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신문의 단신 부고 제작 관행과 부고 내용분석

        박순찬,김영욱,정재민 한국언론정보학회 2022 한국언론정보학보 Vol.114 No.-

        The obituary, which records human death, occupies a corner of the newspaper every day and is a window to society. There have been not many studies on the obituary, and the studies have been mainly on social leadership or celebrity obituary. This study is based on short death notices for the public. This paper analyzes 6 months period of obituaries and the route in which a domestic newspaper received obituaries for 3 months, for analyzing the obituary writing system of Korean newspapers. A survey was also conducted among 300 adults to know the public’s perception of obituaries.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obituaries are centered around not the deceased themselves, but the bereaved families. A bias in social class could be observed, as corporate executives accounted for the most of occupational group. And those in media to be prioritized for obituary. This paper also found that Korean newspapers have an exclusionary practice of obituary. This is due to path-dependency and the writing practice of obituary through the special favor. According to the survey, people recognize the need for an obituary but only four out of ten participants said they would use it. This paper proposes the need to change the format of obituaries and extend the scope of journalism through the use of obituaries.

      • KCI등재

        EMU는 최적통화지역이 될 수 있는가? : 경제통합과 비대칭적 쇼크 Economic Integration and Asymmetric Shocks

        박순찬 한국EU학회 2000 EU학연구 Vol.5 No.1

        Euro area countries will undoubtedly experience disturbances that affect a single country or subsets of regions. Such country-specific shocks could be sources of tension within EMU unless they can be easily absorbed. Theory of optimum currency area emphasizes both the diversification of industrial structure and the flexibility of labor market as mechanisms which reduce the potential costs of the abandonment of national monetary policies. This paper investigates whether EMU itself can create conditions for a successful monetary union in the light of recently developed economic geography models. The economic geography models predict that closer integration leads to greater concentration of economic activities. Sector-specific shocks may then become country-specific shocks. In the absence of national monetary policies asymmetric shocks will be harder to deal with. On the contrary to static geography model, the dynamic economic geography model suggests that integration results in income convergence among member countries. In the situation of currently low migration across members, a gap of income differences will further decrease the incentive to migrate. As a result EMU may create neither the diversification of economic activities nor the flexibility of labor market which are essential for the adjustment to asymmetric shocks.

      • KCI등재

        EU 통상정책수단의 운용과 그 적용사례 : 반덤핑 규정과 통상장벽 규정을 중심으로 Anti-Dumping and Trade Barrier Regulation

        박순찬,이환호 韓獨經商學會 2000 經商論叢 Vol.21 No.-

        This paper overviews the important changes to the commercial policy of EU followed after the conclusion of Uruguay Round and studies the application cases, The EU tends to move away from a defensive strategy which aims at protecting the internal market towards it more offensive strategy to open the market of third countries. The Trade Barrier Regulation is introduced in 1994 with the aim of helping European firms to eliminate the trade barriers in third-country markets. Anti-Dumping constitute the very potenti nstrument of protectionism used in EU. Anti-Dumping law gives European firms incentives to neglect innovation or reducing the production costs because they can profit from relying on protection. The case studies show that the application of measures is to a large extent determined by political discrerion rather than on the basis of common welfare including injury of consumers.

      • KCI등재

        한류의 무역창출효과

        박순찬,최종일 한국은행 2009 經濟分析 Vol.15 No.1

        본 연구는 문화상품의 교역규모를 국가간 문화적 근접성을 나타내는 대용변수로 보고, 문화적 근접성이 국제무역을 촉진하는 무역창출효과를 분석한다. 이를 위해 1990-2005년 아시아-태평양 25개국의 양자간 수출을 대상으로 문화상품의 수출이 여타 상품의 수출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계량 분석한다. 특히 한국과 나머지 아시아-태평양 국가의 문화상품 수출을 분리함으로써 한류와 나머지 아시아-태평양 국가의 무역창출효과를 별도로 분리한다. 문화상품 수출국의 문화에 대한 친밀감이 형성됨으로써 여타 상품에 대한 소비자의 선호도가 높아지는 것은 순간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소비자와 해당 문화상품과의 접촉이 상당 기간 동안 지속되고 누적될 때 가능하다. 그러므로 실증분석모형은 특정 연도의 문화상품 수출이 여타 상품의 수출에 영향을 미치는 정태적 분석이 아니라 문화상품 수출의 누적효과(cumulative effect)를 반영할 수 있는 동태적 형태로 설정되어야 한다. 이러한 동태적 실증분석모형을 이용하여 추정한 결과, 문화상품 수출이 여타 상품의 수출을 촉진하는 무역창출효과가 존재하며, 이러한 무역창출효과는 장기간 지속적으로 누적된 문화상품의 수출이 여타 상품의 수출을 촉진하는 누적효과(cumulative effects)로 나타났다. In this paper, we explore the trade creation effects of Hallyu by employing the gravity model which has been widely used empirical analyses on aggregate bilateral trade flows. The bilateral trade in the cultural goods is used as the proxy variable for the cultural proximity between two countries. The data set covers 25 countries in the Asia-Pacific region for the period from 1990 to 2005. Culturally close countries trade more because they have strong tastes for each others’ products. However, this preference is not created in a short period of time, but generated over the long term. In order to focus on the cumulative effects of the cultural proximity, we introduce a dynamic version of the gravity model. We find cumulative trade creation effects of the cultural proximity, in the sense that exports in the cultural goods promote exports in the other goods.

      • KCI등재
      • 한-미 FTA가 경기도에 미치는 경제적 파급효과와 대응방안

        박순찬,채희율,강문성,김우영,이종화,김은경 경기연구원 2006 위탁연구 Vol.2006 No.12

        □ 한-미 FTA 체결은 경기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분석되었음. - FTA 체결 이후 자본축적만 이루어지고 생산성 증가가 없는 경우 한-미 FTA로 인해 경기도의 실질 지역총생산은 2,13%~2,16% 증가하고, 고용은 38.7~39.9천명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 경기도의 산업구조를 볼 때 제조업의 비중이 높고, 전국평균과 비교할 때도 농림수산업의 상대적 중요성이 낮음. 따라서 경기도의 경우 한-미 FTA로 인해 농업을 둘러싸고 발생하는 갈등요인이 상대적으로 낮은 편임. □ 경기도와 미국간 무역은 산업간 무역의 비중이 압도적으로 높고, 산업내 무역에 있어서는 수직적 분업관계의 특성이 강하게 나타남. - 따라서 양국간 무역구조가 보완적 관계를 형성하고 있어 FTA가 체결되더라도 구조조정비용이 상대적으로 높지 않을 것으로 전망됨. □ FTA의 체결은 외국인직접투자(FDI)의 유입을 보장하는 것은 아니며, 국내제도의 개혁이 수반될 때 긍정적 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됨. - 한-미 FTA는 미국으로부터의 수직적 FDI를 증대시키고, FTA 협정이 투자자유화를 포함한다면 미국으로부터의 수평적 FDI도 늘어날 수 있는 일반적 환경을 제공하지만 국내의 기업환경이 그러한 투자를 유인할 수 있어야 함. - 한-미 FTA 체결을 계기로 외국인직접투자를 유치하기 위해서는 경기도의 제도 개혁이 반드시 필요함. 이는 곧 수도권 규제가 철폐되거나 완화될 때 한-미 FTA가 경기도로의 외국인직접투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함.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