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생태계서비스 기반 국립공원 생태복지 개념정립 및 정책방향 설정

        은하 ( Eun Ha Park ),최수정 ( Su Jung Choi ),오충현 ( Choong Hyeon Oh ),정부희 ( Boo Hee Jung ),이나연 ( Na Yeon Lee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6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30 No.2

        생태복지는 인간의 복지와 건강한 생태계의 상호관계성에 대한 국제적 담론에서 시작되었다. 본 연구는 국립공원이 생태복지의 최대 실현가능 지역이라는 점에서 국립공원에 적합한 ‘국립공원 생태복지’ 개념을 정립하고 정책방향을 설정함으로써 향후 국립공원에서의 생태복지 실현을 도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사전워크숍과 총 2회에 걸친 델파이 조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국립공원 생태복지’는 국립공원에서 생태계의 지속가능성과 생물다양성을 유지하며, ‘국립공원 인간복지’와 ‘국립공원 생태계복지’의 조화를 지향하는 복지로 정의되었다. 2차 델파이 결과 모든 항목에서 평균 4.00 이상, 내용 타당도(CVR) 0.37 이상, 변이계수(CV)0.5 미만으로 타당한 내용으로 확인되었다. 국립공원 생태복지의 정책방향을 설정하기 위해 생태복지의 바탕이 되는 생태계서비스의 요소들 중 국립공원에 적합한 주요 요소를 도출한 결과 공급서비스에서 먹이·식량, 물, 유전자원 3항목, 조절서비스와 기반(서식지)서비스의 모든 항목, 문화서비스에서 미적정보, 휴양관광, 심신치유, 지식체계ㆍ교육적가치 4항목이 최종 도출되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국립공원 생태복지의 개념과 향후 국립공원 생태복지 정책이 어떻게 나아가야할지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이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향후 이에 대한 구체적인 단위사업에 대한 실행계획이 수반되어야 하며 이를 위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The concept of Eco-welfare emerged in the process of discove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 healthy ecosystem and human wellbeing.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offer basic data for eco-welfare policy realization by conceptualizing the ‘National Park Eco-welfare’ since national parks are appropriate places for eco-welfare to be optimally implemented. A pre-workshop and two rounds of Delphi surveys were conducted to determine the concept of the ‘National Park Eco-welfare ’ and the main elements to be included in ecosystem service. Through this study, the concept of ‘National Park Eco-welfare’ was defined as efforts to conserve the biodiversity and sustainability of the ecosystem and create harmony between ‘National Park Ecosystem Welfare’ and ‘National Park Human Welfare’. To establish the direction of the National Park Eco-welfare policy, we identified the main elements of ecosystem services which are appropriate for the National Park. These are comprised of 3 elements (food, fresh water and genetic resources) from supply service, all elements from regulating service and supporting/habitat service and 4 elements (aesthetic information, recreation-based ecotourism, healing, and knowledge systems with educational values) from culture service. In this study, the concept of National Park Eco-welfare was established, and its policy objectives and scope were suggested. However, further studies are necessary to develop action plans areand thereby realize the policy.

      • KCI등재

        정성일의 <오아시스> 비판에 투영된 관점의 가능성과 한계 - 정성일 영화비평에 대한 일고찰 -

        우성 ( Park Woo-sung ),정수완 ( Jung Su-wan ) 국제어문학회 2015 국제어문 Vol.0 No.67

        본 연구는 영화비평가 정성일이 <오아시스>(이창동, 2002)에 대해서 쓴 비평문「판타지, 기만적인 환영술」을 비판적으로 분석한다. 그간 한국영화계에서 영화비평은 독립적인 분과로 논의되지 못했다. 산적하는 영화들 안에서 영화적 가치를 발굴해 정리하고 새로운 영화 언어를 대중 언어로 번역하는 것이 영화비평의 역할이라 했을 때 이는 문제가 있다. 영화비평에 대한 그간의 접근은 한국영화사의 맥락에서 특정 영화비평집단을 세대론적으로 조망하거나 특정 개인의 비평 세계를 전기적 관점에서 서술한 것에 머문 한계가 있다. 정성일은 1990년대 한국영화비평의 전성기를 주도했던 한국의 대표적인 영화비평가이다. 호불호가 갈리지만 그의 글은 대중들 사이에서 영화비평이라는 개념이 성립되는 과정에 주요한 이미지를 제공했다. 특히 본 연구가 다루는 정성일의<오아시스> 비판은 논쟁 참여를 전제해 작성된 덕분에 비평담론 자체가 중심에 서있고 무엇보다 정성일의 영화에 대한 태도가 여타의 글에 비해 명확하게 드러나는 특징이 있다. 더구나 그 논쟁은 영화의 윤리, 완성도, 자의식 등을 두고 벌어진 영화비평계 내부의 마지막 논쟁이라는 영화비평사적 의의도 있다. 나아가 영화 한편에 대한 긴 글이기 때문에 한국의 대표적 비평가가 영화를 비평하는 구체적 실천 양상이 현장감 있게 녹아 있기도 하다. 영화를 종교처럼 대한다는 비판이 존재하지만 정성일 영화비평의 경쟁력은 숏의 배치, 장르 문법, 카메라 시선과 같은 영화의 자의식을 정밀하게 분석하는 것에서 나온다. 영화란 무엇인가와 같은 근본적인 질문에 기반을 둔 이런 태도는 영화를 여타의 학문에 종속시킨 종래의 비평 태도와 차별되며 영화를 진지하게 바라보는 태도를 대중화시킨 의의가 있다. 하지만 그것만큼의 오류도 발견된다. <오아시스>를 비판할 때 투영되는 정성일의 관점의 가능성과 한계를 구체적으로 밝힘으로써 한국영화비평의 전성기를 주도했던 한 영화비평가의 개성적 세계관을 비판적으로 조망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독립적인 분과로 인식되기는커녕 죽음까지 운운되는 영화비평의 위기 시대에 한국의 대표적 영화비평가의 세계관이 상징적으로 녹아 있는 글을 정밀하게 분석하는 것은 그것 자체로 의미 있다. This study analyzes the critique “Fantasy, deceptive hallucination” which sung-il jung wrote about < Oasis >(Changdong Lee 2002). Film critique has not been recognized and discussed as an independent field in the Korean film industry so far. It can be problematic if the role of film criticism is to get the cinematic values arranged among the pile of films and to translate new cinematographic language into the public language. The approach to the film critique to this point has limitation that in the context of Korean film industry, it viewed certain group of film critics in the perspective of theory of generation and it described certain person`s world of criticism in a biographical way. sung-il Jung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film critics in Korea who lead the golden age of Korean film criticism in the 1990s. His writings provided important image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concept of film critique among the public, even though they are controversial. The Jung`s criticisms this study exclusively deals with are based on the premise of argumentative participation, so the discourse is central and fundamental, and it brings out the cinematic view of Jung precisely compared to the other writings and articles, which is the advantages of this study. Moreover, the argument has significance in the field of film criticism for being the last dispute inside the field of film critique over the morals, degree of completion, and the consciousness of identity. Above and beyond, because this paper is a long writing about a movie, it contains detailed and vivid practical aspect which the representative critic of Korea criticizes the movie. Although there are criticisms of discussing movies like a form of religion, sung-il Jung`s film critique is competitive for detailed and precise analyze of films` sense of identity such as plot of shots, code of genre, and the eyes of cameras. This attitude based on the fundamental questions such as what is film is considered significant for popularizing and promoting earnest attitude toward movies, and is differentiated with the traditional attitudes of criticism which are to subordinate films in the other fields of study. However, due to being so, some errors are discover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itically outlook a distinctive world view of a film critic who enjoyed the film critique`s prime by concretely describing its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through revealing Jung`s point of view which is his prerequisite for watching movies. The work of precise analyzing of one of the Korean representative film critics` writings which contains symbolic world view is significant and meaningful by itself in the time of the film criticisms` crisis when the idea of the demise of film criticism is being mentioned, let alone its separation as the independent field.

      • KCI등재후보

        건칠계복정으로 치료한 임상적 진행성 폐암 환자 1례

        소정,강휘중,지혜,조종관,유화승,Park, So jung,Kang, Hwi joong,Park, Ji hye,Cho, Chong kwan,Yoo, Hwa seung 대한암한의학회 2015 大韓癌韓醫學會誌 Vol.20 No.1

        Objective : This case report presents the effects of Gunchilgyebok-Jung to a patient who was clinically diagnosed with advanced lung cancer. Methods : The study involved a 74-year-old male patient clinically diagnosed with advanced (stage III) lung cancer by chest computed tomography (CT) and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The patient had two masses (11.32 mm and $23.03mm{\times}35.34mm$) in the right upper lobe of the lung and in the mediastinum respectively. Gunchilgyebok-Jung commonly used for its anti-tumor and anti-inflammatory effect is composed of Rhus verniciflua stokes and Guizhifuling wan extracts. We prescribed Gunchilgyebok-Jung at a dosage of 1 g three times a day for 50 days. Results : After the administration of Gunchilgyebok-Jung, a decrease in tumor size to 10.69 mm and $22.71mm{\times}34.21mm$ on chest CT was observed. A numerical rating scale (NRS) showed an improvement in symptoms from points 7-8 to 3-4. Conclusion : This study suggests that Gunchilgyebok-Jung may have considerable anti-tumor and immunopotentiating activity in lung cancer without any adverse effects.

      • KCI등재후보
      • KCI우수등재

        원저 : 임신성 당뇨병의 위험인자

        지회 ( Ji Hoe Park ),송홍지 ( Hong Ji Song ),천정기 ( Joung Ki Choun ),조정진 ( Jung Jin Cho ),백유진 ( Yu Jin Paek ),경희 ( Kyung Hee Park ),김암 ( Ahm Kim ),이필량 ( Pyl Ryang Lee ),황종윤 ( Jong Yun Hwang ) 대한비만학회 2005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Vol.14 No.3

        연구배경: 한국인의 임신성 당뇨병은 2~3%의 유병률을 가지며 제2형 당뇨병의 위험인자로 알려져 있다. 이에 우리나라 여성에서 임신성 당뇨병 위험 인자에 대해 알아보고 임신 전 체중과 임신 중 체중 변화가 임신성 당뇨병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0년 1월부터 2002년 12월까지 모 대학병원 산전 진찰을 하기위해 임신 제 1 삼분기부터 산부인과를 방문한 20~40대 산모들 중 확진 검사에서 임신성 당뇨병으로 진단된 91명의 환자군과 같은 연령대의 정상 산모군 175명에 대해 임신 전, 첫 방문 주수, 선별 검사, 확진 검사 시기별로 임상적 특성 및 산과적 과거력에 대해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 대상자의 연령은 환자군이 평균 32.6±4.1세, 정상 대조군이 32.3±4.2세였다. 임신 전 체질량지수는 환자군에서 22.7±3.6 ㎏/㎡, 대조군에서 20.3±2.2 ㎏/㎡로 환자군에서 유의하게 높았고, 선별 검사 시행 시기의 체중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요검사상 요당 검출 (P<0.001), 당뇨병 가족력 (P<0.001), 임신성 당뇨병 (P<0.001)과 임신성 고혈압 과거력 (P=0.034), 전 아이 체중 (P=0.018)은 환자군에서 유의하게 높았고, 임신력, 분만력, 선별 검사 시행 시기까지 체중 변화량, 변화율, 혈압, 자궁 내 성장 지연, 거대아 출산력, 자궁 내 태아 사망, 기형아 출산, 조산 횟수는 군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다변량 분석에서 임신 전 체질량지수 (정상, 과체중, 비만군 교차비 OR=2.992, 4.811, 16.196), 요당 검출 (OR=57.160), 당뇨병 가족력 (OR=5.016)에 대해서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한국인의 임신성 당뇨의 산전 교정 가능한 위험 인자는 임신 전 체질량지수이고, 임신 전 체중 조절을 통해 임신성 당뇨병 위험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Background: The prevalence of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GDM) is 2~3% in Korean women and GDM is known as a risk factor of type 2 DM. The effects of pregestational weight and also the impact of weight change during gestational period on GDM were studied in addition to the risk factors of GDM. Methods: Subjects involved 266 pregnant women, in their twenties to forties, who visited the Obstetrics and Gynecologic clinic in a university hospital for prenatal care from January 2000 to December 2002. The GDM group consisted of 91 women, who were confirmed by 100g oral glucose tolerance test (OGTT), and the control group consisted of 175 women.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obstetric histories of the subjects were assessed and analyzed each time during pregestation period, first visit, screening test period and final test period. Results: The mean age of participants in the GDM group was 32.6±4.1 and that of the control group was 32.3±4.2. The mean pregestational body mass index (BMI) was statistically higher (22.7±3.6 ㎏/㎡) among the GDM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20.3±2.2 ㎏/㎡). Other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were glucosuria (P<0.001), family history of DM (P<0.001), past history of GDM (P<0.001), pregnancy induced hypertension (P=0.034), previously delivered baby`s weight (P=0.018). According to the multivariate analysis, those with family history of DM (OR=5.016), high pregestational BMI (OR=4.811 (overweight), 16.196 (obesity)), and glucosuria (OR=57.160)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GDM. Conclusions: We conclude that high pregestational BMI is a significant risk factor of GDM in Korean women. The risk of GDM may be prevented by pregestational weight control.

      • KCI우수등재
      • KCI등재후보

        성인학습자의 성취목표지향성과 참여동기 및 자아개념이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

        박정례 ( Jung Rye Park ),한상훈 ( Sang Hoon Han )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13 교육연구논총 Vol.34 No.2

        본 연구는 성인학습자의 성취목표지향성, 참여동기, 자아개념이 학습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를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학습몰입 요인들을 성취목표지향 요인들, 참여동기 요인들, 자아개념 요인들로 구분하였고, 성인학습자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였다. 수집된 설문자료에서 학습자들이 보이는 경향성을 구체화하기 위해 성취목표지향성, 참여동기, 자아개념에 대해 하위척도들 간의 평균치 차이 검증을 실시하였고, 성취목표지향성과 참여동기, 자아개념 및 학습몰입수준의 하위변인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성취목표지향성과 참여동기, 자아개념이 학습몰입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성인학습자의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성취목표지향성, 참여동기, 자아 개념 및 학습몰입은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성인학습자의 성취목표지향성, 참여동기, 자아개념 및 학습몰입 간의 상관관계에서 자아개념과 학습몰입, 참여동기와 학습몰입의 상관도가 높았고 그 다음은 참여동기와 성취목표, 자아개념과 참여동기, 성취 목표와 학습몰입, 자아개념과 성취목표 순으로 상관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인학습자의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은 자아개념, 참여동기, 성취목표 순으로 학습몰입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학습자들의 학습활동 그 자체에서 흥미를 찾을 수 있도록 자아개념을 높여준다면 학습몰입을 경험할 수 있을 것이다. In the world of education, the 21 century can be defined as the era of lifelong and open education. For today`s people, continuous self-development through lifelong learning is considered critical not just for personal happiness and survival in society but also as a source of competence in knowledge-based society. As the world enters the era of limitless competition with the spread of globalization, people`s interests in human resources are growing and professional education is gaining more importance. The structural transition into a knowledge-based society and the rise in living standards has contributed to various needs for adult education and an increasing call for learner-oriented leaning activities. To meet such needs, the focus should be on what adult learners consider is practical and what they want to learn in daily lives because adult learners tend to become more passionate and immerse themselves in learning when they feel that they are actively developing their abilities through learning and reaching goals. In this study, the author i) examined four factors - goal orientation, motivation, self-concept and learning flow - depending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adult learners, ii) analyzed correlations among the factors and iii) identified the effect of goal orientation, motivation and self-concept on learning flow in adult learners by using an empirical method. A survey was conducted on adult learners at the age of 20 or over who were taking lifelong education programs in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The results indicated that lifelong education contributed to the quality of life, social exchange and skill development in adult learners, and that active participation in learning activities influenced the learning flow. It was also found that goal orientation, motivation and self-concept ha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learning flow and the effect of self-concept was the clearest followed by motivation and goal orientation. In adult learners, it was discovered that the stronger self-concept they had, the better immersed they were in learning. And people with a higher level of education tended to make relatively more efforts in self-development and have more interests in and a stronger sense of achievement from learning compared with the rest.

      • KCI등재

        돌단풍 에탄올 추출물이 고지방식이를 급여한 흰쥐의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유화(Yu Hwa Park),김희연(Hee Yeon Kim),임상현(Sang Hyun Lim),김경희(Kyung Hee Kim),동식(Dong Sik Park),이정훈(Jung Hoon Lee),충근(Chung-Geon Park),충범(Chung Berm Park),김성문(Songmun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1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0 No.10

        본 연구의 목적은 돌단풍 에탄올 추출물의 지질대사 개선 및 항비만 효과에 대해 구명하고자 4주령 된 흰쥐 40마리를 고지방 사료 급여로 비만을 유도한 후 정상군, 고지방 식이 대조군, 돌단풍 에탄올 추출물 처리군, 양성 대조군(가르시니아)으로 나누어 8주간 실시하였다. 고지방 식이로 인하여 체중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돌단풍 에탄올 추출물은 고지방식이만을 투여한 대조군과 비교 시 9.68%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양성대조군인 가르시니아 투여군과 유의적으로 같은 수준이었다. 돌단풍 에탄올 추출물이 식이섭취량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식이효율은 고지방식이만을 투여한 대조군이 정상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돌단풍 에탄올 추출물 투여군과 양성 대조군은 유의적으로 같은 수준이었으며 고지방 식이만을 투여한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혈청 중 총콜레스테롤 함량은 고지방 식이만을 투여한 대조군이 정상군 대비 15.26%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돌단풍 에탄올 추출물 투여군과 양성 대조군인 가르시니아 투여군은 고지방 식이만을 투여한 대조군 대비 각각 11.46, 10.53%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혈청 중 중성지방 함량은 고지방 식이만을 투여한 대조군이 정상군 대비 34.79%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돌단풍 에탄올 추출물 투여군과 양성 대조군인 가르시니아 투여군은 고지방 식이만을 투여한 대조군 대비 각각 9.02, 6.45% 감소하였으나 유의차는 없었다. 간과 복강 내 지방 조직의 무게는 돌단풍 에탄올 추출물 급여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 부고환 지방 조직의 무게는 유의차가 없었다. 간 조직 내 중성지방의 경우 고지방 식이만을 투여한 대조군에서 정상군 대비 21.39% 유의적으로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돌단풍 에탄올 추출물 처리군과 양성대조군에서는 고지방식이만을 투여한 대조군 대비 각각 12.83, 10.52%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위의 실험결과 돌단풍 에탄올 추출물은 체중, 간, 복강 내 지방조직의 감소와 지질대사 개선에 효과적으로 작용하였으며, 향후 돌단풍은 비만 예방 및 치료에 효과적인 소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anti-obesity activity of Aceriphyllum rossii ethanol extract on rat fed a high fat diet. Male SD rat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Group 1 was the control. Group 2 was fed a high-fat diet. Group 3 was the positive control, fed a high-fat diet supplemented with Garcinia Cambogia extracts. Group 4 was fed a high fat diet supplemented with ethanol extracts of Aceriphyllum rossii (EEAR). Precisely 166 mg/kg of powdered Garcinia Cambogia extracts was used for Group 3. Also, 250 mg/kg of EEAR was used for Group 4. The Body weight increased Group 2, but decreased Group 4. The serum total cholesterol in Group 2 increased by 15.26% when compared to Group 1, but only increased 5.29% in Group 3 and 4.29% in Group 4. The liver and mesenteric adipose tissue weights of Group 2 increased compared to Group 1, whereas they decreased in Group 3 and Group 4.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triglycerides in extracted livers, Group 2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compared to the Group 1, and Groups 3 and 4 showed significant decrease compared Group 2. These results suggest that Aceriphyllum rossii ethanol extracts may be useful as an anti-obesity agent.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