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산자나무(Seabuckthorn, Hippophae rhamnoides L.)로 부터 새로운 항염 활성물질의 분리 및 구조동정

        박유화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09 농업생명환경연구 Vol.20 No.-

        산자나무( Hippophae rhamnoides L.)는 중국, 몽골 등이 원산지인 보리수나무과의 관목성 목본으로 국내에서는 갈매보리수나무로도 불리운다. 산자나무는 최근 중국 동북 3성으로 부터 진행된 연구 결과 다양한 식품재료로 사용가능성이 커짐에 따라 재배가 활성화되기 시작하였지만 이에 함유되어 있는 생리활성물질에 관한 연구는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국, 러시아, 몽골 등지에서 들여와 국내에서 재배된 산자나무의 부위별 추출물을 대상으로 항염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였고 이에 함유되어 있는 항염활성물질을 fraction directed isolation 방법으로 단리 하였다. 산자나무의 항염 효과를 검정하기 위해 ethanol 추출 후 다시 n-hexane, dichloromethane, ethylacetate, n-butanol, d-water의 유기용매를 이용하여 분획하였으며, 각 분획물에 대하여 Nitricoxide(NO) 생성량 측정과 TNF-α Immunoassy로 항염 효과를 검정하였다. Nitric oxide(NO) 생성량 측정 결과 Dichloromethane 분획층(1 mgml-1)에서 LPS 대비 88%의 높은 항염활성을 나타 내었다. 또한 TNF-α Immunoassy 실험 결과 dichloromethane> ethylacetate> d-H2O>butanol> hexane 순으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에 항염활성이 가장 높았던 Dichloromethane 분획층을 medium pressure liquidchromatograph(MPLC) 장치를 이용하여 MCA-MCK까지 총 11개 분획층을 분리하였다. 11개의 분획층에 대하여 Nitric oxide(NO) 생성량 측정 결과 MCD 분획층이 1 mg ml-1 농도에서 LPS 대비 86%의 높은 항염활성을 나타내었다. MCD 분획층을 GC/MS(Varian, USA)을 이용하여분석한 결과 식물성 스테롤인 β-Sitosterol로 확인 되었다. 이와 같이 산자나무 Dichloromethane 분획물로부터 분리된 MCD의 구조를 밝히기 위하여 13C-NMR, 1H-NMR 분석을 수행하고, HMBC(heteronuclear multiple bond correlation), COSY (correlation spectroscopy), HETCOR(heteronuclear correlation) 분석을 통하여 확인한 결과, 산자나무 Dichloromethane 분획물에 함유되어 있는 항염활성물질 MCD는 분자량 414.71g mol-1, C29H50O인 β-sitosterol로 판명되었다. 향후 산자나무 줄기의 β-sitosterol은 염증을 예방하거나 치료제, 기능성 식품등으로 활용될 수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 KCI등재

        대구·경북지역 대형음식점 업종별 현장실사를 통한 위생관리실태 분석

        박유화,이연경,Park, You-Hwa,Lee, Yeon-Kyu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7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6 No.7

        본 연구에서는 대형 음식점의 위생관리 현황을 현장실사하고 업종별 가장 시급하게 개선이 필요한 부분이 어떤 것인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대구${\cdot}$경북지역의 100평 이상인 한식, 양식, 중식, 일식, 뷔페 총 200개소를 직접 방문하여 위생관리실태를 실사하였다. 일반사항에 따른 위생관리 연구 결과, 조리종사원 수가 증가할수록 '창고 및 후생시설위생', '조리용기기${\cdot}$기구위생', '식품취급 및 작업위생', '조리종사원 개인위생'의 영역에 있어서 위생관리가 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리장 면적이 넓을수록 '조리장 위생', '조리용기기${\cdot}$기구위생', '식품취급 및 작업위생', '조리종사원 개인위생'의 영역에서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다. 또한 주방 공개형 업소가 비공개형 업소에 비해 '조리장 위생' 영역에서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다. 업종별 위생관리실태 조사결과 거의 모든 음식점이 '식당위생관리'와 '조리용수${\cdot}$음용수위생관리'는 우수한 반면, '작업위생관리'에 있어서는 소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한식${\cdot}$중식${\cdot}$일식 음식점의 경우 창고 및 후생시설위생 관리가 특히 미흡하였고, 양식${\cdot}$뷔페업소의 경우 조리용기기${\cdot}$기구위생관리가 미흡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작업위생관리 중에서는 특히 식재료의 소독과 온도측정이 거의 이루어지고 있지 않았으며, 소독과 온도측정의 작업을 확인하기 위한 기록작업 역시 행해지지 않았다. 이상으로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볼 때, 음식점의 위생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가능한 조리장을 개방하며, 면적을 넓게 하고, 조리용기기나 기구의 위생관리를 보다 철저히 하며, 음식의 내부 온도측정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업종별 개선이 필요한 부분에 대한 업주대상교육과 위생교육 책자나 매체를 개발하여 조리종사자 대상으로 지속적으로 교육과 훈련을 시키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overall sanitation levels of restaurants in Korea by examining sanitation management. Sanitation inspections were carried out in 200 large Korean, Western, Chinese, and Japanese restaurants and in buffet-style restaurants of over 100 pyeong in size located in Daegu and Gyeongbuk province. This survey of sanitation management practices found that in large restaurants employing many workers, sanitation management was good in the areas of the kitchen environment, equipment and utensils, food handling, and worker's personal hygiene. Restaurants having relatively large kitchens showed significantly high scores in these sanitation areas. Furthermore, open-kitchen-type restaurant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in kitchen sanitation compared with closed-kitchen-type restaurants. Survey results of sanitation management show that, in all restaurants surveyed, sanitation management was good in dining hall sanitation and in providing a safe drinking water supply, but poor in food handling sanitation. Kitchen environment sanitation was poor in Korean, Chinese, and Japanese restaurants. Equipment and utensils sanitation was unsatisfactory in Western and buffet-style restaurants. In the food handling area, especially food sanitation and temperature, checks were rarely made, and pasteurization and temperature records were not kept. Therefore, it is recommended that, in planning a kitchen facility in the future, the floor area should be as large as Possible and open. In terms of management, more attention should be paid to food pasteurization, sanitation of cooking equipment and utensils, and checking of food temperature.

      • KCI등재

        비타민나무(Seabuckthorn, Hippophae rhamnoides L.) 부위별 추출물의 생리활성 비교

        박유화(Yu Hwa Park),임상현(Sang Hyun Lim),함헌주(Hun Ju Ham),정햇님(Haet Nim Jeong),이광재(Kwang Jae Lee),김경희(Kyung Hee Kim),김성문(Songmun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0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9 No.7

        국내에서 재배된 비타민나무(Hippophae rhamnoides L.) 의 생리활성을 부위별(줄기, 잎, 뿌리, 열매), 용매별(물, 에탄올)로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α-Glucosidase 활성 억제 실험에서, 비타민나무의 저해활성은 줄기의 에탄올 추출물이 93%로 가장 높았고, 다음이 잎의 에탄올 추출물이 88.7% 순으로서 대조구 acarbose의 20.2%보다 훨씬 높았다. Pancreatin 기원의 α-amylase 억제 활성 측정 실험에서는 잎의 물 추출물이 54.7%로 다른 추출물에 비해 가장 높았다. HT-29 cell과 DU-145 cell의 암세포에 대한 항암효과 시험 결과 뿌리의 물 추출물에서 각각 47.1%, 32.3%의 항암효과가 나타났다. 또한 항균활성 실험 결과 잎의 에탄올 추출물에서 위해균주인 Clostridium butyricum, Proteus mirabilis, Shigella flexneri에 대한 저해활성이 나타났다. 향후 연구에서는 생리활성 효과가 나타난 물질에 대한 분리, 정제 등의 연구가 계속 수행되어져야할 것으로 생각된다. Biological activities of different parts (stems, leaves, roots, fruits) and solvents (water, ethanol) of seabuckthorn (Hippophae rhamnoides L.) grown in Korea were tested as follows. In the experiment of inhibiting α-glucosidase activity, ethanol extract of Hippophae rhamnoides L. stem showed the highest inhibitory activity by 93% and the next highest was the ethanol extract of its leaf by 88.7%. In the case of these two extracts, the effect of inhibiting α-glucosidase activity was extraordinarily great when comparing with control group, acarbose. In the experiment of inhibiting α-amylase activity, water extract of leaf showed the highest result by 54.7%, among all extracts. Regarding anticancer effect for HT-29 cell and DU-145 cell, water extract of root showed 47.1% and 32.3% activities, respectively. The experiment on antibacterial activity showed that the ethanol extract from the leaf inhibitory activity of Clostridium butyricum, Proteus mirabilis, and Shigella flexneri which are the several food borne pathogenic strains. In future research, materials for biological activity appear isolated and purified and research should continue.

      • KCI등재

        돌단풍 에탄올 추출물이 고지방식이를 급여한 흰쥐의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박유화(Yu Hwa Park),김희연(Hee Yeon Kim),임상현(Sang Hyun Lim),김경희(Kyung Hee Kim),동식(Dong Sik Park),이정훈(Jung Hoon Lee),충근(Chung-Geon Park),충범(Chung Berm Park),김성문(Songmun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1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0 No.10

        본 연구의 목적은 돌단풍 에탄올 추출물의 지질대사 개선 및 항비만 효과에 대해 구명하고자 4주령 된 흰쥐 40마리를 고지방 사료 급여로 비만을 유도한 후 정상군, 고지방 식이 대조군, 돌단풍 에탄올 추출물 처리군, 양성 대조군(가르시니아)으로 나누어 8주간 실시하였다. 고지방 식이로 인하여 체중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돌단풍 에탄올 추출물은 고지방식이만을 투여한 대조군과 비교 시 9.68%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양성대조군인 가르시니아 투여군과 유의적으로 같은 수준이었다. 돌단풍 에탄올 추출물이 식이섭취량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식이효율은 고지방식이만을 투여한 대조군이 정상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돌단풍 에탄올 추출물 투여군과 양성 대조군은 유의적으로 같은 수준이었으며 고지방 식이만을 투여한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혈청 중 총콜레스테롤 함량은 고지방 식이만을 투여한 대조군이 정상군 대비 15.26%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돌단풍 에탄올 추출물 투여군과 양성 대조군인 가르시니아 투여군은 고지방 식이만을 투여한 대조군 대비 각각 11.46, 10.53%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혈청 중 중성지방 함량은 고지방 식이만을 투여한 대조군이 정상군 대비 34.79%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돌단풍 에탄올 추출물 투여군과 양성 대조군인 가르시니아 투여군은 고지방 식이만을 투여한 대조군 대비 각각 9.02, 6.45% 감소하였으나 유의차는 없었다. 간과 복강 내 지방 조직의 무게는 돌단풍 에탄올 추출물 급여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 부고환 지방 조직의 무게는 유의차가 없었다. 간 조직 내 중성지방의 경우 고지방 식이만을 투여한 대조군에서 정상군 대비 21.39% 유의적으로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돌단풍 에탄올 추출물 처리군과 양성대조군에서는 고지방식이만을 투여한 대조군 대비 각각 12.83, 10.52%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위의 실험결과 돌단풍 에탄올 추출물은 체중, 간, 복강 내 지방조직의 감소와 지질대사 개선에 효과적으로 작용하였으며, 향후 돌단풍은 비만 예방 및 치료에 효과적인 소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anti-obesity activity of Aceriphyllum rossii ethanol extract on rat fed a high fat diet. Male SD rat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Group 1 was the control. Group 2 was fed a high-fat diet. Group 3 was the positive control, fed a high-fat diet supplemented with Garcinia Cambogia extracts. Group 4 was fed a high fat diet supplemented with ethanol extracts of Aceriphyllum rossii (EEAR). Precisely 166 mg/kg of powdered Garcinia Cambogia extracts was used for Group 3. Also, 250 mg/kg of EEAR was used for Group 4. The Body weight increased Group 2, but decreased Group 4. The serum total cholesterol in Group 2 increased by 15.26% when compared to Group 1, but only increased 5.29% in Group 3 and 4.29% in Group 4. The liver and mesenteric adipose tissue weights of Group 2 increased compared to Group 1, whereas they decreased in Group 3 and Group 4.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triglycerides in extracted livers, Group 2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compared to the Group 1, and Groups 3 and 4 showed significant decrease compared Group 2. These results suggest that Aceriphyllum rossii ethanol extracts may be useful as an anti-obesity agent.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