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동생성적 대화와 현장연구를 통한 초임교사와 다양한 학습자의 과학 교수학습 증진

        박창미 ( Changmi Park ),마틴산야 ( Sonya N. Martin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8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8 No.2

        Conducted within the methodological framework of action research, this study examines the ways in which a beginning science teacher in a Korean elementary classroom engaged in collaborative research with her own students to resolve problems preventing effective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Specifically, this study uses cogenerative dialogue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to develop new teachers’ knowledge of how to manage the classroom to be able to more effectively implement inquiry instructional strategies and knowledge of students as learners. Findings from this research suggest that by involving students in cogenerative dialogues, beginning teachers are provided with valuable insights into how elementary students think about school, science, and teaching and learning, which can help expand a beginning teacher’s capacity to be an effective science teacher of science for all learners, especially diverse learner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eacher education programs could better support beginning teachers by placing greater emphasis on how to conduct action research, including how to implement cogenerative dialogues to catalyze positive changes in their own classrooms. We conclude by discussing the important implications this research has for supporting new teachers struggle to effectively teach science and who would benefit from using strategies to foster improved relationships with their students and improved understanding about the challenges faced by diverse learners in their classroom.

      • KCI등재

        혁신 중학교 과학 수업 사례를 통해 본 구조가 학생과 교사의 행위성에 미치는 영향: 정책과 실천에 대한 시사점

        박지선 ( Jisun Park ),산야마틴 ( Sonya N. Martin ),주혜은 ( Hye Eun Chu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5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5 No.4

        Conducted as an ethnographic examination of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in an Innovative Middle School in Korea, this study employs sociocultural theory to examine how structures afford and limit student participation in an innovative school designed to promote student-centered learning. Data includes teacher and student interviews, student responses to a questionnaire, classroom observations, and analysis of video recordings of ten lessons in two in two 8th grade science classes. Using structure agency dialectic theory, we identify and describe some structures that afford and limit teacher and student agency at the micro (science classrooms), meso (school), and macro (Korean society) levels to raise some questions about current reform measures, such as innovation schools, that seek to position classroom teachers as agents for change in science education reform in Korea. Findings suggest that while teachers and school administrators play an essential role in structuring learning opportunities at the meso and micro levels, they have limited agency to address structural constraints originating at the macro-level, which can negatively impact teaching and learning in the science classroom. We offer implications for policy and practice and argue the need for more qualitative research, informed by sociocultural theory, to inform science education reform efforts in Korea.

      • KCI등재

        COVID-19 상황에서 초등교사들의 수업 운영 경험과 위드코로나 수업 방향에 대한 초등교사들의 인식

        이주연(Juyeon Lee),마틴산야(Sonya N. Martin ) 한국교원교육학회 2022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수업 전문성 기준틀을 중심으로 COVID-19 상황에서 초등학교 교사들의 비대면 온라인 수업 및 블렌디드 러닝 수업 경험을 탐색하고, 위드코로나 시대를 위한 수업 방향성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는 것이다. 연구 참여자는 2020, 2021학년도초등학교에서 수업 경험이 있는 교사 26명이다. COVID-19 상황에서의 수업 운영 경험에 대한 개방형 설문을 실시하였고, 26명 중 6명을 대상으로 설문 문항에 대한 구체적 질문과 향후 초등학교 수업의 방향성에 대한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COVID-19 상황에서 교사들은 모두 초임교사로 돌아간 느낌으로 시대가 요구하는 새로운 전문적 지식에 대응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또한 너무나 친숙했던 교실 환경과 수업 방식들이 낯설게만 느껴지게 되었고 교사들은 비대면 온라인 수업 및 블렌디드 러닝 수업 전문성에 대하여 더욱더 큰 책임감을 떠안게 되어, 교사들은 내부적·대외적으로 노력하며 발전하고 있었다. 전반적으로, 본 연구의 초등학교 교사들은 학교의 교육 여건을 정상화하기 위한 ‘위드코로나’ 교육 정책의 방향으로 오프라인 수업과 온라인 수업이 함께 공생하는 수업을 구상함으로써 새로운 기회의 가능성을 인식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포스트코로나 시대에 교사와 학생이 블렌디드 학습 환경에 참여할 수 있도록 효과적으로 지원하는 방법을 계속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non-face-to-face online classes and blended learning classe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the COVID-19 situation, focusing on the standard frame of class expertise, and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on the direction of teaching for the “With Corona” era.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26 teachers who had teaching experience in elementary schools in 2020 and 2021. An open-ended questionnaire was conducted on the experience of class operation in the context of COVID-19, and 6 out of 26 teachers were interviewed for specific questions about the questionnaire and identifying what direction these elementary school teachers believed future elementary classes should maintain from the present conditions. As a result of the study, in the COVID-19 situation, all teachers felt like they were returning to the beginning teachers, and they tried to respond to the new professional knowledge required by the times. In addition, the classroom environment and teaching methods that were so familiar came to feel unfamiliar, and teachers took on more and more responsibility for the professionalism of non-face-to-face online classes and blended learning classes. Overall,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this study held common perceptions about the direction of the “With Corona” educational policy which sought to normalize education conditions in schools, but teachers also recognized the potential of the new opportunities afforded for teaching and learning by envisioning a class in which offline and online classes could coexist. These findings have implications for the need to continue to consider how to effectively support teachers and students to engage in blended learning environments in the post-COVID-19 era.

      • KCI등재

        형평성 관련 비형식 과학 학습 및 교육 연구 경향 탐색 : 네트워크 분석법의 다학제적 적용

        기경미(GyeongMi Gi),마틴 산야(Sonya Martin),하경균(Gyeong-Gyun Ha),박은지(Eun Ji Park)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9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7 No.5

        이 논문은 석사학위 논문을 일부 논고를 수정, 보완하고 요약한 논문임을 밝혀 둔다. 학습에 관한 패러다임의 변화와 함께 학교 밖 학습을 일컫는 비형식 학습이라는 용어가 등장하였고, 관련 분야에 대한 관심도 비약적으로 증가하였다. 본 연구는 학교 교육 환경에 비해 제약이 없는 비형식 학습 환경이야말로 "모두를 위한 과학"이 가장 잘 구현될 수 있는 곳이며, 다양한 학습자의 학습을 포용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는 점에서 시작되었다. 그러나 여러 선행 연구들에 따르면, 실제 비형식 학습 환경에서의 참여 양상은 다소 편향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기술이 쇄도하는 오늘날 과학에 접근할 수 없는 것은 새로운 사회적 소외라 할 수 있으므로, 비형식 과학 학습 및 교육에 대한 형평성 문제는 반드시 이해되어야 하는 동시에 설명해야 할 핵심 과제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외 형평성 관련 비형식 과학학습·교육의 연구 동향과 그 특징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다학제간 연구에 활용되는 네트워크 분석기법을 도입하여, 현재까지의 비형식 과학 학습 및 교육 연구물들을 지식 네트워크의 형태로 이해하고, 그안에 형평성 문제에 대한 지식 구조를 보다 다양한 양상으로 규명하고자 시도하였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심 주제 ‘프로그램’, ‘관람객’, ‘경험’, ‘전시’, ‘개발’, ‘교사’는 기간에 따른 변화 경향을 보였다. 2000년대 초에는 ‘관람객’, ‘전시’ 연구가 가장 활성화된 반면, 2006년 이후로는 ‘프로그램’이 새로 등장하였다. 또한 이 중심 주제들은 상호 연관성의 긴밀함에 따라 6개의 하위 주제 집단으로 나뉘었다. 둘째, ‘형평성’ 주제는 ‘교사’, ‘프로그램’, ‘커뮤니티’ 주제와 가장 연관성이 높았으며, 관련 연구는 주로 형평성 있는 비형식 과학학습을 제공함에 있어 교사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보았다. 때문에 교사의 역량을 중점적으로 조명하는 한편, 교육프로그램이나 커뮤니티를 통해서 형평성 있는 비형식 과학교육의 기회를 다양한 학습자에게 제공하고자 하였다. 반면, ‘관람객·전시’, ‘경험·접근성’ 2개 하위 주제어 집단과는 직접 연관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후자의 집단에 속한 에듀케이터 주제 또한 같은 결과를 보였다. 셋째, 비형식 과학교육 연구에서 ‘다양성’ 주제는 전 네트워크에 걸쳐 다방면으로 연구가 이뤄지고 있었다. 특히 비형식 과학 학습 및 교육에서의 형평성은 다양한 학습자의 사회적, 문화적 배경을 이해함으로서 출발하므로 대상의 다양한 특성을 이해해야 함을 조명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형평성 관련 비형식 과학 학습 및 교육의 실행과 연구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첫째, 다양한 학습자의 특성을 반영한 비형식 과학 학습 또는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둘째, 형평성 있는 비형식 과학 학습 및 교육에 대한 에듀케이터의 역할과 역량이 증진되어야 한다. 셋째, 국내 비형식 과학 학습 및 교육계는 형평성 문제를 보다 활발히 거론하는 것은 물론, 구체적으로 다룰 필요가 있다. Some content reported in this paper has been adapted from parts of a master degree thesis. With the paradigm shift in learning, the term informal learning, which refers to learning that takes place outside of school, has emerged, and interest in related fields has increased dramatically. The informal learning environment has fewer limitations than the school education environment and is the best place to implement “science for all” and embrace the possibilities of the learning of various learners. However, according to previous studies, the pattern of participation in the informal learning environment is somewhat biased. Currently, some people lack access to newly emerging science and technology which can result in decreased opportunities to learn about and participate in these rapidly changing fields. Therefore, the issue of equity in informal science learning and education are key areas that must be examined and understoo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overseas research trends and characteristics in informal science learning and education related to equity. We attempted to understand the informal science learning and education research in the form of a knowledge network and to identify various aspects of the knowledge structure from the perspective of equity. To do so, we used a network analysis which is used for multidisciplinary research. The findings from our data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main themes ‘program’, ‘visitor’, ‘experience’, ‘exhibition’, ‘development’, and ‘teacher’ have tended to change over time. In the early 2000s, ‘visitor’ and ‘exhibition’ studies were the most prominent, however, since 2006, ‘programs’ addressing equity issues began to appear. We divided these main themes into six sub-theme groups that are most closely related to each other. Second, the topic of ‘equity’ was most relevant to the topics of ‘teacher’, ‘program’, and ‘community’, Related research showed that teachers play an important role in providing equitable learning experiences in informal science education. Therefore, while focusing on the competence of teachers, the study aimed to determine what opportunities have been provided to diverse learners via equitable informal science education as specially developed educational programs or specially designed learning communities. There were, however, no direct associations with the two sub-keyword groups, ‘visitor, exhibition’ and ‘experience, accessibility’. In informal science education research, the topic of ‘diversity’ has been studied in many ways throughout the network. A related study has highlighted that equity in informal science education starts with understanding the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s of various learner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various characteristics of those who have diverse backgrounds. Based on these findings, we suggests the continued research on the implementation of equity-related informal science learning and education. Our findings suggest it is necessary to develop informal science learning and educational programs tha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diverse learners. In addition, the role and competencies of educators in equitable informal science learning and education should be enhanced through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education focused on understanding diversity and how to teach using equity-based pedagogical strategies. Finally, domestic informal science learning and education communities need to address the issue of equity in Korea more actively and deal with issues related to diversity in more detailed and consistent ways.

      • KCI등재

        Examining the Impact of an Experiential Learning Special Education Course on Pre-Service Science Teachers’ Perceptions About Inclusive Science Education

        KangDaYeon ( 강다연 ),SonyaN.Martin ( 마틴 산야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7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8 No.4

        This research introduces an approach to science teacher education programs using experiential learning to educate pre-service science teachers about inclusive science education for special education needs (SEN) students. Utilizing experiential learning and reflective practice as frameworks, we designed a 15-week course to challenge pre-service science teachers’ assumptions about SEN learners and their roles as science teachers in inclusive science classrooms. In this paper, we describe features of the course and discuss the need to provide content-specific instruction for teachers about how to effectively meet the needs of SEN students in inclusive classroom settings. We offer important implications about the value of experiential learning for pre-service teachers and we highlight potential areas for transformation in special education, science teacher education,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s for pre- and in-service teachers in Korea. 본 연구에서는 경험학습 이론을 접목하여 예비 과학교사들이 장애학생을 위한 통합교육환경의 과학교육에 대해 학습할 수 있도록 고안 된 과학 교사 교육 프로그램을 소개하였다. 연구자들은 성찰을 통한 실천에 중점을 둔 경험학습 이론을 기반으로 15주차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예비 과학교사들이 프로그램에 참여하면서 장애학생들에 대한 인식 및 통합교육 환경의 과학교육에 있어 과학교사의 역할을 성찰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강좌에서 수행된 활동들의 내용과 의도를 자세히 기술하고, 각각이 예비 과학교사들의 통합교육 환경의 과학교육에 대한 인식에 어떠한 작용을 하였는지 규명하였다. 또한 수행된 경험학습 강좌 전반에 대해 평가함으로써, 교과 교수법 중심의 교사교육이 통합교육 환경의 과학교육의 달성에 필요함을 논의하였다. 이를 통해, 예비 교사교육에 있어 경험학습의 중요성을 역설하고 한국의 특수교육 및 과학교사교육, 교사들의 전문성 향상에 있어서 변화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다문화학생들을 위한 과학디지털교과서 구성 원리의 제안 및 교과서 사례 탐색

        강다연(Kang Da Yeon),장진아(Chang Jina),마틴 산야(Martin Sonya 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2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학생들의 과학학습 기회의 증대를 위하여 디지털교과서의 구성 원리를 제안하고, 구성 원리를 포함한 교과서 사례들을 탐색해 보았다. 먼저, 다문화 배경의 언어학습자들의 교과 학습과 언어학습을 함께 증진하기 위한 수업 모델인 SIOP(Sheltered Instruction Observation Protocol)을 바탕으로 다문화학생들을 위한 과학 디지털교과서 구성 원리를 제안하였다. 이 구성 원리를 바탕으로 2015 개정 3-4학년 과학 디지털교과서를 분석한 결과, 디지털교과서는 다양한 표상과 탐구 활동을 제공하는 등 다문화학생들의 과학학습에 긍정적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으로 보였다. 그러나 과학 내용을 문화적, 언어적 배경 지식과 연관시키지는 못하고 있었으며, 언어학습 측면을 지원하기에는 미비한 점들이 있었다. 이에 디지털교과서의 공간 확장성을 이용하여 다문화학생들의 과학학습을 지원할 수 있는 방안들을 제안 하였다. 다양한 문화적, 언어적 배경을 고려한 과학 디지털교과서는 다문화학생들의 과학학습을 증진하고 언어학습을 돕는 교육 자원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suggests principles for using digital textbooks to expand science learning opportunities for multicultural students using the Sheltered Instruction Observation Protocol (SIOP) model. SIOP is a tool for integrating content and language learning for multicultural students. Based on principles adapted from SIOP, we developed a framework for showing how science digital textbooks can play a positive role in presenting science concepts and organizing science activities for multicultural students in Korea. Specifically, we demonstrate how digital science textbooks, which provide various forms of media representation and in q uiry activities can promote conceptual understanding and language development. However, our analysis of grades 3 and 4 textbooks found some limitations as it is difficult to relate some scientific knowledge to multicultural students’ diverse backgrounds and there were some limitations for supporting some aspects of language learning. Building from this analysis, the authors propose ways to support science learning for multicultural students by using digital textbooks and we discuss the need to improve features of science digital textbooks to expand their effectiveness as an educational resource that can help multicultrual students learn not only science, but also Korean language.

      • KCI등재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위한 초등학교 영어 그림책 선정 기준 개발 및 활용 방안 연구

        송가영(Ga-Young Song),주혜은(Hye-Eun Chu),마틴 산야(Sonya N. Martin),김호정(Ho-Jung Kim) 한국환경교육학회 2018 環境 敎育 Vol.31 No.2

        본 연구는 초등학생들에게 교과 교육 속에 통합된 지속가능발전교육(ESD)의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영어 그림책을 활용한 수업 실천방안을 소개하였다. 지속가능발전교육에 관한 전문성이 결여되어 있는 교사들을 지원하고, 지속가능성의 학습과 영어 학습이 동시에 수업에 적용되도록 ‘영어 그림책 선정 기준’을 개발한 것이다. 개발된 기준은 타당도 검사와 평가자 간 합의도(percent agreement) 검사를 통하여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인한 후 연구에 적용하였다.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위한 영어 그림책 선정 기준은 크게 3개의 기준(문학작품으로서 선정 기준, 지속가능발전교육 교재로서 선정 기준, 영어교육 교재로서 선정 기준)으로 나눌 수 있으며, 6개의 하위 기준을 포함한다. 개발된 기준을 활용하여 선정한 영어 그림책이 실제 수업에서 어떤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5학년 학생 24명을 대상으로 수업을 실시하여 데이터를 수집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학생들의 평가지 데이터 분석 결과 지속가능발전교육의 개념 이해 및 관점 반영과 영어 학습 효과에 모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선정 기준을 이용하여 교사들이 효과적인 그림책을 선정한다면, 초등 교사들은 영어수업 중 지속가능성의 학습과 동시에 영어 학습의 효과를 추구할 수 있을 것이다. To expand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ESD) learning opportunities for elementary students, this research introduces a method for using English language picture books to integrate ESD concepts into the English as Foreign Language (EFL) curriculum. An evaluation rubric was developed to help teachers, with limited ESD teaching expertise, to select high-quality picture books for teaching ESD concepts during EFL lessons. The rubric includes three key scales and six subscales necessary for determining the general quality of a picture book and for considering how effectively a book addresses ESD and EFL curriculum concepts. The validation process for developing the rubric included a comprehensive literature review and a content validation process, as well as a reliability test involving evaluations with experts in the areas of children’s literature, ESD, and ELF. The rubric was revised and strengthened before being piloted to select high quality picture books with ESD-related contents, which were used to teach three EFL lessons to 24 fifth grade students. Students’ responses to assessments and classroom interactions during lessons were analyzed. Findings showed that using ESD related English language picture books promoted more opportunities for elementary students’ authentic and meaningful discussions about ESD concepts in the EFL classroom. The rubric provides elementary teachers with a valuable tool for selecting high quality English language picture books that can serve as resources for teaching both ESD concepts while improving students’ EFL skills.

      • KCI등재

        국내 과학관의 코로나-19 대응과 미래 방향 전략 연구 - 국립과학관 경영인력의 융합적 경험 사례를 중심으로 -

        강 다 연,이 주 연,김 명 지,마틴 산야,이 현 옥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22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40 No.2

        본 연구는 코로나-19가 전 세계적으로 유행함에 따라국내외 과학관의 운영에 지대한 영향을 준 데에서 시작되었다. 국내 과학관은 휴관과 축소된 현장 운영을 반복하며 코로나-19에 대응하기 위해 전력을 기울이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국립과학관이 코로나-19에 대응하는 과정을 비롯하여 과학관의 경영인력들이 제시하는코로나-19 이후의 방향과 미래전략을 탐색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연구 자료 수집을 위해 과학관 대응관련하여 유관 부처·기관 자료, 과학관 웹사이트 및 온라인 채널 등을 탐색하고, 5개의 국립종합과학관(중앙, 과천, 과천(어린이), 광주, 대구) 부서장급 이상의 경영인력들을 대상으로 면담을 이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들은지속적 비교분석법을 통해 분석되었으며, 여러 자료원에서 공통으로 나타나는 대응 경험과 비전을 연구자 간교차 검증하여 최종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및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과학관은 코로나-19로 인한 행정적·재정적 어려움에 대한 일차적 대응 방안으로 온라인 서비스를 전면 도입하였다. 둘째, 온라인 서비스 전환을 위하여 직원 역량 강화 연수를 추진하고 관련 인프라를 구축하였으며 전문성을가진 주체들과 협력하였다. 셋째, 과학관 경영인력들은코로나-19로 인해 과학관 패러다임이 전환될 것이라는위기의식을 느꼈다. 한편, 코로나-19를 계기로 과학관의활동 공간이 온라인으로 확장될 수 있을 것이라 인식하고 온·오프라인 서비스가 공존하는 과학관의 모습을 구상하였다. 넷째, 과학관 경영인력들은 미래전략으로 과학관 간 협업과 연대를 통해 온라인 서비스 강화 및 공유체계 구축을 제시하였고 이로써 과학문화 기반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또한, 비영리기관으로서 공공영역 확보에 대한 의지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국립과학관 중진들의 코로나-19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 및 미래에 대한 통찰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급격하게 변화하는 사회에서 다른 유사기관 및 과학관이 미래의 다른 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COVID-19 pandemic has had a profound impact on the operation of science museums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In the Korean context, science museums’ efforts to respond to COVID-19 have led to repeated closures and reduced field operations.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dynamic process of responding to COVID-19 and to draw future directions and strategies based on suggestions made by science museum administrators using data collected from related ministries/institutions, science museum websites, and online channels. Researchers also conducted interviews with administrators at the department head level or higher at five national science museums(National Science Museum, Gwacheon National Science Museum, National Children’s Science Center, Gwangju National Science Museum, Daegu National Science Museum).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constant comparative method, with common findings derived by cross-validating themes across various data source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science museums have introduced online services as a primary response to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difficulties caused by COVID-19. Second, in order to convert online services, science museums carried out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s, established infrastructure, and cooperated with experts. Third, the responses of science museum administrators reflected their awareness of a sense of crisis that the paradigm of the science museum would change due to COVID-19. However, they recognized the possibilities for expanding the space of science museums online and envisioned the museum where online and offline services coexist. Fourth, science museum administrators suggested future strategies to lay the foundation for science culture by strengthening online services and establishing a sharing system through collaboration and solidarity among science museums. In addition, they showed a willingness to have science museums retain the public domain as non-profit public institutions. The responses and insights for the future drawn from national science museum adminstrators’ experiences during COVID-19 can be used as resources for other similar institutions and science museums to cope with other future crises in a rapidly changing soc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