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Kingdon의 다중흐름모형을 적용한 대학구조개혁 정책변동 분석

        박지회(Park Ji Hoe),고장완(Ko Jang Wan)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5 敎育問題硏究 Vol.2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정책형성과정의 비합리성에 주목한 Kingdon의 다중흐름모형을 활용하여 현 정부의 대학구조개혁 정책형성과정을 분석하고, 현재의 정책이 이명박정부의 사립대학구조개혁 정책에서 변화를 이룬 만큼 그 정책특성을 정책변동차원에서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지난해 12월 교육부가 발표한 '2015년 대학구조개혁평가 기본계획(안)'을 정책산출물로 상정하였고, 현 정부 출범이후 지난 2013년부터 대중에 공개되었던 정부정책자료, 신문기사, 관련 지표 및 통계자료, 교육부 보도자료, 관련 의안 등의 자료를 수집하여 이를 분석하였다. 정책형성과정을 분석하기 위하여 다중흐름모형(MSF)을 적용하였으며, 현 정부의 정책이 이전 정부의 대학구조개혁정책에서 어떻게 변화되었는지 그 변동특성을 파악하기 위해서 정책변동유형론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대학구조개혁정책이 형성되는 데 있어 상대적으로 큰 영향력을 미친 MSF의 흐름은 '정치의 흐름'인 것으로 파악되었고, 전체적인 정책형성과정에서 현 정부의 정책은 충분한 소통이 결여되었을 뿐만 아니라 관련 법안의 법제화 문제가 선결되지 않음에 따라 비합리성을 드러낸다고 볼 수 있다. 또한, 현 정부의 정책은 이명박정부의 대학구조개혁정책 목표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으나 기본적인 정책특성이나 추진 방법 등에서 변동이 일어남에 따라 '선형형의 정책승계'특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analyze the current administration's policy making process in university restructuring using Kingdon's Multiple Stream Framework(MSF), and to understand characteristics of the current higher education restructuring policy using Policy Change Type theory. For this purpose, 'Basic plan for 2015 university restructuring evaluation' by the Ministry of Education(MOE) was analyzed as the policy output. We utilized the data including government documents, newspaper articles, related statistics, press release by MOE, and related bills, which were released to the public from 2013 to early 2015. As a result, among MSF stream, 'stream of politics' had relatively a strong influence in making university restructuring policy. In overall policy making process, the current administration's higher education restructuring policy not only lacks sufficient communication with public but also presents irrationality as legislation of related bill has not been settled beforehand. Also, the current administration's university restructuring policy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linear policy succession' in policy change type.

      • KCI등재

        학생-교수 상호작용, 학생참여, 대학교육성과의 종단 구조 관계 분석

        박지회(Park, Ji Hoe),고장완(Ko, Jang Wan) 한국열린교육학회 2019 열린교육연구 Vol.27 No.2

        본 연구는 대학생이 경험하는 교수와의 상호작용, 학문적 영역에서의 참여가 대학교육성과와 어떠한 구조적 관계를 가지는지 종단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학생-교수 상호작용을 대표 독립변수로 설정하 였고, 매개변수로 능동적 수업참여와 수업 관련 학업도전을, 종속변수로 학습성과와 대학만족을 설정하여 연구변수들 간 종단 구조 관계를 살펴보았다. 한국교육종단연구2005의 7차(2011년), 8차(2012년), 9차 (2014)년도 자료를 토대로 세 시점 모두 결측 없이 응답한 4년제 대학 학생 1,028명의 패널자료를 다변량 잠재성장모형 기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학생-교수 상호작용, 수업참여, 학업도전, 학습성과, 대학만족은 시간경과에 따라 선형증가 하였고, 개인차가 발견되었다. 둘째, 학생-교수 상호작 용은 대학교육성과에 영향을 미치지만, 학생참여 요인이 함께 고려될 때에는 그 영향력이 줄어드는 경향을 나타냈다. 셋째, 대학생활 동안 학생들의 학문적 참여 활동은 학생-교수 상호작용과 대학교육성과 사이에서 간접효과를 나타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대학교육 현장에 필요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longitudinal structural relationship of undergraduate students’ learning outcomes, college satisfaction, student-faculty interactions and student engagement(active participation in class, academic challenges). For this purpose, the panel data wascollected from 1028 undergraduate students who attended university in 2011, 2012 and 2014 by the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KELS). An optimal variation model was established for each latent variable change over time. Then,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experiences and educational outcomes at universities, a multivariate latent growth model was analyzed after combining each optimal variation model. The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undergraduate students’ learning experiences and educational outcomes both increased linearly over time, and individual differences were found. Second, student-faculty interactions had an effect on the learning outcomes and overallcollege satisfaction, yet when student engagement factors were considered together, the influence tended to decrease. Third, the indirect effect of student engagement, which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faculty interaction, learning outcomes, and college satisfaction, was significant. The detailed results of the study were elaborated upon in the main text, and related policy implications and a follow up study were discussedas well.

      • KCI우수등재

        원저 : 임신성 당뇨병의 위험인자

        박지회 ( Ji Hoe Park ),송홍지 ( Hong Ji Song ),천정기 ( Joung Ki Choun ),조정진 ( Jung Jin Cho ),백유진 ( Yu Jin Paek ),경희 ( Kyung Hee Park ),김암 ( Ahm Kim ),이필량 ( Pyl Ryang Lee ),황종윤 ( Jong Yun Hwang ) 대한비만학회 2005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Vol.14 No.3

        연구배경: 한국인의 임신성 당뇨병은 2~3%의 유병률을 가지며 제2형 당뇨병의 위험인자로 알려져 있다. 이에 우리나라 여성에서 임신성 당뇨병 위험 인자에 대해 알아보고 임신 전 체중과 임신 중 체중 변화가 임신성 당뇨병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0년 1월부터 2002년 12월까지 모 대학병원 산전 진찰을 하기위해 임신 제 1 삼분기부터 산부인과를 방문한 20~40대 산모들 중 확진 검사에서 임신성 당뇨병으로 진단된 91명의 환자군과 같은 연령대의 정상 산모군 175명에 대해 임신 전, 첫 방문 주수, 선별 검사, 확진 검사 시기별로 임상적 특성 및 산과적 과거력에 대해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 대상자의 연령은 환자군이 평균 32.6±4.1세, 정상 대조군이 32.3±4.2세였다. 임신 전 체질량지수는 환자군에서 22.7±3.6 ㎏/㎡, 대조군에서 20.3±2.2 ㎏/㎡로 환자군에서 유의하게 높았고, 선별 검사 시행 시기의 체중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요검사상 요당 검출 (P<0.001), 당뇨병 가족력 (P<0.001), 임신성 당뇨병 (P<0.001)과 임신성 고혈압 과거력 (P=0.034), 전 아이 체중 (P=0.018)은 환자군에서 유의하게 높았고, 임신력, 분만력, 선별 검사 시행 시기까지 체중 변화량, 변화율, 혈압, 자궁 내 성장 지연, 거대아 출산력, 자궁 내 태아 사망, 기형아 출산, 조산 횟수는 군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다변량 분석에서 임신 전 체질량지수 (정상, 과체중, 비만군 교차비 OR=2.992, 4.811, 16.196), 요당 검출 (OR=57.160), 당뇨병 가족력 (OR=5.016)에 대해서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한국인의 임신성 당뇨의 산전 교정 가능한 위험 인자는 임신 전 체질량지수이고, 임신 전 체중 조절을 통해 임신성 당뇨병 위험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Background: The prevalence of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GDM) is 2~3% in Korean women and GDM is known as a risk factor of type 2 DM. The effects of pregestational weight and also the impact of weight change during gestational period on GDM were studied in addition to the risk factors of GDM. Methods: Subjects involved 266 pregnant women, in their twenties to forties, who visited the Obstetrics and Gynecologic clinic in a university hospital for prenatal care from January 2000 to December 2002. The GDM group consisted of 91 women, who were confirmed by 100g oral glucose tolerance test (OGTT), and the control group consisted of 175 women.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obstetric histories of the subjects were assessed and analyzed each time during pregestation period, first visit, screening test period and final test period. Results: The mean age of participants in the GDM group was 32.6±4.1 and that of the control group was 32.3±4.2. The mean pregestational body mass index (BMI) was statistically higher (22.7±3.6 ㎏/㎡) among the GDM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20.3±2.2 ㎏/㎡). Other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were glucosuria (P<0.001), family history of DM (P<0.001), past history of GDM (P<0.001), pregnancy induced hypertension (P=0.034), previously delivered baby`s weight (P=0.018). According to the multivariate analysis, those with family history of DM (OR=5.016), high pregestational BMI (OR=4.811 (overweight), 16.196 (obesity)), and glucosuria (OR=57.160)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GDM. Conclusions: We conclude that high pregestational BMI is a significant risk factor of GDM in Korean women. The risk of GDM may be prevented by pregestational weight control.

      • KCI등재

        대학구조개혁 정책집행과정 분석

        박지회(Park, Ji Hoe),고장완(Ko, Jang Wan)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6 敎育問題硏究 Vol.29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이론적 고찰을 통해 설정한 정책집행과정 분석틀을 중심으로 현 정부의 대학구조개혁 정책집행과정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정책집행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으로 정책자체, 정책집행 조직, 정책대상 집단, 환경 등을 설정하여 분석틀을 구축하였고, 각 변인별 세부 요인들을 토대로 대학구조개혁 집행과정을 살펴보았다. 분석은 현 정부 출범이후 지난 2013년부터 일반에 공개되었던 정부정책자료, 신문기사, 교육부 보도자료, 전문가 사설, 의안 등의 자료를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분석결과 다음과 같은 사항들을 파악할 수 있었다. 첫째, 대학구조개혁 정책 자체는 구체적인 정원감축목표를 제시하고 있으나 법적 근거가 여전히 마련되지 못함에 따라 평가결과 조치 시행에 대한 공적효력을 확보하지 못하였다. 둘째, 정책집행 조직의 관료제 구조는 대학구조개혁정책을 빠르게 추진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국가 주도의 강력한 정책 집행에 따라 대학이 피 평가자의 입장에서는 순응하였지만, 여러 영역에서 불순응의 태도를 보였다. 또한 정책대상 집단 내에서 이익 집단과 손해 집단이 나타났다. 넷째, 정책형성과정에서부터 집행과정에 이르기까지 대학구조개혁정책에 대한 논란이 지속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실질적으로 대학 경쟁력 제고를 위한 대학구조개혁정책의 실현을 위해서는 정책 변동의 가능성을 열어두고 여러 환류요인을 고려한 정책의 수정ㆍ보완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analyze the current administration’s implementation process in university restructuring policy based on policy implementation process framework set up by theoretical review. For this purpose, the framework consisted of the key variables, ‘policy itself’, ‘policy implementation organization’, ‘target group of the policy’, ‘environment’ and so on which affect policy implementation process and policy implementation process of university restructuring was analyzed based upon the sub-elements of each variables. The data resources include government documents, newspaper articles, press release by MOE, and related bills, which were released to the public from 2013 to middle 2016. As a result, first, although the university restructuring policy itself provided a specific goal to reduce student enrollment quotas, there was no official effect for the measures by the evaluation result as the legal basis still has not been established. Second, the bureaucracy of the policy implementation organization speeded the policy implementation process. Third, as the powerful policy implementation by the government, universities complied with it in terms of ratee, but not in the other areas. Among the policy target groups,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which made profit or damaged. Fourth, the controversy on the issue of university restructuring was still aroused from the policy formation to the implementation process. We can draw an implication that to realize the university restructuring policy to enhance competitiveness of higher education in Korea, revisions and supplementation of the policy should be made given the feedback factors and the possibilities of the policy variation.

      • KCI등재

        신입생 대상 교수와의 상호작용 증진 프로그램 효과성 분석 : K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수미(Park, Su mee),박지회(Park, Ji Ho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8

        본 연구는 K대학이 시행한 신입생 대상 교수와의 상호작용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대학의 교수·학습성과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개발원의 대학생 교수-학습과정 조사도구(NASEL)를 활용하여 학습 경험 변인과 교수·학습 성과 변인을 측정하고, K대학의 학사데이터를 연동하여 총 833명의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프로그램 참여 여부에 따른 교수와의 상호작용 차이 분석을 위해 일원배치분산분석과 독립표본 T-test를 실시하였고, 프로그램 참여 여부가 교수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학과 및 대학 소속감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진로관련 상호작용과 그 외 상호작용, 대학 소속감에 대하여 1학년이 다른 학년에 비해 다소 높은 수준으로 인식하였다. 또한 프로그램 참여자가 비참여자에 비해 진로관련 상호작용, 학과 및 대학 소속감이 다소 높았다. 둘째, 프로그램 참여 자체는 직접적으로 학과 및 대학 소속감 변인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상호작용변인군이 투입되었을 때 유의미한 설명력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프로그램 내에서 만족스러운 진로상담과 같은 교수와의 상호작용이 이루어질 때 신입생들의 학과 및 대학 소속감과 같은 정의적 성과가 간접적으로 높아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 연구는 프로그램을 통해 상호작용이 증진될 수 있는지에 대한 방법론적인 논의가 부족한 연구 환경에서 개별 대학에서 진행된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the interaction promotion program with faculty for freshmen conducted by K University in terms of the university s teaching and learning performance. For this purpose, a total of 833 students data were analyzed by linking the academic information of K University after measuring the variables of learning experience and teaching and learning outcomes using the National Assessment of Student Engagement in Learning (NASEL). Specifically, one-way ANOVA and independent T-test were conducted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interaction with faculty based on program participation,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applied to determine whether program participation affects the sense of belonging to departments and universities through the interaction with faculty. The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Freshmen perceived career-related interactions, other interactions, and sense of belonging at university at a little higher level compared to other grades. In addition, program participants had a little higher perception of career-related interaction, sense of belonging at department and university than non-participants. Second, participation in the program itself did not directly affected the sense of belonging at departmental and university variables, but it showed significant explanatory power when the interaction variable group was deploy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can be indirectly enhanced to the affective achievement and sense of belonging at departmental and university when interactions with faculty, such as satisfactory career counseling, are made within the program. This research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validated the effectiveness of programs conducted at individual university in research environments where there is insufficient methodological discussion of whether programs can promote interaction.

      • SCOPUSKCI등재

        Pre-embedding Immunoelectron Microscopy를 이용한 Helicobacter pylori의 발견 - Immunoblotting법과 비교 -

        정혜성,김은정,김은아,박지회,전진수,서지현,임재영,최명범,우향옥,윤희상,고경혁,백승철,이우곤,조명제,이광호,Jung, Hae-Seoung,Kim, Eun-Jung,Kim, Eun-A,Park, Ji-Hoe,Jun, Jin-Su,Seo, Ji-Hyoun,Lim, Jae-Young,Choi, Myoung-Bum,Woo, Hyang-Ok,Youn, Hee-Sha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2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45 No.7

        목 적: H. pylori 감염 진단에 있어 최적 표준 조건은 위생검 조직에서 세균을 증명하는 것이다. 위생검 조직을 이용한 현재의 검사법으로는 초기 감염 또는 항균요법을 받은 후 위점막에 적은 수의 세균이 존재하거나 여기저기 산재하여 분포할 경우 H. pylori를 쉽게 발견할 수 없다. 본 연구에서는 위점막 조직을 이용한 H. pylori 검출법으로 전포매 면역 전자 현미경 검사법을 시행하여 이 검사를 요소분해효소 검사 및 면역블롯팅법과 비교하고자 하였다. 방 법 : 1996년 7월부터 1999년 7월까지 상부 위장관 증세를 주소로 경상대학교병원 소아과를 찾은 2-15세 사이의 환아 119명을 대상으로 위내시경을 시행 하여 위생검 조직검사, 요소분해효소 검사, 전포매 면역 전자현미경 검사, 면역블롯팅 검사를 시행하였다. 결 과 : 1) 전포매 면역 전자현미경 검사상 위 전정부에서는 111례(93.3%), 위 체부에서는 105례(88.2%)에서 H. pylori가 관찰 되었다. 대상 환아 119명 중 116명 (97.5 %)의 위 전정부 또는 위 체부에서 H. pylori가 검출되었다. 2) 위 전정부나 위 체부에서 세균이 관찰되지 않은 3명 중 2명은 H & E 염색검사에서 세균이 관찰되었고 3명 모두 요소분해효소 검사상 6시간내 양성반응 및 면역블롯팅 검사상 양성반응을 보였다. 3) 요소분해효소 검사는 위 전정부에서 73례(61.3%), 위 체부에서 102례(85.7%)가 양성이었고, 총 107례(89.9%)에서 위 전정부 또는 위 체부에서 양성반응을 보였다. 4) H & E 염색 검사상 위 전정부 9례(7.6%), 위체부 12례(10.1%)에서 균이 발견되었고, 위 전정부 또는 위 체부에서 균이 관찰된 경우는 총 13례(10.9%)였다. H & E 염색에서 세균이 관찰된 13례 모두 요소분해효소 검사 양성이었으며 대부분 1시간 이내에 색깔이 변한 빠른 양성 반응을 보였다. 그러나 위전정부 9례 중 1례, 위 체부 12례 중 3례에서는 광학 현미경상 세균이 관찰되었으나 면역 전자현미경 검사에서는 관찰할 수 없었다. 총 13례 중 2례에서는 위전정부 또는 위 체부 모두에서 면역 전자현미경 검사에서 세균을 관찰할 수 없었다. 5) 면역블롯팅 검사상 총 97명(81.5%)에서 양성반응이 관찰되었다. 결 론 : 전포매 면역 전자현미경 검사가 소아 H. pylori 진단법의 최적 표준으로 사용될 수도 있는 결과를 보여 주었지만, 이 검사 역시 세균이 위점막 전체에 고르게 분포하지 않는 특성 때문에 기본적으로 조직검사를 통한 검사 방법이 가지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소아에서 상부 위장관 증상으로 위내시경 검사를 받는 환아 대부분에서 H. pylori를 검출할 수 있었다는 것은 소아에서 흔히 사용되는 H. pylori 감염 진단법의 재평가 필요성을 시사한다. Purpose : We tried to evaluate whether the detection rate of Helicobacter pylori in gastric biopsy specimens could be improved by using pre-embedding immunoelectron microscopy. Methods : A total of 119 children who complained of upper gastrointestinal symptoms were endoscoped at th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July, 1996 to July, 1999. Five biopsy specimens(three for urease test, one for hematoxylin-eosin(H & E) staining, and one for preembedding immunoelectron microscopy) were obtained from each antrum and body. Immunoblotting analysis were also performed. Results : Among the 119 patients, H. pylori were found in 116 patients(97.5%) by the immunoelectron microscopy. Among three patients who were found H. pylori negative in immunoelectron microscopy, two patients showed H. pylori in H & E stained slides and one patient was urease test positive(color change within six hours). Urease tests were positive in 107 patients(89.9 %). The positive rate of immunoblotting tests was 81.5%. However, only 13 patients(10.9%) showed H. pylori on the H & E stained antrum or body tissue. Conclusion : In this study, we found H. pylori histopathologically in most of the pediatric patients who complained of upper gastrointestinal symptoms. This study showed that pre-embedding immunoelectron microscopic examinations can be used as a gold standard in the diagnosis of childhood H. pylori infection. However, this method also has limited capacity to detect widely scattered H. pylori compared to the other histopathologic diagnostic methods.

      • SCOPUSKCI등재

        소아 장중첩증과 혈중 비타민 C의 관계에 관한 연구

        서지현,김점수,황지영,전진수,박지회,김은아,임재영,최명범,찬후,우향옥,윤희상,Seo, Ji-Hyoun,Kim, Jeum-Su,Hwang, Ji-Young,Jun, Jin-Su,Park, Ji-Hoe,Kim, Eun-A,Lim, Jae-Young,Choi, Myoung-Bum,Park, Chan-Hoo,Woo, Hyang-Ok,Youn, Hee-Shang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 2001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Vol.4 No.2

        목적: 장내 장중첩증 원인 바이러스의 침습에 의한 임파선 비대 및 장중첩증으로 인한 교액성 장폐색증은 혈중 비타민 C의 감소를 동반할 수 있으며, 또한 체내 비타민 C가 부족할 경우 장내 adenovirus 감염 및 침습을 유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장중첩증과 전혈과 혈장의 비타민 C 농도와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1995년 5월부터 1998년 12월까지 경상대학병원 응급실로 내원하여 진단받았던 장중첩증 환아 57명과 장중첩증 연구군과 연령 분포가 동일한 진주시에 거주하는 건강한 소아 256명을 대조 군으로 2, 4-dinitrophenylhydrazine 방법을 이용하여 전혈과 혈장 비타민 C를 측정하였고 장중첩증 환아의 나이, 성별, 백혈구 수, 발열 유무, 발병에서 진단까지의 시간, 혈변의 유무와 수술 유무 등을 후향적으로 조사, 비교하였다. 결과: 장중첩증으로 내원한 환아들의 평균 나이는 1년 3개월이었으며 남아가 39명, 여아가 18명이었다. 장중첩증 환아의 전혈 비타민 C농도는 $1.49{\pm}0.64$ mg/dL로 대조군의 $2.18{\pm}0.49$ mg/dL에 비해 낮았고(P=0.0001), 혈장 비타민 C농도는 $0.59{\pm}0.36$ mg/dL로 대조군의 $1.47{\pm}0.56$ mg/dL 보다 낮았다(P=0.0001). 장중첩증 환아군에서 전혈 비타민 C 농도 중앙값이 여아 1.56 mg/dL, 남아 1.34 mg/dL로, 남아가 여아에 비해 낮았다(P=0.003). 그러나 장중첩증 환아의 연령, 백혈구수, 발열, 발병에서 진단까지의 시간, 혈변과 수술의 유무에 따라서는 전혈 및 혈장 비타민 C의 농도는 차이가 없었다. 결론: 장중첩증이 있는 환아는 건강 대조군에 비해 전혈과 혈장 비타민 C의 농도가 낮았지만 이것이 원인인지 또는 결과인지는 본 연구로 알 수 없었다. 장중첩증과 비타민 C의 관계를 정확하게 알기 위해서는 전향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Adenovirus infection with swollen Peyer patches in the ileum, known as one of the causes of intussusception, may cause vitamin C depletion in human body because vitamin C is a first line antioxidant. Or low vitamin C status in human body makes the man more susceptible to infection of adenovirus in the ileum with a markedly swollen lymph node. In this study, we trie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pediatric intussusceptions and vitamin C concentrations of whole blood and plasma. Methods: Whole blood and plasma vitamin C concentrations of fifty-seven patients with intussusceptions from May 1995 to December 1998 at th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were compared with those of 256 normal healthy children. Vitamin C was measured by the 2, 4-dinitrophenylhydrazine methods. Results: The average age of patients (male=39, female=18) with intussusceptions was fifteen months of age. Whole blood vitamin C concentrations of patients and healthy children were $1.49{\pm}0.64$ mg/dL, and $2.18{\pm}0.49$ mg/dL, respectively. Plasma vitamin C concentrations of patients and healthy children were $0.59{\pm}0.36$ mg/dL, $1.47{\pm}0.56$ mg/dL, respectively. But no differences in the vitamin C concentrations of whole blood and plasma according to age, degree of leukocytosis, fever, interval from onset, hematochezia, and need for operation were found. Conclusion: Whole blood and plasma vitamin C concentrations of patients with intussusceptions were lower than those of healthy children (P=0.0001). Prospective studies are needed to elucidate whether these results were consequences or causes of intussusceptions.

      • KCI우수등재

        원저 : 비만 환자에서 심전도에 의한 좌심실 비대의 진단

        홍진숙 ( Jin Sook Hong ),경희 ( Kyung Hee Park ),박지회 ( Ji Hoe Park ),송홍지 ( Hong Ji Song ),백유진 ( Yu Jin Paek ),조정진 ( Jung Jin Cho ),조규종 ( Gyu Chong Cho ) 대한비만학회 2005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Vol.14 No.4

        연구배경: 비만 환자에 있어서 심전도 검사는 전흉부 전극과 좌심실 사이의 피하지방 증가로 인하여 심전도 진폭이 감소하기 때문에 좌심실 비대 진단의 민감도가 떨어질 수 있다. 본 연구는 비만이 심전도에 의한 좌심실 비대의 진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심전도 진단 방법들의 유용성을 서로 비교해 보고자 한다. 방법: 2003년 6월부터 2004년 3월까지 일개 대학병원 심장내과 외래에 내원하여, 심전도 및 심초음파 검사를 시행 받은 성인 159명을 체질량지수 25㎏/㎡을 기준으로 비비만군과 비만군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심초음파 검사에 의한 좌심실 질량지수를 이용한 좌심실 비대 진단을 gold standard로 하여 심전도 검사에서 Sokolow-Lyon법과, Romhilt-Estes point scoring법, 그리고 Cornell법 등으로 진단한 좌심실 비대의 민감도와 특이도를 계산했다. 결과: Sokolow-Lyon 진폭은 비만군에서 유의하게 작았다 (비비만군: 27.7±10.8㎷, 비만군: 23.2±8.9㎷, P=0.004). 심초음파로 측정된 좌심실 질량 지수와 각 심전도 진단법의 지수들은 모두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좌심실 비대 진단의 민감도는 Sokolow-Lyon 방법이 비만군에서 더 낮았으며 (비비만군: 50%, 비만군: 17.6%) Cornell 방법을 사용한 경우에는 민감도가 오히려 비만군에서 더 높았다 (비비만군: 26.9%, 비만군: 32.4%). 결론: 심전도로 좌심실 비대를 진단할 때, Sokolow-Lyon 방법은 체질량지수 25㎏/㎡ 이상의 비만 환자에서 좌심실 비대 진단의 민감도가 매우 낮았으며, Cornell 방법은 비만 여부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았다. 비만 환자의 경우, Sokolow-Lyon 방법은 좌심실 비대를 저평가 할 수 있을 가능성이 크므로 심전도에 의한 좌심실 비대 선별검사 시 피검자의 비만여부에 따라 다른 방법의 판정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필요하다. Background: Obesity may limit sensitivity of ECG voltage criteria for left ventricular hypertrophy (LVH) because of increased distance of exploring electrodes from the left ventricle. So we aimed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obesity on the diagnostic value of electrocardiographic criterions for detecting LVH. Methods: From June 2003 to march 2004, 159 consecutive patients who visited the department of cardiology of one university hospital, were enrolled in this study. Echocardiographic LVH used as gold standard was defined by left ventricular mass indexed to body surface area and height(2.7). The accuracy of the Sokolow-Lyon voltage criteria, Romhilt-Estes point scoring criteria, and Cornell criteria were examined and compared according to obesity. Results: The amplitude of Sokolow-Lyon voltage in obese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in non-obese group and less correlated to left ventricular mass index than Cornell voltage or Romhilt-Estes point score. Compared with the sensitivity in normal-weight patients, the sensitivity of Sokolow-Lyon voltage criteria in obese patients was markedly decreased (non-obese: 50.0%, obese: 17.6%). The sensitivity of Cornell voltage in obese group was not lower than that in non-obese group (non-obese: 26.9%, obese: 32.4%). Conclusion: Using Sokolow-Lyon voltage criteria can underestimate the presence of the left ventricular hypertrophy in obese patients, whereas Cornell criteria appears less dependent on body status. These findings have important clinical and epidemiologic implications for detecting left ventricular hypertrophy in obese person.

      • KCI등재

        어류 중 4계열 잔류 항생물질 검출을 위한 Lateral Flow Immunoassay Kit 개발

        조미라 ( Mi Ra Jo ),손광태 ( Kwang Tae Son ),권지영 ( Ji Young Kwon ),목종수 ( Jong Soo Mok ),홍제 ( Hong Jae Park ),김현용 ( Hyun Yong Kim ),김경동 ( Gyung Dong Kim ),지회 ( Ji Hoe Kim ),이태식 ( Tae Seek Lee ) 한국수산과학회(구 한국수산학회) 2015 한국수산과학회지 Vol.48 No.2

        A lateral flow immunoassay kit based on antigen-antibody interactions was developed to detect residues of beta-lactams, quinolones, tetracyclines, and sulfonamides in farmed fish. Group-specific antibodies showing cross-reactivity with other antibiotics in the same group were produced in rabbits. The rabbits were immunized eight times to obtain the maximum titers. Antibodies were extracted from the antisera collected from the immunized rabbits and produced group-specific reactions with antibiotics from the four groups. A kit was prepared that optimize conditions for the antigen-antibody reaction, using colloidal gold conjugated antibodies, and was designed to detect the four groups of antibiotics simultaneously. The kit enabled the detection of antibiotics in the four groups at below maximum residue limits (MRLs), which were 200 μg/kg for tetracyclines, 100 μg/kg for sulfonamides, 50 μg/kg for beta-lactams, and 100 μg/kg for quinolones. The cross-reactivity of the antibodies ranged from 10-80% for the sulfonamides, 20- 100% for tetracyclines, 38-100% for quinolones, and 20-100% for the beta-lactams, confirming that the antibodies were group specific. The test kit was used 30 times to examine spiked antibiotics at the limits of detection (LODs) and all produced positive results, indicating high sensitivity. The LODs for the assay ranged from 4-20 ng/mL for beta-lactams, 25-50 ng/mL for sulfonamides, 20-100 ng/mL for tetracyclines, and 30-80 ng/mL for quinolones, and there were no false negative reactions at above these LODs. In addition, all of the LODs of the developed kit were correlated with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data. Our lateral flow immunoassay kit can simultaneously detect antibiotic residues from a large number of fish samples rapidly, strengthening the safety of domestic farmed and imported fish.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