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상한 나라의 여덟 살: 초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연상 표현에 나타난 시각문화 사례 연구

        박은실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2019 미술과 교육 Vol.20 No.1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March to July 2018, with 5 elementary school first graders(2 boys, 3 girls). I conducted form drawing lessons of Waldorf Pédagogie. And I analyzed what they imagined while drawing. By analyzing the contents of the children's paintings, we explored the visual culture cases in the child's associative expression. And I analyzed by Giorgi's 8steps analysis metho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everyday visual and cultural experiences have a direct impact on the association of children. Second, there were some common perceptions of what children perceived. For example a confrontation of good and evil, negative themes such as death or violence, and the occurrence of mysterious and incomprehensible events. Third, in contrast to the common perception, some children have shown an individual response to adapt to the imagined world. However, some children have also shown their consciousness that this imagination is not real and it is a sort of controllable play. So I categorized the various responses of children into active/passive/eclectic/meta-cognitive responses. 본 연구는 이 본 연구는 2018년 3월부터 7월까지 ○○초등학교 1학년 아동 5명(남2명, 여3명)을 대상으로 발도르프 교육의 형태그리기(포르멘 선묘) 수업을 실시하고, 아이들이 그림을 그리면서 떠올린 연상의 내용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아동의 연상 표현에 나타난 시각 문화 사례를 탐구하였다. 이를 위해 총37회의 수업과 5회의 개별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Giorgi의 8단계 분석과정에 따라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만화, 게임, 유튜브 등 일상의 시각문화 경험은 아동들의 연상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다. 둘째, 아동들이 연상한 내용에는 몇 가지 공통된 인식이 존재했다. 선악 대결을 중심으로 한 이야기 구성, 죽음이나 폭력과 같은 부정적인 주제의 빈번한 등장, 신비하고 기괴한 물활론적 세계관이 그것이다. 셋째, 상상 세계에 대한 공통된 인식과는 대조적으로 아동들은 상상 세계에 적응하기 위한 개별적 대응방식을 드러냈다. 연구자는 아동들의 다양한 대응방식을 적극적/소극적/절충적/메타인지적 대응방식으로 분류하였다. 이 과정에서 아동들은 특정 아이템에 대해 개인적 관심을 발달시키거나 등장인물에게 자기 자신을 투사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일부 아동들은 이런 상상은 실제가 아니며 가상의 놀이임을 자각하는 태도 또한 보여주었다.

      • KCI등재

        Limonoid derivatives and its pesticidal activities

        박은실,배인경,전황주,이성은 한국곤충학회 2014 Entomological Research Vol.44 No.4

        Diverse pesticidal activities of anthothecol derived from Khaya anthotheca (Meliaceae) and three limonoids (gedunin, limonin and obacunone) were determined using six phytopathogenic fungi and four insect pests. Anthothecol showed fungicidal activity to Puccinia recondita with control rates of 90, 76 and 53% at concentrations 0.5, 0.25 and 0.1 mg/mL, respectively, while the other limonoids exhibited little inhibitory effect on the fungal survival. The currently used fungicide mancozeb possessed potent fungicidal activity on P. recondite, with 92.3% controlling effect at a concentration of 0.005 mg/mL. Anthothecol exhibited larvicidal activity to Plutella xylostella with 80, 50 and 30% mortality at concentrations of 1.0, 0.5 and 0.25 mg/mL, respectively. Anthothecol showed selective pesticidal activity on P. recondita and P. xylostella. Structural re‐examination of anthothecol was conducted and is reported.

      • KCI등재

        M. Hickey와 J. Kratus의 음악창작과 음악창의성 연구 비교

        박은실 한국음악교육학회 2010 음악교육연구 Vol.39 No.-

        음악창작, 음악창의성 관련 연구들 중 크라투스와 히키의 연구는 심리측정적 입장을 비판하고 인지심리학적 연구를 해오고 있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으나, 창의성 및 창작에 대한 개념, 창작 과정에서 탐색에 대한 생각, 연구 절차 등에서 명확한 차이를 보인다. 본 연구는 초등학생 6학년 6명의 창작 과정과 창작 결과를 크라투스와 히키의 분석 방법으로 각각 분석하였다. 그 결과 창작 과정에서, 자유 창작이 조건 창작보다 탐색 활동을 더 많이 하며, 창작 결과에서는 평가 기준에 따라 상하집단 구성이 달라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음악창작과 음악창의성 연구 및 창작 지도에서 과제 유형, 평가 기준 등을 고려해야 함을 보여준다.

      • KCI등재

        생각의 도구를 활용한 음악중심 창의융합 프로그램 설계방안 연구

        박은실 한국예술교육학회 2020 예술교육연구 Vol.1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a music-focused creative convergence program using the thinking tools for 3rd grade students. For the study, the application researches of the convergence program were first analyzed, and then the features of the 13 thinking tools were looked into and the applicability to music was explored. Based on this exploration, a music-focused creative convergence program was designed. The basic direction of the program is as follows. First, it started from a creative theme, second, it strengthened intuition, valued feeling and image, and third, it made it possible to show imagination by using thinking tools, and finally it aimed at integrated understanding as the purpose of the program. This program has 5 subjects: the country you want to go to, growing up, pattern finding, making a cheering song, and the nature of sound. Each subjects consists of 5 to 6 classes. The advantage of the program designed through this study is that it may increase flexibility and creativity by applying various types of thinking to various areas by applying thinking tools, and expand the breadth and depth of understanding of music as the center of music activities. In addition, it can be said to have meaning in that it will facilitate practical application by narrowing the gap between what is learned and real life. 본 연구는 초등학교 3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생각의 도구를 활용한 음악중심 창의융합 프로그램을 설계하는 것이다. 연구를 위하여 먼저 융합프로그램의 적용 사례를 분석하고, 다음으로 13가지 생각의 도구가 가진특징을 살펴보며 음악에의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이에 기초하여 음악중심 창의융합 프로그램을 설계하였는데 프로그램의 기본 방향은 다음과 같다. 먼저 창의적 주제에서 출발하였고, 둘째, 직관을 강화하고 느낌과이미지를 중시하였으며, 셋째, 생각의 도구들을 활용하여 상상력을 발휘하도록 하였고, 마지막으로 통합적 이해를 프로그램의 목적으로 하였다. 본 프로그램은 가고 싶은 나라, 자람, 패턴 찾기, 응원가 만들기, 소리의 성질의 5가지 주제를 가지고 각 주제별 5~6차시 분량의 수업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설계한 프로그램의 이점은 생각의 도구를 적용하여 다양한 사고 유형을 여러 영역에 적용함으로 유연성과 창의성을 신장시켜준다는 점과 음악 활동이 중심이 되어 음악에 대한 이해의 폭과 깊이를 확장 시켜줄 수 있다는 점을 예상해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배운 내용과 실제 생활 사이의 간격을 좁혀 줌으로 실제적인 적용이 용이하게 해줄것이라는 점에서 의미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평가 도구에 따른 창작 결과 비교 – CAT, MCTM, 칸토메트릭스를 중심으로 -

        박은실 한국음악교육학회 2015 음악교육연구 Vol.44 No.4

        본 연구는 창의성과 관련된 여러 가지 평가 도구들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초등학교 3학년 학생들의 음악창작 결과물 20개를 대상으로 합의적 평가기법(CAT), MCTM, 칸토메트릭스를 이용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먼저 CAT의 창의성이 MCTM의 음악적 독창성 및 음악적 구성력, 그리고 칸토메트릭스의 유사성과 상관이 있었다. 또한 칸토메트릭스의 유사성 점수는 창의성과는 상관이 있지만 능숙함과는 상관이 없었다. CAT 평정자의 자질, 다양한 음악 창작 과제, 능숙함이 높은 학생들과 유사성 점수에서 동료 학생들과 많이 다르게 나온 학생들에 대한 연구의 필요 등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Vapor-grown Si/CNF and Si/PC/CNF Composites Based on Co–Cu Catalysts

        박은실,최종하,이창섭 대한화학회 2015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Vol.36 No.5

        We report a study on the synthesis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Si/carbon nanofiber (CNF) and Si/PC/CNF composites. CNFs were synthesized by the chemical vapor deposition using Co and Cu catalysts at a Co:Cu ratio of 6:4. This study focused on the fabrication processes of Si/PC/CNF composites to confirm the contact of Si particles with CNFs. The CNF composites on Si particles were prepared on the basis of the following two processes—Sample 1: CNFs were grown on a simple mechanical mixture of Si particles and catalysts; and Sample 2: CNFs were grown on the surface of pyrolytic carbon-coated Si particles. The morphology and composition of the Si/CNF composites were analyz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and energy dispersive spectroscopy measurements. Physical properties were investigated using X-ray diffraction, Raman,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and thermogravimetric analysis, and the specific surface area was measured by Brunauer, Emmett and Teller. Consequently, pyrolytic carbon coating on the surface of Si particles showed the ability to increase the contact of CNFs to the silicon particles. The resulting pyrolytic carbon-coated Si/CNF (Si/PC/CNF) composite also demonstrated better crystallizability compared with the Si/CNF composite prepared through the first method.

      • KCI등재

        Needs of Older Adults with Early-Stage Dementia

        박은실,강현욱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7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7 No.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project was to identify the met and unmet needs of older adults with early-stage dementia, residing in long-term care facilities in Korea. A cross-sectional descriptive design was used. A cohort of 152 older adults with early-stage dementia, residing in 11 long-term care facilities, was obtained through convenience sampling. The Camberwell Assessment of Need for the Elderly was used to assess the participants’ met and unmet needs. Depress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were also measured. Participants perceived the greatest unmet needs in mobility/falls, followed by the areas of daytime activities and intimate relationships. Ninety (59.2%) participants had clinical depression. A higher level of functional dependency and more frequent problems with elimination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 larger number of unmet needs. Needs of older adults with early-stage dementia are likely to be overlooked in long-term care facilities, but it was found that they had unique met and unmet needs. Nursing staff needs to provide quality care for this population using individualized care plans based on the study findings.

      • KCI등재

        테크놀로지가 음악창작활동에 미치는 영향

        박은실 한국음악교육학회 2017 음악교육연구 Vol.46 No.1

        본 연구는 음악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음악창작 과정과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였다. 연구는 대전 소재 초등학교 4학년 학생 10명을 대상으로, 건반악기와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음악창작을 하고 그 과정과 결과를 비교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창작과정 범주 중 기보 여부, 탐색 방식, 친숙한 선율 사용 등에서 창작도구 간 차이를 보였고, 창작결과 범주에서는 리듬패턴 사용에서 차이를 보였다. 특히 많은 학생들이 Music pro를 사용했을 때 가락 만들기-듣기의 과정을 반복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음악창작에서 테크놀로지의 활용, 특히 음악능력 하위집단에서 테크노로지의 유용함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