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식의 단일성과 다양성의 대립: 사회인식론의 관점에서 본 한국교육

        류성창 ( Sung Chang Ryoo ) 한국교육철학학회 2016 교육철학연구 Vol.38 No.1

        인식의 다양성과 단일성 간 어떠한 종류의 인식이나 학습을 추구할 것인가 하는 문제는 비단 한국교육뿐 아니라 외국의 여러 나라에서도 교육의 현실과 정책을 논함에 있어서 중요한 기준을 제공하는 문제이다. 본고는 사회인식론의 논의 중 인식의 다양성이나 단일성을 추구하는 방식 간의 특징, 장점 및 단점을 Koppl, Goldman 그리고 List의 논의들을 통하여 자세히 고찰하고, 어떠한 종류의 인식의 추구가 어떠한 필요나 시대에 더 적합한것인지에 대해서 논한다. 결론적으로 시대적인 시급성 등에 따라서 인식의 다양성이나 단일성 중 보다 더 추구될수 있는 방향이 있을 것으로 가정한다. Whether education should encourage epistemic singularity or plurality has been the basis of various educational decisions and policies including multicultural education and textbook publication issues not only in Korea but also in many other countries. This article discusses which Korean education should pursue between epistemic singularity and plurality in forming students’ learning. This research examines three typical arguments on advocating epistemic plurality, advocating epistemic singularity and need-based preference between the two, by analyzing theories of Koppl, Goldman and List. This article concludes that different social needs may determine which type of social epistemological type of learning may be pursued.

      • KCI등재

        탈북학생의 진로교육과정 개발 연구

        류성창(Josh Sung-Chang Ryoo),김성기(Sung-Ki Kim),이윤옥(Yun-Oug Lee)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17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탈북학생의 진로교육에 관한 인식 및 요구에 대한 조사를 통해 탈북학생의 진로교육을 위한 방향수립 및 방안탐색 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연구를 위해 중학교 8개교, 고등학교 1개교와 대안학교 3개교에 재학 중인 탈북학생 22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수집된 자료는 빈도분석, 교차검증, t검증, 변량분석, Pearson의 적률 상관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1) 탈북학생은 대학진학을 희망하고 있으며, 대학교를 졸업 한 후 취업하기를 선호하였다. 2) 진로에 대한 고민은 하지만 진로결정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진로에 대한 도움은 선생님한테 주로 받고 있었다. 3) 교육과정상 “직업·진로” 수업을 주당 한번, 직업체험을 통해 학습한 것으로 나타났다. 4) 탈북학생들은 직업과 진로수업이 더 많아지기를 바라고 있으며, 직업과 진로상담도 많이 받고 싶어 했다. 5) 상관관계 분석결과 탈북학생들의 진로고민과 진로결정간의 관계, 직업진로에 대한 선생님과의 상담정도와 도움정도 간의 관계, 직업진로 상담의 요구와 직업진로수업에 대한 요구간의 관계는 높게 나타났다. 탈북학생을 위한 진로교육 개선을 위한 제언으로는 탈북학생의 요구에 적합하도록 진로교육 및 진로탐색과 관련하여 탈북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진로교육과정의 재구조화, 탈북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보다 비판적이고 현실적인 교육의 시행 탈북학생 대상의 진로교육 및 취업지원 프로그램의 개발과 진로상담활동의 강화, 탈북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진로정보에 대한 네트워크 구축 및 홍보 등을 들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ways in which career development programs for North Korean defector students could be formed. The subjects of the survey were 227 North Korean Defector Students. The data were analyzed for frequency analysis, χ2-test, t-test,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North Korean defector Students hope to go to university and prefer to work after college graduation. 2) While they are worried about employment, career decisions are difficult to be made, and most of the assistance for their career planning is provided by the teachers. 3) Job and Career subject matter is taught about once a week on average and job experience is an important part of the lessons. 4) North Korean defector students hope to receive more job and career training as well as counseling. 5)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is found between career decision and career-related anxiety of North Korean defector students, between the frequency of counseling with the teacher and the helpfulness of the career guidance, and between the demand for career counseling and for career training lessons. Proposals for further support for North Korean defector students include restructuring of career training curriculum, development of career training and employment support programs, enhanced career counseling, and expansion of career information network for those students.

      • KCI등재후보

        통일통합교육 방향으로서 교양교육과 직업교육에 관한 논의

        류성창(Josh Sung-Chang Ryoo),안창희(Chang Hee Ahn),최슬기(Seul-Gi Choi),한수정(Shuchung Han) 통일교육학회 2018 통일교육연구 Vol.15 No.1

        한반도의 통일 이후 고려해야 할 통일통합교육의 방향으로서 교양교육적 성격의 고등교육과 직업훈련 중심의 실용교육의 두 가지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특히 해외의 여러사례에서 볼 수 있듯, 사회경제적으로 취약한 계층의 성장을 위한 교육논의에서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것이 바로 교양교육과 대학진학을 통한 인간성의 신장인지 아니면 실질적인 직업훈련을 통한 경제력 향상인지에 대한 검토이다. 통일이 되면 지역적으로 취약한 계층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바, 본고는 취약 지역 학생들의 사회적 지지를 위한 교육의 방향으로서 고등교육과 직업교육에 관한 논쟁을 분석한다. 특히 미국의 흑인 인권 신장을 위한 워싱턴과 두보이스 사이의 교육논쟁을 분석하고, 이러한 논쟁이 통일통합교육에 제공하는 시사점에 대하여 논의한다. In case the re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becomes reality, it is likely that there would be a consideration between liberal education and vocational training as the proper direction of education for establishing social equity, especially with the special consideration of the citizens from the Northern part that is known to be economically weak. The similar debate between African-American theorists, Booker T. Washington and W.E.B. Dubois, can shed an insightful light on the future possible debate in Korea. This articles draws upon the American debate and reflects on the application of such debate to the future Korean case, with the ultimate goal of achieving social equity in the reunified peninsula.

      • KCI등재

        2009 개정교육과정 고등학교 과학교과서의 STS 요소 및 핵심역량 요소 반영수준 분석

        류성창(Josh Sung-Chang Ryoo),이윤옥(Yun-Oug Lee),김동호(Dong-Ho Kim),이순하(Soon-Ha Lee),양은희(Eun-Hee Ya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4 No.8

        본 연구는 2009개정교육과정에 따라 서울시교육청이 인정한 고등학교 융합형 ‘과학’ 7종의 교과서를 대상으로 STS(Science-Technology-Society) 요소 및 핵심역량요소가 적절히 반영되어 있는지 교과서 내용 빈도분석을 통하여 탐구하였다. 연구 결과, STS 요소는 국제단체에서 요구하는 20% 수준에 조금 미치지 못하는 수준으로 반영되어 있으나, 여전히 내용빈도가 낮고, 특히 세부요소의 반영이 균형 잡히지 않은 채 일부 요소에 치우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핵심역량 요소는 STS 요소 보 다 훨씬 낮은 수준으로 반영되어 있었고, 세부 요소의 반영 역시 균형이 잡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STS 요소와 핵심역량요소를 적정 수준에서 포함하여 2009개정 교육과정의 목적을 최대한 살릴 수 있도록 과학교과서의 개정이 요청된다. This research conducts a content analysis on the appearance frequencies of STS(Science-Technology-Society) and key competency education contents in 7 textbooks that are newly adopted by Seoul City according to the 2009 curriculum standards that stipulates the importance of STS and key competency education in science education. The result shows that the level of content inclusion of both STS and key competencies in the new science textbooks is generally low, even compared to the levels suggested by international associations. Furthermore, the composition of STS and key competency content components within the textbooks is not balanced but more skewed toward science-related items. The article concludes with suggestions that the science textbooks should be further revised ultimately to fulfill the proposed directions of 2009 curriculum reform, first by increasing the levels of content inclusion of both STS and key competencies, and second by attaining balance among STS and key competency elements.

      • KCI등재후보

        예비교사를 위한 통일통합교육 수업의 사례: 국민대학교 교육학과의 ‘통일한국과 교육정책’ 강의

        류성창(Josh Sung-Chang Ryoo) 한국통일교육학회 2016 통일교육연구 Vol.13 No.1

        예비교사를 위한 통일통합교육의 실시는 이제 아이디어차원에서 넘어서서 실질적으로 대학 강의의 형식으로 정규교육 프로그램화되어 실시되고 있다. 서울에 소재한 국민대학교 교육학과와 한국통일교육학회가 협동으로 운영하며, 한국통일교육학회가 발급하는 방식으로 운영되는 예비교사 통일통합교육 전문가 과정은 이제 첫 학기를 운영하여 전문가 훈련의 경험을 축적하는 첫 디딤발을 내딛었다. 이에 본고는 첫 수업으로 실시된 ‘통일한국과 교육정 책’ 강의의 경험을 논문형식으로 작성하여 공유한다. 특히 본고는 예비교사들이 통일통합교 육에 관련하여 어떠한 내용들을 중점적으로 탐구하였는지에 대한 연구문제에 대하여 질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논의를 전개한다. 본 연구의 결과로 예비교사들은 대체적으로 현실을 보다 직접적으로 반영한 방식으로 학습을 전개하였는데, 남북교류가 중단된 현 상황에서 남북교류를 강조하는 것이 현실적인 의미가 있는지에 대한 검토, 비이데올로기 교과가 없는 현실에서 비이데올로기 중심의 접근을 하는 것이 가능한지에 대한 탐구, 그리고 통일 이후 대입의 문제가 가장 큰 교육의 문제가 될 텐데 이에 대한 준비가 더욱 필요하다는 지적 등이 그 예이다. Preparing Korean pre-service teachers for integrative education after Korea becomes re-unified is not just an idea any more and begins to take shape in practice as part of the regular curriculum of teacher education in South Korea. Kookmin University, as the first case that develops and implement such a program as part of the regular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has taught the first such class in Spring 2016, in close cooperation with the Korean Reunification Education Association. This article examines the vivid learning experiences that the students, that is, pre-service teachers enrolled at the university have encountered taking the first class titled, ‘Re-unified Korea and Educational Policy.’ The qualitative analysis of class notes collected at the end of the semester has revealed that South Korean pre-service teachers are concerned about numerous issues regarding Korean re-unification and educational policy, and three particular topics among them, namely, interaction between the two Koreas, the roles of non-ideological subjects in curriculum integration and college admission policy in the re-unified Korea are discussed in-depth in this article.

      • KCI등재

        다문화학생의 진로교육과정에 대한 인식 및 요구

        류성창 ( Ryoo Josh Sung-chang ),김재우 ( Kim Jaewoo ),이윤옥 ( Lee Yunoug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6 교육문화연구 Vol.22 No.6

        본 연구는 다문화학생의 진로에 관한 인식·요구조사를 통해 다문화학생의 진로지도를 위한 방향수립 및 방안탐색을 위한 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다문화학생 150명과 교사 9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함께 3명을 대상으로 면담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는 1) 다문화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진로교육에 대한 적극성 결여, 2) 다문화학생에 대한 기초적인 진로교육, 진로상담 등의 시간 부족, 3) 다문화학생을 위한 체계적인 취업지원 및 진로교육 프로그램의 부족 등을 문제점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들은 다문화학생이 한국생활에 어려움을 겪게 되는 주요원인 중 하나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문화학생의 진로교육 개선을 위한 제언으로 다문화학생의 요구에 적합하도록 진로교육과정의 재구조화, 다문화학생들에게 적합한 진학 및 취업지원 프로그램의 개발과 진로상담활동의 강화, 진로정보에 대한 네트워크 구축 및 홍보 등을 들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data for the planning and direction for career guidance through a survey on awareness of career education and employment support of multicultural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50 multicultural students, 90 teachers and 3 Interview participan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lack of participation of multicultural students in career education, 2) lack of time for basic career education and career counseling for multicultural students, 3) lack of curriculum for a variety of employment support and career education. The Suggestions for improvement of career education of multicultural students are as follows: restructuring of the career education curriculum, development of career training and employment support programs, enhanced career counseling, construction and promotion of career information network.

      • KCI등재

        4차 산업혁명 대비 미래 교육과정 및 교육방법 방향 탐색

        류성창(Ryoo, Joshua Sung-Chang),강태훈(Kang, Taehoon)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8 교육연구 Vol.72 No.-

        인공지능과 사물인터넷 등으로 대표되는 제4차 산업혁명의 새로운 환경속에서, 개별 학생은 변화하는 세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각자의 잠재된 재능을 충분히 발휘하는 개인이자 타인과 협력할 수 있는 합리적이고 열정적인 시민으로 성장해야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우선 지능정보사회 대비를 위한 주요 교육 목표 및 내용으로서의 함의를 갖는 핵심역량이 무엇인지를 살펴보았다. 이어서 미래사회를 대비한 교육과정과 교육방법의 변화 방향을 모색해 보았다. 결과적으로, 교육과정 측면에서 1) 중등교육에서의 인문예술교과 비중의 회복, 2) 기초학습 보장 및 교과별 최소이수 기준 마련, 3) 교과구분 및 통합교과 운영에 대한 명확한 정책 방향, 그리고 4) 창의적 체험활동과 같은 교과외 교육과정 운영의 중요성을 제시 및 강조하였다. 또한 교육방법 측면에서 1) 비판적 탐구학습의 도입, 2) 교과 교육과정에서의교수⋅학습 방법 개선, 그리고 3) 질적 평가의 확대를 주요 변화 방향으로 제시하였다. 이를 통하여, 문제풀이 위주 및 암기 위주의 학습에서 벗어나 개별 학생이 자신의 적성과 소질에 따라서 폭넓은 대상에 대하여 자유롭게 탐구하고 학습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해 나가야 함을 강조하였다. Contemporary consideration of the Industry 4.0, an era when the roles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automatic machinery are expected to be greatly expanded than ever before, requests us to reformulate current educational practices to equip future generations better with the skills necessary for the coming times. With special focus on Korean education, this article argues that the National Curriculum should be reformed in four particular ways: increasing the proportion of arts subjects, setting up minimum standards for basic learning and each subject matter, providing theoretically valid guidelines for the separation and convergence of subject matters, and reinforcing non-regular curriculum such as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For the reform of educational methods, three suggestions are made in this article: the facilitation of Critical Exploration, improvement of learning and teaching in each subject mater and the expansion of qualitative assessment.

      • KCI등재

        고등학교 유형별 교육과정 분석 및 학생부종합전형에 대한 대학 입시전형 실무자들의 인식

        류성창(Josh Sung-Chang Ryoo),이윤옥(Yun-Oug Lee)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18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6 No.3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유형별 학교단위 교육과정 분석과 대학 입시전형 실무자들의 학생부종합전형에 대한 인식을 통해 학생부종합전형의 문제점과 개선방향을 파악하려고 한다. 이를 위해 서울 소재K사립대학의 대학입시 담당 실무자 58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분석, 교차검증, t검증, 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세 가지 주요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고교유형별 교육과정 편성을 학생부종합전형에서 적극적으로 반영하기에는 일반고, 자사고, 자공고 등의 교육과정 자율성이 다소 낮다는 점이다. 따라서 학생부종합전형에 있어서 보다 높은 형평성의 확보를 위해서는 오히려 일반고, 자사고, 자공고의 교육과정 자율성 제한을 고려하여 전공별 관련 교과 성적이나 선택사항을 덜 고려해야 한다. 둘째, 학생부종합전형이 대입자율화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고 있으며, 학생부종합전형의 내실화를 위한 방안으로 교사의 학생부 서술에 관한 연수와 안내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 교사의 서술능력이 학생부평가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아 학생부의 신뢰도와 공정성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학생부 기재요령에 관한 연수가 확대되어야 한다. 셋째, 학생부종합전형의 내실화 및 고교 교육과정 정상화를 위한 방안으로 국가수준 교육과정 의도에 따른 평가를 실시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identified the problems and proposed improvements regarding the comprehensive student selection process. This was possible by looking into the analysis of the curriculum by type of high school, as well as the perception of the comprehensive student selection process by the university admission counselors. The study conducted an online questionnaire survey to 58 university admission counselors at K private colleges in Seoul. Three main conclusions were drawn from the analysis. First, the autonomy of the curriculum of regular high schools and independent private high schools was rather low in order to positively reflect the implementation of curriculum by type of high school in the comprehensive student selection process. Therefore, in order to secure a high level of fairness in the comprehensive student selection process,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emphasis on the grades and major options related to each subject in consideration of the limitations of curriculum autonomy. Second, the comprehensive student selection seemed to affect the autonomy of the college admission. For that reason, it is necessary to provide sufficient training for teachers on how to accurately describe their students, which will improve the comprehensive student selection process. In order to enhance the credibility and fairness of the comprehensive student selection process, training in regards to the student evaluation must be provided. Third, in order to improve the student selection process and appropriate implementation of the curriculum, it is essential to carry out an evaluation based on the national curriculum standards.

      • KCI등재

        미래교육의 방향은 지성교육인가 인성교육인가?

        류성창 ( Ryoo Josh Sung-chang ) 한국교육철학학회 2016 교육철학연구 Vol.38 No.3

        미래교육에 대한 학술적이고 정책적인 대화가 활발한 요즘, 인공지능의 대두로 지능정보사회로의 변화에 대비한 논의가 특히 주목을 받고 있다. 이러한 미래를 고려한 교육의 방향은 지성교육과 인성교육 중 어느 방향으로 추진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인가? 본고는 인성교육에 관한 도구주의적 관점, 본질적 관점, 그리고 부수적 관점 중 도구주의적이고 부수적인 관점이 가장 현실적인 반면, 지성교육은 교육의 본질적인 관점에서 다루어져야 함을 역설한다. 아울러 지성교육이 추진되는 과정에서의 지성맹신주의를 경계해야 함을 지적하는데, 특히 진리주의적 확실성을 경계할 것과 사회인식론적 관점을 고려해야 할 것을 주장한다. Recent appearance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the rise of the related fear of the state of a future society have engendered conversation regarding the need of new policy directions in many areas of life including education. In the tumultuous and unstable context in which some of thusly devised new educational policies involve science professionals` strong call for including and expanding software coding education as part of the regular curriculum, the philosophers of education are requested to present timely sensitive and theoretically leading ideas regarding where future education should go. With particular consideration of two candidates for future educational directions, namely character development and knowledge-based education, this article argues that character is not a fully human ideal first because character is exercised on the instrumental basis in reality and second because some of the character traits are observed in some animals that exhibit social orders or certain tidiness, while knowledge is a fully human trait that deserves to be the ultimate educational direction of a future society in which machines will take up much of human labor leaving humans with what only humans can do. The article concludes that knowledge-based education that does not idolize veristic certainty and recognizes the importance of social epistemological consideration must be the end of future education.

      • 창의성은 가르칠 수 있는가?

        류성창 ( Ryoo Sung-chang ) 창조교육학회 2016 창조교육논총 Vol.18 No.-

        Creativity is defined based upon two essential conditions of uniqueness and usefulness, and classified in diverse terms depending on the contexts and realms in which creativity is exercised in practice. This article, in examining the teachability of creativity, argues that creativity has more non-cognitive traits than cognitive ones, and thus the education of creativity should take in practice the forms of teaching non-cognitive skills. Furthermore, while we can consider teaching of creativity per se, we should also be reminded of the fact that creativity is one of the essential components of ideal education as learning always involves the creation of new understanding within a learner`s min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