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해 울진 연안의 어류 자치어 종조성과 계절변동

        박주면 ( Joo Myun Park ),김종훈 ( Jong Hun Kim ),명세훈 ( Se Hun Myoung ),정윤환 ( Yun-hwan Jung ),이대원 ( Dae-won Lee ),최동문 ( Dong Mun Choi ),이희갑 ( Hee Gab Lee ) 한국어류학회 2024 韓國魚類學會誌 Vol.36 No.2

        본 연구는 동해 울진 연안 10개 정점에서 계절별 (2022년 4월, 7월, 10월, 2023년 2월)로 Ring net를 이용하여 채집한 자치어 종조성의 계절변동을 조사하였다. 총 27개 분류군에 속하는 자치어가 채집되었다. 어류 자치어 우점종은 참가자미 (Pseudopleuronectes herzensteini), 볼락 (Sebastes inermis), 까나리 (Ammodytes japonicus), 문치가자미 (Pseudopleuronectes yokohamae), 그물코쥐치 (Rudarius ercodes), 청베도라치 (Parablennius yatabei)였고 상기 6종은 전체 자치어 현존량의 86.6%를 차지하였다. 자치어 출현종수, 현존량, 다양도지수는 계절에 따라 변하였는데, 출현종수와 현존량은 4월 (춘계)에 가장 높았고, 다양도지수는 7월 (하계)에 가장 높았다. 조사해역에서 자치어 군집의 계절별 출현양상에 따라 춘계, 하계, 동계 그룹을 구분할 수 있었다. 우점종 중 참가자미는 춘계에 우점하였고, 청베도라치와 그물코쥐치는 하계에 우점하였다. 그리고 볼락, 까나리, 문치가자미는 동계에 현존량이 높았다. 이러한 자치어 군집의 시간적 변동은 계절에 따른 수온 차이에 영향을 받았던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 결과는 동해에서 어류 자치어 다양성을 밝히고 연안해역의 산란장 기능을 평가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temporal patterns of species composition and abundance of larval fish assemblages through seasonal samplings in the coastal waters off Uljin, East Sea from April 2022 to February 2023. A total of 27 taxa of larval fishes were collected in the study area. The dominant fish larvae were Pseudopleuronectes herzensteini, Sebastes inermis, Ammodytes japonicus, Pseudopleuronectes yokohamae, Rudarius ercodes and Parablennius yatabei constituting 86.6% of total larval fish abundance. The number of species, abundance, and diversity index fluctuated according to season, showing the highest species number and abundance in April (spring) and diversity in July (summer). Larval fish assemblages were divided into three seasonal groups, including spring, summer and winter groups based on relative abundance of each fish larvae. Among abundant fish larvae, P. herzensteini predominated during spring, while P. yatabei and R. ercodes were abundant during summer. S. inermis, A. japonicus and P. yokohamae constituted the most abundant larval fish group during winter. These temporal changes in larval fish assemblages were attributed to seasonal changes in surface water temperature. The results from this study may elucidate our understanding of larval fish diversity and contribute to evaluating the nursery function of coastal habitats in the East Sea.

      • KCI등재

        종횡방향 압축하중을 받는 유공판의 최종강도 설계식 개발

        박주신(Joo-Shin Park),고재용(Jae-Yong Ko),이준교(Jun-Kyo Lee) 한국항해항만학회 2006 한국항해항만학회지 Vol.30 No.3

        선체구조 부재에는 이중저의 거더 및 늑판 등에서 유공을 가진 판이 많이 사용되고 있고, 이는 중량 경감, 사람 및 화물의 이동, 배관 등의 목적으로, 보통은 강도상 큰 문제가 없는 부위에 위치하지만, 때로는 불가피하게 높은 웅력이 작용하는 부위에 설치해야 할 경우도 있다. 이러한 판에 유공의 존재는 연내 하중에 의한 탄성좌굴강도 및 최종강도에 큰 영향을 주게 된다. 따라서 유공판의 탄성좌굴강도 및 최종강도 평가는 선박의 초기 구조설계단계에서 구조부재 치수를 결정할 때 검토해야 할 중요한 설계기준 중의 한가지 이다. 그러므로, 유공판에 대한 합리적인 신뢰적인 탄성좌굴강도 및 최종강도 평가가 필요시 되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종횡비와 유공비 그리고 세장비의 영향을 고려하여 탄소성 대변형 유한요소 시리즈해석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간단한 설계식을 도출하였다. A number of perforated plates are utilized for the passage of the crew and the equipment, reducing weight and the arrangement of piping Hull girders in double bottom and floor plates are the typical parts which have those plates in a ship structure, and the perforated plate is usually positioned at the place which has less loading without local strength problems. In the case of utilizing the plate inevitably at the place which has large strength, an opening of the plate has large effect on the buckling strength due to in-plane rigidity and ultimate strength Therefore the assessments of the elastic buckling strength and the ultimate strength for the perforated plate are the essential requirements for determining the dimensions of the parts at the initial design stage. With above reason. a need of the reasonable assessments for the elastic buckling strength and the ultimate strength has evolved The numerical series analysis with the consideration of the effect due to various aspect ratios and slenderness ratios were performed using finite element method in this research Simple formulas for the design are also proposed from the above analysis.

      • KCI등재

        브루너(J. S. Bruner)의 교육이론(敎育理論) 연구(硏究)

        박주신 ( Joo-shin Park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1999 교육문화연구 Vol.5 No.-

        This study is about educational theories of J. S. Bruner(1915~), who is a psychologist and educat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Burner's theories on education and to find out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implementation of his theories into Korea education. In doing so,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following issues. First, his scholastic achievements are examined through his life and writings. Second, his educational thoughts are considered. Third, his theories are analyzed in the views of theory of knowledge structure, of cognition structure, and of instruction.

      • KCI등재

        초등학교 5학년 국악 가창수업에 있어 생성적 음악교수법의 적용 효과

        박주만 ( Park Joo Man ) 세계음악학회 2013 음악과 문화 Vol.28 No.-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develop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by applying generative-approach music teaching theory in elementary school Korean traditional music singing class and to examine the effect of music scholastic achievement through applying the theory and the change in class attitude.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were 72 5th grade students from two classes of G Elementary located in Sungnam city; the result showed that the experiment group to which generative-approach music teaching method was applied in Korean traditional music singing class had higher effect in scholastic achievement improvement than the controlled group which experienced normal Korean traditional music singing class. Also, as the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 according to scholastic ability level, higher ranked group of students showed more positive effect for music scholastic achievement than middle or low ranked group of students. Meanwhile, as the result of qualitative analysis of generative-approach music teaching method applied Korean traditional music singing class, the formation of the basic concept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through musical expression exercises, the increase of interests in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the positive change of attitude toward Korean traditional class appeared.

      • KCI등재

        코로나19에 따른 비대면 원격 음악수업에서 초등교사들이 겪은 어려움과 지원방안

        박주만 ( Park Joo Man ) 미래음악교육학회 2021 미래음악교육연구 Vol.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원격 음악수업을 실행하는 과정에 있어 초등교사들이 겪었던 수업 운영에 대한 어려움과 지원방안을 탐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온라인 개학 이후 시작된 원격 음악수업을 경험한 초등교사 9명을 대상으로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에 따른 분석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원격 음악수업 실행 과정에서 겪은 어려움으로는 첫째, 음악 저작권 이해 부족 및 사용에 대한 어려움이 있었다. 둘째, 음악 활동의 제약으로 인한 수업 구성의 어려움이 있었다. 셋째, 원격 음악수업 준비 및 운영으로 인한 육체적, 정신적 스트레스를 겪고 있었다. 넷째, 원격수업 활용 기기 사용에 대한 미숙함과 과도한 제작 시간의 어려움이 있었다. 다섯째, 학생들의 참여와 상호작용이 없는 획일적이고 경직된 수업으로 인한 어려움이 있었다. 이러한 비대면 원격 음악수업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한 지원방안으로는 첫째, 원격 음악수업을 위한 교수 방법 및 다양한 수업자료가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수업을 위한 음악 저작권의 완화 및 자유로운 활용을 위한 공익적 성격의 음악저작물이 제작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원격 음악수업을 위한 물리적 환경의 구축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원격 음악수업의 역량 강화를 위한 교사 연수 프로그램 개발 및 시행이 필요할 것이다. 다섯째, 교육용 악기 지원 및 대여 서비스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ifficulties of elementary teachers related to class management in the recent process of implementing remote music classes due to COVID-19 along with support plans. For this, qualitative studies were conducted on 9 elementary teachers who experienced remote music classes that began after the first day of school online. Associated analysis results can be presented as follows. Difficulties experienced in remote music class implementation processes included first, difficulties with a lack of understanding of music copyrights and their use. Second, there were difficulties in class compositions due to limitations of musical activities. Third, teachers were experiencing physical and mental stress due to the preparation and management of remote music classes. Fourth, there were difficulties as there was a lack of skill in the use of devices that utilize remote classes and with production time consumption. Fifth, there were difficulties with uniform and stiff classes that lacked student participation and interaction. Support plans presented to resolve the difficulties of such untact remote music classes included, first, the development of various class material and teaching methods for remote music classes. Second, music with a public nature should be produced for the mitigated and liberal use of music copyrights for classes. Third, physical environments should be constructed for remote music classes. Fourth, teacher training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and implemented to empower remote music classes. Fifth, educational instruments should be supplied and rental services should be provided.

      • KCI등재후보

        융합인재교육(STEAM)을 위한 초등학교 국악 수업방안 탐색

        박주만(Park, Joo-man) 한국국악교육학회 2017 국악교육 Vol.43 No.43

        본 연구는 최근 창의․융합인재 양성의 필요성이 부각되면서 교육계에 크게 강조되고 있는 STEAM 교육을 적용한 초등학교 국악수업의 학습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융합인재교육 수업활동의 특징은 국악을 중심으로 타 교과와의 연계를 통해 다른 영역에 대한 이해를 돕고 음악적 지식과 다양한 경험을 통하여 학생들의 창의적이고 융합적인 사고력을 키우는데 중점을 두었다. 또한, 교육과정에 충실한 심화학습을 통해 관련 교과 내용이 국악을 중심으로 자연스럽게 융합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이러한 방향에 기초하여 제시된 국악 중심 STEAM 융합학습 방안의 유형은 크게 세 가지이며 그에 따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악 교과 내 융합수업형으로, 이 유형은 국악내용을 바탕으로 관련 타 교과 요소를 연계한 학습이다. 예로 국악과 과학, 사회, 수학, 공학, 역사, 언어 등의 다양한 교과의 내용을 국악수업 활동과 융합하는 것이다. 둘째, 국악 교과 연계수업형으로, 이 유형은 국악과 관련된 하나의 주제를 중심으로 여러관련 교과 내용을 연계하는 학습이다. 예로 국악과 타 예술교과 연계활동, 국악과 과학 관련 교과 연계활동, 국악과 인문학 교과 연계활동 등의 융합학습이 있다. 셋째, 국악 중심의 교육과정 재구성형으로, 이 유형은 하나의 주제를 중심으로 전체 교육과정을 재구성하거나 별도의 프로그램을 계획하는 학습이다. 이때 주제는 국악 관련 내용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제목이 선정되며, 연계된 각 교과 시간에 소주제를 중심으로 한 융합수업을 순차적으로 시행하는 것이다. 예로 국악, 사회, 수학, 미술, 과학 등이 함께 하나의 대주제로 엮어 프로젝트 형태의 방법으로 수업을 진행할 수 있다. 이렇게 제시된 국악 중심 STEAM 학습방안은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으로 제시되고 있는 융합인재교육을 이해하는 데 기초가 될 것이며, 창의적 인재양성을 목적으로 하는 STEAM 융합교육의 학교현장 적용 및 실천에 도움이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learning method for elementary school Korean traditional music class for STEAM education that has been highly stressed nowadays as the necessity of cultivating creative, convergent persons of ability is being highlighted. The characteristics of STEAM class activities suggested here in this study help students understand other fields by combining Korean traditional music with other subjects and also cultivate their creative, convergent thinking skills through musical knowledge and a variety of experiences. Also, through in-depth learning faithful to the curriculum, related subject contents are organized in a way that can realize natural convergence with Korean traditional music. Based on this purpose, this author organized Korean traditional music-centered STEAM learning methods largely into three type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The first type is convergent class within the subject of Korean traditional music. It is combined with other subject elements centering around the content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For example, various subject contents including science, society, math, engineering, history, or language are integrated with the activitie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The second type is class relating Korean traditional music with other subjects. This is a type of learning relating a certain topic of Korean traditional music with other subject contents. The examples include the activity relating Korean traditional music with art subjects, activity relating Korean traditional music with science, or activity relating Korean traditional music with humanities-related subjects. The third is the type of curricular reorganization centering around Korean traditional music. This is a type of learning to reorganize the entire curriculum with a certain topic or plan programs additionally. For this, the topics are selected as inclusive topics involving Korean traditional music-related contents, and at the class of subjects related, subtopics are learned in order in the convergent class. For example, the class proceeds as a form of project by combining Korean traditional music with society, math, art, or science with a single major topic. This method of STEAM learning centering around Korean traditional music will lay the grounds for helping students understand STEAM presently being suggested as a new paradigm of education and also aid the application and practice of STEAM education intended to cultivate creative persons of ability in the field of school education.

      • 알루미늄 보강판의 압축 최종강도 붕괴 해석

        박주신(Joo-Shin Park),고재용(Jae-Yong Ko),오영철(Young-Cheol Oh) 한국항해항만학회 2007 한국항해항만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 No.춘계

        일반적으로 선박 및 해양구조물에서 사용하고 있는 고강도 알루미늄 재료들은 일반 강재에 비해서 많은 이점들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알루미늄 재료들은 여러 분야에 걸쳐서 폭넓게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초고속 선박의 선체와 갑판부에 많이 이용되어지고 있고, 교량구조물에 사용되는 박스거더, 그리고 해양구조물의 갑판부와 선측구조에도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알루미늄 구조는 전체적인 구조부재의 중량을 감소하게 하면서 선속의 증가를 가져온다. 일반적인 강구조물의 응력-변형률 관계와 비교하여 보면, 용접가공에 의하여 발생되는 열영향부의 존재로 인하여 상당히 다르게 나타난다. 왜냐하면, 강구조물에 비해 열전도율이 높아서, 열영향부의 영향이 크게 작용하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종방향 압축하중을 받는 알루미늄 보강판넬의 최종강도 특성에 대하여, 열영향부의 범위를 변화한 유한요소해석을 통하여, 열영향부의 범위와 좌굴 및 최종강도 거동의 관계에 대해서 고찰하였다. The use of high-strength aluminium alloys for ship and offshore structure has obviously get many benefits. So, these members are increasingly used in a variety of shipyards, with applications such as hull and deck in the high speed craft, war craft. Other applications are box-girder in the bridges, side plates and deck plates of the offshore structure. These structure can be reduced the structural weight, and can be obtained high speed. Comparing to the steel structures, the characteristics of stress-strain relationship for aluminium structures is fairly different because of influence of heat affected zone(HAZ) produced by welding. The extent of the reduced strength zone is mainly depending on the welding process and welding parameters and material properties. Because of the good heat conductivity of aluminium, the HAZ is much wider than for steel. In the present paper, the ultimate strength characteristics of aluminium panels subjected to axial loading are investigated using FEM series analysis with varying range of HAZ.

      • KCI등재후보

        음악과 교육과정과 연계한 초등 "방과 후 학교" 국악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박주만 ( Joo Man Park ) 한국예술교육학회 2012 예술교육연구 Vol.1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음악과 교육과정과 연계된 초등 ‘방과 후 학교’ 국악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 이다 연구의 방법과 내용으로는 먼저 방과 후 교육 프로그램과 관련된 문헌과 현재 초등학교에 적용되고 있는 2007 개정 교육과정의 국악 관련 내용을 분석하였다 이후 선행 연구를 통해 최근 방과 후 학교 프로그램의 현황을 살펴보고, 본 프로그램의 시사점을 도출한 후 음악과 교육과정과 초등 음악수업 내용을 연계한 통합적 성격의 방과 후 국악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연구의 결과로 제시된 프로그램의 예시는 총 세 가지이며 횟수는 16차시이다. 첫 번째는 전래동요 부르기와 놀이를 통한 활동 중심의 방과 후 프로그램이고, 두 번째는 국악의 기초 개념을 이해하고 용동을 통해 창작의 즐거움을 알게 하는 이해 중심의 방과 후 프로그램이며, 세 번째는 창작 국악동요와 감상곡을 통한 국악의 생활화를 강조한 방과 후 프로그램으로 구성하였다. 한편 본 프로그램으로 기대되는 교육적 효과로는 정규 음악과 교육과정을 보충, 심화하여 국악 교수-학습 개선에 도움을 줄 것이고. 학생들의 창의성과 잠재된 예술성 신장 및 음악을 통한 바른 인성 함양에 도용을 줄 것이다. 또한 음악학습과 보육에 대한 사교육비의 부담이 완화시켜 계층간 지역 간 교육 격차가 줄어들어 실질적인 교육 복자를 구현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aim; to develop ``after-school`` gukak(Korean traditional music) teaching programs connected with the music curriculum Regarding the research methods and contents for it, first of all, this paper conducted literature review for after-school educational programs and analyzed the contents of gukak in ``2007 revised music curriculum``. Also, based on advanced research, this study drew the implications of this program by analyzing the status of operating after-school programs so far and developed an after-school gukak teaching program with integrated characteristics in which the curriculum and elementary music class are connected. The example of the after-school gukak program suggested as the research result includes total three activities. The concrete principl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program are as follows: first, it is an after-school gukak teaching program is for ``understanding``, The name of the program is ``Singing and Playing``. It is an experience-centered Gukak program which has singing traditional nursery rhymes as its main activity and emphasizes traditional plays. Second, the after-school gukak teaching program is for ``understanding``. The name of the program is ``I am a Gukak Composer``. Regarding the program`s main goal and characteristics, the chief goal is to let students understand the basic concept of gukak and know the pleasure of creation through gukak. Third, it is an after-school gukak teaching program to ``make gukak a way of life``, The name of the program is ``Gukak is My Friend``, In terms of the program`s main goal and characteristics, it includes music activities emphasizing how to make gukak a way of life through creative gukak nursery rhymes and songs for appreciation

      • 당뇨병 환자를 위한 혈당조절 장치

        박주한(Joo-Han Park),김지윤(Ji-Yun Kim),서방원(Bangwon Seo) 한국정보기술학회 2021 Proceedings of KIIT Conference Vol.2021 No.11

        당뇨병 환자들은 병을 더 악화시키는 것을 막기 위해 혈당조절이 필요하다. 환자들이 조절을 할 수 있도록, 무게측정 센서를 이용하여 먹은 음식의 무게를 측정해서 음식 무게에 따른 혈당을 계산하고, 자이로 센서를 이용하여 걸음 횟수를 측정하는 장치를 구현하였다. 정해진 시간에 인슐린 주사를 맞을 수 있도록 RTC 모듈을 사용하여 지정한 시간에 알람을 울릴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또한, 와이파이 모듈을 이용하여 하루에 걸은 횟수와 먹은 혈당량을 데이터베이스화시켜 본인이 얼마나 혈당을 잘 조절하였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이로 인해 당뇨병 환자들에게 이전보다 더 잘 혈당을 조절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Diabetics need blood sugar control to prevent further exacerbation of the disease. In order for patients to control it, blood sugar according to the weight of the food will be calculated by measuring the weight of the food they ate using a weight-measuring sensor, and a device for measuring the number of steps was implemented using a Gyro sensor. We designed the device to sound an alarm at a specified time using an RTC module for regular insulin injections. In addition, the Wi-Fi module is used to database the number of walks a day and the amount of blood sugar eaten so that patients can see how well they controlled blood sugar. It is expected to provide diabetics with a better environment to control blood sugar than befo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