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연성흠의 아동문학 연구

        박주혜(Park, Juhye)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2021 아동청소년문학연구 Vol.- No.28

        연성흠의 아동문학 작품은 배려 및 희생과 도움의 가치를 강조한다. 이는 작가 연성흠이 1920년대를 바라보는 시선이기도 하다. 연성흠은 이러한 의도를 드러내는 방향으로 작품을 구조화한다. 그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작품의 주요 메시지를 전달하는 아동주체의 주변인으로서 타자들을 매우 중요하게 다룬다. 두 번째, 이렇게 만들어진 주변인, 즉 타자의 시선에서 아동주체의 의미가 생성된다. 세 번째, 관찰자 시선을 통하여 객관적으로 인물과 상황을 보여준다. 이러한 특징은 작가가 전달하고자 한 주제의식을 더욱 잘 드러내는 역할을 한다. 연성흠의 아동문학 작품에서는 메시지 전달 주체보다 주변인으로서 타자의 캐릭터성이 더욱 부각된다. 욕심을 부리지 말고, 잘 참아야 하며, 타자에게 공감하고 위로를 줄 수 있는 사람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 작품의 주요 메시지이다. 이때 메시지 전달 주체보다 주변인 캐릭터를 더욱 공들여 만들어 놓음으로써 주인공의 행동과 사건의 결과에 더욱 당위성을 부여한다. 주변인 캐릭터를 통하여 독자의 동의를 얻어내는 방식을 선택한다. 연성흠의 작품에 내재되어 있는 주제의식인 배려, 연대, 도움의 가치는 주체가 스스로 정의내리는 것으로는 진정한 의미 확보가 불가능하다. 이러한 가치는 타자의 인정을 통해서만 생성된다. 연성흠은 타자의 시선 속에서 주체가 탄생되는 순간을 포착한다. 객관적으로 상황을 서술하는 관찰자 시점 또한 주제의식을 효과적으로 보여주기 위해 의도적으로 선택된 것이다. 연성흠의 아동문학은 힘들고 괴로운 시대적 현실 속에서도 주변인을 통하여 존재의 가치를 깨닫고, 주변인에게 도움이 되는 행위를 삶의 동력으로 바라본다. 연성흠은 1920~30년대 초반 다양한 아동문학 작품 속에서도 자신만의 특성을 작품에 녹여내고 있다. Yeon Seong-Heum’s children’s literary works emphasize the meanings of consideration, sacrifice, and help, which is his viewpoint on time. Yeon Seong-Heum structuralizes his works in the direction to fully show this intention. As the first characteristic, others are handled very importantly as surrounding people of a child subject who delivers the main messages of the work. In the second characteristic, the meaning of the child subject is formed in the viewpoint of surrounding people and others. In the third characteristic, the main character, surrounding people, and situation are objectively described in the viewpoint of observer. Those characteristics fully show the author’s thematic consciousness. In Yeon Seong-Heum’s children’s literary works, the characters of others are more highlighted as surrounding people than the subject of message delivery. The main messages of his works are like ‘Everyone should become a person who is patient without greed, and also empathizes and supports others’. By putting more effort on the creation of surrounding characters than the subject of message delivery, the rightfulness is given to the main character’s action and result. He obtains readers’ consent through the characters of surrounding people. Regarding the values like consideration, solidarity, and help, which is the thematic consciousness inherent in Yeon Seong-Heum’s works, the definition made by the subject is not good enough to secure the true meanings. Such values could be formed only by others’ recognition. As a method to deliver this thematic consciousness, Yeon Seong-Heum captures the moment when a true subject is born in others’ eyes. The viewpoint of observer objectively describes every situation and fairly describes works without concentrating on a specific character. Through this method, the readers could view the subject that has passed others’ eyes, instead of the subject’s position. This method is intentionally chosen by the author to effectively show the thematic consciousness penetrating the work. Yeon Seong-Heum’s children’s literature realizes the value of beings through surrounding people, and also regards the acts helpful for surrounding people as motive power even in difficult and painful reality of the time. Among various children’s literary works of the 1920s~1930s, Yeon Seong-Heum shows his own unique characteristics in his works. It should be considered that Yeon Seong-Heum’s children’s literature is playing an important role in strengthening the basis of Korean modern children’s literature.

      • KCI등재

        경도 지적장애아동의 관형절이 포함된 내포문 이해에 관한 연구

        박주혜(Ju Hye Park),김영욱(Young Wook Kim)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09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4 No.4

        배경 및 목적: 관형절의 첨가위치와 관형절이 수식하는 명사의 격표지의 병행기능 단서에 따른경도 지적장애아동의 관형절이 포함된 내포문의 이해특성을 살펴봄으로써, 경도 지적장애아동의 언어이해 평가와 아동의 수준을 고려한 적절한 중재계획과 실행을 위한 임상적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방법: 언어연령 5∼6세인 경도 지적장애아동 20명과 일반아동 20명을대상으로 연구자가 작성한 검사문장과 검사그림의 도구를 이용하여 그림선택 과제를 통한검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결과: 첫째, 관형절의 첨가위치 단서에 따른 이해특성에있어서는 두 집단 모두 왼쪽 분지문의 이해도가 가운데 내포문의 이해도보다 높았다. 둘째,관형절이 수식하는 명사의 격표지의 병행기능 단서에 따른 이해양상에 있어서는 두 집단 모두관형절이 수식하는 명사의 격표지 기능이 병행인 경우가 병행이 아닌 경우의 이해도보다 더높았다. 논의 및 결론: 경도 지적장애아동의 관형절이 포함된 내포문의 이해 증진을 위한 효율적인 중재를 위해서는 관형절 자체가 지니는 구문적 특성과 아동이 지니는 이해특성을 파악하는 것이 전제되어야 할 것이다. intellectual disabilities to identify differences in their ability to comprehend relative clause sentences, depending on additional position and function cues of parallel function. We aimed to obtain data to design effective intervention plans for these children, with consideration for the level of their language comprehension. Methods: We surveyed 20 children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whose language age was between 5 and 6-years-old and 20 non-disabled children. We collected data using test pictures and test sentences prepared by the researcher to determine ability of each child to understand relative sentences through the sentence-picture verification test. Results: First, with respect to positional cues, both groups appeared to be better at understanding left branching sentences than center-embedded sentences. Second, the use of parallel function cues resulted in better understanding than when different case-marker function cues were used. Discussion &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y that it is necessary to promote and activate language comprehension in children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through complementary strategies involving the efficient arbitration strategy, the children’s characteristics of understanding, and the syntactic characteristics of relative clauses.

      • 전기화학 임피던스 기반 시멘트 재료의 물-시멘트비 도출 알고리즘 개발

        박주혜 ( Park¸ Joohye ),최하진 ( Choi¸ Hajin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23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7 No.2

        현장에서 콘크리트의 내부 상태를 평가하는 방법으로 EIS 기법을 활용하였다. EIS는 전기적 반응에 기초한 신호 응답을 해석함으로써 측정 대상의 내부 성분 및 시스템을 분석할 수 있는 비파괴적 방법이다. 시멘트 재료에서 제안된 등가회로 모델이 설명하는 전기화학적 반응에 기초하여, EIS 실험 환경을 구성하였으며 시멘트 페이스트의 임피던스를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로부터 PCA 가공을 거친 임피던스 데이터와 등가회로 모델을 가정한 파라미터 데이터를 준비하여 실제 배합에 사용한 물-시멘트비와의 상관관계를 도출하였다.

      • KCI등재

        고한승의 1920년대 창작동화 연구

        박주혜(Park, Ju-Hye) 우리문학회 2021 우리文學硏究 Vol.- No.72

        본 연구는 아동문학가 고한승의 1920년대 창작동화를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고한승은 1923년에 처음으로 창작동화를 발표한 이후, 1930년까지 10여 편의 창작동화를 발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그간 고한승의 창작동화의 한계점으로 평가받아 온 설화적 특성을 고한승 작품만의 특수성으로도 파악할 수 있음에 주목한다. 이를 위해 우선 고한승 작품에 드러나는 상상력의 의미를 살펴본다. 그의 작품이 설화적 특징을 가졌다는 것은 비현실적인 요소를 다수 포함하고 있다는 것을 반증한다. 이러한 요소들을 환상적인 상상력의 구현으로 해석한다. 상상력이 시작되는 지점에 작가가 당대 현실에서 포착한 한계의 지점이 있고, 이를 기반으로 상상력이 발휘되고 있음을 살펴본다. 고한승 창작동화의 인물들은 생각하는 주체에서 행동하는 주체로 이행한다. 이를 통해 작가는 주변을 세심히 살피고, 함께 아파할 수 있으며, 마음을 행동으로 실천해야 함의 중요성을 드러낸다. 작품 내에서 더욱 강조된 타자를 위한 행동은 고한승이 당대의 독자 아동들에게 무엇보다 강조한 가치이다. 이러한 지점을 독자 아동들에게 쉽고 일상적으로 전달하기 위하여 고한승은 설화적 형식을 의도적으로 선택한다. 아동들의 현실과 작품의 거리감을 좁히기 위하여 자연환경에서 작품의 소재를 선택하였고, 설화적 형식을 적극적으로 활용해왔음을 살핀다. 고한승은 1920년대 누구보다 선구적으로 창작동화를 창작한 아동문학가이다. 그는 1920년대 아동문학에 특수하고, 확고한 방법으로 자신을 기입하고 있었다. In this study, Go Han-seung’s creative children’s stories from the 1920s are reviewed in detail. After his first children’s story in 1923, Go Han-seung published more than 10 stories until the 1930s. This study focuses on the fact that the feature of folk tale, which has been considered as the limit of his creative children’s stories, can be comprehended as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For this purpose, the imaginative aspects of his stories are understood first. At the point where imagination starts is the point of limit he grasped in the reality of those days, and based on this, his imagination is exercised. Characters of his works are switched from the subjects of thinking into those of acting. Through this, he reveals the importance of observing surroundings meticulously, sharing sorrows, and practicing mind into action. In order to convey this to young readers easily and frequently, he inevitably chose the folk tale as the most appropriate form of storytelling for the purpose. To narrow down the distance between reality and stories, he picked up subjects from the natural environment and wove them into folk tales. Go Han-seung is a pioneering writer of children’s stories. He holds a distinct and strong position among the writers of children’s literature of the 1920s.

      • EIS 기반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최적 등가회로 모델 연구

        박주혜(Park, Joohye),홍진영(Hong, Jinyoung),최하진(Choi, Hajin) 한국콘크리트학회 2021 한국콘크리트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33 No.2

        이 연구에서는 굳지 않은 시멘트계 재료를 대상으로 EIS를 적용하여 최적의 등가회로 모델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기존 문헌에서 제안된 등가회로 모델 모두 확인하였으며, 자체 실험을 통하여 얻은 300개의 데이터에 각각 적용하였다. 최적화 과정을 통하여 최적 등가회로 모델을 제시하였으며,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지표인 Goodness는 0.052로 도출되었다. This study confirmed the optimal equivalent circuit model by applying EIS to fresh cementitious materials. The equivalent circuit models proposed in the existing literature were analyzed and applied to 300 data obtained through our EIS experiment. As a result, the best-fit equivalent circuit model was presented through the optimization process, and Goodness, a indicator of correlation, was derived as 0.052.

      • KCI등재

        기독교 신앙을 가진 어머니의 자녀양육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박주혜(Joohye Park),김아미(Ami Kim),홍경화(Kyungwha Hong)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20 기독교교육정보 Vol.0 No.65

        본 연구는 기독교 신앙을 가진 어머니의 자녀양육 경험과 이들의 공통성을 현상학적 연구 방법론을 통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6년 이상의 신앙 경력을 가진 전업주부로 초기 아동기 자녀를 둔 어머니들을 선정하였고 총 5명을 대상으로 개별 심층면담을 진행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Colaizz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자녀양육 경험에 대해 72개의 주제와 20개의 주제군, 6개의 범주로 도출이 되었다. 6개의 범주는 각각 ‘양육 중 훈육과 교육,’‘양육의 어려움,’‘양육에 동반되는 감정들,’‘양육의 어려움에 대한 대처,’‘양육과 함께 경험하는 자신의 변화,’ ‘도움과 필요들’로 나타났다. 자녀양육 경험의 신앙적 공통점에 대한 결과는 17개의 주제와 9개의 주제군, 6개의 범주로 도출이 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서 기독교 신앙을 가진 어머니들의 자녀양육 경험에 관하여 보다 심층적으로 볼 수 있었고, 향후 부모교육 및 자녀양육을 위한 상담 및 교육 프로그램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phenomenological study was to examine the experiences and commonalities of mothers with Christian faith in their child rearing experiences. For this study, in-depth interview were conducted with five participants who were full-time housewives with children in their early childhood. All five participants had been Christians for more than 16 years. Colaizzi"s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was us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In this study, 72 themes, 20 theme clusters, and six categories were derived regarding participants" child rearing experiences. The six categories were "discipline and education during child rearing," "difficulties in child rearing," "emotions accompanying child rearing," "copying with challenges to child rearing," "changes in their own experience with child rearing" and "areas of needs." In addition, there were 17 themes, 9 theme clusters, and six categories regarding faith related child rearing experiences. This study made significant contribution in understanding Christian mothers" child rearing experiences in depth and can be used as foundational data for future parent education and parenting programs.

      • KCI등재

        『동화와번역』 : 이태준과 현덕의 유년동화에 나타난 아동의 구현 양상 연구

        박주혜 ( Ju Hye Park ) 건국대학교 동화와번역연구소 2014 동화와 번역 Vol.27 No.-

        아동은 당대 사회의 지배적 이데올로기를 담아내는 기표이다. 식민지시기에 아 동은 다양한 양상으로 투영된 이데올로기의 모습을 보여주었다. 1920년대 동심천 사주의적 아동관을 지나, 1930년대 중반까지는 카프계열의 리얼리즘을 강조한 사 회주의적 아동관이 나타났다. 카프 해산 이후 이러한 이데올로기와 결별을 하게 되면서, 비어있는 공백을 메우고자 했던 아동 문학 작가들의 노력은 ‘있는 그대로 의 아동’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졌다. ‘있는 그대로의 아동’을 포착하려 했다는 점에서 1930년대 중반 이후 아동 문 학 작가들의 작업은 진정한 아동을 복권시키기 위한 노력으로 볼 수 있다. 이들은 아동들을 아동되기로서의 주체로 그려내고 있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그리고 이태 준과 현덕의 유년동화는 이러한 지점에서 유의미하게 논의되어야 한다. 두 작가의 유년동화에는 아동되기로서의 주체 형성 양상이 구체적으로 나타 난다. 이러한 특징은 내용적인 측면과 형식적인 측면으로 나누어 살펴 볼 수 있다. 먼저 내용적인 측면에서의 양상 첫 번째는 아동인물이 엄마와 직접적인 관계 성을 생산한다는 점, 두 번째는 놀이를 통해 즐거움을 느끼는 아동이 탄생한다는 점, 세 번째는 아동인물들이 호기심과 천진성을 보인다는 점, 네 번째는 유년동화 에 나타난 아동인물들이 자기중심적 사고를 보인다는 점이다. 형식적인 측면에서의 양상 첫 번째는 의도적으로 반복구조와 열린 결말을 사용 하고 있다는 점이고, 두 번째는 관찰자 시점을 사용하여 서술자의 개입을 최소화 하고 있다는 점이다. 마지막으로 이태준과 현덕의 유년동화에서 즐거워하는 아동의 모습이 왜 나타 나게 되었는가에 주목해보았다. 즐거워하는 아동의 탄생은 시대의 모순을 드러내 고 있는 것이며, 그에 대한 고발이다. 이러한 현상은 결코 웃을 수 없는 시대에 대 한 은근한 폭로를 내재하고 있다. 이처럼 이태준과 현덕의 유년동화에 나타난 아동의 구현 양상은 진정한 아동 을 복권시키기 위한 노력으로 살펴볼 수 있다. 아동되기로서의 주체 형성 과정은 이러한 모습을 더욱 확실시 하는 것이며, 이러한 모습의 아동이 구현되어 나타난 것은 시대적 상황을 고려할 때 필연적인 것이다. Taejun Lee and Hyeondeuk`s children`s stories show the specific process of child-becoming as an example of the formation of subjectivity. This characteristic can be divided into content and form. In terms of content, the first thing to notice is that their child characters form a direct relationship with their mothers. The second aspect is that children started to feel pleasure through playing. The third is that child characters are innocent of and curious about things. The fourth is that these characters tend to think in a self-oriented manner. In terms of form, the first formal aspect is that these stories intentionally use repetitive structures and open endings. Second, they use the observer`s perspective to minimize narratorial intervention. Lastly, this study explores why Taejun Lee and Hyeondeuk`s children`s stories show happy children enjoying themselves. The appearance of children enjoying themselves reveals the social contradictions of the time and the denouncement thereof, implying a subtle critique of a period when one can never enjoy oneself or laugh. As such, the depiction of children in Taejun Lee and Hyeondeuk`s children`s stories shows their efforts to restore the genuine character of children. The process of forming children as the main subjects under the theme of child-becoming reaffirms such a depiction. Given the situation of the period, this type of depiction of childhood is necessa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