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박상완 한국교육개발원 2010 한국교육 Vol.3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outcomes of the pilot operation of the "open recruitment system for principals." The open recruitment system for principals has been implemented on a trial basis since 2007 to employ principals who are younger and have the new leadership skills necessary to meet the needs of individual schools and communities.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s and the results of six pilot operations (including demographic information about the principals), this study attempted to answer three questions: (1) what are the main reasons for adopting the open recruitment system for principals, (2)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pilot operations of the open recruitment system for principals, and (3) what are the outcomes of pilot operations of the open recruitment system for principals in light of the original aims of the system?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1) Based on the number of schools which adopted the open recruitment system for principals, the pilot operations were not successful. Only 5.5% of public schools adopted the open recruitment system for principals. (2)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incipals who were employed through the open recruitment system, it's hard to say that pilot operations were successful. Based on the data regarding the average age, former position, and number of those bearing principal licenses, the open recruitment system for principals failed to realize the main aims of and reasons for adopting the new principal employment system. 최근 정부는 초빙교장형 교장공모제를 교장 결원 예정 학교의 50% 수준까지 확대할 것을 발표하였으나 이에 대해 일부 교원단체와 교장공모제 확대 지지자들은 서로 다른 이유로 비판적 입장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논문은 교장공모제의 도입취지와 목적을 재확인하고, 이에 비추어 2007년 하반기부터 운영되고 있는 교장공모제 시범운영의 성과를 비판적으로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이 논문은 세 가지 질문에 답하고자 하였다. 첫째, 교장공모제의 도입취지와 목적은 무엇인가? 둘째, 교장공모제 시범운영 현황은 어떠한가? 셋째, 교장공모제 시범운영의 성과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해결을 위해 교장공모제 관련 문헌, 시범운영 관련 데이터와 나민주 외(2008)의 개방형 설문응답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교장공모 학교 규모, 공모교장의 특성, 학교 구성원의 반응 등에 비추어볼 때, 교장공모제는 제도 도입의 목적을 구현하지 못하고 있으며, 현 교장공모제 개선과 초빙교장형을 중심으로 한 교장공모제 확대 계획안의 재검토가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학교 유형에 따른 학교 행정실의 업무 수행 특성 분석: A 교육청을 중심으로
박상완,나민주 한국교육행정학회 2023 敎育行政學硏究 Vol.41 No.3
이 연구는 학교 유형 간 학교 행정실 업무 수행에서 공통점과 차이점은 무엇인가를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개선 과제를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A 교육청의 행정실장과 주무관을 대상으로 FGI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학교 유형 간 학교 행정실 업무 수행의 공통점은 업무량의 지속적인 증가, 까다롭고 복잡해지는 업무, 보건·시설관리 업무 부담 등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 유형별 행정실의 업무 수행은 유·초등학교(예: 돌봄교실·방과후 업무), 중등학교(예: 교육과정 운영 지원, 입시 업무), 특수·통합학교(예: 학교급 간 이중 업무 처리) 등의 특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주요 개선 과제로 학교 행정실 업무 정상화, 시설업무 지원, 직종별 업무 표준화, 전보 인센티브 등이 제시되었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학교별 특수 여건을 고려한 맞춤형 업무 지원, 행정실 업무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에 대한 분석 및 개선 노력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TV 예능 프로그램의 연극적 기획 전략에 관한 연구-<무한도전>, <1박 2일>, <런닝맨>을 중심으로
박상완 대중서사학회 2015 대중서사연구 Vol.21 No.3
이 글은 TV 예능 프로그램의 연극적 기획 전략을 살펴본 논문이다. 지상파 3사의 대표 예능 프로그램인 <무한도전>, <1박 2일>, <런닝맨>을 중심으로 TV 예능 프로그램이 어떻게 재미를 유발하고 시청자와의 교감을 실현하면서 의도된 목적과 효과를 달성하는지 살펴보았다. TV 예능 프로그램의 캐릭터는 제작진과 출연진, 그리고 시청자의 소통이 누적되면서 만들어진다. 각각의 캐릭터에 적합한 극적 사건이 배치되고 이에 시청자가 호응을 함으로써 기존의 캐릭터가 강화되거나 새로운 캐릭터가 만들어진다. 여러 주체의 소통에 의해 캐릭터는 생성․변화․소멸하는 유기체적 존재라고 할 수 있다. 친숙한 캐릭터를 통해 시청자는 극적 상황을 지금 자신이 체험하고 있는 현실로 받아들인다. 예능 프로그램 속 허구의 세계를 자신과 분리된 별개의 것이 아닌, 동시대의 우리가 함께 만드는 이야기로써 느끼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동행의 느낌은 허구 세계로부터 이탈해 현실로 돌아왔을 때 제3의 효과를 만들어낸다. <무한도전>의 문제적 현실 성찰, <1박 2일>의 교양 정보 제공, <런닝맨>의 관광 상품 개발과 같이 시청자는 한 편의 예능 프로그램을 자신의 일로 받아들임으로써 현실을 변화시키는 동력을 얻게 된다. 이처럼 TV 예능 프로그램은 교감을 통해 궁극적으로 관객의 내적 변화를 이끌어내는 연극적 속성을 전략적으로 활용, 재미와 웃음을 유발함과 동시에 시청자와 소통하고 현실에 대해 말 걸기를 시도하는 극예술이라 할 수 있다.
혁신학교를 통한 학교혁신의 실행: 관련 요인과 과제 - 초등혁신학교의 초기 운영 사례를 중심으로 -
박상완 한국교육행정학회 2019 敎育行政學硏究 Vol.3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in depth the factors that affect the implementation of school innovation through innovation schools and to explore the model of school innovation. For this purpose, I systematically analyzed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implementation of school innovation by using the change model of Fullan (2016/2017) as an analysis framework, with the examples of the seven preliminary reform school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educational change (necessity, clarity, complexity, quality), the context of the region (role of office of education, community, parents, principals, teachers), and external factors (such as the central government) influenced on the implementation of school innovation. However, the influence of external factors is relatively small. This can be interpreted as a result of the fact that the innovation school policy was promoted by the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Based on these findings, first, school innovation needs to be promoted in the direction of meaning sharing, changes within the school, school-based change, overall systematic change, and diffusion of change. Second, it suggested that the process of school innovation promotion should be based on a dynamic and flexible change model instead of the linear model among preparation (introduction), implementation, and posterior (sustainable) stag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tends theoretical and practical discussion about educational change and school innovation models. 이 연구는 혁신학교를 통한 학교혁신(교육변화)의 실행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심층적으로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Fullan (2016/2017)의 교육변화 모델을 분석틀로 활용하여 K 교육청 7개 초등 예비혁신학교의 학교혁신 실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혁신학교 운영(실행)에서 변화의 특성(필요성, 명확성, 복잡성, 질), 지역적 맥락(교육청, 지역사회·학부모, 교장, 교사의 역할), 외부 요인(중앙정부 등)이 영향을 미치나, 그 정도는 학교별로 차이가 있으며 상대적으로 외부 요인의 영향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혁신학교 정책이 시도교육청 중심으로 추진된 데 기인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첫째, 학교혁신은 의미 공유, 학교 안의 변화, 학교 주도, 전반적 변화, 외부 확산 등의 방향으로 추진될 필요가 있으며, 둘째, 학교혁신 추진과정은 준비(도입), 실행, 사후(지속) 단계 간 역동적·유연한 변화 모델에 기반을 둘 필요가 있다는 점 등을 제안하였다. 이 연구는 초등 혁신학교를 사례로 분석한 것이나 혁신학교를 통한 학교혁신의 실행에 관련된 주요 요인을 도출하고자 한 것으로 교육변화, 학교혁신에 관한 이론적·실제적 논의를 확장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