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옥상녹화 식물의 온도저감 효과 비교

        박성식,박봉주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2019 휴양및경관연구 (J East Asian Landscape Studies) Vol.13 No.2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rmal environment of Liriope platyphylla, Chrysanthemum zaqadskii, Hosta longipes, Sedum sarmentosum, Zoysia japonica that are ground cover plants used for extensive green roof in order to provide information for green roof construction. T-type thermocouple was installed on surface and bottom of green roof and soil, and surface of control; and thermal environment was measured continuously using a data logger. As results, surface temperature was highest on control, followed by soil, L. platyphylla, Z. japonica, C. zaqadskii, S. sarmentosum, and H. longipes in the order. Bottom temperature also was highest on control, followed by Z. japonica, soil, L. platyphylla, S. sarmentosum, C. zaqadskii, and H. longipes in the order. Daily temperature change was greatest on control, followed by soil, Z. japonica, L. platyphylla, C. zaqadskii, S. sarmentosum and H. longipes in the order. Findings from this study indicate temperature reduction effects of extensive green roof, and the effects are found to be influenced by plant types. As this study utilized only a few of plants used in green roof, however, it is suggested to expand future studies using diverse plants. 본 연구는 저관리 경량형 옥상녹화에 이용되고 있는 지피식물인 맥문동(Liriope platyphylla), 울릉국화(Chrysanthemum zaqadskii), 비비추(Hosta longipes), 돌나물(Sedum sarmentosum), 잔디(Zoysia japonica)의 온열환경을 비교하여 향후 온도저감을 위한 옥상녹화 조성 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온열환경 측정은 옥상녹화 및 토양의 표면, 하부 그리고 대조구 표면에 T형 열전대를 설치하여 데이터로거로 연속 측정하였다. 온열환경 측정결과 표면온도는 대조구가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토양, 맥문동, 잔디, 울릉국화, 돌나물, 비비추 순으로 나타났다. 하부온도는 대조구가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잔디, 토양, 맥문동, 돌나물, 울릉국화, 비비추 순으로 나타났다. 실험구의 일일 온도변화 폭은 대조구가 가장 높은 변화를 기록하였으며, 그 다음으로 토양, 잔디, 맥문동, 울릉국화, 돌나물, 비비추의 순으로 나타나 옥상녹화 식물로 온도변동 폭이 작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 저관리 경량형 옥상녹화를 조성할 시 온도저감 효과가 확인할 수 있었으며, 그 효과는 식재 식물 종에 따라 달라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본 연구는 옥상녹화에 이용되고 있는 수많은 식물들 중 극히 일부를 대상으로 하고 있어 향후 다양한 식물들에 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 KCI등재

        냉배수 방류에 따른 진해만의 해조류 성장 속도 변화 예측

        박성식,윤석진,이인철,김병국,김경회 해양환경안전학회 2021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27 No.2

        In this study, we aimed to evaluate the environmental changes in Jinhae Bay caused by cooling water using numerical modeling. Cooling water discharge volume from the results of Case 1 (10 m³ sec⁻¹) showed that the environmental changes in Jinhae Bay were extremely insignificant throughout the study period. In the simulation conditions of Case 2 (100 m³ sec⁻¹), there was a decrease in water temperature of approximately 1–3℃ within a 5 km radius from the discharge outlet. In Case 3 (1000 m³ sec⁻¹), a decrease in water temperature of up to 4–5℃ was observed within a radius of 8 km from the discharge outlet and cooling water discharge spread throughout the Bay. Growth rate of microalgae decreased by up to 15% in November, whereas it increased by up to 6% near the Hangam Bay in Case 3. From the above results, we confirmed that the environmental changes in Jinhae Bay due to cooling water discharged from Tongyeong LNG station are extremely insignificant. Moreover, it is expected that cooling water discharge could be utilized as a counter measure for 'red tide bloom' or ‘macroalgae growth'. 통영 LNG 기지에서 방류되는 냉배수가 진해만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냉배수의 활용 방안 모색을 위해 총 4개의 냉배수 방류량에 대한 진해만의 환경변화를 1년간(2018년) 모의하였다. 실제 냉배수 방류량인 Case1(10m³ sec⁻¹)의 모의 결과, 모든 분기에서 냉배수에 의한 진해만의 환경변화는 매우 미미하게 나타났다. 모의 방류량인 Case2(100m³ sec⁻¹)의 경우 방류구 반경 5km 범위에서 1~3℃의 수온 감소를 보였으며, Case3(1000m³ sec⁻¹)에서는 방류구 반경 8km 범위에서 최대 4~5℃의 수온이 감소하였고 진해만 전 해역에 걸쳐 냉배수가 확산하는 결과를 보였다. 플랑크톤의 성장 속도는 최대 15% 감소하였으며(11월), 대형조류의 성장 속도는 행암만 부근에서 최대 6%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다. 상기 결과로부터 통영 LNG 기지에서 방류되는 냉배수에 의한 진해만의 환경변화는 미미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Case3 결과로부터 국소지역의 ‘적조 방재’, ‘해조류 성장’을 목적으로 냉배수의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저관리 경량형 옥상녹화의 온도저감 효과

        박성식,김세창,황수영,박봉주 한국화훼학회 2015 화훼연구 Vol.2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temperature reduction and thermal environment of extensivegreen roof system in order to provide information formitigation of urban heat island. Each of two green roofplots was sized 1,500 × 1,500 mm and planted withAceriphyllum rossii and Allium senescens. On July 30 and31, 2012 (48 hours), outside climatic conditions, controlsurface temperature, surface and bottom temperature ofgreen roof, heat flow, and heat budget were measured. On14:30 PM, July 30, 2012, when the air temperature was thehottest (34.0oC), the surface temperature of Aceriphyllumrossii and Allium senescens plots were 33.3oC and 33.4oC,respectively, while control surface temperature was 55.6oCBottom temperature of Aceriphyllum rossii and Alliumsenescens plots were 32.9oC and 32.8oC, respectively. Also on July 31, 2012, the similar temperature reduction effectof the green roof system was observed. When heat flow washighest in control plot as 467.3W·m-2 on July 30, 2012, surfaceheat flows of Aceriphyllum rossii and Allium senescens plotswere 19.8W • m−2 and 39.0W • m−2, respectively, and bottomheat flows were −0.2W • m-2 and −9.2W • m−2, respectively. During the experimental days, evapotranspiration of Alliumsenescens plot was 14,426.1 g • m−2 and that of Aceriphyllumrossii plot was 12,424.3 g • m−2. 본 연구는 저관리 경량형 옥상녹화의 온도저감 및 온열환경을 평가하여 도시열섬현상완화 등 도시 열환경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옥상녹화는 1,500 × 1,500mm크기의 돌단풍(Aceriphyllum rossii)과두메부추(Allium senescens)를 이용하여 2012년 7월 30일부터 31일까지 48시간 동안 연속으로 외부기상환경, 대조구 표면 온도, 옥상녹화 표면 및 하부 온도, 열류량, 열수지를 측정하였다. 2012년 7월 30일 14시 30분에 34.0oC의 최고기온을 보였을 때 대조구 표면 은 55.6oC였으나, 돌단풍과 두메부추 표면은 각각 33.3와 33.4oC를 하부는 각각 32.9oC와 32.8oC를 보여 옥상녹화에 의한 온도저감효과가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 7월 31일에도 대조구표면과 비교하여 옥상녹화가 온도를 큰 폭으로 저감하는것으로 나타났다. 열류량은 7월 30일의 경우 대조구가467.3W • m−2로 최대 열류량을 보였을 때, 돌단풍과 두메부추 표면은 각각 19.8W • m−2와 39.0W • m−2를 보였으며,하부는 각각 −0.2W • m−2, −9.2W• m−2로 나타나 건축물로이입되는 열류량이 크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기간 내 총 증발산량은 두메부추 14,426.1g • m−2, 돌단풍12,424.3g • m−2로 나타났다.

      • KCI등재후보

        도심 건부지의 토지 · 건물 이중가치 모형에 관한 연구

        박성식,이기열 한국부동산연구원 2006 부동산연구 Vol.16 No.2

        Based upon land valuation theory, this paper indicates the practical problems of traditional land valuation methods and theoretically proposes new appraising method called the Dual Valuation Model (DVM). Building site, made up of land and improvements, has two different characters land-market and building stock-market in market aspect, vacant-land-value and contributory-value in terms of value aspect, and new-development-scale and present-scale in land development status. The problems of the existing methodologies have no consideration for the dual aspects of land with improvements and cannot explain the value change process by Floor Area Ratio (FAR). At conclusion, this study emphasizes that the DVM, in the association with dynamic FAR, would produce more accurate outcomes than existing methodologies. 토지와 건물이 결합한 상태인 건부지(Building Site)는 시장측면에서 토지시장과 재고시장, 가치측면에서 나지상정가치와 기여가치, 규모측면에서 신축규모와 현재규모의 이중체계를 가지고 있다. 기존의 가치모형은 이러한 건부지의 특성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을 뿐 아니라 용적률 규제변화에 따른 토지와 건물의 가치변화를 설명하지 못한다.본고에서는 기존 건부지 가치모형이 지니고 있는 문제점을 지적하고, 건부지의 이중체계를 이용하여 용적률 규제변화에 따른 가치변화를 보여주는 평가모형을 제안하고자한다. 건부지의 토지건물 가치모형으로 ‘이중가치모형’을 제안한다. 이것은 최고최선의 이용에 의한 평가모형인 건물잔여법에 토지잔여법을 이중으로 연결하여 재고시장과 토지시장의 관계를 보여주는 모형이다.‘이중가치모형’은 대상 토지의 용적률 규제변화에 따른 대상부동산의 가치변화를 설명할 수 있다. 용적률 하향조정될 경우 현재 이용중인 건물에서 건물이 지어져 있는 것 자체로 독점적 지위가 발생하여 건물가치가 상승함을 알 수 있다. 용적률 상향조정될 경우 토지가치가 커져 건물의 효용이 토지의 효용으로 치환되는 것을 알 수 있다.USPAP의 건물잔여모형에 용적률 규제변화를 동태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보완한 ‘이중가치모형’은 건부지의 경제적 특성을 명확히 보여주어 용적률 규제변화시 발생하는 토지와 건물의 가치변화를 설명할 수 있다.

      • 조직에 관한 이론적 관점의 비교

        박성식 金烏工科大學校 1999 論文集 Vol.20 No.-

        조직이론과 조직행동 분야의 연구가 특정한 인식 틀에만 의존하는 것은 다루고자 하는 조직의 사례가 이 관점에 부합하지 않거나 예외적일 경우에는 해석과 설명을 어렵게 한다. 지금까지 조직에 관한 많은 이론과 연구는 대부분 어느 한 가지 인식 틀이 지배해왔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일한 인식 틀에 의한 접근은 조직을 이해하고 관리하는데 심대한 제약을 가한다는 것이 점차 명백해졌다. 다원적 관점에 입각한 연구가 적을수록 조직연구는 비생산적일 수 밖에 없으며, 수 많은 연구 노력들이 결집되지 않은 채 따로따로 놀기 마련이다. 한 가지 관점에만 의존하는 연구는 인간 조직의 복잡성을 지나치게 단순화시키는 결과를 가져온다. 다원적 관점을 견지하지 못할 때 조직을 관리하거나 변화시키는 노력은 좌절되기 쉽다. 복잡한 현실에는 복합적인 접근방법이 필요하다. 따라서 필요한 과제는 여러 인식 틀들을 하나의 다차원적이고 포괄적인 이론과 접근방법으로 통합하는 것이다. 본고에서는 조직이론 분야에 존재하는 주요 학파의 사상을 4 가지 인식 틀(perceptual framework) 즉, 구조적 인식 틀, 인적자원 인식 틀, 정치적 인식 틀 및 상징적 인식 틀로 구분하여 각 인식 틀의 기본가정, 특징 및 한계점을 상호비교 고찰하고, 조직에 관한 제 인식 틀의 통합의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