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부 고등학생의 손씻기 지식, 태도 및 실천

        박대권,이무식,나백주,배석환,김철웅,김은영,김건엽 한국모자보건학회 2008 한국모자보건학회지 Vol.12 No.1

        Objectiv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find the relationship among handwashing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of high school students and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handwashing training and health education in the students. Methods: 750 students were conveniently sampled from high schools in metropolitan cities (400 students from four schools situated in center of the city, 350 from 3 in a suburban district). Data was collected by a standardized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between Sep. 15 to Sep. 30, 2006, and analyzed by SPSS WIN 12.0, employing chi- square test, t-test, ANOVA analysis, Scheffe test (post hoc test), and regression analysis. Results: First, in the attitude of handwashing, "type of school (technical school)", "co- education" were the highest among male student and "resident of rural community" was the highest among female student. Second, the practice of handwashing was active with "technical school", "high level of economic status", "co-education school" among male student and "grade of school", "low level of economic status", "resident of rural community" among female student. Third, in the experience of teaching handwashing, "Yes" was 13.3%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 handwashing knowledge, practice (p<0.05), and attitude (p<0.01). Forth, based on the result for regression analysis with handwashing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as dependent variables, handwashing knowledge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y with grade and experience of handwashing education among female students (p<0.05). The handwashing attitude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y with type of school, experience of handwashing education and the knowledge among male students, the knowledge among female students (p< 0.05). The handwashing practice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y with the knowledge and attitude among male students, the attitude among female students (p<0.05). Conclusions: There are a relevance among handwashing education,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If they had better knowledge, their attitude were more positive and if they had better knowledge and more positive attitude, their practice were active. To enhance handwashing habit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 handwashing environment should be maintained. The training plan should also be made according to the type of school, grade and residential area. The practice training is required to enhance students knowledge in handwashing and remove the obstacles to handwashing practice.

      • KCI등재

        한국교육정치학연구의 특징과 미국교육정치학연구의 연구동향

        박대권 한국교육정치학회 2015 敎育政治學硏究 Vol.22 No.2

        Korean Society for the Politics of Education (KSPE) has been weathered two decades of its academic journey in Korea and achieved monumental academic progress so far. Most of all, the pioneers in 90s challenged the myth of ‘education out of politics’ and sawed a seed of ‘the political approach in education’. The author cannot appreciate too much for its work and accomplishment of KSPE since inception. This paper focused on the accomplishment of KSPE’s second decade for the first decade was covered by the special issue of celebrating its 10th anniversary. Based on the then-made rubric, the article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Politics of Education were analyzed. Former decade focused on education reforms for their were many historic venues in education like the inauguration of civil administration, the unveil of 5·31 education reform plan, and the new education agenda of Kim Dae Jung administration, etc. As those education agenda were planned and implemented, the research of latter decade mainly dealt with policy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Also, welfare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were discussed in politics of education area. This study also shed light on the research and education of politics of education terrain of the U.S. and compared and contrast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academia and its components of two nations. Explaining two major conflicting forces of market and government in education, this study adopted Dahl’s concept of ‘Homo Civicus’ and Labaree’s framework of ‘citizen vs consumer’ to bring more productive arguments aiming consensus in common good and better aim of education. 한국교육정치학회 창립 20주년을 기념하여 지나간 20년간의 성과를 살펴보았다. 창립 10주년 당시 그때까지의 연구 결과물과 성과에 대한 정리와 회고가 있었기 때문에 본 논문에서는 그 이후를 주로 살펴보았다. 전반 10년과 최근 10년을 비교할 때 두드러진 특징은 교육개혁관련 연구는 감소한 반면 교육정책 및 평가관련 연구는 증가했다는 점이다. 교육정치학회가 출범할 당시의 10년은 문민정부의 출범, 5·31교육개혁, 국민의 정부 출범 등으로 인한 개혁 아젠다가 교육정치학 논의의 주류를 이루었다고 하겠다. 이후 10년은 그러한 개혁아젠다들이 구체적인 교육정책으로 반영되고 그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지는 시기여서 연구의 초점도 자연스럽게 변화한 것이다. 아울러, 그 이전과 다르게 교육복지, 유아교육 같은 영역들이 교육정치학 연구의 새로운 영역으로 등장한 것도 특징이다. 한국의 교육정치학이 교육행정학의 이원론적 특성에 대한 성찰적 접근에서 교육학계 내부에서 시작되었다면, 미국은 정치학계와 행정학계의 정치학자들이 관련 연구를 주도한 특징이 있다. 교육학계의 교육정치학자들이 중심이 되어 이끌어온 미국의 교육정치학회가 2010년대 이후 활동이 둔화되는 것에 반해서, 미국 내에서 보수적인 정치학자들을 중심으로 한 교육정치학 연구와 교육은 더욱 활발해지고 있는 특징이 있다. 한국교육정치학연구의 당면 과제로 시장과 정부의 이분법적 대립을 극복할 수 있는 이론적 틀로 Dahl과 Labaree의 관점을 제시하였다.

      • “혁신학교, 어떻게 그들만의 리그가 되었나” 토론

        박대권 한국교육사회학회 2015 한국교육사회학회 학술대회 발표 자료 Vol.2015 No.-

        양정호의 발표문은 혁신학교의 운영상황, 재정지원의 쟁점, 성과 등을 다 루고 있다. 2009년 경기도에서 시작된 혁신학교는 13개로 출발했지만, 2014년 기준으 로 서울,광주, 경기, 전북, 전남, 강원에 585개에 이르르고 있다 (바른사회시 민회의 2014, 3쪽 참조). 혁신학교의 원조격인 경기도가 285개로 거의 절반 에 이르르고, 전북이 101개, 서울이 67개로 그 뒤를 따르고 있다. 혁신학교에 대한 총평은 교사와 학부모의 만족도가 높다는 긍정적인 측면과 학생들의 기초학력수준 미달 비율이 높다는 부정적인 측면이 공존한다 (나민주, 2013, 4쪽 참조).

      • 미국 연방정부의 확대로 살펴본 중앙집권과 지방분권 사이의 정치학

        박대권 한국교육정치학회 2012 한국교육정치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33 No.-

        미국의 교육지방분권화(Decentralization)와 연방정부의 집권화(Centralization)은 그 출발점에 있어서 우리나라와 다르다. 그 출발의 전제는 주는 연방정부의 창조물이 아니고 그 자체의 헌법에 의해서 존재한다는데 있다. 대한민국의 광역 및 기초지역단체는 대한민국 정부가 만든 행정단위라면, 미국의 주는 미국이라는 국가가 탄생하기 이전부터 존재했던 독립체(Entity)이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광역 및 기초지역단체는 대한민국에 의해서 만들어진 하부 단위라면, 미국의 주는 미합중국을 건국 이전부터 구성하고 있고, 연방주의에 의하여 묶여있는 하부단위라고 할 수 있다 (Henig, 2004).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