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메시야 예언성취의 성격과 의미 : 마 2장에 나타난 해석학적 전제와 예언 성취의 성격연구

        류기철 고신대학교 고신신학연구회 2009 고신신학 Vol.- No.11

        이 논문은 마태가 2:5-6절과(베들레헴에 대한 예언) 2:23절(나사렛에 대한 예언)에서 구약의 선지자들의 예언을 인용하고 있는 방식에 대한 논란이 학자들간에 있으나 약간의 변형이라는 형식적인 차이점에도 불구하고 마태가 속한 상황과 그가 전달하고자 하는 테마가 일치함을 보여준다. 먼저 두 본문 구절에 대한 신약의 본문과 구약의 본문을 해석하고 비교할 것이며 둘째 구약본문의 배경을 조사하고 셋째 신약 본문의 배경을 다룰것이다. 마지막으로 마태가 증거하는 신약에서의 구약의 예언 성취를 뒷받침 하는 해석학적 원리와 그 성격을 논할 것이다. 또한 구약의 예언이 최종적인 성취인지(in totality)혹은 본질적인 성취(in essence)인지를 간단하게 다루고 마지막으로 본 연구를 통해 마태는 결국 구약의 컨텍스트에 충실했으며 예수의 탄생과 성장 배경을 통해 메시야에 대한 구약의 예언이 성취되었음을 선포함을 통해 나타나는 그의 해석학적 전제들과 예언 성취의 성격을 논하고자 한다. This brief examination of the passages Mt 2:5-6, 2:23 is an attempt to see how the New Testament and the Old Testament are related in Matthew's gospel, each verse dealing with the Visit of Magi and the Return to Nazareth respectively. We will deal with the comparisons between the NT and OT passages in view. Secondly we will discuss the contexts within which the two passages in question are located with respect to the OT. This paper tries to see the legitimacy of Mtt's using the OT quotes/allusions on the basis of the context and the theme, and will determine its hermeneutical assumptions of Matthew and the nature of the fulfillment through the birth and infancy narrative of Jesus Christ.

      • SCOPUSKCI등재

        Metarizium anisopliae (Metschn.) Sorok이 생산하는 Lactobacillus plantarum 용균효소의 분리, 정제 및 특성

        류기철,함병권,백운하,유주현,배동훈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 구 한국산업미생물학회 ) 1996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Vol.24 No.6

        김치저장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Lactobacillus plantarum 용균효소 생산균주를 토양으로부터 분리한 후 그 효소를 정제하고 특성을 살펴보았다. 본 균주의 배양학적 및 형태학적 특성 등을 검토한 결과 Metarrisium anisopliae (Metschn). Sorok으로 동정되었으며, 본 효소는 affinity adsorption, CM-Sephadex C-50 column chromatography를 통하여 40%의 수율과 75배 정제도로 정제되었다. 효소활성의 최적 pH와 온도는 각각 4.0, 40℃였으며, pH 3.0~9.0, 60℃까지 효소의 안정성이 유지되었다. SDS-PAGE 및 gel filtration으로부터 본 효소의 분자량은 40,000 daltons인 monomeric protein임을 확인하였다. 본 효소는 Lactobacillus plantarum 세포벽 peptidoglycan의 peptide linkage를 절단 하는 endopeptidase였으며, 용균 spectrum으로부터 김치발효시 유용균인 Leuconostoc mesenteroides에 대해서는 활성을 거의 나타내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효소의 활성은 Ag^+, N-bromosuccinimide (NBS)에 의해서 완전히 저해되었으며, NBS에 의해서 활성이 저해된다는 사실로부터 본 효소는 활성에 tryptophan residue가 관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효소는 산성 아미노산의 함량이 염기성 아미노산의 함량에 비하여 높았으며, alanine, glycine, proline, tyrosine의 함량 또한 매우 높았다. To improve the preservation of Kimchi, we isolated Lactobacillus plantarum lytic enzyme-producing strain from soil, and the enzyme was purified and characterized. From the observation of cultural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the isolated strain was identified as Metarrisium anisopliae (Metschn). Sorok. The enzyme was purified to 75-folds with 40% yields through affinity adsorption and CM-Sephadex C-50 column chromatography. The optimum pH and temperature for lytic activity are 4.0 and 40℃, respectively, and the enzyme acitivity is stable between pH 3.0 and 9.0 and up to 50℃. The enzyme is a monomeric protein with molecular weight of 40,000 daltons by SDS-FAGE and gel filtration. The enzyme is endopeptidase which breaks the peptide linkage of Lactobacillus plantarum peptidoglycan. The lytic action spectra confirmed that Leuconostoc mesenteroides, a useful strain for the fermentation of Kimchi, is not lysed by the enzyme. The enzyme activity is inhibited by N-bromosuccinimide (NBS), which probably indicates the involvement of tryptophan residue in active site of the enzyme, and also inhibited by Ag^+. The amino acid composition analysis showed that the enzyme contains more acidic amino acids than basic ones, and composition of alanine, glycine, proline and tyrosines was very high.

      • 天符醫學(萬病通治論)

        류기철 한국한의학연구원 2012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Vol.18 No.3

        The Sambyeongudo(三變九圖) which was deducted from Cheonbu-Kyeong(天符經) is the figure about the principle of the Book of Changes in the mutual organic way, and the Five elements means the principle of Generation and the Sasang means the principle of Change, so Kugung of the concept of composing Five elements and Sasang means the principle of Generativechange, Sasangjeok-Ohaengkoan(四象的五行觀). As it is substituted to the human body, Five elements can be compared to the meridian system, Sasang can be compared to Eight extra meridians, and Kugung can be compared to Five su point Sasangjeok-Ohaengkoan. In addition, if Simpo and Samcho are compared to Cheon Ji In Samjae(天地人三才) of Trigrams, then 13 cure points can be deducted. If 13 cure points are substituted to Chilyojeongsa(七曜政事) and Moderation as another concept of Kugung, then all diseases can be cured regardless of the physical constitution and name of a disease. The Sambyeongudo(三變九圖) which was deducted from Cheonbu-Kyeong(天符經) is the figure about the principle of the Book of Changes in the mutual organic way, and the Five elements means the principle of Generation and the Sasang means the principle of Change, so Kugung of the concept of composing Five elements and Sasang means the principle of Generativechange, Sasangjeok-Ohaengkoan(四象的五行觀). As it is substituted to the human body, Five elements can be compared to the meridian system, Sasang can be compared to Eight extra meridians, and Kugung can be compared to Five su point Sasangjeok-Ohaengkoan. In addition, if Simpo and Samcho are compared to Cheon Ji In Samjae(天地人三才) of Trigrams, then 13 cure points can be deducted. If 13 cure points are substituted to Chilyojeongsa(七曜政事) and Moderation as another concept of Kugung, then all diseases can be cured regardless of the physical constitution and name of a disease.

      • KCI등재

        취업형태의 지속성에 관한 연구

        류기철 한국노동경제학회 2001 勞動經濟論集 Vol.24 No.1

        본 논문에서는 취업형태를 정규직 임금근로, 비정규직 임금근로 및 자영업의 세 유형으로 구분하여 한국노동패널 자료에 포함된 남자근로자들의 전직에 따른 취업형태의 변화를 살펴보았으며, 또한 경쟁적 위험도 모형을 추정함으로써 이들의 재취업시의 취업형태의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분석을 행하였다. 분석 결과에 의하면 퇴직한 일자리에서의 취업형태가 새 일자리에서의 취업형태를 결정하는 데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또한 직장이동이 반복되는 경우 그 영향력이 점차로 약화되기는 하나 직전 직장 이전에 취업했던 일자리에서의 취업형태도 새 직장에서의 취업형태의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직전 직장에서 비정규직으로 근무하다 실직한 근로자는 전직 이전의 직장에서 정규직으로 취업했던 근로자에 비해 정규직에 재취업할 가능성은 크게 낮은 반면, 또다시 비정규직에 재취업할 가능성은 크게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마찬가지로 퇴직한 직장에서의 취업형태가 자영직이었던 근로자는 전직 이전의 직장에서 정규직으로 취업했던 근로자에 비해 정규직에 재취업할 가농성은 크게 낮은 반면, 또다시 자영직에 재취업할 가능성은 크게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우리나라 남자근로자의 경우 비정규직 또는 자영직 일자리가 막다른 일자리로서의 성격을 가진다고 단정할 수는 없다고 하더라도 일단 비정규직 또는 자영직에 취업한 근로자가 전직을 통해 정규직 일자리로 옮겨가기가 쉽지 않음을 보여주는 것이라 생각된다. 이와 함께 실업률이 높아질수록 정규직과 자영직에의 취업 가능성은 낮아지나 비정규직에의 취업 가능성은 오히려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노동시장에서의 수급조건이 근로자에게 불리할수록 노동시장의 비정규화가 빠른 속도로 진행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This paper uses the Korean Labor Panel data to investigate changes in the employment types of male workers following their job changes with the classification of workers into three categories: regular wage workers, non-regular wage workers, and self-employed workers. It also estimates a competing-risks hazard model to analyze the determinants of employment types of workers. The results show that the type of employment of a worker at an immediate previous job has a critical importance in determining his employment type at a new job and that the types of employment at jobs other than the immediate previous job also play some role in determining the type of employment at a new job, although their impact declines as the number of intervening jobs increases. A job loser, who worked as a non-regular worker at his immediate previous job, for example, is considerably less likely to find a regular job, but more likely to get reemployed at another non-regular job than one who worked as a regular worker at his immediate previous job. Similarly, a worker who quit self-employment is much less likely to find a regular job but more likely to restart his own business than one who worked as a regular worker at his immediate previous job.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t is not easy at all for a worker who worked as either a non-regular worker or self-employed worker to become a regular worker, although it might be premature to assert that non-regular jobs or self-employed jobs are dead-end jobs. Another interesting finding of this analysis is that a high unemployment rate lowers a probability of reemployment at either regular jobs or self-employed jobs, but raises a non-regular job reemployment probability, which strongly implies that as labor market conditions become adverse to workers the proportion of non-regular employment can rise rapidly.

      • 지방대학 혁신역량 강화사업의 추진전략과 전망

        류기철,Ryu, Gi-Cheol 한국대학교육협의회 2004 大學敎育 Vol.131 No.-

        '누리사업'성공의 관건은 경쟁력 있는 인력의 양성과 이들이 취업할 수 있는 지역 일자리의 창출이다. 이를 위해서는 중앙정부의 지원과 함께 대학과 여타 지역주체들 간의 협력 및 연계강화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 KCI등재

        패킷 손실률에 기반한 효율적인 TCP Buffer Tuning 알고리즘

        류기철,김동균,Yoo Gi-Chul,Kim Dong-kyun 한국정보처리학회 2005 정보처리학회논문지 C : 정보통신,정보보안 Vol.11 No.1

        기존 TCP 기술은 송${\cdot}$수신측에 각각 고정된 크기의 버퍼를 할당하기 때문에 높은 대역폭(High-Bandwidth) 및 큰 전송지연(High Delay)을 가진 통신에는 적합하지 못하다. 따라서 종단간의 TCP 처리량을 개선하기 위해 통신망 상황에 따라 자동으로 TCP 버퍼를 조절하려는 시도가 있어왔다. ATBT(Automatic TCP Buffer Tuning)에서 송신측은 현재의 혼잡 제어 윈도우(CWND)의 값에 따라 송신 버퍼 크기를 조절하고 수신측은 운영체제가 정해ens 최대 크기의 TCP 버퍼 값으로 수신 버퍼 크기를 고정한다. DRS(Dynamic Right Sizing) 에서는 이전에 수신한 TCP 데이터의 두 배를 현재 송신할 TCP 데이터라고 예측함으써, TCP 수신측은 단순히 이에 따라 수신 버퍼 크기를 동적으로 변화시킨다. 그렇지만 TCP 세그먼트의 손실 가능성으로 인해 정확히 두 배로 버퍼 크기를 변화시킬 필요는 없다. 따라서 우리가 제안한 패킷 손실률에 기반한 효율적인 TCP 버퍼 조절 알고리즘(TBT-PLR:TCP Buffer Tuning Algorithm based on Packet Loss Ratio)은 TCP 송신측에는 ATBT 방법을 TCP 수신측에는 TBT-PLR 방법을 적용하였다. 실제 TCP 성능을 테스트하기 위해서 리눅스 커널 2.4.18을 수정하여 구현하였으며 기존의 고정된 크기의 TCP 버퍼를 가진 경우와 버퍼 크기가 동적으로 변하는 TBT-PLR을 적용한 경우를 비교하였다. 결과적으로, TCP 연결들간의 균형있는 메모리 사용으로 인해 성능 향상을 얻을 수 있었다. Tho existing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is known to be unsuitable for a network with the characteristics of high RDP(Bandwidth-Delay Product) because of the fixed small or large buffer size at the TCP sender and receiver. Thus, some trial cases of adjusting the buffer sizes automatically with respect to network condition have been proposed to improve the end-to-end TCP throughput. ATBT(Automatic TCP fluffer Tuning) attempts to assure the buffer size of TCP sender according to its current congestion window size but the ATBT assumes that the buffer size of TCP receiver is maximum value that operating system defines. In DRS(Dynamic Right Sizing), by estimating the TCP arrival data of two times the amount TCP data received previously, the TCP receiver simply reserves the buffer size for the next arrival, accordingly. However, we do not need to reserve exactly two times of buffer size because of the possibility of TCP segment loss. We propose an efficient TCP buffer tuning technique(called TBT-PLR: TCP buffer tuning algorithm based on packet loss ratio) since we adopt the ATBT mechanism and the TBT-PLR mechanism for the TCP sender and the TCP receiver, respectively. For the purpose of testing the actual TCP performance, we implemented our TBT-PLR by modifying the linux kernel version 2.4.18 and evaluated the TCP performance by comparing TBT-PLR with the TCP schemes of the fixed buffer size. As a result, more balanced usage among TCP connections was obtained.

      • Research on the Meaning of the Trumpet Judgments : Revelation 8:6-9:21

        류기철 고신대학교 기독교사상연구소 2016 기독교교육연구 Vol.- No.4

        온 세상이 전쟁으로 그리고 데모와 기근과 약탈과 폭력으로 신음하고 있는 오늘날을 살아가고 있는 기독교인들은 과연 무엇을 위해 또한 어떻게 살아야하는가? 한국의 경우 북한과의 오랜 대치와 긴장 상태가 북의 핵 위협으로 그 절정에 다다르고 있다. 그러나 지난 수십년 동안 눈부신 경제적 발전으로 외형적인 면에서 괄목할 만한 성과를 이루어 왔으나 내적인 부패는 개선되지 않고 있으며 진리와 은혜의 마지막 보루인 교회마저도 타락으로 일그러져 이제 답을 구할 소망마저도 잃어가는 피폐함을 경험하면서 성도들의 기도는 "주여 어서 오시옵소서" 라는 종말론적 기도가 될 수 밖에 없다. 실제로 마지막 때를 살아가면서 요한계시록 8장과 9장에 나타난 나팔 심판이 드러내는 의미가 우리에게 주는 유익은 크다고 하겠다. 마지막 때에 심판의 경고를 이해하지 못하고 또한 받아들이지 않으면 그리고 종말론적인 시각으로 당면한 위기를 이해하지 않고는 올바른 기독교 교육의 가치와 관점을 제공할 수가 없다. 따라서 본 고는 계시록 8장과 9장에 나타난 나팔 심판에 대한 주석연구를 통해 그 구조를 살펴보고 계시록에 나타난 다른 연결 된 심판을 비교하며 본문에 나타난 4가지 주제를 통해 구체적 의미를 성경전체와 연결하여 밝히려 한다. 본 연구를 통해 심판에 관한 예언은 여러 적용 점을 가지고 있음을 논하고 시간적인 면에서 미래뿐 만 아니라 오늘도 이미 계시록의 예언은 이루어져 가고 있는 과정에 있음을 나타내고자 한다. 오늘날 우리와 인류를 향해 울리시는 경종으로 하나님의 나팔 소리를 듣고 회개하며 돌아서는 교회가 되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