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어혈증(瘀血證)의 임상 질환 범위에 대한 고찰

        박미선,김영목,Park, Mi Sun,Kim, Yeong Mok 대한한의학방제학회 2013 大韓韓醫學方劑學會誌 Vol.21 No.1

        Objectives : This article is a study on to which categories of modern diseases blood stasis patterns are assigned and the meaning of blood stasis interpreted with perspectives of Korean Medicine and modern medicine. Methods : We reviewed "Neijing", "Shanghanlun", "Yilingaicuo", "Xuezhenglun" and other books and modern clinical papers related with blood stasis. Results : 1. Blood stasis patterns are related with disorders of hemorrheology, hemodynamics, platelet function, microcirculation, microelements and endothelial damage. 2. From the types of syndrome differentiation, diverse diseases classified in type of qi deficiency with blood stasis and type of blood stasis due to qi stagnation are reported, which reflects qi and blood are closely connected. And many diseases are classified in type of kidney deficiency with blood stasis, which has something in common with chronic diseases can achieve effect from treatment considering blood stasis. 3. Diseases related with kidney involve menopausal disorder, mazoplasia, prostatitis, erectile dysfunction, chronic nephritis, renal calculus, osteoporosis and bursitis. Diseases related with heart involve coronary artery disease, arrhythmia and cerebral thrombosis. Diseases related with spleen involve gastritis, colonitis and digestive organ ulcer. Diseases related with liver involve hepatitis, hyperthyroidism and stroke. Diseases related with lung involve neurodermatitis, bronchitis and paranasal sinusitis. Conclusions : Blood stasis pattern which is one of the areas to draw medicine's attention has broad clinical application.

      • KCI등재

        토끼 음경해면체의 비-아드레날린 비-콜린성 이완반응에서 산화질소의 역할

        박미선,김진보,홍은주,홍승철,Park, Mi-Sun,Kim, Jin-Bo,Hong, Eun-Ju,Hong, Sung-Cheul 대한약학회 1997 약학회지 Vol.41 No.3

        The role of nitric oxide (NO) on the non-adrenergic non-cholinergic (NANC) relaxations induced by the short and prolonged electrical field stimulation (EFS) has been studied in the rabbit corpus cavernosum. In the presence of atropine and guanethidine the prolonged EFS (2-16 Hz) of corpus cavernosal strips precontracted with phenylephrine produced frequency-dependent relaxations, which were abolished by tetrodotoxin as shown in the relaxations induced gy the short EFS, indicating that their orgin is NANC nerve stimulation. $N^G$-nitro-L-arginine (L-NNA), inhibitor of nitirc oxide synthase, caused a concentration-dependent inhibition to the NANC relaxation, and at 100 M L-NNA the relaxation were virtually abolished. The inhibitory effect of L-NNA was reversed by L-arginine. Hemoglobin abolished the relaxations to NO and also caused a concentration-dependent inhibition of the NANC relaxation. The hemoglobin-resistant relaxation induced by EFS was eliminated by L-NNA. Methylene blue significantly reduced the NANC relaxation in a conentration-dependent manner. The NANC relaxation was not affected by a VIP-inactivating pepridase, alpha0chymotrypsin, whereas VIP-induced relaxation was completely abolished. NO- and VIP-induced relaxation were not affected by L-NNA.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NANC relaxation induced by prolonged EFS of the rabbit corpus cavernosum is mediated by NO-guanosine 3',5'-cyclic monophosphate pathway as shown in the relaxation induced by the short EFS, and that VIP release is not essential for the NANC relaxation of the rabbit corpus cavernosum and VIP is not involved the generation fo NO.

      • KCI등재

        『온병조변(溫病條辨)』 처방의 기원과 처방 변화의 병리학적 고찰

        박미선,김영목,Park, Mi Sun,Kim, Yeong Mok 대한한의학방제학회 2017 大韓韓醫學方劑學會誌 Vol.25 No.2

        Ojectives : To indicate source of prescriptions in "Wenbingtiaobian" and draw pathologic consideration for differences between prescription and source. Methods : Analysed cause and mechanism of disease, pattern identification, treatment, prescriptions and medicinal herbs based on "Translation of Wenbingtiaobian", "Modern Shanhanlun", "Jinkuiyaolueyishi", "Medical collection of Yetianshi" and "Herbal Formula Science". Results : 64.5% of prescriptions in "Wenbingtiaobian" are derived from "Linzhengzhinanyian", "shanghanlun" or "Jinkuiyaolue". Prescriptions from "shanghanlun" or "Jinkuiyaolue" have been modified to fit for heat pattern differentiations, to expand or reduce their medicinal scope, to build up efficacy by adding cold herbs, herbs of nourishing yin, engendering fluid or outthrusting through the exterior, to diffuse water-dampness or warm yang by adding warm herbs. Prescriptions from "Linzhengzhinanyian" have been modified to eliminate cold-dampness, disperse and outthrust with lightness, tonify yin. Conclusions : Wenbingtiaobian" inherited "Linzhengzhinanyian", "shanghanlun" nd "Jinkuiyaolue" andchanged and developed them to cure the febrile disease in the aspect of prescription, mechanism of disease, pattern differentiation and treatment.

      • 암 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부담감, 직무 만족도 및 삶의 질

        박미선,유양숙,Park, Mi-Sun,Yoo, Yang-Sook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2005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Vol.8 No.1

        목적: 본 연구는 암 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부담감, 직무 만족도 및 삶의 질을 파악하고 제 변수들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방법: 연구 대상은 경기도 및 서울에 있는 500병상 이상의 4개 종합병원 종양 병동의 간호사 237명이었다. 자료 수집 기간은 2005년 2월 2일부터 3월 3일까지였다. 연구도구로 부담감은 이관희(1985), 김연희(2001)와 조계화(2002), 직무 만족도는 이상금(19%), 삶의 질은 노유자(1988)가 개발한 측정도구를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AS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 ANOVA, Duncan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을 적용하였다. 결과: 1. 부담감의 평균은 5점 만점에 2.78점, 직무 만족도는 2.93점, 삶의 질은 3.22점이었다. 2. 부담감이 가장 높았던 문항은 '환자의 고통을 덜어주기 위해 노력해도 한계를 느낀다'였다. 부담감은 35세 미만 군에서, 임상 경력과 암 환자간호 경력이 각각 $3{\sim}4$년 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3. 직무 만족도가 가장 낮았던 문항은 직장에서의 승진 가능성 정도였다. 직무 만족도는 배우자가 있는 군, 직위는 수간호사와 책임간호사 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4. 삶의 질이 가장 낮았던 문항은 '신체적 피로를 느낀다'였다. 삶의 질은 35세 이상 군, 배우자가 있는 군, 수입이 200만원 이상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5. 부담감과 직무 만족도, 삶의 질은 역상관 관계가 있었다. 6.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은 부담감이었다. 결론: 암 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부담감과 직무 만족도가 높을수록 삶의 질은 낮아지므로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행정적, 제도적 지원과 부담감 감소를 위한 현실적인 대안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0.04{\pm}0.20$ P=0.1519), 우울 정도, 불안 정도, 스트레스 정도는 자가치료 순응도가 좋을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아로마 자가 치료군에서 수축기 혈압은 약간 증가하였으나 통계학적 의의는 없었다($4.53{\pm}14.43mmHg\;vs\;0.0{\pm}7.22mmHg$, P=0.152). 자가 치료군에서 환자들은 두통(20%), 감각이상(6.7%), 오심(6.7%) 등의 부작용을 호소했으나, 이들 모두 일시적인 것으로 자가치료를 중단할 정도는 아니었다. 결론: 유방암 환자들에게 아로마 손 마사지 교육을 시킨 후 자기 스스로 2주간 시행한 결과, 통증강도, 우울 및 불안 정도가 의미 있게 감소하였다.임의 유무와 이유에 대해서는, '망설이지 않았다'(34명)가 '망설였다'(6명)보다 높게 나타났다. 사별가족모임에 참석한 후의 소감, 개선사항, 아쉬운 점에 대한 질문에는, 대부분의 응답자들이 '의미 있는 시간이었다', '사별가족에 대한 배려와 관심에 대해 감사한다.'라는 긍정적인 응답이 있었고, '고인에 대한 회상을 할 수 있는 자리여서 좋았다.' '사별가족모임이 일년에 한 번이 아니라 계속적으로 있었으면 한다.', '한편은 슬프고 한편은 기쁘다.' 등의 의견이 있었다. 사별 후 느끼는 가장 큰 어려움에 대해 참석가족은, '우울감'(10명), '외로움'(7명)의 빈도가 높았고, '그리움'(1명), '경제적/역할상 어려움'(4명), 무응답(6명)으로, '우울감'이 가장 큰 어려움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비참석 가족에서는, 가장 큰 어려움은 '경제적/역할상 어려움'(6명), '외로움'(5명), '우울감'(3명), '후회감'(1명), '고인에 대한 원망감'(1명), '특별히 어려움이 없다'(1명)라고 답하였다. 결론: 호스피스 서비스를 경험한 사별가족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burden, job satisfaction and quality of life of nurses who take care of cancer patients. Methods: The subjects were 237 nurses working at the oncology unit of hospitals with over 500 beds in Seoul and Gyeonggi-do. Data were collected using questionnaire from the February to March, 2005. Data were analyzed through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using SAS. Results: 1. The item that showed the highest level of burden was 'I feel limited even if I make efforts to reduce patients' pain. 'Burden was high in those group both who were younger than 35 years old and who had clinical experiences caring cancer patients for $3{\sim}4$ years. 2. The item that showed the lowest level of job satisfaction was 'the possibility of promotion'. Job satisfaction was high in those group both who had a spouse and were head nurses or incharge nurses. 3. The item that showed the lowest level of quality of life was 'I am physically exhausted'. Over 35 years old who had a spouse, and over 2,000,000 won monthly income made a high score in the quality of life. 4. There were negative correlations among burden, iob satisfaction and the quality of life. 5. The major factor affecting the quality of life was burde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tilized as basic data for developing support system to improve nurses' work conditions and quality of life.

      • KCI등재

        LC/ESI-MS/MS를 이용한 식육(소, 돼지)중 잔류 phoxim 분석

        박미선,이진주,명승운,Park, Mi-Sun,Lee, Jin-Joo,Myung, Seung-Woon 대한화학회 2011 대한화학회지 Vol.55 No.4

        폭심(phoxim)은 널리 사용되고 있는 구충제인 동물용의약품이다. 본 논문에서는 소와 돼지 근육에 잔류하는 폭심을 분석하기 위해서, 실리카 고체상과 아세토니트릴을 사용하여 추출/정제하였다. 분석을 위해서 LC/ESI-MS/MS 방법이 사용되었다. HPLC에서 $C_{18}$ 컬럼($2.1{\times}100\;mm$, $3.5\;{\mu}m$)이 사용되었으며, 이동상으로는 0.1% formic acid와 물이 사용되었다. 소(0.0048~2.0 mg/kg)와 돼지(0.0055~2.0 mg/kg)에 소량첨가하여 얻은 검정곡선은 좋은 직선성($r^2$=0.995)을 나타내었다. 소와 돼지의 매트릭스에 대해서 0.0048~0.2 mg/kg범위에서 68.2~106.9%의 정확도를 나타내었으며, LOD는 0.0014~0.0017 mg/kg, LOQ는 0.0048~0.0055 mg/kg범위에 있었으며, 11.2%의 상대표준편차를 나타내었다. Phoxim, which is one of veterinary drugs, is a well-known antiparasitic agent in wide use. In this paper, phoxim was extracted from cattle and pig tissue using solid-phase extraction (SPE) employing a silica cartridge with acetonitrile. Liquid chromatography/electrospray ionization-tandem mass spectrometry (LC/ESI-MS/MS) for the analysis of phoxim from animal tissue was presented. Phoxim was detected on a $C_{18}$ column ($2.1{\times}100\;mm$, $3.5\;{\mu}m$) using a mobile phase of 0.1% formic acid in water and acetonitrile. A linear correlation observed in the calibration curves for cattle (0.0048~2.0 mg/kg) and pig (0.0055~2.0 mg/kg) showed above $r^2$=0.995. Accuracy measured at concentrations ranging from 0.0048 to 0.2 mg/kg was the range of 68.2~106.9%. Limit of detection (LOD) and limit of quantitation (LOQ) were the range of 0.0014~0.0017 mg/kg and 0.0048~0.0055 mg/kg, respectively. The precision (RSD%) was below 11.2%.

      • KCI등재
      • KCI등재

        일반논문 : 도선 "행주론(行舟論)"의 전개와 운주사

        박미선 ( Mi Sun Park )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15 호남학 Vol.0 No.58

        전남 화순 도암면 대초리에 위치한 운주사는 도선이 창건했다는 설화가 전해진다. 하지만 실제 운주사 창건은 빨라도 11세기 경의 일이고 도선은 9세기 인물로, 17세기 후반 조선후기의 설화가 역구전된 것이었다. 그렇지만 이는 운주사의 창건에 대한 최초의 설명으로 운주사의 정체성을 이해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폐사를 겪었던 운주사가 현존할 수 있게 된 배경을 도선의 행주론을 통해 검토하였다. 도선의 풍수비보는 산천을 특정 형세로 비유하고, 풍수적으로 결함이 있어 길지가 아닌 땅은 사찰, 탑, 불상, 당간을 설치하여 고쳐 쓰고, 부족한 부분은 더하거나 북돋아 주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 이러한 도선의 풍수비보는 고려 건국과 함께 국가적 차원에서 활용되어 고려시대에는 대부분의 사찰이 이에 의거하여 창건되었다. 하지만 고려말 공양왕대 비보사찰의 의미가 약화되고, 조선건국 후 숭유억불정책의 일환으로 불교의 교세가 약화되던 중 정유재란이 발생하면서 운주사는 폐사되었다. 하지만 폐사 이후에도 운주사는 면면히 그 맥을 유지해 나갔다. 운주사의 중요성은 ‘호국’의 이념이 잠재되어 있었다. 조선후기 불교교단의 자기 정체성 찾기의 일환에서 고승비문이 찬술되었는데, 도선의 비문 역시 이때에 찬술되면서 운주사의 창건이 행주형국의 지세를 비보하기 위함이라고 설명되었다. 이러한 행주론은 17세기 전쟁, 북벌정책, 경신대기근 등 국내외 위기 상황에서 ‘호국’의 맥락으로 수용되기 용이한 것이었다. 19세기에는 행주론에 대한 인식이 주변 사찰의 승려들과 관청에 의해서 공유되면서 약사전의 창건으로 이어졌다. 하지만 국가적 지원이 없고, 승려 개인의 적극적 활동이 사라지면서 다시 크게 주목받지 못했던 것으로 보인다. 20세기에 운주사는 다시 부활하게 된다. 이전의 ‘호국’의 측면에서 운주사의 유래를 설명한 행주론은 신비하고 신이한 창건 방법에 대한 다양한 설화가 덧붙여지게 되었다. ‘호국’ 자체보다는 현존하는 신비한 천불천탑의 창건 방법과 관련된 것들이었다. 이는 당시 관광객의 유입과 수요를 위한 것이었다고 생각된다. 당시 일제는 문화유적 조사와 공휴일 지정 등의 정책을 추진하였다. 이러한 정책은 관광객의 증가로 이어졌는데, 명승지로서 운주사에 대한 대중의 관심을 위해 ‘행주론’이 향유층을 겨냥하여 흥미로운 사실들을 첨입한 것이다. 하지만 이는 동시에 조선의 산천형세를 통해 조선 민족으로서 자신의 역할을 돌아보는 기회가 되기도 하였다. Temple Woonjusa located in Daecho-ri, Doam-myon, Hwasun, Chonnam district has been said to be founded by Dosun. But, actually Woonjusa was built in the 11th century at the earliest and Dosun lived in the 9th century, which means that such a tale in the 17C late Chosun was re-handed down. In spite of the fact, the story helps us understand the identity of Woonjusa with the first description of foundation of Woonjusa. This study reviewed how Woonjusa which had been almost ruined has still existed through Dosun’s Haengju Theory. According to Dosun’s Feng-shui Bibo, nature such as mountains and streams is a metaphor of a specific land topography, and when a specific site is not good with a defect in terms of Feng-shui, it should be repaired by building a temple, pagoda, statue of Buddha, or Dangkan in order to make up for the lack. Such Dosun’s Feng-shui Bibo was used at a national level with founding Goryeo dynasty and most temples were built based on the theory. But, the meaning of Bibo temple was weakened in the period of King Kongyang’s reign in late Goryeo, and the power of Buddhism got weakened under the policy of Worshipping Confucian-Suppressing Buddhism in Chosun dynasty. To make it worse, Jeongyujaeran (Japanese invasion in 1592) broke out in the middle of the process and Woonjusa was almost ruined. In spite of the ruin, Woonjusa managed to survive. What is important is Woonjusa contains the ideology of ‘patriotic spirit’. In late Chosun, epitaphs of eminent monks were compiled in a way to find the identity of Buddhism order. During the process, they compiled Dosun’s epitaph which showed the description that Woonjusa was founded for Bibo because of its geographical feature of a sailing boat. Haengju Theory was easy to accept as a context of ‘patriotic spirit’ in the period of a national or international crisis such as the 17th war, the enlargement policy towards the North, KyeongShin Great Famine. etc. In the 19th century, the perception of Haengju Theory was shared among monks in neighborhood temples and government offices, which led to building Yaksajeon. But unfortunately that got out of interest as there were no national support and individual activities amongmonks. Woonjusa was beginning to revive in the 20th century, with added tales related to a mysterious way of building the temple to Haengju Theory which described the background of building Woonjusa in terms of existing ‘patriotic spirit’. The tales were about a way of building mysterious Chunbul-Chuntops they could see rather than invisible ‘patriotic spirit’. It seems to have been related to inflow of tourists and income. Japan in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 rule enforced a policy to research Korean cultural heritage or sites and holiday designation. Such a policy led to increase of tourists, and there added an interesting story to Haengju Theory in the process for readers to attract their interest in Woonjusa as an attraction. As above said, Dosun’s Haengju Theory is not an answer to who built Woonjusa, but a review on how Dosun’s Haengju Theory has been changed and still existed.

      • KCI등재

        인식론적 액티비즘과 경계지대의 영성: 『경계지대/경계선』 이후 글로리아 안잘두아의 후기 사상

        박미선 ( Park Mi Sun ) 부산대학교 여성연구소 2015 여성학연구 Vol.25 No.1

        1990년대 이후 치카나 페미니스트 글로리아 안잘두아(Gloria Anzaldua)는 보편 주체 이론과 인식론을 발전시킨다. 후기 저작에서 안잘두아가 제시한 네판틀레라(nepantlera) 주체는 『경계지대/경계선』에서 제시된 메스티자 주체와는 달리 누구나 될 수 있는 보편적 입장을 지니며 모든 존재가 서로 연결되어 있음을 강조한다. 메스티자가 치카나와 퀴어라는 특수성에 입각한 주체라면, 경계공간에 거주하는 네판틀레라는 여러 세계를 옮겨 다니며 인식의 전환과 깨달음을 얻은 모든 사람이며 이러한 깨달음을 매개하는 액티비스트이다. 안잘두아는 20세기 후반 사회운동의 인식론적 심리적 오류를 성찰하는 가운데 코노시미엔토(conocimiento)를 21세기에 필요한 인식론으로 제시한다. 이 글은 안잘두아의 후기 저작을 중심으로 네판틀레라 주체이론과 인식론을 살펴본다. 2부에서는 『경계지대』 이전과 이후를 중심으로 안잘두아의 이론적 전환과 그 맥락을 논의한다. 3부에서는 후기 사상의 핵심 개념인 네판틀라, 코욜샤우키, 네판틀레라를 자세히 설명한다. 메스티자 의식에서 네판틀레라 주체로 이행하는데 핵심이 되는 개념이 코욜샤우키 과정이라는 점도 규명한다. 4부는 안잘두아의 사상적 핵심이라 할 코노시미엔토를 논의하고 안잘두아의 후기 이론을 인식론적 액티비즘의 틀에서 재평가한다. In her later writings published after Borderlands/La Frontera(1987), Gloria Anzaldua proposes alternative theory of nepantlra subjectivity that underscores feminist spirituality and its transformative potential for social change. By creatively theorizing nepantlera and conocimiento, Anzaldua further develops her own theory of intellectual activism beyond her conceptualization of mestiza consciousness in Borderlands. The post-Borderlands subjects called nepantleras inhabit liminal spaces while offering a connectivist vision that we are all in this together. As “supreme border crossers,” nepantleras position themselves as universal so that they mediate deep awakenings and transformative perceptions while moving between worlds. Figuring nepantleras as agents of conocimiento, Anzaldua brings to the fore the importance of spiritual knowledge that has power to change realities. This article focuses on Anzalua’s later writings and discusses in detail her theories of nepantlera subjectivity and activism. Illuminating Anzaldua’s shifting trajectory of feminist theorizing, this article argues that her theory of conocimiento is core to her feminist thought. Reading Anzaldua’s later writings as an integral part of her intellectual activism, this article also argues that Coyolxauqui process is another central concept in her shifting from mestiza consciousness to nepantlera spirituality and conocimiento epistemology.

      • KCI등재

        5세기 신라의 對高句麗關係와 왕실의 불교 인식 변화

        박미선(Park, Mi-sun) 신라사학회 2020 新羅史學報 Vol.0 No.50

        5세기 訥祗王代 불교를 수용했던 신라 왕실은 炤知王 때 사금갑 사건을 계기로 불교를 배척하였다. 이로 인해 6세기 법흥왕대에 가서야 불교가 공인될 수 있었다. 5세기 상황을 보면 안으로 신라사회의 변화도 컸지만 밖으로 고구려의 영향에서 서서히 벗어나기 시작했고, 백제와의 동맹을 강화하며 고구려에 대항하였다. 사금갑 사건은 이렇게 대고구려관계가 변화하는 시점에 발발하였다. 그렇다면 눌지왕대 불교 수용이나 소지왕대 불교 배척 또한 고구려와의 관계가 영향을 끼쳤을 가능성이 크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5세기 신라의 대고구려정책의 변화를 살펴보고, 이것이 왕실의 불교에 대한 인식 변화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를 고찰하였다. 눌지왕은 고구려의 도움으로 즉위하여 고구려의 간섭 하에 있었으며, 복속의례를 행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차등적 관계 속에서 고구려의 문물로 불교를 받아들였으며, 고구려 승려들은 국경지역인 일선군뿐 아니라 왕실로 활동 범위를 넓혔다. 이후 자비왕은 국경지대에 대대적인 축성을 단행하며 고구려의 남진에 대비하였고, 왕경에서 고구려 군사를 몰아내기도 했다. 이에 소지왕은 백제와의 동맹을 강화하면서 고구려에 맞서는 공세적 자세를 취하였다. 한편 안으로 소지왕은 乃宿을 국정에 참여시키며 정치적 쇄신을 단행하였고, 그 일환으로 신궁을 설치하여 국왕 중심의 지배체제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어 내전 분수승과 사통한 궁주를 주살함으로써 왕실에서 불교를 축출하였다. 이러한 신궁과 사금갑 사건을 통해 소지왕이 정치적 이념으로 삼은 것은 시조 숭배였음을 알 수 있다. 불교를 고구려와의 예속관계 속에서 받아들인 문물로 인식했기 때문에 고구려와 대립하는 상황에서 불교 또한 배척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이는 5세기 신라 왕실의 불교에 대한 이해가 교리나 사상적으로 나아가지 못하고 대외관계의 매개체 및 문물로 인식하는 단계에 머물렀음을 보여준다. This paper studied how chang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illa and Goguryeo in the 5th century influenced the Silla royal family’s perception of Buddhism. King Nulji was under the intervention of Goguryeo, as he ascended the throne with the help of Goguryeo, and he performed the ritual of subjugation. In this differential foreign relationship, King Nulji accepted Buddhism as a culture of Goguryeo, and Goguryeo monks expanded their activities to royal families as well as ilsen-gun(일선군), a border area. Later, King Jabi built many fortresses along the border to prepare for Goguryeo’s southward advancement and drove Goguryeo soldiers out of Gyeongju. In response, King Soji strengthened alliance with Baekje and took an offensive stance against Goguryeo. Meanwhile, King Soji carried out a political reform by getting Nasook (his father-in-law) involved in the government, and as part of it, he built the Singung(神宮) to establish a king-centered governance system. He then ousted Buddhism from the royal family by killing a monk who had been in the palace and a princess who had committed adultery with him. The Singung and Sageumgap(사금갑) cases show that King Soji’s political ideology was the worship of the founder of the dynasty. The Silla royal family recognized Buddhism as a culture that was accepted in the subjugation with Goguryeo, so Buddhism was also rejected in the face of conflict with Goguryeo. This shows that the 5th century Silla royal understanding of Buddhism was not based on doctrines or ideologies, but on the stage where it was recognized as a medium and a culture of foreign relations.

      • KCI등재

        1906년 대한제국 황태자 혼례에 나타난 감성정치

        박미선 ( Park Mi-sun )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18 감성연구 Vol.0 No.16

        황태자의 혼례는 황제의 가계 계승뿐만 아니라 당시의 국가관과 세계관을 반영한 국가의례로서 국가의 정통성과 정치적 상징성을 드러낸다. 1906년은 절망과 희망의 두 감정이 공존하고 있던 시기였다. 1905년 11월 17일 을사늑약이 조인된 후, 1906년 3월 일본 초대 통감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가 한국에 부임해 왔다. 이로써 통감부에 의한 일본의 한국 지배가 피부로 느껴지기 시작했다. 하지만 대한제국의 독립성을 대내외에 알리기 위해 고군분투한 고종황제와 그 측근 세력들이 존재했다는 점에서 일말의 희망이 공존하고 있던 시기였다. 망국이라는 절망과 주권회복 및 자강이라고 하는 희망이 교차하던 바로 이 해, 황태자의 혼례가 진행되었다. 황태자 혼례는 전통적 혼례 방식을 유지하는 한편 황제국 의례의 활용을 통해 황실의 유구성과 독자성을 드러냈다. 근대 일본의 경우에도 황실의 계보와 국가의 유구성을 나타내기 위해 고대적 의례 형태를 유지하거나 발명한 경우가 있었다. 또한 대한제국은 황태자 혼례에서 황제국의 의례보다도 격을 높인 의례를 발명하여 독립국가로서의 위상을 되새겼다. 아울러 군대와 경찰을 배치하여 서구와 같은 근대적 공권력의 권한이 고종황제와 근대국가 대한제국에 있음을 표상화하였다. 물론 혼례를 통해 대한제국의 근대화와 독립성을 공동체 구성원들이 얼마나 느끼고 있었는가 하는 점은 쉽게 일반화 할 수 없다. 다만 당시의 혼례에 대한 신문의 논설에서, 망국의 길목에 선 조선 인민의 군주에 대한 민의 애정과 존경이 투사되어 나타나고 있었다. 또한 황태자의 혼례를 통해 대한제국 황실이 새롭게 시작되기를 희망하고 있었다. 이러한 점에서 1906년 황태자 혼례는 절망과 희망이 혼종된 애처로운 현실의 공감장이었다. The crown prince’s wedding as a national ceremony reveals the national legitimacy and political symbol which not only succeeds to the throne in royal genealogy, but also reflects the view of the state and world that time. Year 1906 was the time in which despair and hope coexisted. After the Japan-Korea Protectorate Treaty signed on November 17th, 1905, the first Japanese Resident-General Ito Hirobumi(伊藤博文) arrived in Korea in March 1906. Accordingly, Korea as a protectorate was realized to be under the Japanese Resident-General of Korea. But, a hope coexisted in that Emperor Gojong and his aide struggled to report the independence of the Korean Empire all over the world. The crown prince’s wedding was held in the year of coexistence between despair of the ruined country and hope to recover the national sovereign and strenuous efforts. The crown prince’s wedding showed eternity and independence of the wedding by preserving the traditional wedding ceremony and using the emperor ritual. In case of modern Japan, they kept or invented their ancient rituals and ceremonies to present the royal genealogy and national eternity. The Korean Empire kept the status as an independent nation at the crown prince’s wedding by inventing the ceremony higher than that in an empire, and also represented that the authority of modern public force like the West belonged to Emperor Gojong and the modern state, Korean Empire by deploying the army and the police. It can not be generalized that how effective the wedding ceremony was in internalizing modernity and power of the Korean Empire among community members. It is true that the newspaper editorial which made comments on the wedding reflected people’s love and respect for the king at the corner of the ruined country. In addition, there was a hope that the royal family of the Korean Empire would be newly begun through the wedding. Thus, the crown prince’s wedding held in 1906 can be said as a real sympathetic field showing mixed despair and hope at that ti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