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Radiation Therapy in Malignant Tumors of the Parotid Gland

        박경란,오원용,서창옥,김귀언,노준규,박정수,민진식,Park K.R.,Oh W.Y.,Suh C.O.,Kim G.E.,Loh J.K.,Park J.S.,Min J.S. The Korean Society for Radiation Oncology 1986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4 No.1

        From 1970 to 1982, thirty one patients with malignant tumors of the parotid gland were treated with radiation therapy at department of Radiation Oncology,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Yonsei Cancer Center. Indication for radiotherapy were as follows: 1) when there were microscopic or gross residual diseases (6 patients), 2) when the patients considered to have high risk factors (15 patients), 3) when the tumor found to be inoperable (6 patients), 4) when there was recurrence after surgery (4 patients). Most patients were treated with a total of 5,000 to 6,500cGy in 5 to 6 weeks except when there were gross diseases, in which patients received slightly higher dose up to 7,000 cGy in 7 weeks. Locoregional failure rate was $43\%$ in patients with microscopic or gross residual disease and high risk factors (postoperative radiotherapy group) and 20 in patients with inoperable tumor and recurrence after surgery (Primary radiotherapy group).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failure rates amen!1 the various histological types. Eight patients failed distantly, Severe complications appeared only in 2 patients irradiated for inoperable advanced diseases. 이하선 악성종양의 치료는 근치적 수술이 주된 치료법으로 알려져 왔으나 이하선이 해부학적으로 주위의 근육, 골조직, 혈관, 신경등과 밀접하게 부착되어 있어 피막 및 주위 조직의 침윤이 있거나 조직학적으로 high grade tumor, 임파절 전이가 있는 경우 등에서 광범위한 근치적 수술로도 종양을 완전히 제거하기가 어렵고 수술 후 국소재발이 빈번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수술만으로는 국소재발율이 상당히 높은 데도 북구하고 이 종양이 방사선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것으로 잘못 인식되어져와서 수술후 방사선치료를 시행해 오지 않다가 근래에 와서 수술후 방사선치료가 실시되었고 수술만 시행한 경우에서보다 국소재발율이 현저히 감소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어 현재는 방사선치료가 치료 결과를 향상시키는 중요한 치료방법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1970년 1월부터 1982년 12월 사이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연세암센터, 치료방사선과에서 이하선암으로 치료를 받은 31예를 대상으로 후향적 추적조사를 통하여 치료방법과 치료실패 양상을 분석하여 향후 치료방법의 실정과 치료 결과의 향상을 위하여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석이버섯과 운지버섯 균사체 추출물이 장내 세균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박경란(Kyoung-Ran Park),이운종(Woon-Jong Lee),조민규(Min-Gyu Cho),박의석(Eui-Seok Park),정준영(Jun-Young Jeong),권오성(Oh-Sung Kwon),윤향식(Hyang-Sik Yoon),김광엽(Kwang-Yup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0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9 No.6

        본 연구에서는 비만과 관련된 요소 중 하나인 장내 균총을 개선하고자, 식이섬유소가 풍부하고 저칼로리인 담자균류 추출물을 이용하여 in vitro 상에서 비만 관련 장내 미생물에 대한 항균활성을 조사하였다. 항균성 담자 균류 소재 탐색결과 석이버섯 자실체와 운지버섯 균사체의 추출물을 선발하였고, 선발된 담자균류 소재 추출물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 열에 대단히 안정하였고, pH에도 비교적 안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rat을 이용한 동물실험에서 석이버섯 80% 에탄올 추출물 투여군이 고지방식이만 투여한 군에 비하여, 장내 균총에서 Bifidobacterium spp.가 증가되었고, Clostridium spp.와 Eubacterium spp.는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석이버섯과 운지버섯 추출물이 첨가된 기능성 음료를 제조하고자 관능평가를 실시한 결과, 운지버섯 균사체 배양액에 석이버섯 추출물을 3% 첨가한 실험구가 가장 좋은 평가를 받았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석이버섯과 운지버섯 추출물이 장내 균총 개선을 위한 기능성 식품소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e functional food components from various Basidiomycota were investigated to improve human intestinal microflora, especially associated with obesity. EtOH extract from Gyrophora esculenta fruit body and Coriolus versicolor judae mycelia showed antimicrobial activities on Eubacterium limosum, Clostridium perfrigens, Clostridium paraputrificum, Clostridium difficile and Clostridium ramosum, and on Bacteroides fragilis, respectively. Although the 80% EtOH extract from G. esculenta fruit body and hot-water extract from C. versicolor judae mycelia did not reduce weight of the rats in the high fat diet, these extracts showed stability at high temperatures and at wide pH ranges. In the rat group of feeding 80% EtOH extract from G. esculanta fruit body, Bifidobacterium spp. were increased and Clostridium spp. and Eubacterium spp. were decreased compared to the high fat feeding group. Also sensory evaluation was carried out for the development of prototype drink product.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e possibilities of C. versicolor judae and G. esculenta as a functional food components to control intestinal microbial flora.

      • 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DML(Debriefing for Meaningful Learning)을 적용한 시뮬레이션학습 경험

        박경란(Kyong-Ran Park),이지언(Ji-Uhn Lee) 융복합지식학회 2021 융복합지식학회논문지 Vol.9 No.2

        본 연구는 간호학생의 DML(Debriefing for meaningful learning) 적용 시뮬레이션 학습경험을 분석한 것이다. 연구참여자는 총 18명이며, 연구방법은 2020년 11월 23일부터 12월 18일까지의 학습경험을 자유롭게 기술한 내용을 분석한 질적 연구 내용분석 방법이다. 연구결과 참여, 탐색, 평가 총 3개의 영역에서 7개의 범주와 13개의 유의미한 진술이 도출되었다. 결론적으로, DML 적용 수업은 학습내용 습득 강화와 지식적용을 위한 심화 발전 기회를 제공한다. 그러므로 다양한 학습에 DML을 적용한 확대 연구를 제언한다. This study analyzed the learning experiences of nursing students in simulations applying Debriefing for Meaningful Learning (DML). There are a total of 18 research participants, and the research method is a qualitative research content analysis method that freely describes the learning experiences from November 23 to December 18, 2020. As a result of the study, 7 categories and 13 meaningful statements were derived from a total of 3 areas of participation, exploration, and evaluation. In conclusion, DML application class provides opportunities for further development for reinforcement of learning content acquisition and knowledge application. Therefore, it is suggested to expand research by applying DML to various learning.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청각장애학생의 문식성 특성과 지도방법에 대한 고찰

        박경란 ( Kyoung Ran Park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09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0 No.1

        본 연구는 청각장애학생의 문식성 특성에 대해 살펴보고, 문식성 신장을 위한 교수 방법들을 고찰해 봄으로써 향후 청각장애학생을 위한 효과적인 문식성 지도 방안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청각장애학생을 위한 문식성 지도방법은 상향식과 하향식, 그리고 상호작용적 접근으로 대별할 수 있었다. 상향식 접근은 언어의 기본구조의 습득에 초점을 두고 있으며, 하향식 접근은 실제 의사소통 상황에서의 의미와 기능을 중시하고, 상호작용적 접근은 언어의 의미 구성을 위한 초인지 전략의 사용에 중점을 두고 있었다. 각각의 접근들이 갖는 제한점으로, 상향식 접근은 정적이고 반복적인 학습으로 인해 아동의 흥미를 이끌어내지 못하고 일반화에의 한계가 있으며, 하향식 접근은 문법형태소와 같은 언어의 작은 요소나 체계적인 문법지식의 습득을 간과한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그리고 상호작용적 접근은 언어능력이 낮은 청각장애학생 집단에게는 효과적이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다. 이는 특정 문식성 지도 접근법이 모든 학생에게 이상적일 수 없으며, 어떠한 접근법도 언어문제의 전반적인 면을 다루지 못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향후 청각장애학생에 대한 문식성 지도에 있어서는 유의미한 언어사용을 촉진하면서도 체계적인 문법지식을 습득하고, 더불어 학생 스스로가 언어의 의미를 구성할 수 있게 하는 세 가지 접근법이 균형 있게 조화된 문식성 지도방법이 요구된다. 더불어 개별 청각장애학생의 주된 의사소통 수단, 독특한 경험, 현재 언어수행 능력, 생활연령, 그리고 정의적 요소 등이 동시에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This paper tried to seek the most effective literacy instruction method for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 by reviewing their literacy characteristics and language instruction methods that enhance literacy abilities of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 literacy instruction methods for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 could be divided into bottom-up, top-down and the interactional approach, and each approach had different characteristics. The bottom-up approach focused on acquisition of basic structure of language. The top-down approach emphasized the actual meaning in the communication situation and function. And the interactional approach put emphasis on the use of metacognitive strategies for meaning composition. However, respective approach had their own limits. The bottom-up approach could not draw children``s interest because of static and repetitive learning, and there were limits to the generalization. The top-down approach overlooked small elements of language such as grammatical morphemes and an acquisition of systematic grammatical knowledge. And the interactional approach was not effective for students group of hearing impairment who had low level of language abilities. A specific approach is not ideal for all students for literacy instruction, and it could be said that every sort of teaching methods can not handle all of language problems. Therefore, we should consider a well-balanced instruction method which combine above three methods such as promoting the meaningful use of language, acquiring systematic grammatical knowledge, and facilitating cognitive meaning composition for literacy instruction to the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 Additionally, we consider individual language abilities, chronological age, a main communication tool, and affective factors at the same ti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