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3차원 시간차 심장 CTA 영상에서 고속의 정확한 심혈관 강체 정합 기법

        박태용,강승우,구교영,이정진 한국차세대컴퓨팅학회 2017 한국차세대컴퓨팅학회 논문지 Vol.13 No.4

        본 논문에서는 동일 환자의 시간차를 두고 촬영된 3D 심장 컴퓨터단층촬영 영상을 이용하여 빠르고 정확한 심혈관의 강체 정합 기법을 제안한다. 심장 컴퓨터단층촬영 영상으로부터 추출된 3D 혈관 정보를 이용하여 혈관을 포함하는 최적 경계 볼륨 생성 및 일치를 통해 초기정합을 수행한다. 초기 정합된 결과를 바탕으로 지역적 거리전파를 통한 3차원 거리맵을 생성하고, 혈관의 위상 정보를 활용한 중요도값을 설정한다. 유사성 비교를 위해 선택적 거리측정을 수행하고, 단계적 변환함수의 최적화를 수행한다. 10명의 환자 데이터를 이용하여 실험한 결과 제안 기법의정확도는 1.7964mm이고, 수행속도는 1.743초로 빠르고 정확한 정합 결과를 보여주었다. In this paper, we propose a fast and accurate rigid registration technique of cardiac vessels for correcting the difference between two temporal 3D CTA (Cardiac CT Angiography) images obtained from the same patient to be taken at different time. The proposed method is composed of three steps. First, 3D vascular information of two follow-up cardiac CTA images are extracted, and optimal bounding volumes including a vessel are initially registered. Second, 3D distance map is generated from vascular boundaries in the initially taken volume data by local distance propagation. Then, an importance value is set based on vascular topology information. Third, two images are registered where the distance between two vessels is minimized by selective distance measure. In the experiment, we evaluate a speed and accuracy using ten patients' dataset. The average error of our method was 1.7964mm. And the average processing time was 1.743 sec. Our method showed the fast and accurate registration results.

      • KCI등재

        Thermal Design and Analysis of Unfurlable CFRP Skin-Based Parabolic Reflector for Spaceborne SAR Antenna

        박태용,김세영,이동우,정화영,이재은,윤지현,오현웅 한국항공우주학회 2021 International Journal of Aeronautical and Space Sc Vol.22 No.2

        To ensure high-resolution image acquisition for a spaceborne parabolic synthetic aperture radar (SAR) antenna, an appropriate thermal design is important to minimize the thermal distortion of the antenna reflector in severe on-orbit thermal environments. This paper describes the results of a preliminary thermal design and the analysis of a 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 skin-based unfurlable parabolic reflector for use in a spaceborne SAR antenna. The effectiveness of passive thermal designs for an antenna reflector using different thermal coatings was investigated with on-orbit thermal analyses according to the various antenna look angles to derive the most suitable design for minimizing the thermal gradient of the reflector. This contributes to minimize loss in antenna gain to ensure the SAR performance. In addition, the influence of the solar panel on the thermal gradient of the reflector was also analyzed because it is also important in affecting the thermal distortion.

      • KCI등재
      • 휘도를 고려한 기준색 선택 기반의 다단계 벡터 오차 확산법

        박태용,조양호,이명영,하영호 대한전자공학회 2004 電子工學會論文誌-SP (Signal processing) Vol.41 No.5

        본 논문에서는 64개 기준색을 사용한 다단계 벡터 오차 확산법에서 나타나는 밝은 영역에서의 색 자극 문제를 개선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벡터 오차 확산법은 양자화 과정에서 입력 벡터와 기준색 벡터간의 기하학적 거리만을 이용하기 때문에 밝은 영역에서 어두운 기준색이 선택되는 색 자극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오차 보정된 입력 벡터의 채도를 계산하여 유채색과 무채색으로 나누고, 유채색일 경우 입력 벡터의 휘도를 이용하여 밝은 영역, 중간 밝기 영역, 어두운 영역으로 구분한다. 밝은 영역일 경우 60개 유채색 기준색중에서 입력 벡터와의 휘도차가 작은 N개의 후보 기준색을 구성한다. 최종 기준색을 선택할 때는 N개의 후보 기준색과 4개의 무채색 기준색중에서 오차 보정된 입력 벡터와의 최소 기하학적 거리를 가지는 기준색을 출력색으로 결정한다 실험 결과, 제안한 방법은 자은 영역에서 색 자극이 줄어들어 시각적으로 보기 좋은 결과를 보였다. This paper proposes a multi-level vector error diffusion method using 64 primary colors to improve color impulse artifact in bright region. Vector error diffusion method causes color impulse artifact in bright region because we only use the Euclidean distance measure in quantization process. In order to reduce this artifact, the proposed method divides input color into chromatic color and achromatic color according to chroma value. In the case of chromatic color, input color is classified into bright region, middle bright region, and dark region according to lightness value. N candidate primary color is organized using lightness difference between input vector and 60 chromatic primary color vector in the case of bright region. Then, primary color with minimum vector norm between input vector and N candidate primary color in addition to 4 achromatic primary colors is selected as output color. As a result of experiments, the proposed method showed visually pleasing halftone output.

      • KCI등재

        휘도를 고려한 기준색 선택 기반의 다단계 벡터 오차 확산법

        박태용,하영호,조양호,이명영 대한전자공학회 2004 電子工學會論文誌-SP (Signal processing) Vol.41 No.05

        This paper proposes a multi-level vector error diffusion method using 64 primary colors to improve color impulse artifact in bright region. Vector error diffusion method causes color impulse artifact in bright region because we only use the Euclidean distance measure in quantization process. In order to reduce this artifact, the proposed method divides input color into chromatic color and achromatic color according to chroma value. In the case of chromatic color, input color is classified into bright region, middle bright region, and dark region according to lightness value. N candidate primary color is organized using lightness difference between input vector and 60 chromatic primary color vector in the case of bright region. Then, primary color with minimum vector norm between input vector and N candidate primary color in addition to 4 achromatic primary colors is selected as output color. As a result of experiments, the proposed method showed visually pleasing halftone output. 본 논문에서는 64개 기준색을 사용한 다단계 벡터 오차 확산법에서 나타나는 밝은 영역에서의 색 자극 문제를 개선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벡터 오차 확산법은 양자화 과정에서 입력 벡터와 기준색 벡터간의 기하학적 거리만을 이용하기 때문에 밝은 영역에서 어두운 기준색이 선택되는 색 자극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오차 보정된 입력 벡터의 채도를 계산하여 유채색과 무채색으로 나누고, 유채색일 경우 입력 벡터의 휘도를 이용하여 밝은 영역, 중간 밝기 영역, 어두운 영역으로 구분한다. 밝은 영역일 경우 60개 유채색 기준색중에서 입력 벡터와의 휘도차가 작은 N개의 후보 기준색을 구성한다. 최종 기준색을 선택할 때는 N개의 후보 기준색과 4개의 무채색 기준색중에서 오차 보정된 입력 벡터와의 최소 기하학적 거리를 가지는 기준색을 출력색으로 결정한다. 실험 결과, 제안한 방법은 밝은 영역에서 색 자극이 줄어들어 시각적으로 보기 좋은 결과를 보였다.

      • KCI등재

        미 해군 구축함(USS John S McCain)의 해양사고 원인과 교훈

        박태용,윤익현 한국해양경찰학회 2018 한국해양경찰학회보 Vol.8 No.3

        2017년에 미 해군 7함대사령부 담당 해역에서 미 해군 함정에 의한 4차례의 해상사고가 발생하여 물적 손실은 물론 17명의 인명을 비전투에 의한 손실로 잃었다. 일련의 사고로 인해 세계 최강 해군이라는 미 해군의 입지에 손상을 입었고, 대비태세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있었다. 특히 17명의 인명 손실이 발생한 USS Fitzgerald 함과 USS John S McCain함의 사고는 미 해군의 대비태세 수준이 얼마나 떨어졌는지 보여주는 극단적인 사례가 되었다. 미 해군 구축함 USS John S McCain함과 라이베리아 선적 Alnic MC호 간 충돌사고의 원인은 미 해군 항해당직자들의 시맨십(Seamanship) 부재, 과중한 임무 수행에 따른 교육훈련 부족으로 항해 역량 저하, 장비 운용 능력 부족 등 복합적인 요인이 작용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USS John S McCain함과 Alnic MC호 간 충돌사고를 중심으로 사고원인과 미 해군의 대비태세약화 원인을 확인하고 우리 해군과 해양경찰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In 2017, four marine accidents occurred in the US Navy's 7th Fleet Command in the waters of the US Navy, resulting in loss of physical as well as 17 lives by non-combat losses. A series of accidents damaged the position of the US Navy as the world's strongest naval force, and there was also a voice of concern about its readiness. In particular, the USS Fitzgerald and USS John S McCain accidents, which resulted in the loss of 17 lives, are an example of how far the US Navy's readiness level has fallen. The cause of the collision between USS John S McCain and Liberian ship Alnic MC was the lack of seamanship of US Navy sailors, lack of training due to heavy duty, deterioration of naval capability, Complex factors were involved. In this paper, we identify the cause of the accident and the reasons for the weakening of the readiness level of the US Navy, and draw lessens for our Navy and Coast Guard.

      • KCI등재

        자동 컬러 보정 모듈을 가진 디지털 포토 키오스크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박태용,하영호,박기현,이명영 대한전자공학회 2006 電子工學會論文誌-SP (Signal processing) Vol.43 No.2

        This paper introduces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digital photo kiosk system, digital photo printing system, with auto color correction module that considers gamut between touch screen and output device, digital photo printer, to provide user-preferred media. This module performs media correction function to service high quality contents for image captured by digital camera and mobile phone camera. Since it is implemented as LUT for real-time processing, the system offers one-touch interface to user. As a result of implementation, this kiosk system provides user-favorite photo because of black and white mode, sepia mode, and brightness and contrast adjustment. Also it can gives smooth tone transition and photos of similar color to captured image due to auto color correction module.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가 원하는 미디어를 제공하기위해 터치스크린과 출력 장치인 디지털 포토 프린터 사이의 색역을 고려하는 자동 컬러 보정 모듈을 가진 디지털 사진 인화 시스템인 디지털 포토 키오스크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이 모듈은 디지털 카메라나 카메라폰으로 촬영된 영상에 대하여 고품질의 결과물을 제공할 수 있는 이미지 보정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 기능은 실시간 처리를 위해 LUT(look-up table)로 구현되어 사용자의 원터치 방식으로 동작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따라서 흑백모드, 원톤 색상모드, 밝기 및 채도 조절 등의 이미지 편집 기능으로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사진을 출력할 수 있고, 입출력 장치간의 자동 컬러 보정 모듈을 지원함으로써 본 시스템은 부드러운 계조표현과 촬영 영상과 유사한 색의 사진을 제공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