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중이염을 주소로 내원한 ANCA 음성 제한성 육아종증 다발 혈관염 1례
문지원,이진환,채성원,송재준 대한이비인후과학회 부산,울산,경남 지부회 2021 임상이비인후과 Vol.32 No.1
Granulomatosis with polyangiitis(GPA) is a systemic disease that causes granulomatous inflammation and vasculitis to small to medium sized vessels. Although prompt diagnosis is vital for the successful treatment of the disease, it is often misdiagnosed as a simple inflammatory disease in ENT clinic. Anti-neutrophil cytoplasmic antibody(ANCA) tests positive in up to 90% of GPA, and it is a useful diagnostic marker for its strong association with the disease. However, we experienced ANCA-negative limited GPA presenting with intractable otitis media, thereby reporting this case with a brief review of the literature.
직류전원과 0가 철을 이용한 지하수내 TCE정화효율의 최적화 연구
문지원,문희수,노열,김헌기,송윤구,Moon, Ji-Won,Moon, Hi-Soo,Roh, Yul,Kim, Heon-Ki,Song, Yun-Goo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02 자원환경지질 Vol.35 No.3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sign an optimal electro-remediation system for TCE contaminated water using zero talent iron (ZVI) and direct current (DC). A series of column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electrode arrangement and the location of permeable iron barrier in the column on the TCE removal efficiency and iron corrosion process. In twelve different combinations of ZVI and/or DC application in the test columns, the rate of reductive degradation of TCE was improved with simultaneous application of both ZVI and DC compared to that used ZVI only. The moot effective arrangement of electrode and ZVI for TCE removal from water was a column set with ZVI and cathode installed at the down gradient, respectively.
rDNA의 ITS 염기서열 분석과 RAPD를 통한 Hericium속 수집균주 유연관계 분석
문지원,이찬중,정종천,서장선,공원식 한국버섯학회 2014 버섯 Vol.18 No.2
노루궁뎅이버섯은 민주름버섯목(Aphyllophorales), 턱수염버섯과(Hydnaceae)또는 산호침버섯과 (Hericiaecae), 산호침버섯속(Hericium)에 속하는 흰색의 목재부후균이다. 중고온성균으로 가을철 수목에서 많이 발생되며, 한국·중국·일본 등지의 동아시아를 중심으로 온난화한 기후의 지역에서 는 대부분 서식한다. 국내 뿐 아니라 해외에서도 많이 발견되기 때문에 Lion's mane, Bear's head, Yamabushitake, Houtou 등 다양한 명칭으로 불리며, 국내에서는 둥근 모양에 흰색의 침이 난 모 양이 흡사 털이 난 노루의 궁뎅이와 비슷하다고 하여 노루궁뎅이버섯이라고 불린다. 노루궁뎅이버섯은 개발된 품종의 수가 적어 전국적으로 농가에서 쓰고 있는 품종은 거의 1~2 개에 그친다. 품종의 다양성이 확보되지 않으면, 환경 변화나 병·해충에 취약한 약점이 있다. 노 루궁뎅이버섯을 지속적으로 재배하기 위해 다양한 품종 개발은 필수적인 과정 중에 하나이다. 이를 위해 국내 노루궁뎅이버섯 균주를 수집하여 유전적인 유연관계를 분석하고 종간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다음의 실험을 진행하였다. 산호침버섯속(Hericium spp.)균주는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버섯과에 보존하고 있는 26 균주, 국립 농업과학원 농업유전자원정보센터에서 분양받은 8 균주, 인천대학교 생명과학부의 “버섯균주 및 DNA은행”에서 분양받은 14균주 등 총 46개의 균주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균주는 속과 종 구분을 위해 유전적 분석을 통해 계통분류 분석을 하였다. 프라이머 ITS1과 ITS4를 이용하여 rDNA 부위의 염기서열 간 차이를 보았다. 그 결과 수집균주 중 2균주 가 수집목록과는 달리 Hericium속이 아닌 것을 알 수 있었다. 수집균주를 분류하는 과정에서 오 류가 발생된 것으로 보여, 전체적인 검증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속이 판단된 균주들을 다시 RAPD 분석을 실시한 결과 다양한 밴드의 형태들을 볼 수 있었다. Hericium 속에서도 5가지 이상의 종 구분이 보였다. 이 가운데 Hericium erinaceus 계통을 가려내 고, 이와 근연관계가 가까운 종을 선별할 예정이다. 선행된 자실체 생육실험 결과와 비교해보면 Hericium erinaceus가 아닐지라도 자실체 발생이 우수한 균주들이 있었다. 이들을 교잡하면 효능 과 형태적인 면에서 우수한 균주를 선발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ITS 부위 염기서열과 RAPD 분석에 의한 Armillaria gallica 균주의 계통분류
문지원,유영복,이찬중,정종천 한국버섯학회 2013 버섯 Vol.17 No.2
Armillaria속에는 수목병을 일으키는 종도 있고, 천마와 공생관계를 이루는 종도 있는 것으로 알려 져 있다. Armillaria gallica 가 Gastrodia elata와 공생관계에 있다는 것이 발견되면서, A.gallica는 연구적 중요한 가치를 가지게 되었다. 또한 천마는 그 약용적 가치로 재배수요가 늘고 있지만, 점차 인공재배시 생산량 감소로 인해 재배농가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천마 인공재배를 성공적으로 이 끌기 위한 가장 큰 방법은 자마(어린 천마)가 A.gallica균을 접종한 참나무를 생육에 필요한 영양분 으로 이용하는 것이다. 현재 품종으로 개발된 천마균 1호는 오래 전에 개발되어 현재의 기후조건에 안정하지 않아, 우리 는 새로운 A.gallica계통의 품종을 육성하고자 한다. 그리하여 2012년에 1차적으로 83균주의 계통분 류 실험을 하였으며, 이번 2013년에는 1차 실험에서 누락된 한국자생균주를 비롯하여 인천대학교 버섯균주은행에서 분양받은 7균주를 더 추가하여 균주 선발에 있어 빠짐이 없도록 하였다. 이번 실 험에서 주목할 점은 A.gallica균을 3년 넘게 수집하여 계속하여 배양을 하던 중 균주에서 특이한 사 항이 발견된 데에 있다. 보통 A.gallica균은 검은색의 균사속이 뿌리처럼 굵게 자라는 것이 일반적 인데 반해, TC-4, TC-11, TC-12에서 오염된 것이 아닌 흰 색의 균사가 발생했다는 점이었다. 계대 를 반복하여 실험한 결과 오염된 부분이 아니라는 것이 밝혀졌고, 각 균주에서 검은 부분과 흰 부 분을 분리하여 실험을 하였다. (이하 검은 부분(B), 흰 부분(W) 표시) 그 결과 홍릉천마균(10042)은 천마균 1호와 큰 차이점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현재까지 진행된 실험에서는 TC-4(W), TC-12(W)만 진행되어 ITS 결과를 보면 TC-4과 TC-12번의 결과가 다른 균주와 다른 종으로 판명된 듯 보이지만 RAPD 실험에서 보면 다시 동일한 균주인 것으로 보인다. 따르서 이번 결과를 통해 역시 처음에 예상한대로 검은 부분과 흰 부분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예 상되어지면, 이에 대한 분석은 추후에 더 진행할 계획이다. 결과를 토대로 결론을 예상해보면 홍릉 천마균은 Armillaria속의 다른 종일 것이고, 나머지 수집균주들은 A.gallica일 것이다. 또한 흰색으로 관찰되는 TC-4, TC-11,TD-12는 A.gallica에 속하지만 정확히 A.gallica로 분류되지는 않는 2차적인 균일 것이라는 예측을 해본다.
문지원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원 2022 탐라문화 Vol.- No.71
As the demand for Gongnyeo(women as tributes) began in earnest during the interference period, the female position within the ruling class faced a threat of lowering. However, it is difficult to say that the status of women who went to Gongnyeo or Goryeo women during the original interference period has been weakened collectively. This is because there are cases where women who have risen to the status of empress have risen to a position where they can exert great influence. In some cases, daughters were sacrificed for the benefit of themselves and their families, but there are various aspects to avoid the Goryeo Dynasty's transfer of Gongnyeo. Examples include avoiding, obtaining a preface, or discussing polygamy. Among the Gongnyeo who went to the Yuan, the figures related to Dokrohwa were Empress Dalmasili and Empress Baekanholdok. These were the daughters of a prestigious family in Goryeo, the Empress of Woninjong. On the other hand, Empress Ki's family was not the representative Goryeo royal family, nor was it a politically or socially influential family. Empress Ki's family and relatives believed in Empress Ki's power and showed arrogance and tyranny. In order to maintain the power of herself, a former Gongnyeo, and the crown prince, she directly manages and uses the Gongnyeo to establish his political position. Eventually, the three empresses who went from Goryeo to Yuan were transferred to the highest rank as Gongnyeo, but their attempts to use them politically resulted in different results. In addition, the rise in their status resulted in more recruitment of Gongnyeos, and changes in the marriage system to avoid this became the starting point for changes in women's status and social changes in the late Goryeo Dynasty. 원 간섭기에 공녀 요구가 본격화되면서 지배층 내에서 여성 지위는 하향되는 위협을 맞이하였다. 하지만 공녀로 간 여성이나 원 간섭기 고려 여성의지위가 일괄적으로 약화되었다고 보기 힘들다. 황후의 지위에 오른 여성들처럼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지위에 오른 사례도 있기 때문이다. 자신과 가문의 이익을 위해 딸을 바치는 경우도 있었지만 고려 조정의 공녀 차출을 피하기 위한 양상은 다양하게 나타난다. 회피하거나, 豫壻를 얻거나 일부다처제에 대한 논의가 일어났던 것이 그 예이다. 원에 간 공녀 중 禿魯花와 관련 된 인물은 달마실리황후와 백안홀독황후이다. 이들은 원 인종의 황후로 고려 내에서도 명망있는 가문의 딸들이었다. 이에 반해 기황후의 가문은 고려 대표 가문인 고려 왕실도 아니었고 정치적, 사회적으로 유력한 가문도 아니었다. 기황후는 그의 가족과 친척들이 기황후 의 세력을 믿고 교만하고 횡포한 모습을 보였다. 공녀 출신인 자신과 황태자의 권력 유지를 위하여 자신의 정치적 입지를 세우기 위하여 공녀들을 직접관리하고 이용하는 모습을 보인다. 결국 고려에서 원으로 간 세 명의 황후는공녀로 차출되어 최고의 지위까지 올랐으나, 그녀들을 정치적으로 활용하려했던 시도는 각각 다른 결과를 낳았다. 또한 그녀들의 지위 상승은 더 많은공녀 차출을 낳았고, 이를 회피하기 위한 결혼제도의 변화는 고려 말기 여성지위 변화와 사회 변동의 시발점이 되었다.
플립드러닝을 적용한 영어 수업이 학업성취도와 영어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문지원,이정민,조보람,박현경 교육종합연구원 2016 교육종합연구 Vol.14 No.2
본 연구는 최근에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플립드러닝’기반 영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행하여, 플립드러닝을 적용한 영어수업이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와 영어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E중학교 2학년 80명을 대상으로 8주 동안 실시하였고, 이동엽(2013)의 플립드러닝 교수·학습 설계모형을 바탕으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플립드러닝 수업을 받은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점수에서 듣기와 말하기 영역에 해당하는 의사소통 능력이 향상되었다. 둘째, 플립드러닝 수업을 받은 집단의 영어효능감 중 말하기 영역에 대한 하위요인이 향상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플립드러닝 수업은 학생들의 인지적 측면과 정의적 측면에서 긍정적인 학습결과를 이끌어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플립드러닝 수업은 지식을 일방향으로 전달하는 강의식수업보다 교사-학생 간 상호작용에 학습시간을 더 많이 투자할수 있게 하였고, 학생들이 다양한 탐구활동이나 과제 해결의 시간을 가질 수 있어 학습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영어교과에서 새로운 교수 학습 전략으로서 플립드러닝 수업의 효과성을 검증하였으며 이를 통해 효과적인 영어교육을 이끄는 전략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