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중국 코퍼스 및 인터넷을 이용한 중한사전 표제어의 적합성 연구 - C2를 중심으로

        박영종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6 인문학연구 Vol.55 No.3

        중국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중국어 학습을 돕기 위한 중한사전의 종류와 숫자가 늘고 표제어 수도 대폭 증가되었다. 그런데 사전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표제어에 대한 연구는 그다지 활발하지 못한 편이다. 최근 일부 연구 결과들을 살펴보면 이들 표제어에 많은 문제점이 있다. 그 중 양적 확장에 열중한 탓에 활용성이 매우 떨어지거나 심지어 어휘로 보기 힘 것들이 대거 표제어에 포함된 점이 가장 큰 문제라고 생각된다. 이에 본 논문은 중한사전의 기존 표제어들을 대상으로 중국의 코퍼스상에서 출현 횟수가 현저하게 낮은 저빈도 어휘들을 검출한 뒤 이것들이 표제어로 적합한지, 석의가 적절한지 등을 따져보려고 한다. 이를 위해 먼저 4종류 사전에서 모아진 표제어 전부를 중국코퍼스로 검색하여출현빈도가 10이하인 저빈도 어휘를 골라내고, 다시 이것들이 중국에서현재 어떻게 쓰이고 있는지를 중국 인터넷을 통해 분석한다. 본 논문의연구 범위는 ‘C2’ 표제어이다. 當我們飜開中韓詞典時,就不難發現令人莫名其妙的詞匯不在 少數,而且這些詞匯甚至連中國學者都看不數。本文主要探討了 這些詞匯被收錄于詞典是否合适的問題。爲此,先從中韓詞典里篩選出在中國敎育部語言文字應用硏究所和北京大學中國語言學 硏究中心所提供的現代漢語語料庫中沒有出現的詞匯。若考慮到 這兩個語料庫爲全方位收集現代漢語而做了巨大的努力,而且肯 定這一學術成果的話,就能推測此文里篩選出的這些詞匯?可能 不太正規或現在不??使用等事實。爲了使這種推測能得到更准 確的印證,作者在百度網上又檢索了是否出現?們的用例,之后,就發現這些詞匯確實存在各種問題,根本不适合被收錄到詞 典里。

      • KCI등재

        중국 코퍼스 및 인터넷을 이용한 중한사전 표제어의 적합성 연구- B-2를 중심으로

        박영종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4 인문학연구 Vol.50 No.4

        중국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중국어 학습을 위한 중한사전도 다양해졌으며, 또한 중한사전에 수록된 어휘 수도 많아졌다. 중한사전의 표제어가 늘어난 만큼 여기에 대한 연구는 체계적으로 진행되지 못했다. 최근 연구결과를 보면 중한사전의 표제어에 몇 가지 문제점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가장 큰 문제점은 바로 효용성이 없는 저빈도 어휘에 있다. 본 논문에서는 중국의 코퍼스로 이들 표제어를 검색하여 출현 횟수가 현저하게 낮은 저빈도 어휘를 찾아내어 이들의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먼저 4종류 사전에서 표제어를 모아 중국코퍼스로 검색한 후 출현빈도가 10이하인 저빈도 어휘를 골라냈으며 다시 이들 어휘들이 인터넷에서 어떻게 쓰이고 있는지 분석했다. 본 논문에서는 B2항목에 대한 연구를 진행했으며 이에 대한 결과를 ① 코퍼스와 인터넷에 모두 보이는 어휘, ② 인터넷에만 보이는 어휘, ③ 코퍼스와 인터넷에 모두 보이지 않는 어휘 세 분류로 나누어 이들 어휘의 문제점을 중점적으로 연구했다. 當我們飜開中韓詞典時,就不難發現令人莫名其妙的詞匯不在少數,而且這些詞匯甚至連中國學者都看不동。本文主要探討了這些詞匯被收錄於詞典是否合適的問題。爲此,先從中韓詞典裏篩選出在中國敎育部語言文字應用硏究所和北京大學中國語言學硏究中心所提供的現代漢語語料庫中沒有出現的詞匯。若考慮到這兩個語料庫爲全方位收集現代漢語而做了巨大的努力,而且肯定這壹學術成果的話,就能推測此文裏篩選出的這些詞匯흔可能不太正規或現在不즘마使用等事實。爲了使這種推測能得到更準確的印證,作者在百度網上又檢索了是否出現타們的用例,之後,就發現這些詞匯確實存在各種問題,根本不適合被收錄到詞典裏。

      • KCI등재

        중국 코퍼스 및 인터넷을 이용한 중한사전의 표제어 연구 : gu∼guang을 중심으로

        박영종 한국중국문화학회 2020 中國學論叢 Vol.0 No.67

        중한사전을 대할 때 정체불명의 어휘가 적지 않고, 의미풀이에도 많은 문제가 있음을 알게 된다. 본고는 이러한 표제어들의 사전 수록이 적절한지와 의미풀이가 정확한지를 논의한다. 먼저 중한사전의 표제어 가운데 중국 교육부 코퍼스와 북경대학 코퍼스에서 출현 빈도가 낮은 것들을 걸러낸다. 그런 다음 이 표제어들의 용례가 중국 사이트 Baidu에 출현하는지와 사전의 의미풀이가 실제 용례와 일치하는지를 살펴본다. 그 결과 적지 않은 표제어들이 사전 표제어로 부적합하며, 의미풀이에 수정이 필요한 것을 알게 된다. Looking into Chinese-Korean dictionaries, one can easily notice that a considerable number of unidentified and ambiguous words exist in those dictionaries and there are some issues in interpreting the meaning of some words.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is to discuss how appropriate the meaning interpretations of the entries are. For this, the entries of Chinese-Korean dictionaries that show low frequency both in the Chinese Ministry of Education Corpus and the Peking University Corpus were sorted out first. Then it is investigated whether the usage and examples of the sorted entries appear in the Chinese Internet site Baidu . It is also examined that their interpretations correspond to each other. The findings of the study show that a number of the entries are not appropriate for Chinese-Korean dictionaries and their meaning interpretations need to be modified. 当我们翻开中韩词典时,就不难发现令人莫名其妙的词汇不在少数,而且在部分词汇的解释上也存在着不少问题。本文主要探讨了这些词汇被收录于词典是否合适和词语释义是否正确的问题。为此,先从中韩词典里筛选出在中国教育部语言文字应用研究所和北京大学中国语言学研究中心所提供的现代汉语语料库中出现频率较低的词汇。若考虑到这两个语料库为全方位收集现代汉语而做了巨大的努力,而且肯定这一学术成果的话,就能推测此文里筛选出的这些词汇很可能不太正规或现在不怎幺使用等事实。为了使这种推测能得到更准确的印证,作者在百度网上又检索了是否出现它们的用例,且对词语释义和实际用例是否一致做了详细的比较,就发现不少词汇确实存在各种问题,根本不适合被收录到词典,或必须修改释义内容。

      • KCI등재

        중국 코퍼스 및 인터넷을 이용한 중한사전 표제어의 적합성 연구 - F3∼G1을 중심으로

        박영종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9 인문학연구 Vol.58 No.1

        A Study on the Appropriateness of Entries in Chinese-Korean dictionaries Using Chinese Corpus and the Internet: Focusing on F3∼G1. Looking into Chinese-Korean dictionaries, one can easily notice that a considerable number of unidentified and ambiguous words exist in those dictionaries and there are some issues in interpreting the meaning of some words.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is to discuss how appropriate the meaning interpretations of the entries are. For this, the entries of Chinese-Korean dictionaries that show low frequency both in the Chinese Ministry of Education Corpus and the Peking University Corpus were sorted out first. Then it is investigated whether the usage and examples of the sorted entries appear in the Chinese Internet site ‘Baidu‘. It is also examined that their interpretations correspond to each other. The findings of the study show that a number of the entries are not appropriate for Chinese-Korean dictionaries and their meaning interpretations need to be modified. 중국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중국어 학습을 돕기 위한 중한사전의 종류와 숫자가 늘고 표제어 수도 대폭 증가되었지만 사전의 표제어에 대한 연구는 그다지 활발하지 못한 편이다. 필자의 그동안의 연구에 따르면 적지 않은 표제어들이 선정과 석의에 있어서 많은 문제를 노출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기존 표제어들 가운데 중국 코퍼스상의 출현 횟수가 현저하게 낮은 저빈도 어휘들을 검출한 뒤, 이것들의 석의가 적절한지 또 표제어로서 적합한지 등을 자세히 살펴보려고 한다. 이를 위해 먼저 기존 4종류 사전에서 모아진 표제어 전부를 중국코퍼스로 검색하여 출현빈도가 10이하인 저빈도 어휘를 골라내고, 다시 이것들이 중국에서 현재 어떻게 쓰이고 있는지를 중국 인터넷을 통해 분석한다. 본 논문의 연구 범위는 ‘F3∼G1’ 표제어이다.

      • KCI등재

        중국 코퍼스 및 인터넷을 이용한 중한사전 표제어의 적합성 연구-E2∼F1을 중심으로

        박영종 한국중국문화학회 2018 中國學論叢 Vol.0 No.60

        Looking into Chinese-Korean dictionaries, one can easily notice that a considerable number of unidentified and ambiguous words exist in those dictionaries and there are some issues in interpreting the meaning of some words.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is to discuss how appropriate the meaning interpretations of the entries are. For this, the entries of Chinese-Korean dictionaries that show low frequency both in the Chinese Ministry of Education Corpus and the Peking University Corpus were sorted out first. Then it is investigated whether the usage and examples of the sorted entries appear in the Chinese Internet site 'Baidu'. It is also examined that their interpretations correspond to each other. The findings of the study show that a number of the entries are not appropriate for Chinese-Korean dictionaries and their meaning interpretations need to be modified. 중국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중국어 학습을 돕기 위한 중한사전의 종류와 숫자가 늘고 표제어 수도 대폭 증가되었지만 사전의 표제어에 대한 연구는 그다지 활발하지 못한 편이다. 필자의 그동안의 연구에 따르면 적지 않은 표제어들이 선정과 석의에 있어서 많은 문제를 노출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기존 표제어들 가운데 중국 코퍼스상의 출현 횟수가 현저하게 낮은 저빈도 어휘들을 검출한 뒤, 이것들의 석의가 적절한지 또 표제어로서 적합한지 등을 자세히 살펴보려고 한다. 이를 위해 먼저 기존 4종류 사전에서 모아진 표제어 전부를 중국코퍼스로 검색하여 출현빈도가 10이하인 저빈도 어휘를 골라내고, 다시 이것들이 중국에서 현재 어떻게 쓰이고 있는지를 중국 인터넷을 통해 분석한다. 본 논문의 연구 범위는 ‘E2∼F1’ 표제어이다.

      • KCI등재

        중국 코퍼스 및 인터넷을 이용한 중한사전의 표제어 연구 hui일부∼huo를 중심으로

        박영종 한국중국문화학회 2022 中國學論叢 Vol.- No.75

        Looking into Chinese-Korean dictionaries, one can easily notice that a considerable number of unidentified and ambiguous words exist in those dictionaries and there are some issues in interpreting the meaning of some words.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is to discuss how appropriate the meaning interpretations of the entries are. For this, the entries of Chinese-Korean dictionaries that show low frequency both in the Chinese Ministry of Education Corpus and the Peking University Corpus were sorted out first. Then it is investigated whether the usage and examples of the sorted entries appear in the Chinese Internet site ‘Baidu‘. It is also examined that their interpretations correspond to each other. The findings of the study show that a number of the entries are not appropriate for Chinese-Korean dictionaries and their meaning interpretations need to be modified. 중한사전을 대할 때 정체불명의 어휘가 적지 않고, 의미풀이에도 많은 문제가 있음을 알게 된다. 본고는 이러한 표제어들의 사전 수록이 적절한지와 의미풀이가 정확한지를 논의한다. 먼저 중한사전의 표제어 가운데 중국 교육부 코퍼스와 북경대학 코퍼스에서 출현 빈도가 낮은 것들을 걸러낸다. 그런 다음 이 표제어들의 용례가 중국 사이트 百度에 출현하는지와 사전의 의미풀이가 실제 용례와 일치하는지를 살펴본다. 그 결과 적지 않은 표제어들이 사전 표제어로 부적합하며, 의미풀이에 수정이 필요한 것을 알게 된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