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직몰입이 안전행동에 미치는 효과: 안전 분위기의 조절효과

        문광수,이재희,오세진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011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Vol.2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정서적 몰입, 규범적 몰입, 지속적 몰입이 안전행동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그리고 조직몰입과 안전행동 간의 관계를 안전 분위기가 조절하는지에 대해서도 알아보았다. 제조업, 건설업, 철강업 등 사고 위험성이 높은 산업 현장의 근로자 215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종속변인인 안전행동은 순응행동과 참여 행동으로 구분하여 측정하였다. 결과 분석은 조절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각 종속변인에 대한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정서적 몰입은 순응행동과 참여행동 모두를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규범적 몰입은 순응행동만을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안전 분위기는 순응행동과 참여행동 모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서적 몰입과 순응행동, 규범적 몰입과 순응행동, 규범적 몰입과 참여행동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산업현장에서는 근로자의 조직몰입과 안전 분위기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safety behavior and to explore moderating effect of safety climate betwee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safety behaviors. 215 workers were asked to respond to the questionnaires that measured various demographic variables, organizational commitment, safety climate and safety behaviors. A hierarchical regression was conducted to identify variables that had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safety behaviors and to examine moderating effect of safety climate betwee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safety behaviors. Results indicated that the emotional commitment significantly predicted both safety compliance and participation behavior and the normative commitment significantly predicted safety compliance behavior. It was found that the safety climate was also a significant predictor for both safety compliance and participation behavior. In addition, safety climate had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 between emotional commitment and safety compliance behavior and normative commitment and safety compliance and participation behavior.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 KCI등재

        임금만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조직 신뢰의 매개효과

        문광수,조항수,이계훈,오세진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014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Vol.27 No.3

        본 연구는 임금만족의 하위 요인들이 조직 몰입의 하위 요인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살펴보고, 이 관계에서 조직신뢰(경영진, 구성원 신뢰) 변인이 매개효과를 보이는지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다양한 직종의 근로자 410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고, 가설 검증을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임금수준 만족은 연속적 몰입에만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임금정책/관리 만족은 정서적 몰입에 정적인 영향, 연속적 몰입에는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복리후생 만족은 정서적, 연속적, 규범적 몰입 모두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임금 정책/관리와 복리후생 만족이 경영진과 구성원 신뢰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경영진 신뢰는 연속적 몰입에 부적인 영향을 구성원 신뢰는 정서적, 규범적 몰입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매개효과 검증 결과, 구성원 신뢰는 임금정책/관리와 정서적 몰입, 복리후생과 정서적 몰입, 복리후생과 규범적 몰입 간의 관계를 부분 매개 하였고, 경영진 신뢰는 임금정책/관리와 연속적 몰입, 복리후생과 연속적 몰입 간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였다.

      • KCI등재

        소집단 내에서 성과급 분배 방법의 차이가 직무수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검증

        문광수,오세진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007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Vol.20 No.4

        본 연구는 소집단 상황에서 성과급 분배 방법의 차이가 직무수행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한 검증이 목적이었다. 즉 성과급 분배 방법인 개인 성과급, 동등분배 집단성과급, 차등분배 집단성과급이 독립변인의 세 수준이었다. 4명의 아르바이트생이 실험에 참가했고 한 회기의 지속시간은 4시간이었으며 총 21회기를 실시하였다. 실험 설계는 교차처치설계(alternating treatment design)였으며, 세 종류의 성과급이 각 실험 회기별로 무작위 순서로 처치되었고, 각 종류의 성과급은 7회기씩 할당되었다. 참가자들은 총 3단계로 구성된 컴퓨터화된 모의작업과제를 수행하였다. 종속변인은 올바르게 수행한 과제의 수 및 비 직무행동에 개입한 시간의 양이었다. 결과에 의하면 개인 성과급과 동등분배 집단성과급 간의 수행 차이는 유의미하지 않았지만, 개인성과급과 차등분배 집단성과급 그리고 동등분배 집단성과급과 차등분배 집단성과급 간의 수행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또한 차등분배 집단성과급 조건에서의 비 직무행동에 개입한 시간의 양이 가장 낮았으며, 동등분배 집단성과급 조건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과급 종류에 대한 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한 실험 후 설문과 인터뷰 결과 그리고 후속연구에 대해 기술하였다.

      • KCI등재

        개인주의-집합주의 성향과 성과급 형태가 임금만족에 미치는 효과

        문광수,이재희,오세진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014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ol.20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individual tendency of individualism- collectivism and the type of incentive system on pay satisfaction. Data were collected from 243 workers employed in a variety of organizations and a hierarchical regression and MANOVA was conducted to test hypothesis. The results of regression indicated that the interaction between the type of incentive and tendency of collectivism has positive influence on pay satisfaction. In addition, the results of MANOVA indicated that the interaction between individual tendency of individualism- collectivism and the type of incentive system has significant effect on pay satisfaction Specifically, the tendency of individualism has positive influence on the pay satisfaction under the individual incentive condition. However, the tendency of collectivism has negative influence on the pay satisfaction partially under the individual incentive condition. In addition, the tendency of collectivism has positive influence on the pay satisfaction under the group incentive condi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careful consideration in the organization need to decide for the use of individual incentive system, when we regard the Korean culture as high tendency of collectivism. In other words, individual incentive system may could not provide pay satisfaction to the employees who have high level collectivism. However, to generalize these results, more studies were examined in the future. 국내 많은 기업들의 성과급 제도 도입 비율이 증가하였다. 성과급 제도의 효율적인 적용을 위하여, 본 연구는 조직 구성원의 개인주의-집합주의 성향과, 성과급 형태가 임금만족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검증하였다. 국내의 다양한 직종에 종사하는 243명의 직원들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회귀분석 결과, 성과급 형태(개인 vs. 집단 성과급)와 집합주의 성향의 상호작용이 임금만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적으로 성과급 형태와 개인의 문화 성향이 임금만족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다변량 분석 결과 두 변인의 상호작용 역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집단 성과급에서는 개인 문화 성향에 따라 점수 차이가 크지 않았지만, 개인성과급에서는 집합주의 성향자 보다 개인주의 성향자의 임금만족 수준이 더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사회가 일반적으로 집합주의적 경향의 문화인 것을 고려했을 때, 개인 성과급 제도의 사용과 그 효과성을 고려하는 데 있어서 신중한 판단이 요구된다는 것을 시사해주고 있다.

      • KCI등재

        안전 리더십이 안전 행동, 안전 분위기, 사고에 미치는 효과: 메타 분석

        문광수 한국안전학회 2018 한국안전학회지 Vol.33 No.6

        This study examined the influence of safety leadership on safety behavior, safety climate and accident using meta analysis. Specifically, safety leadership model which incorporated both transformational and active transactional leadership styles was tested using meta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both transformational and active transactional leadership ha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safety compliance and participation behavior, and organizational safety climate. However, both leadership styles had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accident. In additio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had significant greater effects on safety behaviors and accident than transactional leadership. In contrast, although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transactional leadership has a greater effect on the safety climat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active transactional leadership is important in establishing perceived safety climate of employees, wherea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s more related with improving employees’ safety behaviors. Therefore, in line with the previous studies of safety leadership, a combination of both transformational and transactional styles will be most beneficial for developing organizational safety management program. Based on these results, practical implications and further research in terms of development for safety leadership program are discussed.

      • KCI등재

        행동주의 기반 안전관리(BBS) 프로그램이 안전분위기와 안전행동에 미치는 효과: 현장 연구

        문광수,이계훈,이재희,오세진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012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Vol.2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행동주의 기반 안전관리(behavior based safety: BBS) 프로그램이 근로자들의 안전행동 향상과 조직 내 안전 분위기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를 현장 연구를 통해 검증하는 것이었다.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해 사고 위험성이 높은 건설업체 1곳(S 건설)과 제조업체 1곳(S 철강)에 BBS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BBS 프로그램의 주요 처치는 근로자들의 안전행동에 대한 정기적인 피드백, 목표 설정, 목표 성취에 대한 보상 제공이었다. 본 연구의 주요 종속변인은 근로자들의 관찰된 안전행동 비율이었고, 추가적으로 근로자들이 지각한 안전행동과 안전 분위기를 측정하였다. 관찰된 안전행동은 BBS 프로그램의 주요 처지 적용 이전인 기저선(A) 기간과 처치(B) 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측정되었고(AB design) 지각된 안전행동과 안전 분위기 변인에 대해서는 단일집단 사전-사후 설계가 적용되었다. 연구결과 두 현장 모두 BBS 프로그램 적용 전보다 근로자들의 관찰된 안전행동, 지각된 안전행동, 안전 분위기 평균 점수가 유의미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BBS 프로그램이 근로자들의 안전행동 뿐만 아니라 조직 내 안전 분위기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임금협상 기회와 형태가임금만족과 경영진 신뢰에 미치는 영향: 탐색적 연구

        문광수,엄지은,오세진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015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Vol.28 No.3

        다양한 분야에서 협상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 왔다. 하지만 그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임금 협상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였다. 그리고 임금 협상에 대한 참여 기회가 근로자의 수행에 대한 노력이나 임금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직접적으로 다룬 연구는 없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임금협상 기회 여부와 임금 협상 형태가 근로자의 임금만족과 회사 경영진에 대한 신뢰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탐색적으로 검증하는 것이었다. 국내의 다양한 직종에 종사하고 있는 근로자 315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고, 가설 검증을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과 다변량 공분산 분석을 실시하였다. 회귀 분석 결과, 임금협상 기회 제공이 임금수준, 임금정책 및 관리, 복리후생 만족과 경영진 신뢰 수준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개인협상보다 단체협상이 임금수준, 임금정책 및 관리, 복리후생 만족과 경영진 신뢰 수준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임금협상 여부와 형태를 통합하여 공분산 분석을 실시한 결과, 두 가지 협상 조건에서의 임금만족과 경영진 신뢰 평균 점수가 협상 기회가 없는 조건보다 유의미하게 높았지만, 임금정책 및 관리 만족 그리고 경영진 신뢰에 있어서는 두 협상 형태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대한 설명, 제한점, 후속연구에 대한 제안이 논의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