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이육사의 「광야」 연구

        박순원 한국비평문학회 2011 批評文學 Vol.- No.40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Wilderness”, Lee Yuk―sa’s poem, and to clarify its meaning. “Will the sound of Crying chicken is heard” and “Again after one thousand years”, these two verses is the most critical passages to clarify the meaning of the “Wilderness”. Instead of saying “No sound was heard” because it said “Will the sound of Crying chicken is heard”, ‘Sound of Crying chicken’, as informing of the opening sounds of the universe begins, will be able to coexist with silence. “Thousand years” is not indefinitely long time, but in time we can approximate the historical is the longest time. It is time for the formation of human history. It is not the time to empty. In that time, all the conflicts and struggles of human life is embedded. First stanza, the second stanza, and the third stanza of “Wilderness” is announcing the beginning of heaven, earth and human history. The wilderness is not just land. The wilderness includes heaven, earth and human being. Fourth and fifth stanza is the image of the current situation and future. The wilderness is a practical field of life, an endless effort to imitate the will of heaven. 이 연구는 이육사의 시 「광야」를 면밀하게 검토하고 분석하여 그 의의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전개되었다. 1연 3행 “어데 닭 우는 소리 들렷으랴”와 5연 1행의 “다시 千古 뒤에”에 대한 해석은 「광야」의 의미를 온전하게 밝혀내는 데 가장 핵심적인 영향을 끼치는 구절이라고 할 수 있다. “어데 닭 우는 소리 들렷으랴”에 대해서는 ‘닭 우는 소리’가 ‘들렸다/들리지 않았다’라는 이분법적 차원에서 논쟁이 전개되었다. “닭 우는 소리 들렸으랴”라는 설의법, 즉 ‘닭 우는 소리가 들리지 않았다’라고 해석하는 것이 옳지만, 이는 단순한 정적만을 이야기한 것은 아니다. ‘아무 소리도 들리지 않았다’라고 하지 않고 ‘닭 우는 소리 들리지 않았다’라고 했기 때문이다. ‘닭 우는 소리’를 들으면서 우리는 이미 그 소리를 듣는다. 그리고 ‘들렷으랴’ 즉 ‘들렸겠는가’라는 구절을 읽는 동안 ‘닭 우는 소리’는 광야의 저 먼 곳으로 물러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해서 ‘열림’을 알리는 시원의 소리로서 ‘닭 우는 소리’와 ‘침묵’의 공간을 공존시킬 수 있게 된다. ‘다시 천고의 뒤’에 대한 해석에서 ‘천고’는 막연하게 긴 시간 그리고 기다림의 시간으로 보고 있는 견해들이 있다. 그러나 ‘천고’는 막연하게 긴 시간이 아니라, 우리가 역사적 지평에서 가늠할 수 있는 최장의 시간으로 제시된 것이다. ‘가난한 노래의 씨’가 뿌려져서 싹이 트고 잎이 나고 자라는 시간 즉, 인간의 역사를 형성하는 시간이다. 그 시간은 텅 비어 있는 시간이 아니라 인간사의 갈등과 투쟁으로 점철되어 있는 시간이다. 「광야」의 1연, 2연, 3연은 하늘과 땅 그리고 인간 역사의 시원을 알리고 있다. 즉 천⋅지⋅인 삼재의 기원과 생성 과정이다. 즉 ‘광야’는 ‘地’로서의 광야가 아니다. ‘천지인’ 모두를 포괄하는 ‘광야’다. 그리고 그 ‘광야’는 ‘하늘, 닭 우는 소리, 산맥, 바다’를 배제한 범접할 수 없는 홀로 신성한 공간이 아니다. 아득한 시간과 공간 속에서, 지금 당장 보이지 않고 들리지 않는 것들과 함께 존재하는 것이다. 4연과 5연은 부사 ‘지금’, ‘다시’가 한정하고 있듯이, 현재의 상황과 미래의 모습이다. 1, 2, 3연의 ‘광야’가 ‘천지인’으로서의 ‘광야’라고 한다면, 4연과 5연의 ‘광야’는 역사적 시공간으로서의 ‘광야’로, 1, 2, 3연을 통해 형성된 ‘광야’의 일부분이다 따라서 5연 마지막 행에 적시된 ‘이 曠野’는 “천도의 운행”을 본받아 “끊임없이 노력”해야 하는 구체적인 삶의 현장인 것이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독서지수의 활용 방안 연구

        박순원 한국국어교육학회 2011 새국어교육 Vol.0 No.8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utilization of Read-LQ(Lectio Quotient). Read-LQ can be used in the effective reading activities and in the study of literary. Read-LQ is to assess the difficulty of the book and to give a grade of the book. In the process of calculating Read-LQ is the core part of the vocabulary of the text,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asurement. Therefore, corpus linguistics and the study of Kimgwanghae is the basis for the calculation of Read-LQ. Read-LQ Analysis Program of Natmal Institute for Information Processing Vocabulary(Natmal v. 2004) grant Read-LQ to typed text using the DB of Vocabulary list. Read-LQ of Taebaek Mountains(1) is 1,100L. This is the 9th grade to 11 grade level. In Taebaek Mountains(1) , the vocabulary related to time appear frequently. And dialects, which are related to space, also appear frequently. Read-LQ may be useful that the reader, reading educators, publishing, etc. As well as Read-LQ can be an effective tool to study of literary trends and literary style. Because it is the accumulation of data of the vocabulary in the process of calculating it. If linguist, reading specialists and literary researcher should work together, they will achieve results more abunda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