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응급산후자궁절제술 후 재개복술을 시행하였던 10예의 임상분석

        박찬은 ( Chan Eun Park ),성지은 ( Ji Eun Sung ),경민선 ( Min Sun Kyung ),조용 ( Yong Cho ),노의선 ( Eu Sun Ro ) 대한산부인과학회 201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3 No.4

        목적: 응급산후자궁절제술 후 대량수혈에도 지속적인 출혈과 불안정한 활력징후를 보여 추가적인 재개복술이 시행되었던 10예의 환자들에 대한 임상적 특성, 재개복술에서 출혈의 원인 및 처치, 수혈양, 합병증, 그리고 예후 등을 분석함으로서 재개복술의 안전성과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연구 방법: 1995년 1월부터 2008년 12월까지 대량수혈과 산후응급자궁절제술 후에도 지속적인 출혈과 불안정한 활력징후를 보여 대량수혈과 재개복술이 시행되었던 10예의 환자들에서 임상적 상태, 출혈의 원인, 재개복술까지의 시간과 효과, 수혈양, 합병증, 그리고 예후 등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10예 모두에서 재개복술에서 출혈 부위가 확인되어 출혈혈관 결찰 및 삼출성 출혈부위 봉합술, 2예에서 추가적인 자궁밑 둥제거술이 시행되었다. 출혈은 재개복술 시 다양한 부위에서 그리고 한 곳 보다는 여러 곳에서 발견이 되었고 출혈 양상은 노출된 작은 동맥에서 혈액 분출, 또는 수술 부위에서 삼출성 출혈을 보였다. 8예에서는 성공적인 지혈로 활력징후의 안정을 보였고 정상적인 혈색소 수치와 혈액응고 검사 소견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농축적혈구, 신선냉동혈장 양이 크게 감소하였고 문제없이 회복되었다. 나머지 2예에서는 재개복술 후 출혈이 감소하였으나 다음날 다시 악화되어 경피적 동맥색전술을 시행하였으나 계속된 출혈과 다장기손상으로 사망하였다. 이 2예는 타 병원에서 전원되었으며 응급실에서 인공심폐소생술과 기관지삽관술이 각각 시행되었던 예였다. 결론: 대량수혈과 응급산후자궁절제술 후에도 지속적인 출혈로 시행된 개복술에서 모두 출혈 부위가 확인되어 대부분 성공적으로 지혈되어 빠른 회복을 보였다. 응급산후자궁절제술에서 대량 출혈에 따른 혈압의 저하로 혈관의 수축이 일어나 있어서 작은 혈관에서의 출혈은 감지하기 어려우므로 혈압을 상승시킨 후 출혈 여부를 재확인하고 수술을 종료하는 방법도 재출혈의 예방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 된다. 응급자궁절제술이 시행되었더라도 재출혈이 발생하고 활력징후가 불안정하여 진다면 재개복술 시행을 지체하지 않아야 하며 혈액응고 관련 인자를 충분히 투여함이 중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 To analysis the 10 cases of relaparotomy for intractable hemorrhage after emergency postpartum hysterectomy with massive transfusion. Methods: Between January 1995 and December 2008, relaparotomies for intractable hemorrhage and unstable vital sign after emergency postpartum hysterectomy with massive transfusion were performed on 10 patients. Medical records were reviewed and detailed to collect clinical data including patients` clinical status, causes of bleeding, duration from hysterectomy to relaparotomy, bleeding sites, procedures for bleeding control, amount of transfusions, complications and prognosis. Results: In relaparotomies, the points of bleeding were identified in all cases and multiple bleeding foci than one bleeding focus were found, and procedures for bleeding control were performed. In 8 cases, the bleeding were controlled successfully and these patients recovered without long term sequales. But in the other 2 cases, although the bleeding controls were successful during relaparotomy and bleeding amount decreased after relaparotomy, but bleeding amount increased the next day and angiographic embolizations were performed. These patients died due to multi-organ failure and continued bleeding. In one of these cases, the endotracheal intubation had been done on arrival at our hospital with postpartum hemorrhage after vaginal delivery at private clinic. In another case, the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was performed on arriving at our hospital with intractable bleeding after postpartum subtotal hysterectomy in other hospital. Conclusion: In most cases, bleeding controls for intractable bleeding after postpartum hysterectomy were successful during and after relaparotomy in spite of development of dilutional coagulopthy due to massive transfusion, and resulted in rapid recovery and good prognosis. Even though dilutional coagulopthy was developed because of massive transfusion, relaparotomy was safe and effective procedure for management of intractable hemorrhage after emergency postpartum hysterectomy with clotting factor replacement. If personnel and adequate clotting factor replacement are available, relaparotomy should not be delayed for management of intractable hemorrhage and unstable vital sign after emergency postpartum hysterectomy.

      • KCI등재
      • SCOPUSKCI등재

        유통중인 쌀의 호화 및 관능적 특성

        박찬은(Chan-Eun Park),김윤숙(Yun-Sook Kim,),박동준(Dong-June Park),박기재(Ki-Jai Park),김범근(Bum-Keun Kim) 한국식품과학회 2011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3 No.4

        본 연구에서는 시중에서 유통되고 있는 산지별 품종이 다른 7종(강원 오대, 경기 고시히카리, 충북 추청, 충남 삼광, 경북 일반계, 전북 신동진, 전남 히토메보레)의 쌀에 대하여 호화 및 관능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수분함량은 충북 추청이 15.80%로 적정 수분함량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단백질 함량은 경기고시히카리가 6.75%로 고급 벼에 해당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유리당 분석 결과 glucose는 충북 추청이 0.24%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으며, fructose는 충북 추청이 0.02%로, maltose는 0.03-0.25%로 나타났다. 백도는 모든 시료가 38 이상의 높은 백도를 보였으며, 외형적 특성 결과 완전립은 강원 오대를 제외한 나머지 품종의 경우 90-95.8% 이상으로 매우 품질이 우수한 특품인 것으로 나타났다. RVA 측정결과, 호화온도는 충북 추청이 88.10로 가장 높게 측정되었으며, 최고점도는 경기 고시히카리가 208.00 RVU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다. Breakdown의 경우 강원 오대가 43.64RVU로 가장 낮게 측정되어 가공 시 안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Setback은 충북 추청이 109.39 RVU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여 노화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감 특성 결과 경도(hardness)는 경기 고시히카리가 가장 낮은 수치를 보였으며, 부착성(adhesiveness)은 전남 히토메보레를 제외한 나머지 품종들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외관의 경우 윤기정도(glossiness)는 경기 고시히카리가 가장 높은 값을 보였으며, 색(color)은 충남 삼광이 가장 낮게 나타나 색이 가장 흰색에 가깝다고 측정되었다. 이취(off-flavor)는 경기 고시히카리가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고, 밥맛(rice taste)은 경기 고시히카리가 밥맛이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거칠은 정도(roughness)는 경기 고시히카리가 가장 낮게 나타나 가장 부드러운 것으로 나타났다. 경도(hardness), 탄력성(springiness), 부착성(adhesiveness)의 경우 모든 품종 유의 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관능검사에서 강도특성과 선호도 결과, 경기 고시히카리가 전반적인 기호도, 외관, 향, 밥맛 및 조직감이 가장 높게 나타나 7가지 품종 중에서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asting and sensory properties of different commercial rice cultivars. All samples had adequate moisture content, and Gyeonggi Kosihikari had the lowest protein content (6.75%). Apparent quality of head rice ranged from 85.63 to 98.70% and amylose content was 21.51-26.54%. In a rapid visco analyzer examination, pasting temperature of Gyeonggi Kosihikari was the lowest (84.87). Breakdown of Gangwon Oade (43.64 RVU) was lower that of others, indicating the highest pasting stability. The setback of Jeonam Hitomebore was the lowest (81.56 RVU), suggesting slow deterioration. A texture analysis test showed that Gyeonggi Koshihikari had the lowest hardness and Chungnam Samgwang had the highest adhesiveness. Gyeonggi Koshihikari had the highest sensory scores for appearance, flavor, taste, texture and overall acceptabilit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Gyeonggi Koshihikari is the most adequate rice product among cultivars.

      • KCI등재

        일본 도시LDK형 주택의 평면유형에 관한 연구 - 평면구성요소의 조합을 통해서 -

        박찬,김정균,Park, Chan,Kim, Jeong-Gyun 한국주거학회 2013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Vol.24 No.1

        In this research, a representative type of the housing plan was extracted on the basis of elements that exert the influence on the discrimination of the plan type, in other words, plan composition. Firstly, 'connection type of the room' and 'composition type of LDK (living room, dining room and kitchen)' were selected as elements of the plan type. Secondly, three forms of 'connection type of the room' became clear namely 'middle corridor type', 'living room centered type' and 'entrance hall type', as the factors that discriminate plan composition specifically. Thirdly, 'LD/K type' and 'L/D/K type' were confirmed as the factors in 'composition type of LDK'. Finally, four combinations of plan type, such as 'living room centered type-LD/K type', 'middle corridor type-LD/K type', 'living room centered type-L/D/K type' and 'entrance hall type-LD/K type' were confirmed as the representative types. These four combinations are the representative plan types of the urban LDK houses in Japan.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서국(西國) 어촌민가의 마치야 정층(町屋) 형식의 평면특성 - 일본 덕도현(德島縣) 해부정(海部町) 병포 동정(東町)를 중심으로 -

        박찬,김정균,Park, Chan,Kim, Jeong-Gyun 한국주거학회 2007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Vol.1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plan of fishing village house in the Shikoku district. The research was carried out by field survey and measurement of the traditional house and street system in Higashimachi area of Tomour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traditional house of Higashimachi area is to be taking the plan of Machiya form that is the residence form of a city without being related a fishing village. And the street system is as orderly comparatively as a city. This is not the thing as that is surprised when we think the fact that Higashimachi area has maintained close relation historically with Kyoto, Osaka, etc. However, as for the house of Higashimachi area, the scale is smaller in comparison with Machiya, there is a fundamental difference in terms of the house for the exclusive use of residence. Machiya is the dual constitution of business space and life space. To it the house of Higashimachi area is doing the unitary constitution. Mise is the original opening device (a kind of the front door fitting) of traditional house of Higashimachi area and has the functions that complement narrow space and of offer community space. Finally, the traditional house in this area is equipped with all the residence functions of necessary minimums, although the scale residence is small. It is said that this is the case of a 'small residence' in a Japanese resid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