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우의 자궁 내 분리 세균에 대한 천연물질 항균효과

        박보경,김기주,조영재,박소연,이재훈,정배동,권용수,박정준,한태욱,Park, Bokyoung,Kim, Kiju,Cho, Youngjae,Park, Soyeon,Lee, Jaehun,Jung, Bae-Dong,Kwon, Yong-Soo,Park, Joung-Jun,Hahn, Tae-Wook 대한수의학회 2014 大韓獸醫學會誌 Vol.54 No.3

        Bacterial infection of the uterus in Hanwoo can kill embryos. Therefore, many antibiotics have been used to treat this infection in the uterus of repeat breeders. Incorrect use of antibiotics has led to resistance in bacteria. Natural compounds have used as substitutes for antibiotics because they are safe and have very mild side effect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antimicrobial effects of five extracts from medicinal plants including Humulus japonicas (Hj), Phelledendron amurense (Pa), Viola mandshurica (Vm), Carthamus tinctorius (Ct), and Chelidoni herba (Ch) on bacteria isolated from the uterus of Hanwoo using the paper disc diffusion method. Hj and Pa extracts had potent antimicrobial effects against Staphylococcus lentus, Streptococcus infantarius subsp. coli, and Bacillus pumilus. Pa had the greatest antimicrobial effect among the five medicinal plants and was effective against 19 types of bacteria from bovine uterus. Compared to Pa, Hj showed weaker antimicrobial effects on all the bacteria tested except Pseudomonas aeruginosa. Vm, Ct, and Ch also showed weak antimicrobial effects on the tested bacteria. The results obtained suggest that Hj and Pa are natural compounds suitable for treating bacterial infection in repeat breeders and improving conception rates of Hanwoo.

      • KCI등재

        세계 선교와 여성

        박보경(Bokyoung Park)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2011 선교와 신학 Vol.27 No.-

        기독교 역사 속에서 여성들은 세계 선교를 위하여 끊임없이 헌신하여 왔다. 그러나 이들이 경험하였던 성차별은 다양한 교회와 선교 현장에서 그 때나 지금이나 변함없이 지속되고 있다. 성차별 문화의 원인 중 하나가 잘못된 성경 해석으로 인한 가부장제의 정당화이다. 이 소고는 잘못된 성 경 해석으로 인한 가부장제의 정당화를 극복하기 위해서 성경이 제공하는 남녀 관계를 규명하고자 시도하였다. 먼저 창세기 1-2장의 창조 이야기는 과거의 전통주의자들의 주장과는 달리 남녀의 평등성을 주장한다. 특히 창세기 2장의 내용에 근거해서 창조의 순서가 여성의 종속을 의미한다는 주장은 창조의 순서가 어떤 우선성을 보여 줄 수 없다. 또한 여성이 남성에게서 만들어졌기 때문에 여성이 남성에게 종속된다는 주장은 올바른 가부장적 문화에 근거한 해석이며, 오히려 여성만이 남성의 동반자라는 것을 강조하는 것이다. 셋째로 여성이 남성으로부터 이름을 지음받았기 때문에 남성의 리더십을 인정하는 주장은 잘못 된 것인데, 창세기 2장 23절의 내용은 엄밀하게 살펴보면 남성의 여성에 대한 인식(Recognition)일 뿐이다. 넷째, 여성이 남성의 돕는 배필이라는 표현은 여성의 열등성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동등한 입장을 반영한다. 또 창세기 3장의 타락 이야기에서 형벌로서의 가부장제는 규범적인 것이라기보다는 미래 상황에 대한 단순한 묘사로 이해해야 한다. 남녀 관계에 대한 예수의 이해는 당시의 랍비의 이해와는 확연히 차이가 있었다. 예수는 당시의 랍비가 극도로 기피하였던 여성들과 자유롭게 대화하였고, 여성들이 예수께 다가오는 것을 허락하셨고, 남성과 함께 여성들의 육적, 정신적, 영적 고통을 치유하셨다. 예수는 또한 여성을 인격적이고 주체적인 존재로 대하셨다. 예수는 또 당시에는 금기로 인식되었던 여성을 향한 교육도 시도하셨다. 바울의 글에는 여성 차별적인 문구가 나타나는 것이 사실이지만, 바울의 글에는 남녀의 평등을 주장하는 내용이 존재한다. 이에 필자는 바울 신학의 핵심을 이루는 갈라디아서 3장 28절의 말씀을 분석하고, 그의 핵심사상을 어떻게 바울이 실천해 냈었는지를 살펴보았다. 바울은 이방인과 유대인 간의 하나 됨을 강조하기 위해서 그의 선교 사역에서 이 확신을 실천하려고 노력하였고, 종과 자유자 간의 하나 됨을 위해서 이론뿐 아니라 선교 사역에서도 실천하였고, 동일하게 남성과 여성의 하나 됨을 위해서 바울은 이론뿐 아니라 실천을 통해서 그의 확신을 실천하였다. 그 결과 바울 의 선교 사역에 여성들의 다양한 차원에서의 적극적인 참여는 갈라디아서 3장 28절을 그가 얼마나 중요한 원칙으로 삼았는지를 알 수 있다. 따라서 갈라디아서 3장 28절은 그의 다른 여성 차별적 본문을 이해할 때 갈라디아서 3장 28절의 원칙을 통해서 이해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에니 베어드(Annie L. A. Baird)의 삶과 선교 사역에 대한 고찰

        박보경(PARK Bokyoung)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 문화연구원 2017 장신논단 Vol.49 No.4

        19세기 말 조선에 도착하여 자신의 생애를 바쳐 초기 한국 기독교의 정착과 발전에 협력하였던 에니 베어드(Annie L. A. Baird)는 초기 한국 선교사 중 한 명이었던 윌리엄 베어드(William Baird)의 부인으로서, 부산과 대구에서의 개척사역에 이어서, 평양에서 숭실학당에서 교육 사업을 전개할 때 그의 곁에서 함께 한 인물이다. 그녀는 1891년 조선에 도착하여 1916년 암으로 죽을 때까지 26년간 조선에서 선교사로 헌신했다. 에니 베어드는 한국에 있는 동안 기혼여성 선교사로서 가정을 책임지고 자녀들을 양육하는 일 뿐 아니라, 자신의 재능을 활용하여 교육가, 문학가로서 탁월한 사역을 감당하였다. 한국어에 능통하여 수많은 찬송가를 번안하고, 학생들을 위한 교재를 번역하며, 한국 여성의 이야기를 다루는 소설을 영어와 한글로 발표하기도 했다. 그녀가 남긴 선교 소설들은 한국여성의 고단한 삶을 문서를 통해 전달함으로써 본국에서의 선교를 위한 협력을 증진시켰다. 더 나아가 그녀는 여성 인권의 옹호를 위한 노력도 펼쳤는데 그녀의 교육 사역과 문서 선교 사역은 여성인권의 옹호사역과 긴밀하게 연결되어 전개되었다. 에니 베어드가 이렇게 왕성한 사역을 펼칠 수 있었던 원인을 몇 가지로 살펴보면, 선교사로 파송받기 이전부터 타문화권 선교 사역에 헌신하여 매우 투철한 사명 의식으로 무장되어 있었고, 더 중요하게 자신의 은사와 재능을 잘 파악하여 가장 적합한 영역인 문서 사역과 교육 사역에 헌신함으로써 결과적으로 대단히 풍성한 사역의 결과를 만들어 낼 수 있었다. Annie L. A. Baird worked for 26 year from 1891 to 1916 as the wife of missionary, William Baird, the founder of Soongsil University in Korea. Not only a mother and a rolemodel for future missionary wives, Annie Baird was also a writer, administrator, teacher, as well as the advocator of women’s rights. As a female, married missionary, Baird’s unique contribution would be in making a decent Christian home in mission field. Secondly, her educational work through the various schools has been another important contribution. Thirdly, the most notable contribution would be in the developing Christian literature. She published several books in English as well as Korean, and she also translated many hymns and textbooks for her students. Lastly, through various ways, she advocated women’s rights in her Korean community, as much apparent as in her educational work for Korean women. Annie Baird played so many roles such as mother, wife, writer and educator. There are many factors for her outstanding work. Her own strong commitment to missionary call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and her willingness to utilize her talents had fruited awe-inspiring works.

      • KCI등재

        IAMS 시드니 대회의 선교학적 분석과 한국 선교학의 과제

        박보경(Bokyoung Park)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2022 선교와 신학 Vol.58 No.-

        제15회 세계선교학회(IAMS) 대회가 2022년 7월 7-11일에 호주의 시드니에서 개최되었다. 이번 대회의 주제는 “권력, 불평등, 취약성: 상처 입은 세상 안에서의 선교”이다. 이번 대회는 코로나 팬데믹의 전 지구적 확산으로 인해 2020년에 열리기로 되어있었던 대회를 2년 연기하여 열리게 되었다. 6년 만에 열리는 이번 대회에는 194개의 논문이 발표되었는데, 기존의 9개의 소그룹 모임 이외에 추가로 11개의 주제별 패널모임이 운영되어 다양한 주제의 연구발표가 이루어졌다. 이번 대회는 코로나 팬데믹의 여파로 온라인과 오프라인이 병행해서 진행되는 하이플렉스(Hyflex) 방식으로 대회가 진행되었다. 이번 대회는 특히 아시아와 아프리카를 대표로 하는 다수 세계 학자들의 활약이 두드러지는 대회였다. 특히 필자는 지난 6년간의 부회장직을 마무리하고 회장으로 취임하였고, 또 다른 한국인으로 이명석 박사가 총무로 선임되고, 특히 25명의 한국인 학자들이 논문을 발표함으로써 세계선교학회 역사상 유례없는 활발한 참여가 이루어졌다. 이러한 변화에 맞추어 한국교회는 세계선교학계의 시대적 요청인 다수 세계 학자들의 학문적 기여에 주도적 역할을 요청받고 있으며, 이러한 한국교회의 과제에 응답해야 한다. The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Mission Studies’(IAMS) 15th assembly was held in Sydney, Australia from July 7-11, 2022. The theme of this conference was “Power, Inequalities, and Vulnerabilities: Mission in a Wounded World.” The conference, which was delayed two years due to the global Covid pandemic, hosted a total of 194 presentations and led within nine small groups. The conference also hosted eleven thematic panels for the first time. The conference was hosted in a hyflex format, accommodating scholars joining in-person and online. The 15th Assembly showcased an active involvement of the scholars from the majority world, which can be compared by the previous assemblies that often led by western scholars. Finishing 6 years of her service as the vice-president, the author was appointed as the new president and Bright Myeong-Seok Lee as the general secretary. A total of 25 Korean scholars presented at the conference, which was the most number of Korean scholars in the history of IAMS. These are signs of entering a new era which shows the Korean church needs to serve more for the academic contribution in the missiology scholarship in the world.

      • KCI등재

        복음주의 진영의 선교적 회중(Missional Congregation) 모색

        박보경(Bokyoung Park) 한국선교신학회 2013 선교신학 Vol.32 No.-

        The current study aims to find ways to build missional congregations. Some times ago, the missional ecclesiology became one of the prevalent and influential theology. As Korean churches have faced rapid declination, church leaders has found its solution in missional ecclesiology. Yet, the advocates of missional ecclesiology have often been criticized for its idealistic approaches and loose connection with the actual life of local churches. Therefore, in this study, the writer suggests the missional congregation as the alternative approach for the missional ecclesiology. The writer convinces that the missional congregation theory becomes the practical expression and relevant application of missional ecclesiology. The concern for missional congregation has been initiated mainly by evangelicals church leaders. However, traditionally, evangelicals has been argued for clear distinction between mission structure and church structure as Ralph Winter suggested in 1974. As ecumenical theologians challenged the view, the first attempt to connect the close relations between mission structure and the church structure was indirectly expressed on the Manila Menifesto in 1989. In 1991, Charles Van Engen, an evangelical theologian, published a book titled God's Missionary People that became an important major voice that argued the missionary dimension of the local church. From the middle of 1990s, in North America, Gospel and Our Culture Network(GOCN) had been a major channel to spread the concept of the missional ecclesiology. In 2004, the Pataya Forum of Lausanne Committee for World Evangelization had been tackled with this issue and developed the idea of missional congregation. The forum suggested various elements of missional congregation. This development had been coincided with the movement of shifting from theory centered missional ecclesiolgy to ministry centered missional congregation theory within the GOCN movement. Concluding, this study has highlighted some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missional congregations based on the analysis of Pataya Forum. They are as follows: 1) the missional congregation advocates incarnational approaches; 2) the missional congregation values the relationship with non−believers within the society; 3) the missional congregation relays on the Holy Spirit and emphasizes the prayers; 4) the missional congregation values diversity of the culture, therefore, do not support certain cultural structure over other kinds; 5) the missional congregation is active in evangelism and diligent in developing strategies; 6) the missional congregation values non−hierarchical leadership; 7) and the missional congregation promotes partnership between mission organization and local churches.

      • KCI등재

        경력개발 관점에서의 비서관련 학과 전공심화과정 재학생에 대한 사례 연구

        박보경(Park, Bokyoung),백지연(Paek, Jeeyon) 한국비서학회 2020 비서·사무경영연구 Vol.29 No.2

        본 연구는 전문대학 비서관련 학과 전공심화과정 재학생이 직장 및 학교에서 경험한 사례들을 통해 그들의 경력개발과정을 살펴보기 위한 질적 사례연구이다. 구체적으로 전공심화과정 재학생의 특성은 무엇이고, 전공심화과정을 통해 어떠한 경험을 하며, 이 경험들은 경력개발에 있어 어떤 의미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재학생들은 학사학위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하여 전공심화과정에 입학하였다. 재학생들은 안정감이 중요하며 높은 배움의 욕구를 갖고 성실한 태도를 보였다. 둘째, 전공심화과정을 통한 연구 참여자들의 경험은 개인, 상호관계, 학문, 행정·제도의 4가지 차원으로 설명할 수 있었다. 개인적 경험으로는 바쁜 일상 속에 스스로를 격려하며 성취감과 자신감을 느끼고 있었다. 상호관계적 경험으로는 교수, 교우, 선배와의 상호유대관계를 매우 중요하게 여겼으며 경력개발을 위한 멘토로서 인식하였다. 학문적 경험으로 새로운 분야 그리고 실무와 밀접한 교과목에 흥미가 높은 반면, 교과내용이 심화학습으로 연계되지 않을 경우 불만을 드러내었다. 행정·제도적으로는 장학금 혜택에 대해 큰 만족감을, 재직자와 비재직자의 구분 없는 수업운영으로 인한 성적관리의 어려움을 호소하였다. 전공심화과정 학사학위에 대한 사회적 인식 부족의 문제는 여전히 고민거리로 남아 있었다. 셋째, 재학생들은 전공심화과정을 단·장기 경력개발을 위한 "기회의 문‘으로 기대하였다. 본 연구는 학사학위 전공심화과정 재학생의 경력개발과정을 살펴봄으로써 이들의 성공적인 경력개발을 위한 전공심화과정의 실천적 방안과 사회적 인식개선을 모색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career development process of students of Secretarial Studies in the bachelor’s degree course at junior colleges through their experiences at work and school. For this purpose, the characteristics and experiences of students in the course were examined. The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tudents entered the advanced course to receive a bachelor"s degree. They showed a strong desire to learn and had a sincere attitude. Second, the experiences of the advanced course could be explained in four dimensions: individual, mutual relationship, academic, and administrative. As an individual experience, they felt a sense of achievement and confidence. As a relational experience, they maintained a good relationship with professors and classmates, and as an academic experience, they were interested in new practical areas of study. They showed satisfaction on scholarship and difficulties in managing grades. In addition, the lack of social awareness of a bachelor’s degree from the advanced course remained their concern. Third, the students expected the advanced course to be a "door of opportunity" for their career developmen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fact that it sought to improve the practical behavior and social awareness of the bachelor’s degree course at junior colleges.

      • KCI등재

        1950년 한국 전쟁 당시 한국 교회의 역할

        박보경(Bokyoung Park)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2010 선교와 신학 Vol.26 No.-

        이 연구의 목적은 1950년 한국 전쟁 당시 한국 교회의 역할을 조사하는 것이다. 1950년 6월 25일에 한국 전쟁이 발발하였는데, 이 전쟁은 3년 1개월 동안 지속되면서 한반도에 형언할 수 없는 재난을 가져왔다. 이 전쟁은 2차 세계 대전 이후 가장 치열하고 참담한 전쟁이었다. 이 전쟁으로 인해 한국 사회는 그전에 경험하지 못했던 엄청난 재난과 고통을 한국민에게 주었다. 수많은 인명과 재산의 손실이 있었고 수많은 고아와 과부, 피난민과 빈곤 속의 사람들은 상상을 초월하는 고통의 삶을 살아야 했다. 또한 전쟁 이후에 이어지는 자연 재해와 전염병의 만연은 더 많은 사람들을 도탄에 빠뜨렸다. 폐결핵과 천연두가 엄청나게 증가하였고 열악한 위생 환경으로 인해 콜레라가 발생하여 확산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계속되는 전쟁의 후유증과 재난의 연속은 전쟁이 끝났어도 사회 전반적인 파국 상태는 지속 되었다, 한국 전쟁 중에 기독교인들은 공산당의 반기독교적 정책으로 인해 더욱 극심한 고통을 당해야 했다. 예를 들어 수많은 교회와 기독교 관련 건물이 무참하게 파괴되었고 많은 기독교 지도자들이 납북되고 살해를 당하였다. 이러한 극심한 전화 속에서도 한국 교회는 전쟁의 두려움 속에 떨고 있는 사람들을 위해 다양한 사업을 펼쳐 나갔다. 먼저 군인들을 위한 지원 사업으로는 군인 모집 지원 사업 구국 기도회 휴전 반대 등을 들 수 있겠다. 또한 군인들을 위한 선교 사업으로 군종 제도 관철과 포로 수용소의 포로를 위한 선교 사역 등을 들 수 있겠다. 외국의 원조가 들어오면서 파괴된 교회를 재건하는 사업도 활발하게 진행되었고, 무엇보다 당시 가장 강력한 교회의 사업으로 재난 속에 허덕이는 사람들을 위한 다양한 구호 사업을 들 수 있겠다. 한국 전쟁 시기부터 시작된 1950년대는 한국 교회가 대단한 부흥과 성장을 경험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은 이러한 교회 성장의 원인을 발견하는 것이었다. 교회 성장은 내적인 요인과 외적인 요인으로 분석될 수 있는데, 이 시기의 교회 성장의 원인은 주로 외적인 요인에 기인한다고 볼 수 있겠다. 첫번째 원인은 이북 기독교인의 대거 유입인데, 이들은 북한의 공산당의 핍박을 피해서 남하한 사람들이었다. 이북인들은 남한 교회에 신앙 열정과 자립 정신, 또한 전도 열정을 제공하였다. 둘째로 전쟁의 끔찍한 경험이 사람들의 종교적 심성을 증진시킴으로써 기독교에 귀의하게 하였다. 셋째로 수많은 구호 사업이 교회에 의해서 진행되었는데 이러한 구호 사업은 교회에 좋은 이미지를 사회에 제공하였다. 이외에도 남한 정부의 친기독교적 정책, 기독교인 사이에 팽배했던 반공주의 친미주의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이 시대의 교회 성장을 이루었다.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ole of Korean church in relation to the Korean War. On June 25, 1950, the Korean War broke and continued for three years and a month, which brought indescribable disaster in the Korean Peninsula. This war was one of the fiercest and bloodiest battle after World War Ⅱ. The war gave Korea a historic depression, casualties, and numerous homeless which Korea have never experienced for the past decades. Hundreds of orphans, widows, refugees, and desperate people had horrible and gruesome life that is beyond the imagination. During the Korean War, Christians were mainly targeted due to Anti-christian law of Communist that allowed kidnapping, torturing, abusing, and killings of Christians. Also, many churches and christian funded buildings were mercilessly destroyed. Although the war brought many sufferings, Korean churches did many good deeds that helped several individual who were agonized by the horror of the war. Sending additional army to South Korea, evangelizing soldiers, constructing ruined churches, relief activity and more were supported by the churches. During the 10 years from 1950, Korean churches revived and grew explosively. The aim of this investigation is to find the cause of the revival of Korean churches. The growth of the churches can be analyzed not only by the internal factors, but also by the external factors. In this case, external factors are the main force that have driven the growth and explosion of Korean churches. The first cause is the massive influx of North Korean Christians, who were fleeing from being persecuted by the communist from North Korea. The North Korean Christian refugee was the main provider for stimulating the enthusiasm of Christian faith, gave a sense of independency, and passion for evangelism. Second, the vicious and deadly experience of the War had heightened their religiosity and finally made them tum to Christian belief for comfort. Third, the enormous relief work carried by the Korean churches provided a good image of the church. Additionally, south Korean government’s friendly attitude to the church, and anti-communist ideology among Christians were all affected to this attractive-ness of church to the people in south Korea.

      • KCI등재

        영적 전쟁 (Spiritual Warfare) 이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박보경(Bokyoung Park) 한국선교신학회 2011 선교신학 Vol.28 No.-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ssess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spiritual warfare theory from an evangelical missiology. The recent spiritual warfare theory has emerged due to the sudden growth of Pentecostals during 20th century, along with a few missiologists’ introduction of ‘power encounter’ to the evangelical missiology which was often observed in animistic culture. The movement became widespread by the enthusiastic advocating efforts of Peter Wagner at Fuller Theological Seminary. The movement became widely acknowledged during the second Lausanne Congress at Manila in 1989. After the second Lausanne Congress meeting, the subgroup of Spiritual Warfare Network was finally formed within Lausanne movement and became the chief center of the proliferation of the theory among evangelical churches. While this theory became so prevalent among evangelical mission practices, there also emerged of the voice of caution to this theory among other evangelical missiologists. In 1993, a meaningful discussion on this issue within Lausanne camp initiated the discussion and “the Statement on Spiritual Warfare” became available by Lausanne committee. This was the first official voice of Lausanne group on this issue. This statement expressed the negative attitude toward spiritual warfare theory. From 1993 to 2000, even within evangelical camps, the polarization between Spiritual Warfare advocates and those who criticized them became obvious. But, in 2000, “Consultation on Deliver Us from Evil.” has presented the moderate and balanced view on this issue, and provides new way to make a reconciliation between two groups. Therefore, what are the biblical views on spiritual warfare? To assess biblical and healthier understanding of Spiritual Warfare theory, the paper attempts to provide dangers of this theory as well as its possibilities in our missionary practice. Some dangers are such as its experience-oriented approaches, its lack of sanctification aspect in Christian life, its too-much emphasis on demonology and miracle, and its danger of Christian magic and etc. Moreover, in order to exercise healthy practices on spiritual warfare, first, the biblical concept of spiritual warfare is needed; second, more extensive and broader understanding of spiritual conflict is needed. Third, its emphasis on the prayer must be well-taken by other evangelicals. Lastly, the other Christian virtue must be balanced with the practices of spiritual conflict.

      • KCI등재

        선교적 과제로서의 젠더 통합적 리더십(Gender Inclusive Leadership) 형성을 위한 방안

        박보경(Bokyoung Park) 한국선교신학회 2016 선교신학 Vol.41 No.-

        이 글은 한국교회가 직면한 수직적, 위계적 리더십 구조를 극복하기 위한 선교적 대안으로서 젠더 통합적 리더십(gender inclusive leadership)을 제안한다. 현대의 한국사회는 교육의 기회에 있어서는 남녀의 차별이 없는 것 같으나 일단 사회 속으로 진출하게 되면 심각한 성차별의 유리천장을 경험한다. 그런데 한국교회 안에서의 성차별의 문화는 사회보다 더 심각하다. 이 글은 이어서 여성의 리더십을 증진하기 위하여 리더십의 발휘에 있어서 여성과 남성이 어떻게 차이가 있는지를 조사한 연구들을 살펴보았다. 성과 리더십의 관계를 규명하는 연구들은 1980년도부터 본격화되었는데, 특히 여성들은 남성에 비해 더 민주적인 리더십을 발휘하는 경향이 있으며, 거래적 리더십보다는 변혁적 리더십을 발휘하는 경향이 있음이 밝혀졌다. 이런 여성적 리더십은 조직문화 안에서 보다 다양한 관점을 제공하여 의사결정과정에 보다 바람직한 선택을 하도록 돕는다. 따라서 최근에는 여성들이 리더십 의사결정 과정에 참여토록 함으로써 조직문화의 효율성을 꾀하고 있다. 이런 연구에 기초하여 선교적 과제로서의 젠더 통합적 리더십의 함양을 위하여 필자는 몇 가지 방안을 제안하였다. 첫째, 젠더 통합적 리더십의 형성을 위해서 영적 리더로서 잠재력 있는 여성목회자들을 발굴하고, 여성이 리더십 지위를 수행할 수 있도록 길을 열어야 한다. 둘째, 여성 스스로의 리더십 역량의 증진을 위한 부단한 노력이 필요하다. 셋째, 젠더 통합적 리더십의 형성을 위하여 여성들에게 필요한 또 하나의 과제는 자기연민과 수동성을 극복하는 것이다. 넷째, 여성적 리더십의 바람직한 모델을 현장의 이야기 속에서 발굴해야 하는데, 왜냐하면 이런 긍정적 여성리더의 이미지를 구축함으로 더욱 구체화되기 때문이다. 다섯째, 기혼여성 목회자들의 목회영역의 경력단절 현상을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여섯째, 온전한 젠더 통합적 리더십의 형성은 남성들의 협력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This study suggest new gender inclusive leadership as the alternative approach to the hierarchical leadership structure prevalent in Korean churches. In the modern Korean society, while women obtain the equal opportunity for education, yet when they enters in the public sphere, they face serious glass-ceiling of gender discrimination. Women were discriminated also in the church due to the highly patriarchal culture. Then the study address th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woman in leadership. The study on women leadership has started during 1980s and continued to develop its components. Overall the study concluded that women's leadership tends to be more democratic and more transformational than that of men. Inclusion of female in the leadership and decision-making process results in successful and effective performance in the management of various corporations and organizations. Then, the study had suggested six points to enhance the gender inclusive leadership; first, searching for potential women leaders among women pastors; second, allowing women leader to empower themselves and increase their leadership competence; third, overcoming female stereotype such as self-pity, low- self esteem, and passivity; fourth, developing role-model of women in leadership so that such stories can concretize and inspire other women; fifth, finding a way to solve reentry problems for the married women pastors, and finally, cooperating from male leaders in the churches.

      • KCI등재

        양계 사료첨가제로서 감태 추출 부산물로 인한 체중증가 및 방어효능 평가

        박소연,김정요,박보경,김기주,박근태,한종권,한태욱,Park, Soyeon,Kim, Chung Yoh,Park, Bokyoung,Kim, Kiju,Park, Keuntae,Han, Jong Kwon,Hahn, Tae-Wook 대한수의학회 2016 大韓獸醫學會誌 Vol.56 No.4

        The Ecklonia cava Kjellman by-product (ECBP) as a feed additive was evaluated in improvement of productivity and immune enhancement against Salmonella Gallinarum (SG). Lohmann Brown chickens proved SG-free were randomly divided into 3 groups of 8 chickens each. Chickens were fed with the experimental diet treatment: T0, Non treatment-commercial feed; T1, commercial feed with 0.5% ECBP; T2, commercial feed with 0.1% Lactobacillus plantarum.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effect of T1 and T2 groups on the body weight and protective efficacy against SG in chickens.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treatment of T1 group as a feed additive affected significantly body weight gaining in chickens. In addition, T1 group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t colonization of SG when compared to T2 and T0 groups. We also studied that serum IgG and $interferon-{\gamma}$ level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compared with other treatment groups. Therefore, we suggest that ECBP can be used as a good candidate of feed additives in chicken indust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