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Exergetic analysis for optimization of a rotating equilateral triangular cooling channel with staggered square ribs

        문미애,김광용 한국유체기계학회 2016 International journal of fluid machinery and syste Vol.9 No.3

        Exergetic analysis was introduced in optimization of a rotating equilateral triangular internal cooling channel with staggered square ribs to maximize the net exergy gain. The objective function was defined as the net exergy gain considering the exergy gain by heat transfer and exergy losses by friction and heat transfer process. The flow field and heat transfer in the channel were analysed using three-dimensional Reynolds-averaged Navier-Stokes equations under the uniform temperature condition. Shear stress transport turbulence model has been selected as a turbulence closure through the turbulence model test. Computational results for the area-averaged Nusselt number were validated compared to the experimental data. Three design variables, i.e., the angle of rib, the rib pitch-to-hydraulic diameter ratio and the rib width-to-hydraulic diameter ratio, were selected for the optimization. The optimization was performed at Reynolds number, 20,000. Twenty-two design points were selected by Latin hypercube sampling, and the values of the objective function were evaluated by the RANS analysis at these points. Through optimization, the objective function value was improved by 22.6% compared to that of the reference geometry. Effects of the Reynolds number, rotation number, and buoyancy parameter on the heat transfer performance of the optimum design were also discussed.

      • KCI등재

        홍경모(洪敬謨)의 조귀명(趙龜命) 산문 수용 양상

        문미애 국어문학회 2023 국어문학 Vol.84 No.-

        이 논문은 홍경모(洪敬謨)가 조귀명(趙龜命)의 산문을 수용하는 양상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에 홍경모의 산문 두 편을 대상으로 조귀명의 글을 수용하는 방식을 분석하였다. 「제오헌김우옥여계온와유첩(題寤軒金友玉如啓溫臥遊帖)」에서는 주로 문장 단위의 인용이 이루어졌는데, 조귀명의 철학적 사유나 그것을 기반으로 한 의론을 홍경모가 실제 상황이나 풍경을 읊는 데에 적용하였다. 「제이씨문(祭李氏文)」은 비슷한 지위와 이력의 인물을 대상으로 하는 동일 갈래의 글을 수용하여 구성과 언어, 주제까지도 모방하였다. 이로써 홍경모가 평소 조귀명의 글을 익숙히 보았으며 또 조귀명의 철학적 사유까지도 전폭적으로 수용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홍경모에게 있어 조귀명은 문명이 있는 동당 선인이면서 학문에서도 자신보다 앞서 일가를 이룬 인물이다. 따라서 홍경모가 조귀명의 산문을 적극적으로 수용한 것은 19세기 문학 흐름을 따름과 동시에 개인적 경도와 숭앙이 바탕에 자리했던 것이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동계(東谿) 조귀명(趙龜命)의 전(傳) 서술방식 연구 : 인물 형상화 방식을 중심으로

        문미애(Moon, Miae) 순천향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2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Vol.41 No.1

        본고는 조귀명의 인물전 7편을 대상으로 인물 형상화 방식을 살펴보았다. 도문분리를 주장하고 인간의 개성 존중을 추구한 조귀명의 문학관이 전(傳) 문학에서 어떻게 구현되었는지 확인하고자 해서다. 조귀명이 입전한 인물들은 모두 충(忠), 의(義), 열(烈)을 실천한 인물들이었다. 하지만 조귀명이 진정으로 인정한 그들의 가치는 부조리한 세계와 타협하지 않고 적극적이고 주체적으로 삶을 이끌어가는 태도에 있었다. 이에 조귀명은 첫째, 전고 인물들을 인용하여 확실한 이미지를 만들었다. 둘째, 생생하게 묘사하여 비범한 인물상을 완성하였다. 셋째, 상반되는 대상과 대비시켜 입전 인물의 주체성을 부각시켰다. 그리하여 단순한 충, 의, 열의 표상이 아닌 적극적인 삶의 주체로서의 인물상을 완성하였다. This paper examined the character shaping method for seven biographies of Cho Gui-myeong. This is to confirm how Cho Gui-myeong s literary perspective which insisted on Do-Mun-Bun-Ri and pursued respect for human personality, was implemented in biographic literature. All of the characters Cho Gui-myeong joined were those who practiced Choong, Ui, and Yol. However, their value, truly recognized by Cho Gui-myeong, was in an attitude that led their lives actively and independently without compromising with the unfair world. Accordingly, Cho Gui-myeong first created the image of the characters by utilizing the former persons. Second, he completed extraordinary figures by describing very likely scenes. Third, he emphasized the subjectivity of characters by the contrasting composition. Thus the figure as an active subject of life was completed, not just a representation of Choong, Ui, and Yol.

      • KCI등재

        조귀명(趙龜命)의 「매분구옥랑전(賣粉嫗玉娘傳)」읽기 : ‘전기(傳奇)’적 인물형과 열린 구조로서

        문미애(Moon, Miae)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7

        「매분구옥랑전」은 열녀를 다룬 열녀전이지만 그 내용이 다른 열녀전과는 차이가 있는데, 이는 작가가 열을 형상하는 과정에서 새로운 요소를 가미하였기 때문이다. 조귀명은 서두에서 개인적 의리를 위해 삶을 포기한 백아와섭정, 공적 의리를 위해 수십 년의 고통을 견뎠지만 본능적인 욕망에 무너진 소무와 호전, 그리고 오로지 욕정 때문에 목숨을 버리는 여성을 제시한다. 그리하여 독자들에게 ‘공적 의리와 사적 의리, 이념과 명분을 따른 남성의의리와 개인적 정에 휘둘린다는 여성의 의리는 구분할 수 있는가? 구분할 수 있다면 중요함의 차이도 잴 수 있는가?’ 등의 의문을 갖게 한다. 행적부에는 매분구와 옥랑의 일화를 제시한다. 매분구는 성급한 남성을 조절하면서 사랑을 만들어 가지만 부모의 반대에 막혀 이루지 못하고, 남성이 상사병으로 죽자 자신도 결혼하지 않고 분을 팔며 산다. 옥랑은 첫눈에 반한 남성과 열렬히 사랑하지만, 남성의 갑작스러운 죽음으로 사랑을 완성하지 못한다. 하지만 남성이 죽은 후에도남성의 친척에게 부도(婦道)를 다한다. 논평에서 조귀명은 매분구와 옥랑의 사랑 과정과 결과를 의리로 귀결시키고 계찰의 의리, 나아가 김시습(金時 習), 김인후(金麟厚)의 의로움과 대입시켜서 끝까지 사랑을 지켜간 여성들의 의리를 남성들의 의리와 동질적으로평가해 준다. 이를 서두와 연결하면, 공적 의리와 사적 의리는 구분하기 어렵고 남성의 의리와 여성의 의리도 애초에 구분하기 어려우며 오히려 여성들의 의리가 더욱 순수하고 고매한 것이 된다. 이는 작가가 중세의 당위적 이념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는 것으로 읽을 수 있는데 이러한 해석이 가능한 것은 「매분구옥랑전」의 양식적 특성 때문이다. 「매분구옥랑전」은 애정전기 서사를 수용하여 인물을 형상화한다. 애정 전기는 남녀의 사랑, 개인과 세계의 갈등, 비극적 결말 등의 서사 관습을 통해 사회에 대한 문제의식을 드러낸다. 그런데 서사 전체를 통해 가장 강조되는 것은 사랑하는 남녀의 정신적 연대, 죽음을 초월하는 사랑(의리)이다. 의리는 그들이 삶을 견뎌내는 원동력이며세계의 횡포에 맞서게 하는 주체성도 궁극적으로 이 의리를 통해 확보한다. 때문에 지극히 개인적이고 본능적이지만 궁극적으로 그것이 가지게 되는 힘의 가치를 인정하는 것이다. 「매분구옥랑전」은 열녀를 형상하는 과정에 애정 전기적 인물을 수용함으로써 사랑을 위해 죽음조차 초월하는여성들의 의리를 형상화한다. 이것은 서두에서 제기된 의문과 연결되어 의리의 주체를 구분 짓고 등급화 하는 세상의 인식에 문제를 제기하며 이 작품을 유가 이념적 주제 밖에서 해석할 수 있게 한다. 「매분구옥랑전」이 기존의 전기 서사와 다른 결정적인 차이는 죽고 살아남는 인물이 바뀌는 점이다. 대부분의전기에서는 여성이 죽은 뒤 살아남은 남성이 여성을 따라 죽거나, 실종 또는 은거로 귀결된다. 이 작품은 남성이죽음으로써 살아남은 여성의 삶이 수절의 형태로 나타나게 되고, 그것은 이 작품을 유가 이념적 주제 안에서도 해석하게 만든다. 이러한 점에서 「매분구옥랑전」은 다양한 해석을 가능하게 하는 열린 구조라고 할 수 있다. The content of “Maebun-gu and Okrangjeon” is different from other Yeolnyeojeon because the author added a new element in the process of forming Yeol. Cho Gui-myeong presents Baega and Seopjeong, and Somu and Hojeon as examples and against these men he presents women who give up her life solely because of lust. However because he does not reveal what he tries to say, readers have questions about distinguishing between public and private loyalty, and between male and female loyalty and so on. Maebun-gu and Okrang s stories is presented in the main text. Maebun-gu makes love with a man, but fails due to her parents opposition. When the man dies of lovesickness, he wanders around selling making-up powder without getting married. Oklang passionately falls in love with a man, but does not complete their love because of his sudden death. And even after his death she is polite to his relatives. In the commentary Cho Gui-myeong defines the love of Maebun-gu and Okrang as loyalty, and evaluates as homologous to men’s loyalty by comparing them with the loyalty of Kim Siseop and Kim In-hoo. This is to say that it is difficult to distinguish between public and private loyalty, and male and female loyalty, but rather women s loyalty is more noble. And this raises the issue against medieval legitimate ideology. “Maebun-gu and Okrangjeon” embraces the narrative of the biography of affection and embodies the characters. The biography of affection reveals a sense of problem through narratives such as love between men and women, conflicts between individuals and the world, and tragic endings. But the most important thing in the narrative is love that transcends the death of lovers. The biography of affection is extremely personal and visceral, but ultimately acknowledging the value of the power it has. “Maebun-gu and Okrangjeon” embodies the loyalty of women who transcend death for love by accommodating affectionate electrical figures in the process of forming Yeolnyeo. This poses a problem with the perception of the world that differentiates and ranks the subjects of loyalty and allows the work to be interpreted as a different topic beyond Yeolnyeojeon. The outstanding difference between “Maebun-gu and Okrangjeon“” and the existing biography is that the man died and the woman survived. The life of a woman who survived the death of a man appears in the form of maintaining integrity, which makes this work interpretable within a confucian ideology. “Maebun-gu and Okrangjeon” has open structure that can be interpreted in various ways.

      • KCI등재

        대학 글쓰기 교재 개편 방안 -전북대학교 글쓰기 교재를 중심으로-

        문미애(Moon, Miae) 순천향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9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Vol.38 No.2

        본 연구는 현재 사용 중인 교재를 살펴 문제점을 찾고, 새로 개편될 교재의 방향성을 모색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전북대학교 글쓰기 교재는 ‘의사소통 중심’, ‘학습자 중심’의 개발 원리에 따라 개발되었다. 따라서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킬수 있는 실제적 활동을 담고 있어야 하며, 학생들이 주체적 쓰기 활동을 수행할수 있는 최적의 조건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준거를 설정하고 교재를 분석한 결과, 쓰기 과정 중심, 이론 중심으로 구성되었고, 전공이나 직업과 관련된 내용을 본격적으로 다루고 있음이 파악되었다. 글쓰기는 교양 교육의 핵심 교과로서, 학습자가 인류 문화의 계승자이면서 변화하는 사회의 주체자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그 초석이 되어야 한다. 따라서 대학 글쓰기 교육 과정은 쓰기전략뿐 아니라 쓰기 주체의 자기 성찰, 사회를 향한 비판적 관점 강화 과정을 모두 포함하여야 한다. 이에 새로 개편될 교재에는, 비판적 사고력 신장을 위한 읽기 과정을 추가하여 읽기-쓰기를 연계한 통합 글쓰 기로 발전시키고, 연습 문제 보강을 통하여 실제적 활동을 강화하며, 자아 성찰적 글쓰기를 추가할 것을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problems of the writing textbook currently in use and to search for the direction of reorganization of the textbook. The writing textbook was developed according to the principles of communication centered and learner centered . Therefore, this textbook should not only contain practical activities to improve communication skills of students, but also have the optimal conditions for students to perform active writing. I analyzed the textbook based on several criteria and have found the problems. The textbook deals with only writing process without reading process. mainly constitutes of theories. and deals too much with contents about jobs. Writing as the core of liberal arts education should be the cornerstone for the learner to become the successor of human culture and become the subject of changing society. Therefore, the university writing education curriculum should include not only the writing strategy, but also the process of strengthening self-reflection and critical thinking. I suggested that the new textbook should be reorganized as follows. First, the reading process for critical thinking should be supplemented in order to integrated reading and writing to writing. Second, the exercises should be diversified to strengthen learning activities. Third, self-reflective writing should be supplemented.

      • 핀휜이 부착된 회전하는 냉각유로의 최적설계

        문미애(Mi-Ae Moon),아프잘 후세인(Afzal Husain),김광용(Kwang-Yong Kim) 대한기계학회 2009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09 No.11

        This paper presents numerical optimization of the design of a rotating rectangular channel with staggered arrays of pin-fins with Kriging metamodeling technique. Two non-dimensional variables, the ratio of the height to diameter of the pin-fin and the ratio of the spacing between the pin-fins to diameter of the pin-fins are chosen as design variables. The objective function as a linear combination of heat transfer and friction loss related terms with a weighting factor is selected for the optimization. Objective function values at twenty training points generated by Latin hypercube sampling (LHS) are evaluated by three-dimensional Reynolds-averaged Navier-Stokes (RANS) method with the shear stress transport (SST) turbulence model. The prediction of objective function by Kriging metamodeling at optimum point shows reasonable accuracy in comparison with the values calculated by RANS analysis. With increase in height of the pin-fin, heat transfer is decreased and at the same time pressure drop is also decreased, while opposite behavior is obtained for the pin-fin spacing.

      • KCI등재

        곡관부 열전달 성능 강화를 위한 에어포일형 가이드 베인의 형상 최적설계

        문미애(M.A. Moon),김광용(K.Y. Kim) 한국전산유체공학회 2012 한국전산유체공학회지 Vol.17 No.2

        This paper presents the numerical simulation results of heat transfer and friction loss for a rotating two-pass duct with the airfoil-guide vanes in the turning region. The Kriging model is used as an optimization technique with Reynolds-averaged Navier-Stokes analysis of flow field and heat transfer with shear stress transport turbulent model. To improve the heat transfer performance, angle and location of the airfoil-guide vanes have been selected as design variables. The optimization problem has been defined as a minimization of the objective function, which is defined as a linear combination of heat transfer related term and friction loss related term with a weight factor. The airfoil-guide vanes in the turning region keep the high level of heat transfer while the friction loss has a low value. By compar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irfoil-guide vanes, it is shown that the airfoil-guide vanes exhibited the best heat transfer performance to improve the blade cooling except the first passag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