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멍게(Halocynthia roretzi) 껍질 추출물의 면역활성 및 암세포 생장에 미치는 영향

        박시향,정석봉,최병대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13 농업생명과학연구 Vol.47 No.5

        Current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immuno and anti-cancer activities of enzyme hydrolysates (ATEH) and water soluble extracts (ATWS) from ascidian tunic Halocynthia roretzi. The ATEH and ATWS extract did not show cytotoxicity in RAW 264.7 cells at 10~200 μg/mL. Whereas ATWS significantly increased nitric oxide (NO) production as immunoactivity in lipopolysaccharide (LPS)-stimulated RAW 264.7 cells (61.7%). The crude extracts were evaluated for their inhibitory effects on growth of human cancer cells AGS, and HT-29 cells by MTT assay. Among samples tested, the ATEH and ATWS extracts not showed anti-cancer effect against AGS and HT-29 cells at the concentration of 200 μg/mL. 멍게껍질에 함유된 기능성 물질을 효소 및 열수로 추출하여 면역활성 및 항암 효과를 평가하였다. 세포독성을 검정하기 위하여 RAW 264.7 세포주에 추출물을 10∼200 μg/mL 농도로 처리한 결과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따라서 다양한 농도에서 효소 및 열수 추출물의 생리기능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NO 생성량을 측정한 결과 열수 추출물과 효소 추출물은 높은 NO 생성량을 보였다(123.0~161.7%). 위암 및 대장암 억제효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다양한 농도에서 평가하였지만 최대 200 μg/mL 농도에서도 위암세포 AGS와 대장암세포 HT-29의 세포생장 억제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 KCI등재

        군소(Aplysia kurodai)에서 추출한 다당 분획물의 면역 조절 효과

        박시향(Sihyang Park),정세영(Se Young Choung),최영준(Yeung Joon Choi)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1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0 No.3

        본 실험에서는 군소로부터 다당류를 추출 정제한 다당 분획물을 혈액 림프구와 대식 세포주를 사용하여 면역 조절효과를 실험해 보았다. 군소부터 추출 분획한 다당류는 48시간 동안 처리 시 Jurkat cell의 증식률을 40% 이상 증가시켰으며, 혈액암 세포종인 Jiyoye cell에 대하여는 그 성장률이 농도에 따라 감소하였다. 그렇지만 Jurkat cell에 24시간과 48시간 동안 군소 다당 분획물을 처리하였을 때 IL-2와 IFN-γ 생성량의 유의적인 증가는 확인할 수 없었다. 그러나 RAW264.7 cell line에 대하여는 IL-12의 경우는 47% 이상 증가하여, 군소 다당 분획물의 면역 조절 효과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We extracted polysaccharide from the sea hare, Aplysia kurodai, purified it partially, and experimented its immune response using the human blood lymphocytes and macrophage cell lines. Aplysia kurodai polysaccharide fraction (APF) improved the growth of the T cell (Jurkat) up to 40% by treatment for 48 hours, and decreased the growth of blood cancer, Jiyoye cell line. The APF on RAW 264.7 cell also increased interleukin-12 up to 47%. In contrast, the secretion of interleukin-2 and interferon-gamma by treatment of only APF or APF and concanavalin A on Jurkat for 24 hours and 48 hours didn’t influence significant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APF has possible immune regulating ability.

      • KCI등재

        자외선 조사 무모쥐 피부조직에 도포한 애엽(Mugwort) 추출물의 주름개선 효과

        박시향(Si-Hyang Park),홍유미(Yumi Hong),최영준(Yeung Joon Choi),최진호(Jin-Ho Choi),김병관(Byung-Kwan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8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7 No.9

        무모쥐의 등에 애엽 추출물과 아스코르브산 함유 스킨로션을 도포하고 자외선을 조사하여 애엽 추출물과 아스코르브산의 주름 개선 효과를 알아보았다. 애엽 추출물 도포군의 피부조직 두께는 대조군에 비해 12.5~21.4%의 유의적인 감소 효과를 보였다. 표면 거칠기 측정기에 의한 피부 주름의 형성 정도를 측정하는 지표인 Ra값은 ME-1.0, ME-2.0과 ME-5.0 도포군에서 23.7~31.1%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p<0.01), Rq치는 ME-1.0, ME-2.0와 ME-5.0에서 11.2~21.2%, Rz의 측정치에서는 ME-1.0(19.8%), ME-2.0(22.1%), ME-5.0(24.5%) 그룹에서 대조군에 비해 크게 감소하였다. Rt치는 ME-1.0, ME-2.0와 ME-5.0 그룹에서 농도 증가에 따라 14.2%에서 22.7%의 유의적인 감소효과가 있었다. 아스코르브산 도포그룹은 애엽과 비슷한 감소효과를 보여주었지만, 애엽의 주름 개선효과에는 미치지 못하였다. MMP-1 활성은 애엽 메탄올 추출물 그룹에서 19.3%~22.6%까지 감소하였고, 콜라겐의 생성은 ME-2.0과 ME-5.0그룹에서 10% 정도의 유의적인 증가 효과가 있었다. 이처럼 애엽 메탄올 추출물은 피부의 광손상에 대한 피부 보호 및 피부의 주름 개선효과가 탁월하고, 또한 강력한 항산화제인 아스코르브산보다 그 효과가 우수하여 피부노화 현상과 주름 개선을 위한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 이용가치가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ntiwrinkle effect of mugwort (Artemisia vulgaris) methanol extract in hairless mouse skin induced by UVB-irradiation. Hairless mouse were topically treated with the basic lotion alone (control), ascorbic acid (AA-0.5%, AA-1.0%, AA-2.0%, and AA-5.0%) and mugwort extract (ME-0.5%, ME-1.0%, ME-2.0%, and ME-5.0%) dissolved in a basic lotion. After topical treatment of 30 minutes, the animals were irradiated with increasing doses of UVB radiation (60~100 mJ/㎠) for 4 weeks. In our experimental condition, skin thickness of hairless mouse was significantly decreased (12.5~21.4%) in all ME groups compared with control group. Ra value, that is surface roughness parameter induced by skin wrinkling, was significantly decreased (23.7~31.1%) in ME-1.0%, 2.0% and 5.0% group compared with control group. Furthermore, Rq, Rz and Rt value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to 11.2~21.2%, 19.8%~24.5%, and 14.2%~22.7%, respectively. Wrinkle formation of ascorbic acid treatment group as reference group was inhibited, but its effect was less than ME treatment. Matrix metalloproteinase-1 activity was significantly inhibited (19.7~22.6%) compared with control group and collagen content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bout 10%) when compared with control group. These results indicate that ME could protect skin aging and wrinkle formation in hairless mouse from photo-irradiation.

      • KCI등재

        자외선 조사 무모쥐 피부에 도포한 애엽(Mugwort)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박시향(Si-Hyang Park),조득문(Duck-Moon Cho),최병대(Byeong-Dae Choi),최영준(Yeung Joon Choi),최진호(Jin-Ho Choi)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8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7 No.1

        무모쥐의 피부에 도포한 애엽 추출물과 positive 비교군인아스코르브산이 피부 조직에 미치는 항산화효과를 조사하였다. 활성산소인 과산화수소의 생성량은 애엽 추출물과 아스코르브산 2%와 5% 도포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히드록시 라디칼의 생성량은 애엽 추출물 2%와 5% 도포군에서만 유의적인 감소효과가 있었다. 산화적 스트레스의 지표인 산화 단백질의 함량은 모든 애엽 추출물 도포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14.6%~18.5%)하였으나, 아스코르브산의 경우는 2% 도포군에서만 저해효과가 인지되었다. 과산화지질 생성량은 대조군에 비해 애엽 추출물과 아스코르브산 도포그룹 모두에서 크게 감소하였다. 항산화효소인 카탈라아제의 활성은 애엽 추출물과 아스코르브산 모든 그룹에서 첨가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크게 증가하였으며, 글루타치온 퍼옥시다아제의 활성은 애엽 추출물 도포군은 2%와 5%에서, 아스코르브산의 경우는 모든 그룹에서 유의적인 활성 증가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는 피부 노화 억제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 애엽 추출물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ntioxidative effect of mugwort (Artemisia vulgaris L.) extracts in hairless mouse skin from oxidative stress induced by UV-irradiation. After topical application on hairless mouse back with basic skin lotion group (control), ascorbic acid group (AA-0.5%, AA-1.0%, AA-2.0%, and AA-5.0%), and mugwort extract group (ME-0.5%, ME-1.0%, ME-2.0%, and ME-5.0%), the animals were irradiated to increasing doses of UVB (60 mJ~100 mJ) for 4 weeks. Hydrogen peroxide of hairless mouse skin homogenate significantly decreased in 2% (p<0.05) and 5% (p<0.05) of ME and AA groups. Hydroxyl radicals were decreased significantly in both of 2% and 5% ME groups as compared to AA groups (p<0.05). Oxidative stress levels deduced by oxidized protein contents were greatly decreased (14.6~18.5%) in all ME treatment groups, while only at 2% of AA treatment group. Lipid peroxide contents were greatly inhibited in all ME and AA treatment groups (p<0.01). Application of ME significantly increased catalase activity, over 25% in all mugwort and AA groups. Glutathione peroxidase activities were increased up to 20.5%~32.8% in 2.0% and 5% ME groups, whereas it increased in all AA group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mugwort extract was more effective than that of ascorbic acid in protecting hairless mouse skin from photo-irradiation, and can be used as an potential anti-aging cosmetic ingredients.

      • KCI등재

        아세트아미노펜 유도 HepG-2 세포주 손상에 대한 굴 효소 가수분해물의 보호 효과

        박시향(Si-Hyang Park),문성실(Sung-Sil Moon),Cheng-Liang Xie,정세영(Se-Young Choung),최영준(Yeung-Joon Choi)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4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3 No.8

        본 연구는 굴 가수분해물이 아세트아미노펜에 의한 간독성의 무독화 효과를 HepG-2 세포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굴 가수분해물은 굴 단백질의 가교연결을 위해 TGase로 전처리하거나(TGPN) 혹은 하지 않고(PN), 1% Protamex와 1% Neutrase 단백질 분해효소로 2단 가수분해하였다. 두 종류의 굴 가수분해물은 아세트아미노펜으로 간 손상을 유도한 세포에 각각 처리하여 세포 생존율을 측정하였으며, 세포 배양 시 배양액으로 유출된 GOT와 GPT 활성을 측정하였다. TGPN 가수분해물의 경우 아세트아미노펜만을 처리한 negative 대조군(60.7±3.2%)에 비하여 100 μg/mL와 200 μg/mL의 농도에서 각각 136.2±1.4%와 179.6±3.8%의 높은 세포 생존율을 보였다. PN 가수분해물은 100 μg/mL와 200 μg/mL의 농도에서 각각 107.9±8.8%와 130.6±7.6%의 세포 생존율을 보였다. GOT 활성은 negative 대조군의 경우에 38.3±0.2 Karmen/mL이었으며, TGPN(200μg/mL)과 PN(200 μg/mL)에서는 19.9±0.5와 22.0±2.4 Karmen/mL로 농도에 따라 유의적인 활성 감소를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GPT 활성도 GOT와 같은 경향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 같은 결과에 미루어 굴 유래 가수분해물의 간 보호 건강 기능 식품 혹은 약물 개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앞으로 가수분해 펩티드 중의 유효성분에 대한 구조동정과 작용 기전에 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etoxification effects of enzymatic hydrolysate from oyster on acetaminophen-induced toxicity using HepG-2 cells. Oyster hydrolysate was made with 1% Protamex and 1% Neutrase after treatment with transglutaminase (TGPN) or without (PN). Two types of oyster hydrolysate were added to human-derived HepG-2 hepatocytes damaged by acetaminophen, after which the survival rate of HepG-2 cell was measured. In addition, glutamic oxaloacetic transaminase (GOT) and glutamic pyruvic transaminase (GPT) activities in the culture media were evaluated. The survival rates of HepG-2 cells were 136.2±1.4% at 100 μg/mL of TGPN and 179.6±3.8% at 200 μg/mL of TGPN. These cell survival rates were higher compared to that of the negative control group (60.7±3.2%) treated only with acetaminophen. GOT activity was 38.3±0.2 Karmen/mL in the negative control group, whereas it was 19.9±0.5 for TGPN (200 μg/mL) and 22.0±2.4 Karmen/mL for PN (200 μg/mL). GOT and GTP activities were shown to be dependent on TGPN concentration, and significant reduction in activities could be conformed. The detoxification efficacy of TGPN was higher compared to that of PN. These results suggest that oyster hydrolysate has potential as a healthy food or pro-drug for liver protection.

      • KCI등재

        애엽 추출물 섭취가 ICR 마우스의 피부조직에 미치는 항산화 효과

        박시향(Si?Hyang Park),조득문(Duck?Moon Cho),최경림(Gyeonglim Choi),최영준(Yeung Joon Choi),최진호(Jin?Ho Choi)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7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6 No.12

        애엽 추출물에 대한 ICR 마우스의 피부 조직에 대한 항산화작용 및 산화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애엽 추출물(mugwort extract: ME)을 섭취한 식이군의 경우, 추출물의 농도에 따라 피부조직의 단백질 함량이 대조군에 비해 3.1%~11.1% 증가하였다. 활성산소 중 히드록시 라디칼 함량은 애엽 추출물 식이군에서 10.4%~17.4%의 유의적인 감소 효과가 인정되었으며, 그리고 산화적 스트레스로써 산화단백질의 함량도 애엽 추출물 식이군(ME-100, ME-200)이 대조군에 비해 각각 15.2%와 17.1%의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다(p<0.05). 과산화지질함량은 애엽 추출물의 농도증가에 따라 감소되는 경향을 보여주었으나,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수퍼옥시드 디스무타아제 활성은 ME-100 군과 ME-200 군에서 각각 15.0%와 23.3%의 유의적인 증가가 있었고, 또한 애엽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카탈라아제 활성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애엽 추출물의 섭취가 피부의 활성산소를 제거하고 산화적 스트레스를 억제하며, 항산화효소의 활성을 증가시켜 피부의 노화현상을 억제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강력한 항산화제인 아스코르브산과 비교하여도 손색이 없는 높은 활성을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피부 건강기능 식품과 음료 소재로서 애엽의 이용 가능성을 제시한다. The feeding effects of mugwort (Artemisia vulgaris L.) extracts (ME) on the anti-oxidative actions of ICR mouse skin was investigated. To study the antioxidative effects of ME on ICR mouse skin, female ICR mice were grouped into basic diet group (control), ascorbic acid diet group (AA-2.5, AA-5.0, AA-10.0 and AA-20.0 ㎎/㎏ BW/day) as a positive control and experimental diet group (mugwort extract; ME-25, ME-50, ME-100, and ME-200 ㎎/㎏ BW/day) and fed for 10 weeks. Protein contents in ME-50, ME-100, and ME-200 feeding group were increased (3.1%~11.1%) and hydroxyl radical content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10.4%~17.4%) compared to control group. Oxidative stress signals and oxidized protein contents were significantly reduced to the range of 15.3 to 17.1% in ME-100 and ME-200 groups. Also, superoxide dismutase (SOD) activity was significantly increased to the range of 15.0% to 23.3% in ME-100 and ME-200 groups. Catalase activiti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14.0%~36.9%) in all groups in a dose-dependent pattern. Antioxidative ability of ME showed similarity to that of ascorbic acid.

      • KCI등재

        멍게껍질 글리코스아미노글리칸의 화장품 소재로서의 유효성 평가

        줄리야티 로마,아스위 로피코,박시향,최병대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15 농업생명과학연구 Vol.49 No.3

        본 연구는 멍게껍질에서 추출 정제된 GAGs의 항산화 및 보습효능을 이용하여 기능성 화장품 원료로 활용 가능한가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기존의 스킨과 에센스를 제조하는 기준에 따라 GAGs 1.0%를 첨가하여 제조한 다음 항산화활성과 collagenase 저해활성, collagen 생성능, 섬유아세포 증식능 등을 측정하였다. DPPH 라디칼 활성억제효과는 GAGs가 포함된 스킨 20.5%, 에센스 12.4%이었고, collagenase 저해활성은 GAGs가 포함된 스킨에서는 94.6%로 효과가 높았지만 에센스는 80.1%의 저해활성을 보여주었다. Collagen 생성효과는 GAGs가 함유된 스킨과 에센스가 각각 129.9%, 120.2%로 나타났으며, 섬유아세포 증식능도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검정되었다(p<0.01).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antioxidant and moisturizing effect of purified GAGS from ascidian tunics as functional cosmetic ingredient. A skin-tonner and essence which contain 1.0% of GAG were manufactured conventionally. These product then were tested for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collagenase inhibitory activity, collagen-formation stimulator, and fibroblast-proliferation promoter abilities. The DPPH scavenging activity for skin-tonner and essence were 20.5% and 12.4% respectively. Collagenase inhibitory activity of skin-tonner was higher (94.6%) than the essence (80.1%). Skin-tonner and essence with GAGs showed collagen-formation stimulation ability, which were 129.9% and 120.2% respectively. These products also demonstrated significant (p<0.01) fibroblast-proliferation promoter abil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