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칸트 선험 철학에서 상징의 의의

        박수범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2 코기토 Vol.- No.96

        We can find the seed of the symbol which is the method to mediate between concepts and intuitions in the Critique of Pure Reason and the Critique of Practical Reason, but Kant simply mentions about the symbol in there. The symbol finally bears abundant fruit in the Critique of the Power of Judgment. Especially, Kant expands the symbolic method to mediate between concepts and intuitions concretely in the section 59. However, The significance of the symbol in his transcendental philosophy has been overlooked because of the following two reasons. Firstly, The first Critique has been deemed the model of Kant’s transcendental philosophy, hence the schemata has been deemed the model of the method to mediate between concepts and intuitions. Consequently, the schemata has been studied by many commentators, but they did not pay attention to the symbol which is another way to mediate between concepts and intuitions. Secondly, the title of the section 59 ‘On beauty as a symbol of morality’ indicates that commentators tend to use the symbol as a tool to resolve the problems of the deduction of the judgment of taste or the relation between beauty and moral. However, this paper tries to reveal the positive significance of ‘symbol’ in Kant’s transcendental philosophy through casting light on the symbol which has been deemed merely residual products or secondary things. *In this abstract, Kant’s terms are cited from The Cambridge Edition of the Works of Immanuel Kant.

      • KCI등재

        칸트 진리론의 구조(構造)

        박수범 범한철학회 2014 汎韓哲學 Vol.75 No.4

        How does Kant's transcendental philosophy understand the truth? In other words, what kind of truth theory is Kant's epistemology?We can say that traditional interpretation of Kant’s epistemology generally ignored the importance of “The Transcendental Dialectic" in the Critique of Pure Reason, because of the distinction between “The Transcendental Analytic" as the ‘logic of truth' and “The Transcendental Dialectic" as the 'logic of illusion'. However, "The Transcendental Dialectic" becomes the 'logic of illusion' only in the case that the ‘idea’ was misused. Inversely, when the ‘idea’ is used correctly, not only "The Transcendental Analytic" as the 'logic of truth' but also "The Transcendental Dialectic" deeply relates to Kant's theory of truth. To put it more concretely, Kant's transcendental idealism defines the coincidence between the forms of cognition and appearances through perception; furthermore, it reveals the relation between the form of cognition and the world-idea, which is supporting the truth from the bottom. On this account, the truth theory in "The Tanscendental Analytic" is only a part of Kant's theory of truth. "The Transcendental Analytic" does not become the ‘logic of truth’ directly, i.e. it is possible to grasp the key point of Kant's theory of truth, only if when we broaden our horizons to the world-idea on which his truth theory is based. * In this abstract, Kant’s terms are cited from The Cambridge Edition of the Works of Immanuel Kant. 칸트의 초월론적 관념론은 진리를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가? 즉 칸트의 인식론은 어떠한 진리론인가?칸트 인식론에 대한 종래의 일반적인 해석은 『순수이성비판』에서 「변증론」이 가지는 중요성을 간과하였다고 생각된다. 그 연유로서 생각할 수 있는 것은, “진리의 논리학”으로서의 「초월론적 분석론」과 “가상의 논리학”으로서의 「초월론적 변증론」이라는 칸트의 구별이다. 그러나 「변증론」은 어디까지나 이념이 잘못 사용될 경우에만 “가상의 논리학”이 된다는 것을 주의하지 않으면 안 된다. 역으로 말하면, 이념을 올바르게 사용하는 경우에는, 진리의 논리학으로서의 「분석론」뿐만 아니라 「변증론」도 칸트의 진리론에 깊게 관여하게 된다. 즉 칸트의 초월론적 관념론은, 지각을 통한 인식 형식과 현상의 합치로서의 진리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그러한 진리를 근저에서 떠받치고 있는 인식 형식과 세계 이념의 “관련”까지도 밝히는 이론이다. 따라서 「분석론」에서의 진리론은 단지 칸트 진리론의 한 측면에 불과하다고 말할 수 있겠다. 「분석론」이 바로 진리의 논리학이 되는 것이 아니라, 그의 진리론이 암암리에 전제하고 있는 「변증론」에서의 세계 이념을 시야에 넣음으로써 비로소 칸트 진리론의 핵심적 사상을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생각된다.

      • KCI등재

        아프리오리한 종합판단으로서의 취미판단의 성립과정

        박수범 대동철학회 2023 大同哲學 Vol.103 No.-

        This paper aims to clarify and reveal the process in formulating synthetic a priori judgments from judgments of taste, where Kant’s critical approach stems from his seminal work, the Critique of the Power of Judgment. To achieve such revelation, the following methodology has been applied in the process. The judgment of taste should not only be based on the felt satisfaction of the judge, but rather through the reflecting acts of exercising one’s power of judgment. Therefore, the paper looks at the process from the viewpoint of the one who feels satisfaction, reflects that satisfaction, and makes the judgment of taste. Through this revelatory work, I hope to contribute to the extant research on Kant’s judgment of taste by clarifying Kant’s understanding of the processes where the judgment of taste is formulated as a synthetic a priori judgment. 이 글의 목표는, 칸트가 판단력비판에서 연역하고 있는 취미판단이 아프리오리한 종 합판단으로서 성립하기까지의 과정을 해명하는 것이다. 그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기 본적인 방법은 다음을 고려해서 이루어진다. 취미판단이란, 그 누구도 아닌 판단자 자신이 느낀 흡족의 감정으로부터 출발해서 내려질 수 있는 판단이다. 나아가서 취미판단은 그 누 구도 아닌 판단자 자신의 판단력(취미)의 반성작용을 거쳐서만 내려질 수 있는 판단이다. 그러므로 이 글은, 실제로 아름다운 것에 대한 쾌의 감정을 느끼고 그 감정에 대해 반성하 는 당사자의 시점에서, 한 판단자가 취미판단을 내리기까지의 과정을 살펴본다.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해, 취미판단이 아프리오리한 종합판단으로서 성립하게 되기까지의 과정에 대한 칸트의 이해가 드러남으로써, 취미판단을 둘러싼 방대한 문제들에 관한 논의들에, 칸트에 입각한 토대가 제공되기를 희망한다.

      • KCI등재

        대장직장 측방 발육형 종양의 아형에 따른 특징

        박수범,송근암,이봉은,류동엽,김동욱,김태오,김광하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2010 Clinical Endoscopy Vol.40 No.5

        Background/Aims: Laterally spreading tumors (LSTs) are similar in color to the adjacent mucosa, so they are difficult to recogniz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features of LSTs by morphologic classification and find effective diagnoses and treatments. Methods: This retrospective study was done between March 2006 and August 2008. We reviewed patients' medical records, endoscopic findings, and histological findings. Results: A total of 151 patients met criteria for LSTs. Eighty-seven lesions (57.6%) were of the granular type. The most frequent location was ascending colon (37.1%), followed by rectum and sigmoid colon (36.4%). The cecum is a common site in the granular type, but the transverse colon is common in the nongranular type. The overall malignancy rate was 21.2%, and the malignant rate increased in proportion to size. Malignant rates were higher for the mixed nodular type (25.9%) and pseudo-depressed type (41.2%) than for the homogeneous granular type (3.0%) or flat elevated type (10.0%). Conclusions: LSTs showed different clinicopathologic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ir morphologic classification. The homogenous type has a lower malignant potential. Piecemeal resection for those with a large diameter is possible, while the pseudo-depressed and mixed nodular types have a higher malignant potential and should receive en-bloc resection as soon as possible. 목적: 장관벽을 따라 측방으로 자라는 측방 발육형 종양은 높이가 낮으며 색조의 차이가 거의 없거나 약간 붉게만 보여 대장내시경검사에서 놓치기 쉽다. 측방 발육형 종양을 육안 형태에 따라 분류하고 아형에 따른 호발부위와 악성률을 비교 분석하여 아형에 따른 진단과 치료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3월 1일부터 2008년 8월 31일까지 부산대학교병원 소화기병센터에서 측방 발육형 종양으로 진단받고 내시경 절제 후 조직을 분석한 151명의 환자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측방 발육형 종양을 과립형과 비과립형으로 구분하였고, 과립형은 과립균일형과 결절혼합형으로, 비과립형은 평탄융기형과 위함몰형으로 세분하여 총 4군으로 아분류하였다. 내시경 치료를 통해 적출된 조직을 병리적으로 진단하여 선종의 종류, 악성화 여부 등을 판단하였다. 결과: 총 151명에서 측방 발육형 종양이 진단되었고 대상의 평균연령은 62.7세였으며, 남자가 83명(55%)이었다. 과립형이 87예(57.6%)로 더 많았다. 가장 흔한 호발부위는 상행결장이었으며 구불 결장 및 직장이 다음으로 흔하였다. 맹장에서는 과립형이, 횡행결장에서는 비과립형이 더 호발하였다. 전체 악성률은 21.2%이었고 크기가 클수록 악성률이 높았다. 아형별 악성률은 결절혼합형(25.9%)과 위함몰형(41.2%)이 과립균일형(3.0%)과 평탄융기형(10.0%)보다 높았다. Figure3.Nongranular type of laterally spreading tumors (LST) confirmed as carcinoma. (A) A flat elevated type of LST (18 mm) shows a flat smooth surface in the absence of granulonodular formation. (B) A pseudo-depressed type of LST (12 mm) shows relatively demarcated depressed area. 결론: 측방 발육형 종양은 형태에 따라 다른 임상병리적 특징을 가지며 크기가 커짐에 따라 악성률은 높아지므로 치료에 있어 형태 분류 및 크기가 중요한 고려사항이 된다. 따라서 치료에 있어서 형태에 따른 호발 부위를 인지하고 과립균일형은 큰 병변이라도 악성의 가능성이 적으므로 분할 절제도 가능할 것으로 생각되나, 결절혼합형과 위함몰형은 악성률이 높은 형태이므로 내시경 치료시 일괄 절제를 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취미 판단의 증명 불가능성에 대하여

        박수범 범한철학회 2022 汎韓哲學 Vol.104 No.1

        미에 관한 판단도 아프리오리한 종합 판단일 수 있음을 발견한 칸트는 『판단력비판』에서 취미 판단의 연역, 즉 취미 판단의 필연적 보편타당성의 근거를 밝히고 있다. 그런데, 취미 판단의 보편타당성은 필연적이기는 하지만 주관적이라고 하는 조건이 달려 있다. 그것이 시사하듯이, 칸트가 취미 판단을 연역하는 방식, 또 그 방식의 내용을 이루는 범위, 나아가서 그러한 방식에 의한 연역의 성부에 관한 해석가들의 논쟁이 이어져 왔다. 하지만 우리가 칸트에 의한 취미 판단의 연역을 문제시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우선 취미 판단이 과연 어떠한 판단인지를 해명하지 않으면 안 될 것이다. 취미 판단도 인식 판단과 마찬가지로 아프리오리한 종합 판단이라고 할지라도, 전자는 후자와 미묘하게 다른 근거를 가지며, 또한 전혀 다른 방식으로 내려지는 판단이다. 그러므로 이 글은, 취미 판단의 연역을 둘러싼 문제들의 원천, 즉 여타 판단들과 구별되는 취미 판단 바로 그것의 고유한 성격을 밝힘으로써, 그 고유성이 취미 판단의 보편타당성의 증명 불가능성과 결부되어 있음을 드러내고자 한다.

      • KCI등재

        칸트 철학에서 규정적 판단력과 반성적 판단력 - 보편과 특수의 관계라는 관점에서

        박수범 범한철학회 2016 汎韓哲學 Vol.80 No.1

        We might say that the relation between human being and the world is composed of experience. We can also say that experience is judging a judgment whether the judging is made consciously or unconsciously. Therefore, considering Kant’s the power of judgment is associated with the fundamental question which deals with the manner how human being is related to the world. This paper which has above background will consider the determining power of judgment and the reflecting power of judgment concretely. The judgment of cognition which is thematized in the Critique of Pure Reason is the main province of the determining power of judgment to which the universal is already given. By contrast, In the case of judgment of taste, there is no universal to subsume the particular, so we need the reflecting power of judgment to find the universal. At first glance, the determining power of judgment which descends to the particular from the universal and the reflecting power of judgment which ascends to the universal from the particular act independently; the former in the field of cognition, but the latter in the field of beautiful(art, sublime). I think that traditional interpretations did not dig into the relation between two powers of judgment because they generally had premised that two powers of judgment are irrelevant to each other and limited to different field. Once again, this paper throws the following question. Is the intention of Kant’s distinction between the determing power of judgment and the reflecting power of judgment really means that two different powers of judgment act separately in different field? Through revealing that the activity of the reflecting power of judgment is necessary when the determining power of judgment actually descends to the particular from the universal, the auther attempts to read out Kant’s discernment about the power of judgment. 우리 인간과 세계의 관계는 경험에서 이루어진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경험이란, 의식적이든 무의식적이든 혹은 현재적이든 잠재적이든 어떠한 판단을 내리는 것이라고도 말할 수 있겠다. 따라서 칸트의 “판단력” 개념에 대하여 고찰하는 것은, 판단을 통해 과연 우리 인간은 세계와 어떠한 방식으로 관계하고 있는가라는 근본적인 물음과도 깊은 연관이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은 배경을 갖는 본고는, 구체적으로는 칸트 철학에서의 규정적 판단력과 반성적 판단력을 고찰하고자 한다. 보편적인 것이 미리 주어져 있는 규정적 판단력의 본령을 이루고 있는 곳은 인식판단이다. 하지만, 취미판단을 내리는 경우에는, 그러한 인식판단에서처럼 특수한 것을 포섭하기 위한 보편적인 것이 미리 주어져 있지 않기 때문에, 보편적인 것을 찾아내기 위한 반성적 판단력이 필요하다. 이처럼 얼핏 보기에, 보편으로부터 특수로 하강하는 규정적 판단력은 인식의 영역에서, 그리고 특수로부터 보편으로 상승하는 반성적 판단력은 미(예술, 숭고)의 영역에서 각각 독립적으로 활동하는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종래의 일반적인 해석은, 위의 두 판단력을 각자 다른 영역에 한정된 무관한 것이라고 암묵적으로 전제한 뒤, 양자의 관계에 대하여 더 이상 파고들지 않았다고 여겨진다. 본고는, 칸트가 규정적 판단력과 반성적 판단력을 구분하는 진의가, 양자는 각각 다른 영역에서 무관하게 활동하는 판단력이라는 점을 드러내려고 하는 것인가에 대하여 다시 한 번 물음을 던져 보고자 한다. 나아가서는, 규정적 판단력이 보편으로부터 특수로 실제로 하강할 경우에는, 반성적 판단력의 활동이 불가피함을 드러냄으로써, 판단력에 대한 칸트의 통찰을 읽어내고자 한다.

      • 지방 성인지예산제도 운영의 성과와 과제

        박수범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2020 ISSUE PAPER Vol.2020 No.-

        ■ 본 연구는 지방 성인지예산제도 시행 이후의 정량적·정성적 성과를 분석하고 향후 제도의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음. 분석결과 제도의 시행이후 정량적 성과에 해당하는 대상사업의 수와 예산규모, 성별수혜에 있어서는 지속적으로 개선되어 왔으나, 정성적 성과에 해당하는 공무원들의 인식은 2014년에 비해 거의 개선되지 못한 것으로 분석됨 ■ 따라서 성인지예산 사업의 성과관리를 강화하고 공무원들의 인식을 개선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방안을 제안함. 첫째, 지역별 성평등 목표를 수립하고 목표에 맞는 사업들을 집중적으로 대상사업으로 발굴할 필요가 있음. 둘째, 성과관리를 통해 제도의 실질적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대상사업의 성인지예산서가 장기적으로 작성되어야 함. 셋째, 지자체 성인지예산서 컨설팅 비용은 지자체에서 직접 예산을 편성하여 성별영향평가센터를 지원하고, 교육, 컨설팅과 신규인력 양성이 지속적으로 수행되어야 함.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