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사진저작물의 창작성에 관한 연구

        박현경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2017 스포츠와 법 Vol.20 No.1

        I examined the criteria of the originality of photographic works based on the TIC case, examined the general theories about them, the major cases in each country, and the cases in Korea. First, it is found that Korea, UK and USA are using very similar methods in relation to copyright infringement criteria of photographic works. In the case of photographic works, whether or not copyright infringement is determined through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copyrighted work, reproduction of the substantial part of the copyrighted work, determination of authenticity and similarity. These days, the level of originality in photographic works matters. The development and popularization of photographic technology has made it difficult to judge the copyrightability of photographic works protected by copyright law. Regular photographs of amateur photographers, photographs of advertising purposes, reproductions of famous photographs, manipulation of photographs through photoshop, etc., make it difficult to set criteria for judging originality of photographic works. The TIC case was seen as a symbolic object of London as a subject, framed by it and protected the work by choosing the contrast of colors. In this case, however, the defendant criticized the court for acknowledging that the object in the photographs of the plaintiff is a creative expression, even though it can not be monopolized by certain people as a symbol of London. But If you look closely at the judgment, you see that the plaintiff has created ‘deliberate choices and manipulations’ on the subject of the photograph, creating a new symbol, not a classic London symbol. As a result, the subject itself has become independent originality through the intervention of the photographer, and it is judged that not all subjects are. This is also true of fresh watermelon photos case.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Solsom or Sahuc, it was impossible to intervene and manipulate the photographer in the choices of the subject, and each photograph was originalized by other factors such as the shooting technique and the light control. In conclusion, the four examples above do not conflict with one another. It means that the selection or composition of the subject can not be absolutely creative expression factor but rather it should be classified as idea or expression depending on whether creative personality can be revealed through intentional intervention and manipulation of the creator. 이 논문은 영국의 TIC 판결을 통해 사진저작물의 창작성에 관하여 비교 연구한 것이다. 사진저작물의 창작성과 관련하여 최근 우리나라에도 솔섬사건이 주목을 끌었는데, 비교적 덜 알려진 영국 판례를 통하여 사진의 저작물성에 대한 외국의 기준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두 사건 모두 이미 존재하는 자연물 내지 건축물과 그 풍경을 피사체로 촬영한 사진이나, 결과에 있어서 서로 다른 결론에 이르고 있다. 그 이유는 동일한 피사체의 선정에 있어서 솔섬사건의 경우 이를 아이디어로서 저작권법의 보호범주 밖에 있다고 판단한 한편, 영국의 TIC사건에서는 이를 창작적 표현으로서 저작권법에 의하여 보호된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사진은 회화나 조각과 달리 피사체를 기계적 화학적 방법으로 그대로 재현함으로써, 창작자의 독창성이 인정되기 어려운 특징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진은 촬영과정에서 창작자의 개입, 즉 ‘의도적인 선택과 조작’을 통하여 창작성을 인정받게 된다. 문제는 어떠한 요소들이 창작적 표현으로 인정되어 저작권법으로 보호되는가이다. 이하에서는 영국의 TIC사건에 대한 법원의 판결을 살펴봄으로써 피사체의 선정 등 사진 저작물의 창작적 표현요소들을 결정하는 기준을 검토하고, 이에 관한 일반이론과 관련 주요판례들을 살펴봄으로써 사진저작물에서 피사체의 선정이나 구도의 설정과 같은 요소들이 저작권법의 보호영역에 들어가는 창작적 표현인지 여부를 검토해 본다.

      • KCI등재
      • KCI등재

        한국전통간장의 맛과 향에 관여하는 주요 향미인자의 분석(II) - 질소 화합물, 유리아미노산 및 핵산관련물질 분석 -

        박현경,손경희,Park, Hyun-Kyung,Sohn, Kyung-Hee 한국식생활문화학회 1997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Vol.12 No.1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order to analyzed the changes in nitrogen containing taste compounds of three different types of traditional Korean soy sauce with varing ripening period, and to investigates correlation between sensory characteristics and taste compounds contents via contents assay and sensory evaluation of soy sauce samples. Total nitrogen, ammonia type nitrogen and amino type nitrogen contents showed the highest value in Kyupjang. 17 kinds of free amino acid was detected in Chungjangs and 16 kinds of free amino acid was detected in Kyupjang. Nucleotides and their related compounds detected were hypoxanthin, xanthin, IMP, AMP, Inosine, ADP. Free amino acid and nucleotides and their related compounds contents were highest in Kyupjang. Nitrogen related compounds content of high concentration soy sauce ripened over 150 days increased similarly with Kyupjang. In the sensory evaluation of soy sauce taste, Chungjang samples acquired the highest score in the offensive taste test while Kyupjang marked highest score for sweet taste, nutty taste, taste preference. High concentration soy sauce ripend over 150 days yielded the result similar to that of Kyupjang. Sweet taste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nitrogen compounds. The materials that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nutty and traditional soy sauce taste and taste preference were nitrogen compound, IMP, AMP. Except for tryptophan, all free amino acid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nutty and traditional soy sauce taste. Particulary, taste preference correlated to lysine, aspartic acid and glutamic acid.

      • KCI등재후보
      • 유아를 위한 탐구중심 측정 활동이 유아의 공간능력에 미치는 영향

        박현경 한국아동보육실천학회 2011 아동보육연구 Vol.7 No.2

        본 연구는 탐구중심의 교수-학습 방법을 활용한 측정활동이 유아의 공간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이다. 연구대상은 만 5세 유아 40명으로, 한 학 급의 유아 20명은 실험집단으로, 나머지 한 학급의 유아 20명은 비교집단으로 선 정하였다. 실험집단 유아들에게는 탐구중심의 교수-학습법에 기초하여 구성된 15 개의 측정활동을 총 5주 동안 제공하였다. 그리고 탐구중심 측정활동이 유아들의 공간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유아용 공간능력 검사 도구를 적용하여 사전과 사후 각각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탐구중심 측정활동을 경험한 실험 집단의 유아들이 비교집단 유아들보다 공간능력이 향상되어 탐구중심 측정활동이 유아의 공간능력 증진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 KCI등재
      • KCI등재

        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음악치료 연구 메타분석

        박현경,이주영 한국음악치료학회 2014 한국음악치료학회지 Vol.16 No.1

        이 연구는 스트레스 감소를 목적으로 실시된 음악치료 연구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메타분석을 실시했다. 2004년부터 2013년까지 실시된 실험연구 논문 43편에서 132개의 효과크기를 산출했으며, 랜덤효과모형을 적용했다.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체 평균 효과크기는 .859로 나타났으며, Cohen(1988)의 효과크기 해석 기준에 따라 큰 효과크기라 할 수 있다. 즉, 음악치료는 스트레스 감소에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대상의 연령별로는 전 연령대에서 큰 효과크기를 보였으며 중·고등학생(ES=1.021), 성인(ES=.860), 유아(ES=.809), 초등학생(ES=.801)의 순서로 나타났다. 스트레스 유형별로는 문화적응 스트레스(ES=1.020)와 일상 스트레스(ES=.836)가 큰 효과크기를 나타냈으며, 양육·임신 스트레스(ES=.752)는 중간 정도의 효과크기를 보였다. 중재 방법별로는 모든 방법에서 큰 효과크기가 나타났으며 적극적인 방법(ES=.891)이 수용적 방법(ES=.858)과 혼합 방법(ES=.838)보다 약간 더 큰 효과크기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는 음악치료를 전공한 연구자(ES=.863)가 실시한 음악치료가 더욱 효과적이었고, 스트레스 상황에서 중·고등학생(ES=1.021)이 음악치료에 더욱 반응했으며, 세션에서 클라이언트 선호 음악을 사용하는 것(ES=1.081)이 가장 효과적이었다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이 연구에서는 음악치료가 문화적응 스트레스(ES=1.020)를 매우 효과적으로 감소시켰으며, 적극적인 임상방법(ES=.891)이 스트레스 감소에 더욱 효과적이었고, 세션이 8회기 이하(ES=.964), 회당 60분 이상(ES=.927) 진행됐을 때 각각 가장 효과적이었다는 것을 나타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xisting experimental research evaluating the effect of music therapy to reduce stress through meta-analysis. This study evaluated 132 variables derived from 43 studies conducted between 2004 and 2013, and applied the random-effects model. Results were as follows: The overall mean effect size was found to be .859 which means a large effect size according to Cohen’s effect size interpretation criteria. That is, music therapy was very effective to reduce stress. In the type of subject age, all of the ages showed a large effect size in the order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ES=1.021), adults(ES=.860), infants(ES=.809), elementary school students(ES=.801). Acculturative stress(ES=1.020) and routine stress(ES=.836) showed a large effect size, and parenting stress(ES=.752) showed a medium effect size. All of the music therapy techniques showed a large effect size, and active techniques(ES=.891) showed more bigger effect size than receptive techniques(ES=.858) and combined techniques(ES=.838). Consequently,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the session conducted by the researcher who majors in music therapy(ES=.863) was more effective; that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ES=1.021) responded more to music therapy when under stress; that using preferred music by clients in the session(ES=1.081) was most effective. Also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music therapy effectively reduced acculturative stress(ES=1.020); that active techniques(ES=.891) were more effective to reduce stress; that the session conducted less than 8 times in total(ES=.964), over 60 minutes per session(ES=.927) was most effective. Further research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