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도(道)의 창설과 행정 구획 개편

        박윤덕 한국프랑스사학회 2020 프랑스사연구 Vol.- No.42

        The administrative system of the Old regime was very complicated. The provinces kept their privileges and particular customs. The different circumscriptions of various spheres were overlapped without consistency. The officers and royal agents were in conflict for their functions and competence. Before the Revolution, the elites imbued with the Enlightenment expected to divide the existing circumscriptions in the suitable size in order to come close the administration to inhabitants and to prevent the danger of the federalism. The cahiers de doléances of 1789 demanded the establishment of provincial assembly and the territorial reorganization. The Constituent Assembly created the 83 departments for the system of the representation. The inhabitants of departments, counties, cantons and municipalities elect their councilors and deputies who form the city council and general assemblies. Under this unified system of the administration, the new regime established by the Revolution integrated the different french provinces into a single entity of France. 구체제 프랑스의 지방 행정 체계는 매우 복잡했다. 지방들은 왕국에 편입되면서 각자의 특권과 고유 관습을 유지했고, 확대된 왕국의 영토 위에는 분야마다 서로 다른 경계를 가진, 제대로 확정되지 않은 행정 구획들이 어떠한 일관성도 없이 중첩되었다. 지방마다 이름을 달리하는 여러 분야의 관리들이 새롭게 지명된 관리들과 직무와 권한을 다투었다. 계몽사상의 영향을 받은 엘리트들은 가능한 한 균등하게 적절한 크기로 행정 구획을 세분화해서, 행정이 지역 주민들에게 다가갈 수 있게 하면서도 지방의 연방주의적 경향을 제어하고자 했다. 1789년의 진정서들은 지방 삼부회 설립과 함께 통일되고 균등한 행정 구획으로의 개편을 요구했다. 제헌의회는 입법부와 행정부 형성의 원칙이 될 비례적 대표제의 수립을 위해서 도(道)를 창설하고 지방 행정 개혁을 단행했다. 균등한 면적으로 구획된 83개의 도(道)와 군(郡), 면(面), 그리고 자치체는 주민에 의해 선출되는 대표들로 집행부를 구성했다. 이로써 주민의 자치권을 보장하면서 단일한 행정 아래 주권자 국민을 하나의 전체로 통합한 신체제가 그 모습을 드러냈다.

      • KCI등재

        민중의 “도덕경제”와 식량폭동 -18세기 말 프랑스의 경우-

        박윤덕 호남사학회 2010 역사학연구 Vol.38 No.-

        The popular revolts in the beginning of the French Revolution result from the pre-revolutionary crisis caused by the socio-economic contradictions of the Old Regime and the political inability of the French absolute monarchy. Its immediate effects are the food riots. Behind their simple aspects, we can find more profound conflicts between the self-centered wealthy rulers and the communal poor, especial vis-a-vis their different perceptions of life, liberty and equality. Except the situation of July 1789, the trend line of food riots from 1789 to 1791 demonstrate that the food riots increased in the spring poverty and in fall when the transportation of cereals increased. It is certain that the augmentation of the price is the direct cause of the food riots. Considering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food riots, however, it is also possible to assess that the other crucial factor is the size of the mass of 'consumer' peasants created by the increasing demographical pressure and social differentiation of the peasantry. Along with these objective factors, the liberalism of revolutionary bourgeois and their policy "liberation of cereal commerce" play an important part as well in the proliferation of food riots by irritating the people and aggravating the cornering. People's moral economy puts the life of all the members of the society before the profit of some individuals, and claim that the cereals' price would be controlled at a suitable level for the majority. This view actually shares a common ground with the economic concept of the "sans-culottes", who admit the right to property to be a legitimate right while standing against the concentration and monopoly of the wealthy, in order to prevent these from threatening the life of the others.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people tried to implement this idea through the means of direct actions, we can argue that popular movement was in fact not a retrograde movement against economic progress, but an anti-these of the bourgeois' social contract that views the increase of property as a progress, based on the preception that the social contract is essentially to save the life of all members and the liberty is guarantee for this goal. 프랑스혁명 초기의 민중소요는 구체제의 사회경제적 모순과 이를 해결하지 못하는 절대왕정의 정치적 무능에서 비롯된 총체적 위기의 산물이었다. 식량폭동은 이러한 위기의 가장 즉각적이고 직접적인 결과였지만, 그 이면에는 훨씬 더 심원한 대립과 갈등, 다시 말하면 생존권, 자유와 평등에 관한 인간과 사회 집단들 사이의 인식의 차이, 피치자인 민중의 공동체적 심성과 부유한 지배 엘리트의 이기적 태도 사이의 대립과 갈등이 내재되어 있었다. 1789년 7월의 예외적 상황을 제외하면, 혁명 초기 식량폭동의 계절적 리듬은 곡가가 상승하는 춘궁기와 곡물 운송이 빈번해지는 가을에 식량폭동이 많이 발생한다는 전형적인 양상을 다시 한 번 확인해준다. 생산과 수송 능력의 한계, 과중한 간접세와 통행세 징수, 기상이변 등으로 인한 곡가상승이 식량폭동의 직접적인 원인이라는 것은 분명하지만, 식량폭동의 지리적 분포를 고려해 볼 때, 18세기의 인구증가와 농민층의 사회적 분화로 말미암은 ‘소비자’ 농민층의 증가가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했음에 틀림없다. 이러한 객관적인 요인들에 더해서 혁명 부르주아지의 경제적 자유주의와 그에 입각한 곡물거래 자유화 조치가 식량 투기와 매점매석을 조장하고 민중들의 불안을 자극함으로써 식량폭동을 확산시켰다. 주민 모두의 생존을 특정 개인의 이익보다 우선시하는 민중의 “도덕경제”는 대다수의 주민들이 감당할 수 있는 적정한 수준으로 곡물가격을 규제하라고 요구한다. 이는 소유권은 인정하지만 타인의 생존을 위협하는 부의 집중과 독점은 거부하는 상퀼로트의 경제관과 일맥상통한다. 직접행동을 통해 이를 실현하려고 한 민중운동은 단지 경제적 진보에 맞선 퇴행적 움직임이 아니라, 모든 구성원의 ‘생명’을 지키는 것이 사회계약의 핵심이며 자유는 이를 보장하기 위한 수단이라는 인식에 기초해서, 소유의 확대를 ‘진보’로 간주하는 부르주아적 사회계약에 대한 민중적 대안을 제시했던 능동적 운동이었다.

      • KCI등재

        8월 4일 밤의 선언- 프랑스 혁명의 의제 설정 -

        박윤덕 한국세계문화사학회 2019 세계 역사와 문화 연구 Vol.0 No.53

        In the night of August 4th, 1789, the French National Assembly cleared away deep-rooted evils of the Old regime, the feudal regime, privileges of noble and clergy, particular rights of cities, provinces and corporations. Establishing the New regime on the ruins of the Old regime after the taking of the Bastille on July 14, the Assembly determined the direction of the Revolution and made up its agenda. The legislation process caused some amendments or revisions of the original decisions, due to the oppositions and conflicts between the political parties, but the declaration of the night was a starting point for the regeneration of France.(Chungnam National University) 1789년 8월 4일 밤 프랑스의 제헌국민의회는 프랑스 혁명이 해결해야 할 과제로, 봉건제 폐지, 성직자와 귀족의 특권, 도시, 지방, 단체의 특권 폐지 등 구체제의 적폐를 청산할 것을 결의했다. 이는 7월 14일 바스티유 함락에 뒤이어 나타난 지방 도시와 농촌의 반란으로 회복 불가능하게 붕괴된 구체제의 폐허 위에 신체제의 기틀을 마련하고, 그 위에서 혁명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고 구체적으로 개혁 과제를 설정한 것이다. 물론 이를 법제화하는 과정에서 애초의 약속을 수정하거나 취소하는 일들이 벌어져 여러 정파들 사이에 갈등과 대결이 벌어지는 등 우여곡절을 겪었지만, 8월 4일 밤의 선언이 프랑스의 갱생을 위한 신체제 건설의 출발점이었다.

      • KCI우수등재

        혁명을 기념하는 관행적 방식? 2017~2018년 프랑스·이탈리아사 연구

        박윤덕 역사학회 2019 역사학보 Vol.0 No.243

        2017 and 2018 can be described as two very memorable years for Koreans as the people’s power brought about the change of government following the impeachment of the president and the 2018 Inter-Korea Summits, held at Panmunjom, opened a new era of peace negotiations in the Korean peninsula. These two years also bear a special significance for historians, given that 2017 marked the hundredth anniversary of the Russian Revolution and 2018 was the fiftieth anniversary of the ‘1968’ Revolution. While Korean historians held various colloquiums to commemorate these two historical events with well- deserving enthusiasm, an examination of the French and Italian History Studies conducted in Korea during this period shows that there has been no remarkable changes or advancements in the research trends in the respective fields. Instead, bad practices and customs, such as writing scholarly articles without proper considerations of the existing research, recycling previous research and publishing them anew, conducting research lacking empirical evidence, writing without editing, seem to have been solidified—thereby bringing some concerns that cannot be ignored. It is deemed necessary halt these practices to make room for the proliferation of in-depth empirical academic research as well as the production of more popularly accessible works that could be more widely read by the general public. 2017년과 2018년은 시민의 힘으로 대통령 탄핵과 정권 교체를 이루었고, 역사적인 남북·북미 정상회담이 성사되어 한반도 평화 정착에 신기원을 이루었다는 점에서 기념할 만한 해였다. 또한 두 해는 러시아 혁명 100주년과 ‘68 혁명’50주년이 되는 해여서 역사가들에게는 매우 의미 있는 해였다. 역사적인 이 두 사건을 기념하기 위해서 우리 서양사학계는 많은 학술 행사를 열었지만, 이 두 해 동안 한국의 프랑스사학계와 이탈리아사학계의 연구 동향에는 주목할 만한 변화가 없었고, 연구 성과 면에서도 크게 두드러진 시기는 아니었다. 오히려 ‘선행 연구 검토 없이 논문 작성하기’, ‘논문 쪼개기 및 재활용’, ‘사료가 실종된 연구’, ‘맞춤법을 소홀히 하는 글쓰기’ 등 학계의 나쁜 관행들이 고착화되는 현상이 우려를 낳는 것처럼 보인다. 깊이 있고 전문적인 실증 연구와 널리 읽힐 수 있는 대중적인 교양서를 낼 수 있도록 기존의 관행들을 혁신해야 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 KCI등재후보

        1787년 명사회와 특권계급의 반란

        박윤덕 한국세계문화사학회 2009 세계 역사와 문화 연구 Vol.0 No.20

        Face à une crise financière, le gouvernement français sous Louis XVI essaya à nouveau de réformer le system fiscal et administratif. Calonne, contrôleur général des finances du temps, proposa une série de projets réformatifs comme l'introduction d'une subvention territoriale, la libération du commerce du grain et l'établissement des assemblées provinciales. Pour détourner l'opposition du Parlement de Paris, il convoqua l'Assemblée des Notables dont les membres furent choisis par le Roi. Tous membres des premier deux ordres, les notables n'étaient pas pour les réformes proposées. A leur avis, la subvention territoriale basée sur le principe de l'égalité fiscal donnerait au Roi un revenu perpétuel sans limite et donc un pouvoir sans contrôle, en sacrifiant leurs privilèges. Les assemblées provinciales composées timocratiquement sans distinction des ordres permettraient aux élites du tiers-état de prendre le pouvoir politique au niveau local. Donc elles ne soient pas acceptables pour eux. Même si les notables opposèrent aux réforms les arguments empruntés de la physiocratie et de la philosophie, ils ne purent dissimuler que leur objectif soit le maintien de leurs privilèges et suprematie dans le ordre socio-politique de l'Ancien Régime.

      • KCI등재

        중농주의와 왕정의 개혁

        박윤덕 동국역사문화연구소 2012 동국사학 Vol.52 No.-

        중농학파의 창시자 프랑수아 케네(Fran?ois Quesnay)는 1758년에 발표한 경제표(Tableau ?conomique)?에서 국가, 영주, 교회를 포괄하는 지주계급, “생산계급”인 농민, “비생산계급”인 수공업자의 세 축 사이에 이루어진 다섯개의 교환 흐름으로부터 거시경제 흐름에 대한 추상적 도식을 제시하였다. 그에 따르면, 국부(國富)는 국가의 재산만이 아니라 모든 주민들의 재산으로 구성되며, 귀금속만이 아니라 필요를 충족하는 모든 재화를 포함한다. 농업만이 유일하게 생산적인 경제활동인데, 파종된 종자가 여러 개의 알곡을 생산함으로써 “순생산” 즉 잉여를 산출한다. 공업과 상업은 농업에 의해서 생산된 원재료를 변형시킬 뿐이기 때문에 비생산적인 활동이다. 경제정책의 목표는 바로 이 순생산을 증대하는 것인데, 그 최선의 방법은 각자가 자기 뜻대로 움직이게 놓아두는 것이다. 이와 같이 중농주의자들은 정치경제학의 원칙으로서 거래의 자유를 전면에 내세웠다. 케네의 목표는 경제적 자원을 증대함으로써 프랑스의 군사?외교적 지위를 개선하는 것이었다. 따라서 중농주의의 경제사상은 이론적 차원에만 머물지 않고, 프랑스 군주정의 경제정책으로 채택?시도되었다. 1763년 5월 칙령은 왕국 내에서 곡물의 자유로운 유통과 거래를 허용했고, 이듬해 7월에는 제한적으로 곡물의 수출도 허용되었다. 이러한 조치는 곡가 상승을 야기했고, ‘기근협정’을 비난하는 민중이 폭동을 일으키면서 불만을 제기하자 정부는 어쩔 수 없이 곡물거래 자유화 조치를 철회했다. 1774년 루이 16세의 재상으로 임명된 튀르고가 다시 곡물거래 자유화를 추진했지만, 이번에도 ‘밀가루 전쟁’이라 불린 민중의 봉기로 말미암아 튀르고는 해임되고 개혁조치는 철회되었다. 1787년 칼론은 ‘재정개선계획’의 일환으로 곡물거래 자유화 조치를 다시 추진했지만, 이번에도 역시 전(前)혁명의 위기 속에 개혁은 실패로 끝나고 말았다. 결국 중농주의의 자유주의적 경제정책이 빛을 보기 위해서는 프랑스 혁명을 기다려야 했다.

      • KCI등재

        알베르 마티에와 러시아 혁명

        박윤덕 한국프랑스사학회 2018 프랑스사연구 Vol.- No.38

        This article explores the life and scholarship of the prominent historian of the French Revolution, Albert Mathiez, and investigates how this critical thinker viewed World War I and the Russian Revolution. In doing so, it particularly examines the extent to which Mathiez’s observation of these two important events influenced his own research and interpretation of the French Revolution. As the student of Aulard and director of the Historical Institut of the French Revolution at the Sorbonne, Mathiez first started to study the French Revolution through the lens of the history of religion. Yet the troubles that he had with his advisor later led him to establish the Society of Robespierre Studies and the journal Revolutionary Annales, and to expand his research agenda to the political, socio-economic, and military history of the French Revolution. The intellectual journey of Mathiez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World War I and the Russian Revolution. He focused on the similarities between the French Revolutionary War and World War I, as well as the convergences between the French Revolution and the Russian Revolution. In fact, Mathiez tried to draw relevant lessons from the French Revolutionary War in a way that would shed light on the unfolding of World War I. This made him very critical of the policies of the French government of the time. In his view, the Russian Revolution was inspired by the French Revolution and learned from it, but fallen into a dictatorial regime that suppressed democracy and freedom with the rise of Stalin. Mathiez ultimately remained an independent historian as he rejected the dogmatic approaches of marxist historical methodology. 이 논문은 저명한 프랑스 혁명사가인 알베르 마티에의 삶과 학문을 살펴보고, 그가 비판적 지식인으로서 제1차 세계대전과 러시아 혁명을 어떻게 바라보았는지, 그리고 자신이 목도한 전쟁과 혁명이 그의 프랑스 혁명사 연구와 해석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살펴본 것이다. 마티에는 소르본의 프랑스 혁명사 강좌주임인 올라르의 제자로서 혁명의 종교사 연구로 프랑스 혁명사 연구에 입문하였지만, 스승과 불화를 겪으면서 로베스피에르 학회를 설립하고 학술지 『혁명 연보』를 창간하고, 혁명의 정치사, 사회사, 경제사, 군사사로 연구의 지평을 확대하였다. 이러한 마티에의 학문적 여정은 제1차 세계대전과 러시아 혁명이라는 대사건에서 많은 영향을 받았다. 그는 혁명전쟁과 1차 대전, 1789년의 혁명과 러시아 혁명의 유사성에 주목하였다. 프랑스 혁명전쟁의 역사에서 전쟁 수행에 도움이 될 만한 교훈을 찾고자 하였는데, 이는 당시 프랑스 정부의 정책에 대한 신랄한 비판으로 이어졌다. 그가 보기에, 러시아 혁명은 프랑스 혁명에서 교훈을 얻고 영감을 받았지만, 스탈린 체제의 등장과 함께 자유와 민주주의를 억압하는 독재로 전락하였다. 그는 마르크스주의적 역사방법론의 교조적 변형을 거부하면서 독립적인 역사가로 남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