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상평가법(CVM)에 의한 도시공원의 관리운영에 대한 경제적 가치평가에 관한 연구 - 부산시 APEC기념공원을 대상으로 -

        김영하,박승,Kim, Yeong-Ha,Park, Seung-Burm 한국조경학회 2014 韓國造景學會誌 Vol.42 No.2

        본 연구는 도시공원의 관리운영을 위한 민간기금 조성측면에서 부산시 APEC기념공원을 대상으로 가상평가법(Contingent Valuation Method: CVM)을 이용하여, 쾌적한 도시공원 유지를 위한 거주민이 인식하는 경제적 가치를 평가했다. 그 결과, 부산시 APEC기념공원의 관리운영을 위해 월 가구당 지불 가능한 추정금액은 5,673원에서 8,358원으로 평가되었다. 추정금액을 공원 유치권역의 가구로 확대하여 살펴보면, 2012년 편성된 공원 관리예산의 2.2~3.3배 수준으로 분석되어, 지역 거주민들이 인식하는 쾌적한 공원 유지를 위해 지불의사금액이 편성된 관리예산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도시공원의 관리운영을 위한 지불의사금액에 영향을 주는 응답자의 사회적 요인으로는 연령, 교육수준, 소득으로 분석되었으며, 연령대가 높고, 교육수준이 높은 응답자에서 지불의사가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거주민의 공원이용 및 인식에 따라 도시공원 관리운영을 위한 지불의사금액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공원이용 빈도가 높은 거주민이 지불의사가 높으며, 주1회 이상 공원이용자가 전체 지불의사금액보다 1.1배 높은 추정금액으로 평가되었다. 그리고 공원의 필요성을 인식하는 것보다 공원을 만족하는 것이 더 높은 지불의사금액으로 이어지는 것을 밝혀냈다. 따라서 공원 만족도 제고를 위한 공원시설관리 및 이용프로그램 운영이 필요하며, 공원에 대한 인식을 기부로 연결할 수 있는 공원문화 보급정책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This study evaluated economic value recognized by the residents for the pleasant urban park management using contingent valuation method(CVM) to APEC Memorial Park in Pusan in terms of private fund development for the management of the city park. As a result, the estimated amount payable by each household for the management of APEC Memorial Park in Busan was between 5,673 won and 8,358 won. If such amount is expanded to households in park hosting area, it was 2.2~2.3 times of the park management budget in 2012, which demonstrates the willingness to pay (WTP) of residents for pleasant park was higher than the management budget. Social factors of respondents affecting WTP for city park management operation included age, educational level and income level. Those with high age and high education level had higher WTP. And, WTP was much affected by the use of park and recognition of residents. In particular, those with high frequency in the use of parks had higher WTP, and the users with more than once per week had 1.1 times higher WTP than overall WTP. Then, the satisfaction of park rather than recognition of necessity of park had led to higher WTP.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manage park facility management and use program operation to enhance park satisfaction and it is also required to develop a park culture distribution policy to link such recognition to donation.

      • KCI등재

        부산광역시 도시공원의 관리운영 실태 분석에 관한 연구 - 관리주체측면을 중심으로 -

        김영하,안양욱,박승,Kim, Yeong-Ha,An, Yang-Wook,Park, Seung-Burm 한국조경학회 2012 韓國造景學會誌 Vol.40 No.6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 조성 완료된 근린공원 69개소를 대상으로 관리하는 운영주체에 대한 파악과 그 실태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공원녹지 관련 업무자료 및 담당자와 면담, 그리고 도시공원의 예산편성 자료를 바탕으로 관리주체를 조사하였으며, 위탁관리 및 별도의 기관에서 관리되는 경우는 홈페이지 및 직접방문을 통한 자료 수집을 통해 연구를 진행했다. 공원의 관리방식은 자치단체의 본청과 사업소에서 직영관리가 48개소(69.6%), 공단 및 민간단체에 위탁관리가 18개소(26.1%), 직영관리와 위탁관리를 병행하는 혼합관리가 3개소(4.3%)로 파악되었다. 그리고 도시공원의 관리 실태를 종합분석한 결과, 위탁관리하고 있는 공원은 공원의 총괄 관리가 미약하며, 공원관리가 조경 및 청소 등의 유지관리 위주로 관리되어 이용자를 위한 프로그램 운영이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기초자치단체에서 관리되고 있는 총 46개소의 공원은 대부분 규모가 작은 근린공원이며, 공원의 유지관리를 위해 무기계약직 근로자 및 기간제근로자를 고용하여 관리하고 있어, 공원 관리운영을 위한 전문 인력 및 조직체계가 개선이 시급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공원 내 교양시설은 별도의 기관에서 관리하고 있어, 공원 내 공원시설이 아닌 독립된 교양시설로서 공원관리와 분리된 형태로 관리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의 해결 방안으로는 공원의 적정인원 고용에 대한 법제화 및 제도적 개선, 시민단체와의 협력적 네트워크 구축, 시대변화에 따른 이용프로그램 기획 및 개발과 더불어 이용객 위주의 프로그램 관리를 지속적으로 실시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aims to figure out the main agent of management in the 69 recently constructed neighborhood parks in Busan, and to analyze the present status of the main agents. For this purpose, the work resources on park and landscape management, interview to related staff, and the budget on urban parks were found as the main agents of management. In case the parks were managed by consignment or by other separate organization, this study collected resources through the homepage or personal visits. As a result for the management method on parks, about 48 parks(69.6%) were under direct management by the local governments' main office and its business offices. Eighteen parks(26.1%) were commissioned to corporation or private organizations and three parks(4.3%) were operated by both direct and commissioned management. Because of the overall management result on urban parks, the company under outsourced management is not sufficient for a comprehensive management. Such is mainly focused on the maintenance like landscape or cleaning, but have fewer programs for the users. Forty-six parks cared by the local governments are mainly small sized neighborhood parks. For the management, contract workers or short-term workers are hired. It demonstrates an urgent need to improve professional personnel and organizational system for park management. In addition, any educational or cultural facility in the park is managed by separate institutions. Thus, it is not controlled as a park facility but an independent facility with separate controls. Moreover, to solve such problems, it needs legalization on the proper employment for parks, institutional improvement, cooperative network with NGO, planning and development of the program used according to the change of time, and customer oriented program management.

      • KCI등재

        Women Workers and Industrial Life in Korean Cinema

        Park, Seung Hyun(박승현) 동국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2016 씨네포럼 Vol.0 No.23

        한국의 노동운동사에서 1970년 전태일의 죽음과 1980년대 후반 일어난 대규모 노동파업은 노동자 권리의 억압과 노동 조건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환기시키는 대표적 사건이다. 구로 아리랑(1989)과 아름다운 청년 전태일(1995)은 두 개의 사건을 토대로 노동 현실에 대한 이야기를 영화화한 대표적인 노동영화이다. 권위주의 정부의 붕괴이후 1980년대 후반부터 한국영화를 둘러싼 제작 환경은 이전보다는 훨씬 자유로워지기 시작하였다. 이 두 편의 영화는 이와 같은 환경 속에서 한국영화가 동시대의 정치사회 문제에 민감하게 반응하였음을 보여준다. 본 논문은 이 두 편의 작품들이 1970년대와 1980년대 여성 노동자와 그들의 삶을 어떻게 영상으로 표출하는 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본 논문은 사회 환경적 배경을 이해하기 위해서 우선 당시의 노동 환경에 대한 논의를 먼저 진행하고자 한다. 그리고 각각의 작품들이 어떻게 여성 노동자와 그들의 삶을 영상으로 표출시켰는지를 다루고자 한다. Since the Korean War, two events have been prominent on the history of industrial struggles. One was the death of a young worker in a textile factory area called Chungkye district in 1970. Jeon Tae-il committed self-immolation to call for the observance of the Labor Standard Law. This event provoked the first public recognition of the working class and the absence of basic industrial rights. The other significant one was the “Great Labor Struggle,” a series of industrial strikes launched from July to September of 1987. This was a nationwide protest against the governmental authority and management in a situation similar to that of the early 1970s. Two movies deal with each of these two historical events. A Single Spark (Park Kwang-su, 1995) tells the life of Jeon who strives to publicize the abuse of young female workers in the Chungkye factory district. Kuro Arirang (Park Jong-won, 1989) deals with realistic issues regarding industrial disputes in the late 1980s, focusing on the story of young female workers in the shadow of an economic miracle. These two films show that Korean cinema begins to be sensitive to the contemporary socio-political problems, after the decline of authoritarian rule. This paper explores the ways in which these two films deal with the life and circumstances of female workers and labor oppression during the 1970s and 1980s. For contextual background contained in both films, it is useful to first recognize labor situations of female workers during those times.

      • KCI등재

        한국 아동의 기본운동기술 평가 시스템 개발: 평가 기준 설정 및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개발

        박승하 ( Seung Ha Park ),최재남 ( Chae Nam Choe ),김미예 ( Mi Ye Kim ) 체육과학연구원 2009 체육과학연구 Vol.20 No.3

        이 연구의 목적은 취학 전, 후 남녀 아동(5세-13세)의 이동운동기술의 평가 내용을 구성하고, 성별과 연령에 따른 이동운동과 물체조작운동 기술의 평가 기준을 설정하며, 컴퓨터 기반 평가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동운동에 대한 평가 내용을 구성하기 위하여 TGMD-2와 선행연구의 발달 단계(Seefeldt et al., 1982; Roberton et al., 1984)를 토대로 다섯 가지 동작(던지기, 호핑, 갤로핑, 슬라이딩, 수평점프)에 대한 항목과 세부 내용을 구성하였다. 구성된 평가 내용은 전문가 회의를 통해 내용을 검토한 후, 세 명의 평가자의 기술 수준(상, 중, 하)에 따른 수행 점수의 평균차이검증을 통해 타당도를 확인하였으며, 세 명의 평가자간 상관분석(.86 이상)과 일치도 분석(83% 이상)을 통해 평가 내용의 신뢰도를 확인하였다. 물체조작운동의 평가 내용은 박승하(2008)가 구성한 평가 내용을 활용하였다. 최종적으로 구성된 기본운동기술의 평가 내용을 토대로 성별과 연령별로 평가 기준을 설정하기 위하여 5세에서 13세의 아동 총 944명(남: 522명, 여: 422명)을 대상으로 이동운동(달리기, 호핑, 갤로핑, 슬라이딩, 수평점프)과 물체조작운동(던지기, 받기, 차기, 치기, 드리블, 굴리기) 수행 장면을 촬영하여 동작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 점수를 T점수로 변환하여 국민체력실태조사(문화체육관광부, 2008)에서 사용한 등급 백분위를 기초로 평가 등급을 설정하였다. 평가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은 화면 설계 및 디자인, 데이터베이스 구축, 프로그램 로직 설계, 소프트웨어 제작, 버그테스트 및 수정 보완 과정을 거쳐 개발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주 메뉴와 기능 메뉴로 구성되어 있으며, 기능 메뉴에는 항목평가, 학생자료 관리, 결과조회 기능을 포함하였다. 본 프로그램의 메인 화면은 세부적으로는 학교/학생 선택창, 영상 편집창, 구간 및 키포지션 관리창, 평가 항목 선택창, 평가창 등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기본운동기술 평가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은 취학 전, 후 아동의 기본운동기술을 평가할 수 있는 내용과 기준을 확립하고, 평가 결과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의 첫 단계를 이루었다는 면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또한 평가 결과에 대한 영상 및 다양한 피드백 자료를 학부모와 아동들에게 손쉽게 공유할 수 있는 온라인 시스템을 갖추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stablish the contents for fundamental movement skill test and the evaluation standards, and to develop the computer-based software program for assessment. For setting up locomotor skill test, we made up items and performance criterions for five skills (run, hop, gallop, slide, horizontal jump), based on TGMD-II and the developmental stage from previous research (Seedfeldt et al., 1982; Roberton et al., 1984). These contents were investigated by the group of experts in field of motor learning and development. The validity was identified through verifying mean difference among three raters over skill levels, and the reliability was tested through agreement statistics (over 83%) and correlation analysis (over .86) among three raters. All items for object-control skill test were referred from Park`s (Park, 2008). For establishing the evaluation standard, the fundamental movement skills (five locomotor & six object-control skills) of total 944 children (male 522, female 422) were recorded and analyzed. Raw score was transformed to T-score, and then five grades were established based on percentile for grading in 2007 National Physical Fitness Surveillance (Ministry of Curture, Sports, and Tourism, 2008). Computer-based software program was developed through processing of the design of a picture, database establishment, program logic design, software manufacture, bug test, & revision. The software program was comprised of the main manu and the functional manu, which included item assessment, data administration, and inquiry of results. Main picture was made up windows for selecting school/student, editing the image, managing the region and key-position, selecting contents for evaluating, and assessing. In conclusions, our results mean that the program establishes items and standard to assess the fundamental movement skills for pre- and post school aged children in korea, and systematically constructs the computerized organization for managing the rating results. Also, we think that it will be contributed to building up on-line system for sharing various feedback information and images easily with parents and children.

      • KCI등재

        유무선 방송통신 결합상품 시장의 경쟁제한성 판단 연구

        박승용 ( Park Seung Yong ) 연세법학회(구 연세법학연구회) 2017 연세법학 Vol.29 No.-

        본 연구는 유무선 방송통신 결합상품 판매의 허용 이후, 국내 방송통신 시장에서 발생하고 있는 시장지배력 전이를 중심으로 경쟁제한성을 판단 하고자 하였다. 결합판매의 시장지배력 전이를 판단하는 분석방법의 국내 방송통신시장 적용 가능 여부를 확인을 통해 Tirole의 끼워팔기 분석 틀의 적용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국내 유무선 방송통신 결합상품이 끼워팔기가 아닌 혼합결합의 형태를 띄고 있어, Tirole의 분석 틀을 적용하기 위해 판매되고 있는 결합상품에서 주상품과 부상품을 판단하는 과정을 거쳤다. 이를 통해 무선상품(이동전화)이 주상품, 유선상품(초고속인터넷, 유료방송, 유선전화)을 부상품으로 정 할 수 있는 근거들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Tirole의 끼워팔기 분석 틀 3단계 적용과 함께 정량적 평가로 시장점유율 변화를 확인하였고, 국내 유무선 방송통신 결합상품 시장은 무선상품으로 인해 유선상품 시장의 경쟁을 저해할 가능성이 있음과 함께 장기적으로 소비자 피해를 유발할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규제당국의 적절한 시정방법이 있는 상황으로, 국내 유무선 방송통신 결합판매 시장의 경쟁제한성을 미래창조과학부와 방송통신위원회 등의 산업관련 규제당국이 강력한 사전·사후규제를 통해 관리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is aimed at evaluating anti-competition facilitated by a shift in market power, that has been taking place in the domestic communications market since bundling wired-wireless communications services was allowed. First, the validity of Tirole`s framework for the analysis of tying was verified before being used in this study to check whether the analysis method to evaluate market power shift led by bundling is applicable to the national communications market as well. Since bundled wired-wireless communications services are available in the form of mixed bundling, not tying, such services were sorted into the major and minor ones to ensure accurate application of Tirole`s analysis framework. As a result, several grounds were suggested to separate bundled services into wireless services (mobile telephone) as main and wired products (high-speed internet, subscription broadcasting, wired telephone) as minor. Based on these results, Tirole`s framework for the analysis of tying were applied in three steps and quantitative evaluation was conducted to examine changes in market share. It confirmed that bundled communications services could undermine competition in the wired service market with the sale of wireless services and could do damage to consumers in the long term. However, it was also found that regulators have already adopted proper measures to resolve the issue. More specifically, concerned authorities such as the Ministry of Science, ICT and Future Planning and 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 have been implementing tough ex ante-ex post regulations to control anti-competition of the bundled communications services.

      • KCI등재
      •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경지정리지구의 생산성 평가

        박승기 ( Park Seung Ki ),민대홍 ( Min Dae Hong ),이창수 ( Lee Chang Soo ) 한국농공학회 2001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01 No.-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veloped that appraisement model of Potential Productivity Index (PPD. PPI model was used Farmland Productivity Index(FPD and Labor Productivity Index(LPI) by GIS, and PPI model applied to farm land consolidation region which has been completed recently. FPI was determined by overlapping Poly Grid of the soil properties at the analyzed project region. LPI was estimated by addition productive wages ratio of total direct productive cost. Addition productive wages was determined by GIS Network analysis of working distance between farm house to paddy and each paddy. PPI variation of each the analyzed paddy of Masu and Weoncheon region was 0.967~0.712, 0.986~0.780 respectively, and could be showed relative largely PPI value. PPI will provide basic element for large scaling and gathering of farm land and a substitute lot of farm land consolidation, and will be maximize productivity of paddy.

      • KCI등재

        老子修養論과 마음치유

        박승현(Park, Seung-Hyun)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4 인문과학연구 Vol.0 No.40

        본 논문은 노자철학의 수양론을 ‘마음치유’와 연관하여 논의를 전개하였다. 수양이란 개념은 서양철학에는 존재하지 않는다. 동양철학은 생명에 대한 관심에서 출발하였기 때문에 언제나 ‘덕성(德性)’관념과 ‘주체성’을 중시하였다. 그래서 주체성을 확립하기 위하여 언제나 ‘수양(修養)’ 즉 ‘실천’의 문제가 중요하게 자리 잡게 된다. 이러한 수양은 바로 자기 극복(극기克己)에서 출발한다. 이러한 자기 극복의 과정인 수양은 본래 마음치유의 의미를 갖고 있는 것이다. 노자는 인간들의 ‘인위’와 ‘조작’의 행위가 고통을 낳는다고 본다. 이러한 조작을 제거하기 위하여 노자는 ‘무위’의 관념을 제시한다. 무위와 자연은 고도의 수양을 통하여 도달되는 마음의 경지이다. 이러한 경지에 도달하기 위한 수양과 마음치유는 ‘비움’(손損)에서 출발한다. 비움의 과정을 통하여 확보되는 것이 바로 ‘허정심’이다. 이러한 허정심의 회복과정이 바로 마음치유의 길과 맞닿아 있는 것이다. This article is tried to discuss the Cultivation theory of Lao-Zi in relation to the healing of mind. There is no concept of Self-cultivation in the Western philosophy. Eastern philosophy have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morality’ and ‘subjectivity’ because of concerning moral life. Therefore, ‘self-cultivation’ or ‘practice’ has been a very important problem for establishing subjectivity. The ‘self-cultivation’ is started from self-control of the human mind. The ‘self-cultivation’, through the process of self-denying, originally contains the meaning of healing of the mind. Lao-zi emphasized that the artificiality(人爲) or fabrication(造作) bring forth a lot of pains to the human mind. He suggested the concept of Wu-Wei(無爲) for removing the artificiality(人爲). Wu-wei and Zi-ran is the highest state of mind that we are able to attain through the self-cultivation. We should start with emptying our mind for reaching this spiritual state. It is the serene heart(虛靜心) to reach through the process of emptying mind. This process of recovering serene heart is especially concerned with healing of the min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