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심한 호흡곤란을 동반한 역설성성대운동 1예

        박준우,김지원,임채만,최승호,Park, Jun Woo,Kim, Ji Won,Lim, Chae-Man,Choi, Seung-Ho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 2015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 Vol.26 No.1

        Paradoxical vocal fold movement (PVFM) is characterized by aberrant vocal fold adduction. Although the exact pathogenesis is unknown, botulinum toxin injection, behavioral techniques, including speech therapy, bio-feedback, and cognitive-behavioral psychotherapy are considered for treatment of PVFM. The effectiveness of these treatments is not fully evaluated because of the rarity of disease. We present a case of 16-year-old female with sudden onset of respiratory distress associated with PVFM refractory to several treatments and spontaneously resolved later.

      • KCI등재

        하악 우각부 축소를 위한 골절제술의 체계적 고찰 및 증례 보고

        박준우,최진영,김형욱,김종식,정인원,강진한,홍순민,Park, Jun-Woo,Choi, Jin-Young,Kim, Hyung-Wook,Kim, Jong-Sik,Choung, In-Won,Kang, Jin-Han,Hong, Soon-Min 대한악안면성형재건외과학회 2007 Maxillofacial Plastic Reconstructive Surgery Vol.29 No.4

        In this systematic review on bone reduction procedures for the correction of the prominent mandibular angle, we collected and sorted the methods. The strength and weakness, indication, complication, and final esthetic result of each method were evaluated. After searching and filtering the literatures on the base of inclusion criteria, 9 eligible case series studie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re were 3 types of curved ostectomies and 4 types of lateral cortical ostectomies. Surgical procedures for curved ostectomies were divided into 2 types. One was single curved ostectomy and the other was multistaged curved ostectomy. Lateral cortical ostectomies reported were all similar to sagittal split ramus osteotomy. The complications reported in the included studies were scarce, but curved ostectomies may be able to induce many complications. The prominent mandibular angle must be analyzed in the lateral dimension and frontal dimension, and curved ostectomy can reduce the mandibular angle laterally while lateral cortical ostectomy can reduce the bigonial distance frontally. Because curved ostectomies can induce complications and unnaturally large mandibular angle while can not reduce bigonial distance efficiently, the current trend for the angle reduction procedure is lateral cortical ostectomies.

      • KCI등재

        제 3 대구치 발치시 환자의 호흡 패턴이 스트레스 변화 양상에 미치는 영향

        이상명,김형욱,박양호,김진철,박준우,이성준,안재목,Rhee, Sang-Myung,Kim, Hyung-Wook,Park, Yang-Ho,Kim, Jin-Cheol,Park, Jun-Woo,Rhee, Sung-Jun,Nyamdorj, Selenge,Ahn, Jae-Mok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 2007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지 Vol.33 No.5

        Purpose: Heart rate variability(HRV) is the clinical consequence of various influences of the autonomic nervous system(ANS) on heart beat. HRV can estimate the potential physiologic rhythm from the interval between consecutive beats(RR interval or HRV data). It is known as RSA which represents respiration-related HR rhythmic oscillation. Previous studies demonstrated a specific breathing pattern(0.1Hz, 6breaths/min) to improve a physiological body condition related to the stress. In this paper, the level of stress would be evaluated in terms of three phases of the dental treatment, combined with 6breaths/min. Methods: These phases include before, during and after tooth extraction or anesthesia or something.36 patients' stresses were assessed using HRV stress analyzer in each phase in Kangdong Sacred Heart Hospital, and Chuncheon Sacred Heart Hospital, Hallym University Medical Center from Jun. to Sept. of 2007. HRV 5-min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in time-domain and frequency-domain to evaluate the activity of autonomic nervous system(ANS) which represents the level of stress. Results: All HRV parameters including HF(high frequency), LF(low frequency) and LF/HF ratio showned a significant change affecting the ANS balance. There was a 6.4% difference between R(LF/HF)s on general breathing pattern for balance of Autonomic nervous system, but on controlled breathing pattern, 0.1Hz, was made narrow till 1.4%. The activity of ANS has increased by 1.4% on general breathing pattern, and by 2.9% on controlled breathing pattern, 0.1Hz. Conclusion: After analysis of preoperative stress changes and effect of breathing pattern of 0.1 Hz on the stress in 36 patients who have undergone third molar extraction, following was concluded. In the preoperative stage, the sympathetic change was the greatest?after the?anesthetic injection, and stress was relieved by controlling the breathing pattern to a frequency of 0.1Hz.

      • KCI등재

        양악 전방분절골절단술과 이부 성형술을 통한 개방교합의 치험례

        황용인Yong-In Hwang,홍순민Sun-Min Hong,박준우Jun-Woo Park,이건주Gun-Joo Rhee,조형준Hyung-Jun Cho,천세환Se-Hwan Cheon,박양호Yang-Ho Park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 2008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지 Vol.34 No.3

        Skeletal anterior open bite is a difficult problem to correct in orthodontic treatment. To treat adult patients who have skeletal anterior open bite, we considered two methods. Combination treatment of orthodontics & surgery and camouflage orthodontic treatment. In adults, treatment of severe skeletal anterior open bite consists mainly of surgically repositioning the maxilla or the mandible. However, camouflage therapy is often the treatment of choice for skeletal open bite patients who have mild to moderate skeletal discrepancies when growth modification is no longer possible. But excellent results generally require careful coordination of the orthodontic and surgical phases of treatment. This is a case report of a skeletal anterior open bite patients who were treated with orthodontic treatment and orthognathic surgery. First case was diagnosed as skeletal class I malocclusion & bimaxillary protrusion with anterior open bite, and finally treatment ended for removal of open bite with orthodontic procedure and bimaxillary anterior segmental osteotomy surgery. Second case was diagnosed as skeletal class II malocclusion with open bite & mandibular retrusion, and was treated with only camouflage orthodontics because she feared to have a surgery. In a regular follow up visit after debonding we proposed to the patient advanced genioplasty, and in her agreement her facial esthetics was improved through the surgery.

      • 식생지수 및 배경분리를 이용한 다중분광 영상 기반 배나무 화 상병 감염 지역 분류

        박준우 ( Jun-woo Park ),유찬석 ( Chan-seok Ryu ),강예성 ( Ye-seong Kang ),전새롬 ( Sae-rom Jean ),장시형 ( Si-hyeong Jang ),송혜영 ( Hye-young Song ),김경철 ( Gyeong-cheol Kim ),강태환 ( Tae-hwan Kang ),김현진 ( Hyeon-jin Kim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9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4 No.1

        항공영상은 원하는 작물 데이터 영역 이외의 잡초 및 비식생 영역데이터까지 포함하기 때문에 영상분류가 필수적이다. 자연적으로 고사된 과수의 잎과 가지 및 가지치기에 의해 고사된 잎과 가지의 경우에는 토양에 떨어지는 반면에 화상병 감염에 의해 고사된 잎과 가지의 경우 과수에 매달려 있으므로 식생지수 또는 영상을 이용한 병증 분류 시 오분류 가능성이 높다. 본 연구에서는 고도차 정보와 식생지수를 이용하여 화상병 병증 분류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2018년 6월 7일 충청남도 천안시 입장면 독정리 지역에서 다중분광센서를 탑재한 무인기를 이용하여 배나무 감염주와 비감 염주의 영상데이터를 취득하였다. 취득한 영상은 Drane mapping software (Pix4D 4.3.31, Pix4D SA, Swiss)와 GIS software (ArcGIS 10.5.1, Esri, USA)의 point cloud 기법을 이용하여 고도에 따른 배경지 및 접합을 수행하였고 spectral image software (ENVI 5.3, Exelis Visual Information, USA)를 이용하여 식생지수를 이용한 화상병 병증분류를 실시하였다. Drane mapping software와 GIS software를 이용하여 약 2,780㎡의 면적을 기준으로 지표면에서 각각 25, 50, 75, 100cm 높이로 배경을 제거할 경우 25cm에서는 약 795㎡, 50cm에서는 약 790㎡, 75cm에서는 약 785㎡, 100cm에서는 약 778㎡만이 화상병 감염여부를 검토하는 대상으로 축소되었다. 100cm 높이로 배경을 제거한 영상을 이용하여 화상병에 감염된 부위와 비감염된 부위의 각 파장에 대한 히스토그램과 반사값을 비교하여 분류기준을 설정하였다. 히스토그램의 경우 NIR파장에서 Otus‘s 기법을 이용하여 분류를 시도하였을 경우 감염 예상지역은 142㎡였다. 반사값의 경우 (Red Edge - Red)와 NIR-Red의 히스토그램에서 유의한 차가 나타나 Otus‘s 기법으로 각각 분류하여 서로 중복된 영역만을 추출하면 화상병 감염 예상지역이 71㎡으로 줄어들었다. 이를 이용하면 높은 정확도로 화상병 감염 예상지역을 분류해 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의사결정트리기법을 이용한 초분광 영상 기반 배나무의 잎, 가 지 화상병 감염 판별 파장대역 선정

        박준우 ( Jun-woo Park ),유찬석 ( Chan-seok Ryu ),강예성 ( Ye-seong Kang ),전새롬 ( Sae-rom Jean ),장시형 ( Si-hyeong Jang ),송혜영 ( Hye-young Song ),김경철 ( Gyeong-cheol Kim ),강태환 ( Tae-hwan Kang ),김현진 ( Hyeon-jin Kim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9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4 No.1

        2015년 경기도 안성 지역에서 검역상 금지병인 화상병이 발생한 이후로 안성, 천안, 제천 지역에서 매년 화상병이 발생하고 있으며 그로 인해 심각한 경제적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화상병 유무판별 시스템 개발을 위해 초분광 영상을 이용하여 화상병 감염주와 비감염주의 분광학적 특성을 비교하여 화상병 감염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파장을 의사결정트리 기법으로 선정하고 spectral marging을 통해 최적 밴드 조합을 제시하고자 한다. 2017년 5월부터 2018년 7월까지 경기도 안성 지역에서 초분광 센서를 이용하여 감염된 잎 데이터 214개, 비감염된 잎 데이터 34개, 감염된 가지 데이터 23개와 비감염된 가지 데이터 50개의 고차원 영상을 취득하였다. 취득한 영상은 Spectral image software (ENVI 5.3, Exelis Visual Information, USA)를 이용하여 표준반사판으로 광 보정 한 후 잎과 가지 영역의 519개의 밴드의 반사율을 추출하였다. 의사결정트리 모델 및 통계분석은 R software (R 3.5.1, USA)을 이용하여 수행하였고 모델의 과적합을 방지하기 위해 가지치기(Pruning)를 실시한 후 overall accuracy (OA)와 kappa coefficient (kappa)를 이용하여 분류 정확도를 나타내었다. 화상병 판별에 필요한 영상센서 개발을 위해 원본데이터(5nm±2.8nm)를 중심파장이 10nm 간격이고 FWHM을 각각 10, 25, 50 및 80nm로 평준화하여 의사결정트리로 각 조건별 OA와 kappa를 비교하였다. 원본데이터를 이용한 분류결과, 잎과 가지 모두 Blue와 Red Edge가 유의한 밴드로 나타났으며 분류 정확도는 잎에서는 OA 100%, kappa 100%로 가지에서는 OA 90.5%, kappa 74.1%의 분류 정확도를 나타났다. 파장 평준화를 하였을 경우 잎은 FWHM 50nm에서 Blue, Red, Red Edge, NIR에서 OA 98.9%, kappa 97.3%의 분류 정확도를 보였으며 가지는 모든 FWHM에서 Red, Red Edge에서 OA 90.5%, kappa 74.1%의 동일한 분류 정확도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50nm의 FWHM을 가진 Blue, Red, Red Edge, NIR 파장을 이용하면 화상병 판별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스토리텔링 기반의 웹 인터페이스 디자인에 관한 연구

        박준우 ( Park Jun Woo ),유금 ( Ryu Guem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05 한국디자인포럼 Vol.12 No.-

        www (World Wide Web)이라는 단어는 이제 더 이상 우리들에게 전혀 생소하게 다가오지 않는다. 인터넷이라는 매체를 통해서 사람들의 생활 패턴 패러다임(Paradigm)은 크게 변하게 되었다. 이제 사람들은 인터넷을 통해서 많은 정보를 습득하고 있는 것이다. 이는 온라인세상이 오프라인세상 만큼 사람들의 생활의 중심에 크게 뿌리 박혀 있다는 반증적인 요소일 것이다. 이는 디자인계에도 큰 변화를 가져왔다. 디자인의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던 출판이나 제품 분야보다, 화면을 구성하는 GUI(Graphic User Interface) 디자인분야가 각광을 받기 시작한 것이다. 이는 컴퓨터로 인터넷을 사용하는 사용자들의 욕구가 늘어나면서 이를 충족시켜주기 위해서는 자연스럽게 생겨나는 현상이었을 지도 모르겠다. 기존의 단순한 화면구성과 그저 유저빌리티(Usability)가 좋은 GUI를 원하던 사람들도 더욱 재미있고 보기도 좋은 화면을 원하게 되었다. 이로 인하여 기존에 디자인 발전과정은 1차원적 디자인(점, 선), 2차원적 디자인(면), 3차원적 디자인(공간)에서 벗어나 이제 대중들은 4차원적인, 즉 시간의 개념을 도입한 디자인을 원하게 된 것이다. 시간의 도입이라 하면 스토리를 가진 디자인을 말한다. 디지털 스토리텔링(Digital Storytelling)이야 말로 이러한 대중들의 욕구를 해소해줄 수 있는 기법 중에 중요한 하나라고 할 수 있겠다. 본 연구에서 기본적인 웹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개념과 특징들에 대해서 알아보고, 디지털 스토리텔링이 개념과 디지털 스토리텔링이 현제 우리사회에 얼마나 적용되어 있고,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지에대해 사례를 조사한다. 이렇게 조사된 사례들을 바탕으로 현제 운영되고 있는 웹 사이트의 인터페이스 디자인에 대해서 분석 하되, 디자인 요소별로 각각 분석한다. 이렇게 분석된 데이터를 통해서 각 요소별 디지털 스토리텔링 기법을 적용하면 어떻게 GUI 디자인이 발전할 수 있는 가를 알아보고, 마지막으로 화면 연동상, 즉 하이퍼링크를 연결하는데 있어서도 디지털 스토리텔링이 어떻게 적용되는 지에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전체적인 GUI 디자인이 디지털 스토리텔링을 만나서 어떻게 진화해 나가는지가 본 연구의 큰 결과라고 하겠다. The word World Wide Web (WWW) is no longer an unfamiliar word to us. The paradigm of people`s living patterns has changed greatly through the medium called the Internet. This is a clear proof the online world is as important to people`s lives as the offline world. As the Internet permeated through people`s lives, the design industry also experienced great change. The design field of the Graphic User Interface (GUI) has begun to receive more attention than the field that used to be the biggest design field, the field of publishing and product design. This is probably a natural phenomenon originating from the need to satisfy the increase in demand from users who use the Internet. Even those who formerly used to want just a simple screen layout and a GUI with good usability now want a more interesting and good looking screen. As opposed to the old 1 dimensional (dot, line),2 dimensional (surface), and 3 dimensional (space) designs, the public now want a 4 dimensional design that reflects the idea of time. The inclusion of time means a design that has a story. Digital storytelling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thing that can satisfy the public`s desire for such items. This research will examine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web interface design, the concept of digital storytelling and its application and use in our society through examples. Based on the date from these researched examples, the interface design of modern web sites will be analyzed according to the various design factors. Based on this data, an examination is made on how GUI design can develop through the application of digital storytelling methods on the various design factors, and finally an examination is made into how digital storytelling can be applied to hyperlinks as well. The major result of this research is finding out how overall GUI design has evolved with the introduction of digital storytelling

      • KCI등재

        전국 문화예술회관의 운영 효율성 분석

        박준우(Park Jun-woo) 한국문화경제학회 2021 문화경제연구 Vol.24 No.3

        본 연구논문은 2018년도부터 2020년도까지 최근 3년간 전국 문화예술회관의 운영 효율성을 분석했다. 문예회관은 지역주민들의 삶의 질 향상과 같은 긍정적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반면 많은 수의 문예회관 운영은 효율성 격차가 발생하고 재정적 부담과 성과의 논란을 함께 야기한다. 이에 전국 문예회관의 개별적 효율성과 이를 지역별, 규모, 운영주체의 형태별로 비교·분석했다. 또한 최근 COVID-19는 문예회관 운영 효율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도 함께 연구하여 시사점을 도출했다. 이를 위해 『전국문화기반시설총람』의 문예회관 운영 자료를 DEA와 SFA 분석 방법을 동시 진행하여 비교·분석했다. 연구결과 DEA와 SFA 분석 모두 지역별 격차는 발생했다. 서울특별시를 비롯 대다수의 광역시는 효율성이 좋은 것으로 분석되었고, 반면 수도권 소재 인천광역시의 경우 평균 효율성에도 미치지 못하는 등 저조하게 나타났다. 더불어 COVID-19로 인해 운영 효율성이 낮을 것으로 예상했던 것과 상이하게 최근 3년간 운영 효율성은 지속적으로 개선되었다. 이는 온라인 이용자 수 증가로 인한 효율성 개선이 총수입과 공연일 수 감소를 상쇄하기 때문이다. 또한 규모별 CCR 모형은 평균 이하의 규모를 가진 문예회관이 더 효율적이었고, 반면 BCC 모형은 유의점이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운영 규모와 운영주체별 SFA 분석은 그 차이가 미미하여 효율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했다. 분석 결과를 통한 시사점으로 효율성이 낮은 문예회관의 경우 다른 문예회관과 교류를 통해 작품과 공연시설 등을 공유해야 한다. 또한 규모와 운영 형태의 경우 효율성에는 미치는 영향이 크지 않으므로 각 문예회관의 특성을 고려하여 능동적으로 대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COVID-19 상황과 정부의 온라인 문화예술 프로그램 개발 정책은 온라인 프로그램 공급 증가를 가져올 수밖에 없다. 이에 정부의 재정적 지원은 경영성 측면 개선을 고려하여 양질의 유료 프로그램 개발로 이어져 수익을 창출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This paper analyzes culture and arts centers around the nation in terms of operational efficiency for three years, from 2018~2020. Culture and arts centers create added positive value, such as the improved quality of life of local residents, but there is a gap among these centers in operational efficiency. They also cause controversy over financial burdens and achievements. Thus,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culture and arts centers around the nation in terms of individual efficiency according to area, size, and form of operational subject. The study also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he recent COVID-19 pandemic on the operational efficiency of culture and arts centers, providing implications. The operational data of culture and arts centers in “Comprehensive Survey on Cultural Infrastructure across the Nation” was compared and analyzed through the simultaneous implementation of DEA and SFA. The findings show a regional gap in both DEA and SFA analysis results. Culture and arts centers in a majority of metropolitan cities, including Seoul Special City, recorded good efficiency, but those of Incheon Metropolitan City did not even reach average efficiency. Opposite to a prediction that culture and art centers would show low operational efficiency due to the COVID-19 pandemic, their operational efficiency continued to improve for the last three years. The number of their online users increased, which improved their efficiency and offset the reduction of their total income and number of show days. The CCR model was more efficient at culture and arts centers whose size was under the average, but the BCC model had almost no significance. The SFA analysis results by size and subject of operation showed little differences that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efficiency. Based on these analysis results, the study offered the following implications: culture and arts centers with lower efficiency should share their shows and performance facilities with other culture and arts centers through exchanges. Since the size and operational form of culture and arts centers do not have a big impact on their efficiency, each culture and arts center should make active reactions by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ir characteristics. The government’s policy of developing culture and arts programs online along with the COVID-19 situations will inevitably increase the supply of online programs. The government’s financial support should take into account the management aspect of culture and arts centers and promote the development of high quality paid programs so that they can generate profi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