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플립드 러닝 수업 방식의 기독교 교양수업에의 적용 사례 연구

        박은혜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17 기독교교육논총 Vol.50 No.-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quality of Christian liberal arts education classes by studying a case on the application of flipped learning on them. Literature review method is used for theoretical study. Participants were a number of Christians, 163 before class and 178 after class, of a Christian private university in Kyounggi-Do to prove efficiency of the flipped learning method. Qualitative, quantitative, and descriptiv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urveys of teachers and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results are as following: first, the perspective on the changes of objective and contents of the class were improved, but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changes of non-Christians' perspective showed more improvement than the Christians'. Second, various effects of flipped learning, such as student participation, self-directed learning, self-confidence, and self-efficient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mproved. Third,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showed among demographic variables; genders, majors, religions and grades. Fourth, the merits of flipped learning were improving student participation with various educational activities, increasing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and strengthening self-directed learning. Its demerits were developing educational activities to connect on-line and off-line, on-line learning at home, encouraging student participation, making videos, and technical problems and so on. Suggestions for improvement are small group classes, supplementary materials, recruiting teachers, grading systems, and convenient approaches to system. This study suggests the followings based on these results: recruiting teachers and training, making videos by considering contents, the length of videos, supplementary materials, techniques, and educating educational content and methods that everybody can understand and accept regardless of their religions. 본 연구는 기독교 교양과목 수업에 플립드 러닝 방식을 적용한 수업 사례를 연구하여 기독교 교양수업의 질을 개선하기 위함이다. 이론적 배경 연구를 위해 문헌연구방법을 사용하였고, 플립드 러닝 방식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경기도 소재 4년제 기독교 사립대학의 학생들 중, 사전에 163명, 사후에 17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플립드 러닝 방식을 적용한 수업의 장점과 단점, 그리고 개선을 위해 고려되어야 할 점에 대해 교강사들과 학생들의 서술식 설문 내용과 학기 중간과 기말 강의평가의 서술식 자료를 사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첫째, 교육목표 및 교육내용에 대한 인식은 사전과 사후의 평균값은 향상되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의 차이는 없었으나, 기독교인보다 비기독교인의 사전과 사후의 교육목표 및 교육내용에 대한 인식이 더 많이 향상되었다. 또한 비기독교인 학생들의 기독교에 대한 호감도가 수업 전에 비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플립드 러닝 방식의 여러 효과 중, 학생참여, 자기주도적 학습, 자신감, 자기효능감 등이 통계적으로 유의수준 하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인구통계학적 변인들 중, 사전 및 사후 설문 모두 성별, 전공, 종교, 그리고 학년 모두 교육목표 및 교육내용에 대한 인식의 변화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넷째, 서술식 및 강의평가 결과를 통해 본 플립드 러닝에 대한 장점으로 다양한 활동으로 학생 중심의 수업으로 수업의 참여도 향상, 교수와 학생간의 상호작용 증대, 자기주도적 학습 역량 강화 등으로 나타났다. 단점으로는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연계하는 교육활동의 개발과 수업 전 영상을 통한 학습 여부에 따른 효과성의 차이, 수업 참여를 일으키는 방안, 강의 콘텐츠의 내용과 제작 기간, 과제의 부담, 기술적인 문제 등이 지적되었다. 개선을 위한 제안사항으로 소그룹 강의, 보충자료 제공, 교강사 선정, 성적 부여 방식, 시스템의 용이성 등이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교강사의 선정과 훈련, 동영상의 내용, 길이, 보충자료, 그리고 기술 등을 고려하여 제작할 것, 종교와 상관없이 모두가 이해하고 수용할 수 있는 교육의 내용과 방법으로 교육할 것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포스트모더니즘과 교회학교의 성경교수에 있어서 위기와 도전

        박은혜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16 기독교교육논총 Vol.48 No.-

        This paper organized the problems of why the Bible teaching could not achieve the essential goals in using the primary textbook to form and develop faith, examined the problems which are related to the main phenomenon of post-modernism, and suggested ways in Bible teaching by accepting crises into challenges and using it as opportunities. The suggested problems of previous research about Bible teaching are lack of educating learners as main agents due to teacher-centered education, lack of connecting to learners’ various daily lives due to information-oriented education, and lack of Bible teaching in the holistic areas due to cramming teaching methods. Although the postmodernism phenomenon of destruction of power can be a crisis in Bible teaching, the destruction of the teacher-centered education can stand learners as the main agents to perform the essential purpose of Bible teaching. This paper suggested ways to destruct the power of teacher-oriented ways, to understand the learners with postmodernism mind, and to have theological conversation as co-partners to find the truth of God for educating learners as main agents by respecting their interpretation of the Bible. Destructing the grand narrative in human history can be a crisis that leads to rejecting the truth of Scripture. However, applying the Bible’s content to the context of students’ lives can be a challenge. For this purpose, This paper suggested ways to engage students to actively expressing the stories of their lives and connecting with a variety of day-to-day experience with the Bible teaching methods. It also proposed that the teacher should utilize the variety of learning styles, allow students to participate in the style that they choose to, and use digital devices that are closely used in the students’ lives. Because relativity and diversity does not recognize the universal and absolute truth, it can be a crisis in Bible teaching. However, following Jesus’ teaching can be a challenge when trying to listen to the marginalized, overlooked, ignored, and excluded while giving new meaning through their voices. This paper suggested a way to educate pursuit of identity in diversities. Respecting the differences in the various lives of learners racially and culturally, understanding the difference in their lives, and finding their identity in God’s truth in the midst of new experience by sharing with others are ways offered for Bible teaching. 본 논문은 신앙을 형성하고 발달시키기 위한 주요 교재로서 성경을 교육하는데 있어서 성경교수의 본질적인 목적을 성취하지 못하게 했던 문제점들을 정리하고, 그러한 문제점들과 포스트모더니즘의 주요 현상과 연결하여 성경교수에 주는 위기를 살펴보며, 위기를 도전으로 받아들여 기회로 바꿀 수 있는 성경교수 방안을 제시하였다. 성경교수에 관한 선행연구들이 지적한 성경교수에 관한 문제점은 교사중심의 교육으로 인해 성경을 대할 때 주체로서의 학습자 교육의 부족, 내용중심의 교육으로 인해 학습자의 다양한 삶과의 연결 부족, 주입식 교육방법 위주의 인지적 성서교육으로 전인적 측면의 성경교수의 부족으로 요약하여 정리하였다. 포스트모더니즘의 권력의 해체현상은 교사중심의 성경교수에 위기가 되기는 하지만, 성경교수의 본질적인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교사중심의 교육을 해체하고 학습자를 주체로 설 수 있게 하는 교육으로 도전이 됨을 정리하였다. 이를 위해 하나님의 진리를 발견해나가는 공동의 파트너로서 교사중심의 권위를 해체하고, 학습자에 대해 포스트모던적으로 이해하며, 성경교수 학습 과정에서 주체적으로 해석자로 설 수 있도록 그들의 해석을 존중하며 신학적 대화를 나누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거대담론의 해체는 인류 역사에 있어서 보편적으로 내려오는 성경의 진리를 인정하지 않으려 한다는 점에서 위기가 되지만, 성경의 내용이 학습자들의 삶의 맥락 속에서 형성되도록 교육해야 한다는 점에서 도전이 되기도 한다. 이를 위한 성경교수 방안으로 학습자들의 다양한 일상의 경험과 연결하는 교육이 되도록 학습자들의 삶의 이야기를 적극적으로 표현하도록 참여시키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학습자들의 다양한 학습 형태를 활용하여 교수 학습을 계획하고, 자신의 학습 형태에 맞는 단계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할 것과 학습자들의 삶과 밀접한 디지털 기기들을 사용하여 참여를 자극할 것을 제안하였다. 상대성과 다양성은 보편적이며 절대적인 진리를 인정하지 않기 때문에 성경교수에 있어서 위기가 되지만, 주변적인 것으로 소외, 간과, 무시, 배제되었던 국지적인 주장과 의도에 귀를 기울여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기에 예수님의 가르침을 따른다는 점에서 도전이 된다. 이를 위한 성경교수 방안으로 다양성 안에서의 정체성을 추구하는 교육을 제안하였다. 인종적, 문화적 다양성을 존중하며, 학습자들의 다양한 삶의 차이를 인정하며 다양한 경험을 타인들과 나눔으로 하나님의 진리 안에서 자신의 정체성을 찾아가게 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후보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에서 시관과 공간의 의미

        박은혜,김희진,이지현 한국교육학회 2002 敎育學硏究 Vol.40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우리나라에서 많은 호응을 얻고 있는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에 반영된 시간과 공간의 의미를 해석하고 우리나라 유아교육에의 시사점을 찾는데 있다.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에서의 시간은 사회적으로 동의된 객관적인 시간이 아닌 개인의 체험에 근거한 시간에 기초하며 여유로운 시간과 몰입하는 시간으로 특징지워진다.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에서의 공간은 객관적이고 물리적인 차원에서의 공간이 아니라 그 내부에서 활동하는 인간과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의미를 부여받는 장소이다. 레지오의 공간은 관계를 촉진하는 공간, 개방성을 강조하는 공간, 학습을 최적화하는 공간, 그리고 역사의 언어가 있는 공간으로 특징지워진다. 레이오 에밀리아에서의 시간과 공간은 서로 연관되어 상호작용하며, 레지오의 교육목적을 구현할 수 있는 최적화된 맥락을 제공한다. 목차

      • KCI등재

        지체부자유아동의 교육을 위한 팀 접근법

        박은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00 교육과학연구 Vol.31 No.1

        지체부자유아동을 위한 교육이 보조공학, 보완대체의사소통 등과 같이 정차로 많은 관련전문인들과의 협력을 요구하는 방향으로 발전해감에 따라 효과적인 교육을 위한 팀 구성과 운영에 대한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본 고에서는 이러한 팀 접근법에 관한 기초적 개념과 최근 지체부자유아 교육에 팀접근법이 어떻게 도입 및 발전되고 있는가를 살펴보고 효과적인 팀 접근법 운영의 방해요인들을 구성원간의 관계에 관련된 요인, 팀의 구조적 요인 등으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또한 지체부자유아교육에 있어서의 최상의 실제중 한 요인으로 논의되고 있는 이러한 팀 접근법을 한국 지체부자유아 교육 상황에서 적용하고자 할 때의 문제점을 관련서비스의 개념 및 전문인 양성, 교육전달체계의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Educational Team Approach for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Recently, professionals have largely redefined what constitutes an appropriate education for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Many of these changes include adoption of a collaborative, rather than individualistic approach to service provision. This paper examined the conceptual framework of team approach and current trend in educational team approach for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First, overview of team approach, including definitions, rationale, and description of subtypes, was provided. Second, as a best practice of educational team approach for students with physical and severe disabilities, transdisciplinary team approach was discussed. Third, based on transdisciplinary team model, critical features and challenges for effective implementation, were discussed. Finally, implication for Korean special education practice for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were discussed.

      • 혼합연령집단 실외놀이가 유아의 사회성과 정서적 실행기능에 미치는 효과

        박은혜 한국유아교육학회 2015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Vol.2015 No.-

        본 연구는 혼합연령집단에서의 실외놀이 상황에서 나타나는 유아의 사회성과 정서적 실행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어린이집에 재원중인 만5세 유아 50명(실험집단 25명 비교집단 25명)이었다. 만3세 유아와 혼합연령집단을 구성하여 어린연령과 실외놀이에 참여하도록 하였다. 활동 후 유아의 사회성과 정서적 실행기능을 연구도구는 Bronson(1985)의 사회 과업 기술척도(The Bronson Social and Task Skill Profile) 중 ‘사회 행동 영역’을 사용하였으며, 역보상 과제(Carlson, Davis, & Leach, 2005)와 스티커 찾기 과제(Simpson & Riggs(2007) 검사도구를 사용하여 검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t-검증을 통해 집단 간의 차이를 분석하였으며, 사회성 측정 검사의 하위요소 중 ‘사회적조절’ 점수와 ‘조절당함’, ‘사회적 도움청구’, ‘협동기술’ 점수에서 혼합연령 실외놀이를 실시한 실험집단 유아들의 점수가 동일연령 실외놀이를 실시한 비교집단 유아들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정서적 실행기능 검사의 하위요소 중 역보상 과제1, 2 스티커 찾기 과제 1, 2에서 혼합연령 실외놀이를 실시한 실험집단 유아들의 점수가 동일연령 실외놀이를 실시한 비교집단 유아들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밝혀져, 연구결과는 혼합연령집단에서의 실외놀이가 유아의 사회성 정서적 실행기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우수등재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에서 시간과 공간의 의미

        박은혜,김희진,이지현 한국교육학회 2002 敎育學硏究 Vol.40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우리나라에서 많은 호응을 얻고 있는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에 반영된 시간과 공간의 의미를 해석하고 우리나라 유아교육에의 시사점을 찾는데 있다.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에서의 시간은 사회적으로 동의된 객관적인 시간이 아닌 개인의 체험에 근거한 시간에 기초하며 여유로운 시간과 몰입하는 시간으로 특징지워진다.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에서의 공간은 객관적이고 물리적인 차원에서의 공간이 아니라 그 내부에서 활동하는 인간과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의미를 부여받는 장소이다. 레지오의 공간은 관계를 촉진하는 공간, 개방성을 강조하는 공간, 학습을 최적화하는 공간, 그리고 역사의 언어가 있는 공간으로 특징지워진다. 레이오 에밀리아에서의 시간과 공간은 서로 연관되어 상호작용하며, 레지오의 교육목적을 구현할 수 있는 최적화된 맥락을 제공한다.

      • KCI등재

        실시간 화상 수업에서의 사회적 실재감 탐색 : 기독교교육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박은혜,성지훈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20 기독교교육논총 Vol.0 No.6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degree of social presence perceived by students and to explore the factors that have affected it after practicing Christian Education classes as synchronous distance course due to Covid-19. It is also to suggest effective ways in the aspects of the design and operation to improve social presence. In order to measure social presence and derive influencing factors, research related to synchronous distance class and social presence is summarized through literature review. The researchers also surveyed 58 students in three courses of Christian education major at a University in Gyeonggi-do and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6 students.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sense of social presence was moderate, the emotional bond was the lowest by sub-factor, the open communication, the sense of community was moderate, and the mutual support and concentration were the highest. Second, factors that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sense of social reality were group activities, self-introduction activities, active participation in classes, mutual communication such as Q & A or response to peer learners' opinions during lectures by professors, questions, feedback, etc, and having a smaller number of students. Factors that had a negative impact on the perception of social presence were lack of private conversations, poor participation in classes, lack of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and difficulty concentrating. The causes of these negative factors were technical problems and limitations arising from zoom, inconvenience and distracting surroundings, lack of time, and psychological awkwardness. Reflecting the results of the study, orientation to effective synchronous distance course, guidance on smooth communication methods, strengthening the role of professors to promote learning, strengthening group activities and learner-centered activities, and proposing a smaller scale of students were ways that are offered to improve the sense of social presence in synchronous distance courses. 본 연구는 코로나 19로 인해 기독교교육 전공 수업을 실시간 화상 수업으로 실행한 후, 학생들이 인식한 사회적 실재감의 정도와 여기에 영향을 끼친 요인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사회적 실재감 향상을 위한 수업의 설계, 운영 방안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실시간 화상 수업과 사회적 실재감과 관련 있는 연구들을 문헌연구를 통해 정리하고, 사회적 실재감을 측정하고 영향 요인을 도출하기 위해 경기도 소재 A 대학교 기독교교육 전공 수업 3강좌의 수강생 58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하고, 6명의 학생과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실재감은 보통 수준이었으며, 하위요인별로는 정서적 유대감이 가장 낮았고, 개방적 커뮤니케이션, 공동체감이 보통 수준이었으며, 상호지원 및 집중이 가장 높았다. 둘째, 사회적 실재감에 긍정적 영향을 끼친 요인으로는 조별 활동, 자기소개 활동, 적극적인 수업참여, 교수자의 강의 중 질의응답이나 동료학습자의 의견에 대한 반응, 질문, 피드백 등과 같은 상호소통, 적은 수강생 수가 도출되었다. 사회적 실재감 인식에 부정적 영향을 끼친 요인으로는 사적 대화 부족, 저조한 수업참여, 상호소통 부족, 주의 집중의 어려움이 있었다. 이러한 부정적 요인들의 원인은 줌(zoom)에서 발생한 기술적인 문제와 한계, 불편함과 산만한 주변 환경, 시간 부족, 심리적 어색함 등 이었다. 연구결과를 반영하여 실시간 화상 수업에서의 사회적 실재감 향상 방안으로 친교 활동, 효과적인 실시간 화상 수업에 대한 오리엔테이션, 원활한 의사소통 방법 지도, 교수자의 학습 촉진 역할 강화, 조별 활동 및 학습자 중심 활동 강화, 적은 수강생 규모를 제안하였다.

      • 유치원 자율장학에 대한 유아교사들의 인식 및 요구

        박은혜,김명순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육과학연구소 2002 교육과학연구 Vol.33 No.1

        본 연구는 현재 유치원에서 이루어지고 잇는 자율장학의 현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교사들의 자율장학의 개선방안에 대하여 요구하고 있는 것이 구체적으로 무엇인지를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국의 76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유치원 교사들은 교수활동의 개선과 새로운 정보 및 지식을 습득하기 위하여 자율장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으며 시범수업을 통한 장학의 형태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율장학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교수의 부담을 줄이고 교사들의 요구에 적합한 프로그램이 개발될 필요성이 있음을 지적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유치원 자율장학 활성화를 위한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find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needs on the kindergarten-based supervision. The goal of the study includes analysis of the needs and opinions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on the goals, methods, effects, problems, functions of kindergarten-supervision. In order to answer the research questions the researchers developed survey questions and 76kindergarten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As a result, this study found that early childhood teachers preferred kindergarten-based supervision to other types of supervision and they were eager to participated in the process. They also expected to gain new information and knowledge through the supervisory process and improve their own teaching capabilities. Several suggestions regarding kindergarten-based supervision were made on the basis of the results.

      • KCI등재

        유아교사교육에서 저널쓰기 활용에 대한 고찰

        박은혜 한국교원교육학회 1999 한국교원교육연구 Vol.16 No.2

        본 연구는 최근 유아교사교육에서 그 중요성 이 강조되고 있는 저널쓰기의 활용을 고찰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행되었다. 저널쓰기는 유아교사들이 자신의 실천행위에 대해 개인적인 관점을 가지고 기록하는 다양한 형태의 글쓰기를 의미하며 유아교사의 전문성 향상에 필수적인 요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저널 쓰기의 개념, 준비단계, 방법 등을 고찰하였으며 반성적 사고의 신장과 개인화된 이론 구축 등의 교육적 효과 및 제한점을 논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