 빈도의 통계적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Psychiatry Investigation 저널이 소셜 플랫폼 상에서 가장 많이 인용된 것으로 나타났고 각 저널의 인용 수는 게재논문 수, 피인용 논문 수, 논문이 인용된 플랫폼 수와 강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둘째, Psychiatry Investigation 저널 논문은 멘들레이에서 가장 많이 인용되었고 다음으로 트위터, 페이스북, 블로그 등의 소셜 미디어에서도 인용이 되었다. 셋째, 멘들레이는 소셜 미디어 및 위키피디아, 정책문서와 같은 여러 플랫폼들과 논문 인용에 있어 상관성을 보였다. 한편, 트위터와 페이스북 간에 상관성이 있었고 블로그는 뉴스, 위키피디아, 정책문서와도 상관성을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한국 저널의 영향력을 평가하는 데 새로운 방향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