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성인 남자에서 발생한 Toxoplasmic Lymphadenitis 1예
박덕우,강재명,김인,박상현,김남중,김양수,우준희,류지소,김미나,유은실,남호우 대한화학요법학회 2002 대한화학요법학회지 Vol.20 No.1
성인에서 발생한 TL은 국내에서 매우 드문 질환이다. 저자들은 미국 여행 후 발생한 것으로 추정되고, 경과 관찰 후 임상적 호전을 보였던 TL 1례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In Korea, Toxoplasmic lymphadenitis cases were reported infrequently and previous reports were considered to be due to the ingestion of raw pork and needle stick in the laboratory. A 38-year-old male was hospitalized because of cervical lymphadenopathy after traveling in the United States. Anti-Toxoplasma gondii antibodies (lg G/Ig M) were strongly positive by enzyme-linked fluorescence assay(ELFA), and the lymph node biopsy showed diffuse cortical and paracortical follicular hyperplasia and small clusters of epithelioid cells in the germinal centers. The lymphadenopathy subsided 4 Months later without medication of anti-parasitic agents. It is suggested to be a case of acute infection acquired during traveling in the United States.
NFC 기술을 이용한 계량기 봉인장치 및 관리시스템 구현
박덕우,김규식 대한전자공학회 2018 전자공학회논문지 Vol.55 No.1
In this paper, meter seal devices are embedded with NFC chips. Using proximity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ies and mobile phones, we could check the information of testings and type approvals of meter seal devices which are at remote locations. Using mobile phones and NFC tags, we could share the reliability of transactions using NFC technology, which allows users to perform multiple tasks(connecting meter system, sealing, input information) simultaneously and communicate securely with NFC technology to communicate only about a wide range of tasks that can be performed within a distance of one centimeter. We expect that the research will help us to comply with the order of commercial transaction. 본 논문에서는 계량기 봉인에 NFC 칩을 탑재하고 무선 통신 방식을 적용하여 원거리에서 휴대폰으로 계량기에 대한 검정 및 형식승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단말기와 NFC의 태그를 이용하여 여러 작업(계량정보시스템 연계, 봉인, 정보 입력)을 동시 다발적으로 수행 할 수 있는 높은 기술 연계성과 1cm 정도의 거리 내에서만 통신을 할 수 있는 높은 보안성을 갖는 NFC기술을 이용하여 상거래에 이용하는 계량기의 정보를 공유하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신뢰성을 제공할 수 있었다. 본 연구로 인하여 계량기 상거래 질서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이차성 폐동맥고혈압 환자 폐조직에서의 유전자 발현 양상에 관한 연구
박덕우,송종민,한기훈,이철환,강덕현,이상도,주석중,송현,이재원,송재관 대한심장학회 2008 Korean Circulation Journal Vol.38 No.1
Background and Objectives: Despite the similar degree of pressure or volume overloading, the development of secondary pulmonary hypertension (PH) shows diverse variability among individual patients. Subjects and Methods: Using microarray technology, we compared the gene expression pattern of the lung tissues in 13 patients with secondary PH due to congenital shunt (pulmonary arterial hypertension, PAH, n=6) or valvular heart disease (pulmonary venous hypertension, PVH, n=7) with 5 normal subjects. Results: As compared to the normal controls, secondary PH showed a decreased expression of genes encoding transcriptional factors (BHLHB2, EGR3, JUNB, KLF4, KLF6 and MAFF), cytoskeleton protein (VIL2 and XLKD1) and cell differentiation and viability (MCL1, SNF1LK and TNFAIP3). PVH showed an increased expression of genes encoding proliferation of pulmonary capillary endothelial cells (ESM1), cell proliferation (IGFBP2 and BMP6), collagen synthesis (COL4A2 and SERPINH1), and cytoskeleton (TMSL8) as compared with the normal controls. In patients with secondary PH, PVH showed an upregulated expression of proliferation of pulmonary capillary endothelial cells (ESM1), cell proliferation (EGR2, PLK2 and TNC) and collagen synthesis (COL4A1), and an down-regulated expression of inflammation (IL1RL1, IL7R, CCL5, CCL19, CXCR 6 and XCL1/XCL2) and immune response (IGHM and TRA@; TRAC), as compared with PAH. Conclus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gene expression pattern in secondary PH patients according to the underlying mechanism. A future study is needed to determine the diagnostic and therapeutic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Korean Circ J 2008;38:51-59) 배경 및 목적다양한 심질환에서 동일한 정도의 압력과 용적부하에도 불구하고 이차성 폐동맥고혈압의 발생 및 증등도는 매우 다양하다. 연구자는 이차성 폐동맥고혈압이 발생한 환자의 폐조직 분석을 통하여 원인질환에 따라 발현되는 유전자의 차이를 비교하였다.방 법전체 13명의 이차성 폐동맥고혈압 환자에서 gene microarray를 통하여 폐조직이 분석되었으며 원인질환에 따라 용적과부하형인 폐동맥고혈압 (심실중격결손 2명, 심방중격결손 4명) 환자가 6명, 압력과부하형인 폐정맥고혈압 (승모판부전증 4명, 승모판협착증 1명, 대동맥판부전증 1명, 승모판 및 대동맥판 부전증 1명) 환자가 7명이었다. 이차성 폐동맥고혈압 환자의 폐조직은 정상 대조군 5명의 폐조직 유전자와 비교 분석되었다. 결 과 이차성 폐동맥고혈압 환자군과 정상 대조군과의 비교에서 다양한 유전자 발현 형태가 관찰되었을 뿐만 아니라 발생기전에 따라서도 서로 다른 유전자 발현 형태를 관찰할 수 있었다. 정상 대조군에 비하여 폐동맥고혈압이 발생한 환자에서 발현 감소된 유전자는 주로 DNA 전사와 관련된 인자 (BHLHB2, EGR3, JUNB, KLF4, KLF6, MAFF), 세포 골격 형성 (VIL2, XLKD1), 세포 분화 및 유지 (MCL1, SNF1LK, TNFAIP3)와 관련되었다. 정상 대조군에 비하여 폐동맥고혈압 환자군에서 발현 증가된 유전자는 없었으며, 이에 반하여 폐정맥고혈압 환자군에서 발현 증가된 유전자는 폐모세혈관의 증식 (ESM1), 세포성장 (IGFBP2), 콜라겐 증식 (COL4A2, SERPINH1), 세포골격 (TMSL8) 관련 유전자였다. 폐동맥고혈압에 비하여 폐정맥고혈압에서 발현 증가된 유전자는 주로 콜라겐 형성 (COL1A1), 세포 및 혈관증식 (EGR2, ESM1)과 관련되었으며, 발현 감소된 유전자는 주로 면역 및 염증반응 (IL1RL1, CCL19), 세포방어 (SH2D1A) 관련 유전자들이었다. 결 론 여러 심장질환에 의한 이차성 폐동맥고혈압 환자에서의 폐조직 유전자 발현 양상은 정상군과 비교하여 서로 다른 발현 형태를 보였으며 폐동맥고혈압 유발기전에 따라서도 서로 다른 발현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러한 차이의 임상적 의미와 병태생리학적 기전과의 연관성 여부는 향후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박덕우,김규식 대한전자공학회 2018 전자공학회논문지 Vol.55 No.2
물이나 기름과 같은 유체가 흐르고 있는 배관 내에 초음파를 보내면 유체의 흐름에 영향을 받아 흐름과 동일방향의 경우는 초음파 음속에 유속을 더한 속도로 전파되고, 반대방향으로 유체가 흐를 경우는 유속을 뺀 속도로 전달된다. 이 두 방향 전달시간의 차를 측정하여 유체의 속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 초음파 유량계이다. 이 초음파 유량계는 상하수도 구역 모니터링이나 산업용의 다양한 액체 유량 측정에 이용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사각관로의 축소관으로 측정관로를 설계하여 유체측정 성능을 높였다. 또한, 다양한 실험을 통해, 유속 증대 효과, 축소관의 정류 성능 향상, 사각관로의 유체측정 성능 향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When an ultrasonic wave propagates in the fluid such as water or oil, its propagation speed increases to the amount of the fluid speed if their travels are of the same directions. On the other hand, the propagation speed of an ultrasonic wave decreases to the amount of the fluid speed if their travels are of the opposite directions. Ultrasonic wave flow meters can measure the fluid speed using the propagation time difference of two ultrasonic waves, which are of the opposite directions. They can be applied to measure and monitor the fluid flow rate of the water supply and drainage areas and widely used to a variety of industrial liquid flow measurement. In this paper, the fluid measuring performance could be improved by designing the rectangular conduit pipe for an ultrasonic wave flow meter. In addition, we could verify the performance improvement of fluid measurement such as the flow rate increasing effect, the rectifying effect of the shrink tube, the measuring error decrease of rectangular conduit pipe-type ultrasonic flow meters through a variety of experimental studies.
Stent Thrombosis in the Era of the Drug-Eluting Stent
박덕우,박성욱 대한심장학회 2005 Korean Circulation Journal Vol.35 No.11
Coronary stent thrombosis (ST) has been regarded as a rare but catastrophic complication of bare-metal stent(BMS) implantation that normally occurs during the first few weeks after stenting. In the drug-eluting stent (DES)era, there has been increasing concern regarding higher rates of ST due to delayed endothelialization. However, apooled meta-analysis of randomized clinical trials and registry studies showed rates of ST (0.4-1.5%) after DES tobe similar to those of BMS. The rate of ST did not differ between sirolimus- and paclitaxel-eluting stents. Additionally,the rates of late ST were similar between DES and BMS. Remarkably, very late occurrence of ST, which developsup to 1-2 years after DES implantation,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complete cessation of antiplatelet therapy.Further large-scale studies are needed to determine the optimal combination and duration for antiplatelet therapyin order to prevent these serious thrombotic ev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