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텔레비전 드라마와 스토리텔링 -미니시리즈 <다모>와 <추노>의 서사 전략을 중심으로-

        박노현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11 한국문학연구 Vol.0 No.41

        본 연구는 텔레비전 드라마의 스토리텔링 기법을 살피는 데에 목적을 둔다. 그것은 유사한 스토리로 간주되는 두 편의 미니시리즈가 어떻게 서로에 대한 거리두기 혹은 갈라서기를 통해 확연히 다른 텍스트로 인식되는가를 독해하는 것이다. 이는 텔레비전 드라마의 아카이브에 이야기의 집적이 거듭될수록 이야깃거리는 상대적으로 빈곤해질 수밖에 없는 현실에서, 개개의 텍스트가 축적된 아카이브를 오히려 적극적으로 활용하면서도 독창성을 확보해내는 긴요한 서사 전략이라는 점에서 스토리텔링의 핵심―구별과 식별을 위한 차별의 기획―이 무엇인가를 가늠케 해준다. 미니시리즈 <다모>와 <추노>의 존재 방식은 일종의 형용모순이다. 즉 <다모>와 <추노>는 같은 듯 다르고, 다른 듯 같다. 두 텍스트 사이에서 감지되는 이러한 유사와 차이는 텔레비전 드라마가 취해야 할 스토리텔링의 모델을 상정하는 데에 중요한 참조점을 제공한다. 이야기의 심층에서 두 텍스트는 마치 하나의 이야기처럼 읽힐 정도로 닮아 있지만, 막상 이야기의 표층에서 각각의 이야기를 술회하게 되면 둘 사이의 친연성을 좀처럼 감지하기 힘들 만큼 전혀 다른 드라마로 형상화되기 때문이다. 시간적 선후차를 고려했을 때, <다모>에 대해 <추노>가 취하는 이러한 시치미 떼기는 집합적 스토리를 개별적 스토리로 구상화하는 스토리텔링 기법의 일단을 보여준다. <추노>는 <다모>에 대한 심층의 유사가 상기시키는 기시를 표층의 차이가 환기하는 착시로서 소거한다. 두 미니시리즈는 ① ‘추적’이라는 몸의 플롯을 중심으로 삼으면서도 이에 작용하는 장력이 이격의 감각 차이로 인해 구심과 원심으로 갈라지고, ② 봉건사회의 제도적 폭력성에 삶의 훼손을 경험하는 유사한 인물군이 성격과 역할에 따라 삼각과 역삼각의 도형을 그리면서 사뭇 다른 극적 환경을 만들어내며, ③ 텔레비전 드라마로서는 다소 불온한 담론을 공통의 화두로 삼지만 혁명과 사랑 가운데 하나를 전경으로 끌어오고 다른 하나를 후경으로 밀어내는 양상에 있어 전혀 상반된 포즈를 취하고 있다. 요컨대 <추노>는 <다모>에 대한 가감과 첨삭을 통해―<다모>를 지우진 않으나 그렇다고 <다모>를 드러내지도 않는―새로운 드라마적 시공간을 창조해낸다. 이를테면 <추노>는 <다모>에 대한 덮어쓰기인 셈이다. This paper discusses the storytelling techniques of television drama, focusing on why two ‘similar’ television mini-series Damo(茶母, Woman Detective) and Chuno(推奴, Slave Chaser) could be definitely recognized as ‘dissimilar’ texts, maintaining narrative distance each other. As stories come to be accumulated in the archive of television drama, new stories available in television are decreasing. However, television drama genre makes use of narrative strategy for distinction among dramas, utilizing actively television drama archive. Mini-series Damo and Chuno hav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the contradictive relationship. These characteristics provide an important reference point for modelling television drama storytelling. Like the same story, Damo and Chuno are very similar in the deep structure, while these are differently shaped each other in the surface structure, making it difficult to see affinity between these two dramas. Considering the temporal distinction between Damo and Chuno, Chuno puts on a screen of indifference toward Damo as the storytelling technique so that an accumulated story is represented as an independent one. Chuno erases a strong sense of déjà vu toward Damo with an optical illusion caused by difference of surface structure. First, the main plot of these dramas is “chasing somebody.” However this central plot produces completely different dramatic circumstances. With a centrifugal force, Chuno's chasing begins, while Damo's chasing is under the centripetal force. Second, In Damo and Chuno, there are main characters suffered from structured violence of feudal society. According to their personality and role, main characters lie in the triangle or the inverted triangle relations. Third, although sharing rebellious discourse, these dramas take a conflicting attitude to revolution and love. Damo foregrounds love, while Chuno does revolution. In short, Chuno creates a new dramatic space-time by adjusting and correcting Damo. In other words, Chuno is an overwritten version of Damo.

      • KCI등재

        드라마스케이프, 21세기 드라마 연구를 위한 첫 번째 시론(試論)-영화와 텔레비전 드라마의 장르적 특이점을 중심으로-

        박노현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24 한국학연구 Vol.- No.72

        드라마스케이프란 기술 및 예술이 습합된 드라마에서 도드라지는 당대의 문화적 정경을 일컫는다. 이 글은 텔레비전 드라마를 중심으로 특이점이 대두되는 21세기 초반의 드라마스케이프에 주목한다. 이를 통해 21세기 드라마 연구의 향방을 가늠할 수 있다고 여겨서이다. 극예술, 특히 영화와 텔레비전 드라마는 세기가 바뀌며 장르정체성을 뒤흔드는 기술적 사건과 병리적 사고를 겪는다. 기술적 사건이란 디지털 컨버전스를 의미하고, 병리적 사고는 코로나19 팬데믹을 뜻한다. 이 사건과 사고로 20세기 극예술장에서는 비교적 공고했던 영화와 드라마의 장르 경계에 심각한 균열이 생긴다. 이 균열의 중심에 플랫폼으로서의 OTT가 자리한다. OTT는 디지털과 팬데믹이라는 사건과 사고를 거치며 영화와 드라마가 각각의 장르로 인지되던 공간과 시간의 차이를 지운다. 이러한 맥락에서 넷플릭스의 <수리남>은 상징적 텍스트이다. <수리남>은 다소 긴 영화로도 조금 짧은 드라마로도 읽힌다. 그렇다고 이를 은근슬쩍 무화시키려는 시리즈를 곧이곧대로 받아들이기는 힘들다. 텔레비전 드라마를 대체할 글로벌 표준으로 보기에는 지극히 한국적 정황인 탓이다. 결국 21세기 영화와 텔레비전 드라마 사이의 엄밀한 경계는 사실상 무의미하다. 이제 영화와 드라마의 경계 붕괴는 학술적으로도 선언될 때이다. The dramascape refers to a contemporary cultural scene that stands out in dramas in which synergistically combine technology and art. This study, focusing on the television dramas, addressed the dramascape in the early 21st century, from which singularities emerge since it is considered to be helpful in gauging the direction of drama research in the 21st century. Dramatic arts, especially movies and television dramas, experienced technological event and pathological accident that had a profound impact on genre identity at the turn of the century. Technological event and pathological accident refer to digital convergence COVID-19 pandemic. This event and accident caused a serious crack in the genre boundary between movies and dramas, which was relatively solid in the 20th century dramatic arts field. OTT as a platform is at the center of this crack. OTT, through the events and accidents of digital and pandemic, erases the differences in time and space where movies and dramas were perceived as separate genres. In this context, Netflix's <Suriname> is a symbolic text. <Suriname> is considered as either a rather long movie or a rather short drama. However, it is difficult to accept the Series as it is, which seeks to subtly cover this up, since this is an extremely Korean situation thus cannot be considered a global standard to replace television dramas. The strict division between movies and television in the 21st century is virtually meaningless. Now is the time when the collapse of the boundaries between movies and dramas should be declared academically.

      • SCIESCOPUSKCI등재

        인유두종 바이러스 관련 악성질환의 병인론 추적에 있어 PCR- SSCP 방법의 유용성

        박노현,김재원,송용상,강순범,이효표 대한부인종양 콜포스코피학회 1998 Journal of Gynecologic Oncology Vol.9 No.4

        Purpose: To set up more simplified detection method for human papillomavirus (HPV) sequence polymorphism which could be used for the study of HPV-related pathogenesis, route of infection, and many other epidemiologic studies. Materials and Methods: One hundred and thirteen cases of uterine cervical tissues containing HPV 16 DNA confirmed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from Korean women were subjected to investigate the URR gene mutations. PCR-amplified products were sequenced by the fluorescent dideoxy termination method and opposite strand sequencing was performed as required. The results obtained from sequencing were analysed to find the most hypervariable segment which contains the greatest number of variants and subjected to PCR-single strand conformation polymorphism (SSCP) analysis. Results: Among the length of nucleotide position (np) from 7175 to 24, we found 60 sites (60/815=7.36%) of base substitutions. Segment from np 7743 to 24 was the most hypervariable and contain 20 kinds of variants. In this segment, C-to-T mutation at position 24, G-to-A at 7842, and T-to-C at 7781 were more frequently found than other sites. By comparing sequencing results with PCR-SSCP, we found 15 patterns distinguishable each other. All of the mobility shift occurred in the PCR-SSCP pattern could be accounted for by the base substitutions and nearly all of the DNA sequencing results observed were reflected as alterations in the PCR-SSCP patterns. Conclusions: We have assigned the hypervariable segment in one portion of URR which could be used as PCR-SSCP analysis. Identification of HPV polymorphism by PCR-SSCP is potentially useful for elucidating a number of epidemiologic questions such as the pathway of viral spread and so on.

      • KCI등재

        임신주수에 따른 신생아 체중 증가양상

        박노현,김승욱,신희철,윤보현 대한산부인과학회 1991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4 No.3

        태아의 성장 기준치를 설정하기 위하여 서울대학교병원에서 태어난 신생아를 대상으로 성장 곡선을 구하고 다른 자료와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5000예이상을 대상으로 국내에서 최근에 발표된 기준들은 비록 통계적으로 100 g내외의 차이가 인정되나 10 percentile 및 90 percentile성장곡선양상이 미국의 경우에 비해 매우 유사하였다. 2. 29주에서 38주까지는 거의 직선에 가까운 성장양상을 보였다. 3. 남자가 여자보다 34주이후에 100 g정도 무거운 경향을 보였으나 자궁내 태아에 적용하는데는 한계가 있다. 4. 초산부에서 태어난 신생아가 경산부의 경우에 비해 50~100 g 가벼운 경향을 보였다. 5. 성장곡선의 비교에는 각 주수별 10 percentile의 수치만 비교하는 것보다 성장양상 및 각 percentile별 비교가 이루어져야 하며 임신 주수의 정의 방법에 차이가 있으므로 유의해야 한다. 본 연구결과를 기준으로 판단할 때 국내에서 5000예이상으로 발표된 기준은 상호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으나 어느 것을 사용하든지 별 문제가 없을 것으로 판단되며 우리나라 신생아 5000예이상을 대상으로 하여 5년 정도마다 기준을 만들어 사용한다면 가장 합리적인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Birth weight-gestational age tables have been calculated for 6248 singleton deliveries. Twin pregnancy, stillborn and severe malformed infants were excluded as were those born to mothers with diabetes mellitus, severe preclampsia and eclampsia. The 10th, 25th, 50th, 75th and 90th percentiles were determined for 29-40wks of gestation and the 10th and 90th percentiles were compared with other reports. The 10th, 50th, 90th percentiles of each sex(Male and female) and parity(Primi and multi) were graphed and compar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Korean report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each other but not such a degree to cause clinical problem. 2. There was a linear growth pattern between 29 through 38 gestational period. 3. There was a significant birth weight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and also between primipara and multipara. We concluded that any growth curves based on large Korean people can be used as our standard without significant problem.

      • KCI등재

        ‘덮어쓰기’와 ‘불러오기’, 상호텍스트적 스토리텔링 - 미니시리즈 <시크릿 가든>과 <신사의 품격>을 중심으로

        박노현 상허학회 2013 상허학보 Vol.38 No.-

        Television Dramatist is the same as ‘Seherazade’ in the Arabian-Nights. This is because the dramatist has to satisfy the desires of Television audience, who demands for the sequel day after day. However, television drama is different from series of texts published and images on the screen because it has to go through dual process of text visualization. Moreover, as the story archive gets bigger, new sources of the story become smaller. In connection with this, narrative strategy by Kim, Eun-Suk is interesting. Her recent dramas <Secret Garden> and <A Gentleman’s Dignity> best show how the television dramatist can continue the story without intermission in current society where there are new sources of the story being dried up. It is a intertextual storytelling technique that is represented by ‘Overwriting’ and ‘Citation’. Dramatic writing by Kim, Eun-Suk reminds people of ‘Lego’<Secret Garden> is overwriting <My name is Kim Sam Sun> ① Both of them are a kind of love story between a Prince Charming and Cinderella. ② A male character with trauma and ③ a firm female character appear. ④ Their father does not exist in drama. ⑤ While female character’s father appears only in her dream and fantasy, ⑥ male character’s mother, or gendered patriarch, becomes influential. ⑦ Strong mother’s opposition to their relationship delays a happy ending of melodrama. ⑧ Also, A novel, based on fantastic imagination, functions as important metaphors. Like television drama’s title, <My name is Kim Sam Sun> is ‘secreted’ in <Secret Garden>. <A Gentleman’s Dignity> cites a variety of pop-cultural texts. This drama recalls various popular texts such as K-Pop, movies, television dramas and entertainment programs produced during the middle of 1980s and the early 2010s. This revival pleasure makes the loose border between inside and outside of television drama not only by attracting affective reaction but also by giving the story dramatic fun. At this time, citation of texts resembles to treasure hunt, which is always based on revelation and seek. Like television drama’s title, <A Gentleman’s Dignity>, it has brilliant citation of texts, showing ‘dignity’. 텔레비전 드라마의 작가는 『아라비안 나이트』의 세헤라자데와도 같다. 극작가는 하루 혹은 한주 단위로 이야기를 갈구하는 시청자의 욕망을 충족시켜야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지면의 연재나 화면의 업로드와는 달리, 드라마는 문자의 영상화라는 이중의 가공을 거쳐야만 한다. 더욱이 이야기의 아카이브가 방대해질수록 오히려 ‘새로운’ 이야깃거리는 고갈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극작가 김은숙의 서사 전략은 흥미롭다. 그녀의 최근작 <시크릿 가든>과 <신사의 품격>은 이야깃거리가 고갈된 시대에 작가가 어떻게 중단 없이 이야기할 수 있는가를 보여준다. 그것은 ‘덮어쓰기’와 ‘불러오기’로 대표되는 상호텍스트적 스토리텔링 기법이다. 김은숙의 극작은 레고를 연상시킨다. <시크릿 가든>은 <내 이름은 김삼순>을 덮어쓴다. 두 편은 ①백마 탄 왕자와 신데렐라의 사랑을 중심으로, ②남성은 과거의 육체적 사고로 정신적 외상을 겪고, ③여성은 다부지고 억센 캐릭터로 묘사되며, ④남녀 모두 아버지가 부재하되, ⑤ 여성의 아버지는 꿈과 환상을 통해 현신하는 반면, ⑥ 젠더적 가부장인 남성의 어머니가 득세하면서, ⑦ 멜로드라마의 해피엔딩이 강한 어머니의 반대로 지연될뿐더러, ⑧ 판타지적 상상력에 기반한 소설이 중요한 메타포로 기능하고 있다. 이를테면 드라마의 제목처럼 <시크릿 가든>에는 <내 이름은 김삼순>이 ‘은밀하게’ 감춰져 있는 셈이다. <신사의 품격>은 다종다양한 대중문화 텍스트를 불러온다. 드라마는 1980년대 중반으로부터 2010년대 초반에 이르기까지 하나의 상징으로 자리 잡은 가요와 영화, 텔레비전 드라마와 예능 등의 다종다양한 대중문화 텍스트를 소환한다. 과거와 현재를 오가며 반복되는 이른바 복고의 유희는 시청자의 경험과 체험에 근거한 정서적 반응을 유도하고, 이러한 극적 재미의 축적을 통해 화면 안팎의 경계를 헐겁게 한다. 이 때 텍스트의 소환(함/됨)은 항상 발견과 발각을 전제로 하는 보물찾기와도 같다. 드라마의 제목에 빗대자면 <신사의 품격>은 재기발랄한 텍스트 소환의 ‘품격’을 보여준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