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상호교섭적 감정 어휘 의미 조정 경험을 통한 사회·감정 문식성 향상 방안 연구 - 의미 규범 형성을 통한 감정 인식 교육을 중심으로 -

        노하늘,신희성,김대희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2018 국어교육연구 Vol.42 No.-

        This study proposes a teaching-learning process to improve social-emotional literacy based on the problem that differences in meaning between emotions encoded and decoded by emotional vocabulary interfere with empathic communication and negatively affect various aspects of life. This article conceptualizes “social and emotional literacy” as the ability to recognize and communicate emotions in ourselves and in others, to encode our emotions appropriately, and to decode others’ emotions empathically, based on the social and cultural emotional norms of the speech community. Social and emotional literacy uses four content categories: interpersonal emotional awareness, intrapersonal emotional awareness, interpersonal emotional communication, and intrapersonal emotional communication. The article proposes a three-step teaching-learning process to provide a transactional meaning-coordination experience, focusing on the awareness phase that precedes the communication phase in social and emotional literacy: (1) awareness of our own emotions, (2) awareness of emotions in others, and (3) having a new awareness of our own emotions 본 연구는 감정 어휘로 부호화된 감정과 해독된 감정 사이의 의미 격차가 공감적 대화를 저해하고 삶의 여러 국면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사회·감정 문식성 향상을 위한 교수·학습의 방법적 원리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본고는 국어과 감정 교육의 목표로 ‘사회·감정 문식성’을 개념화하고, 그것을 ‘발화 공동체의 사회·문화적 감정 규범에 기반을 두고, 자신과 타인의 감정을 인식하고, 자신의 감정을 적절하게 부호화하고, 타인의 감정을 공감적으로 해독할 수 있는 의사소통 능력’으로 정의하였다. 그리고 사회·감정 문식성의 내용 범주를 ‘자기-타인’ 차원과 ‘인식-의사소통’ 차원이 교차하는 ‘자기 감정 인식’, ‘타인 감정 인식’, ‘자기 감정 부호화’, ‘타인 감정 해독’의 4개 범주로 구축하였다. 교수·학습의 원리는 감정 의사소통 차원의 선행 단계로서 감정 인식 차원의 ‘자기 감정 인식’과 ‘타인 감정 인식’에 초점을 맞추어 상호 교섭적 의미 조정 경험을 제공하는 3개 단계로 구안하였다. 1단계는 자기 감정 인식의 단계로 감정 어휘의 극성-각성을 측정하는 단계이고, 2단계는 타인 감정 인식 단계로, 1단계에서 수행한 감정 어휘 측정 결과를 학습자들이 서로 공유하는 단계이다. 마지막 3단계는 자기 감정 재인식 단계로, 핵심 발화 공동체인 학급 구성원 간의 감정 어휘의 의미 규범을 토론을 통해 형성하는 단계이다.

      • KCI등재

        제3자 물류회사의 등급 평가 및 머신러닝 기반 예측

        노하늘,안희언,박경수,정승환 한국경영교육학회 2024 경영교육연구 Vol.39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method for determining the rating of third-party logistics providers based on delay time of shipping start, and to develop a prediction model for the rating of each logistics provider in the near future, which can be used to help to select effective logistics partners and to develop strategies for third-party logistics. [Methodology] In this study, we calculated the rating criteria for each logistics provider by normalizing and scoring the delay time of shipping start. In addition, to predict the rating of logistics companies for the next month, we developed a DNN and Pycaret-based prediction model by utilizing not only actual internal operation data but also external data such as weather, oil price, and CPI. [Findings] This study found that the best model is Pycaret-based prediction model, with an average rating error of 0.82. The average prediction rating error of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based model was 2.49, and the average prediction rating error of the DNN-based model was 1.85. [Implications] This study provides practical implications by suggesting a method for rating third-party logistics companies that can be used for proper selection of third-party logistics companies and developing logistic strategies. The predictor variables, normalization, and scoring techniques for delivery delays can also be used in other studies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배송시작 지연시간을 바탕으로 제3자 물류업체의 등급을결정하는 방법을 수립하고, 가까운 미래의 물류업체별 등급을 예측하는 모델을 제시하는것이다. 이를 통해 화주 기업이 효과적인 물류 파트너를 선택할 수 있도록 돕고, 나아가제3자 물류 관련 전략 수립에도 활용될 수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기업의 배송시작 지연시간을 바탕으로 정규화 및 점수화하여물류업체별 등급 기준을 산정하였다. 또한 다음 달의 물류업체 등급 예측을 위해 실제 운영 데이터뿐만 아니라 날씨, 유가, CPI 등의 외부 데이터와 파생변수를 활용하여 DNN 및 파이캐럿 기반의 예측모델을 개발하였다. [연구결과] 등급 예측 결과 파이캐럿 기반의 예측 모델의 등급 예측 오차가 평균 약 0.82 정도로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 다중 회귀분석 기반 모델의 평균 등급 오차는 약 2.49, DNN 기반 모델의 평균 등급오차는 약 1.85였다. [연구의 시사점] 물류업체의 적절한 선정, 전략 수립 등에 활용될 수 있도록 제3자 물류업체의 등급 평가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한다. 배송 지연시간 관련예측 변수, 정규화 및 점수화 기법 또한 다른 연구 등에서 활용될 수 있다.

      • KCI등재

        국어과 문법 교과서 예시 시각화 방안 연구 - 시각적 입력 강화 이론을 중심으로 -

        노하늘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2017 국어교육연구 Vol.39 No.-

        Korean grammar textbooks have been applying various typographical cues to help students understand grammatical concepts and rules. However, typographical cues have not been recontextualized from educational perspectives. Therefore, this study employs Visual Input Enhancement(VIE)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o design the basic principles of VIE in grammar examples to improve learners awareness of target forms. Based on a diachronic article review of VIE, this study proposes that VIE as a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of using learners' visual cognition can be applie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fter analyzing the VIE currently seen in 20 Korean language textbooks for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seven methodswere found to be used without diversity and consistency: “underlining,”“coloring+highlighting,”“coloring+circling,”“squaring,”“coloring+underlining,”and “coloring+triangling” in order of frequency. The basic principlesare designed in four stages: minimal level, less explicit level, moderate level, and more explicit level. Eeach stage is used one after the other and applied the traditional VIE methods to gain practicality. 이 연구는 그간 문법 교수·학습 과정에서 교육적인 재맥락화를 이루지 못한 채 방치되어 있던 문자 언어의 시각적 요소를 활용하여, 학습자의 목표 문법 형태 인식을 도울 수 있는 국어과 문법 교과서 예시의 시각적 입력 강화 방안을 구축하기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먼저 시각적 입력 강화 개념에 대한 문헌 고찰을 통해, 제2언어 교육에서 태동한 시각적 입력 강화가 교재 시각화 및 시각 언어의 교육적 활용의 관점에서 범교과적으로 수용 가능한 개념임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증등 국어과 교과서 20종에 나타난 시각적 입력 강화 양상을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빈도 순서에 따라 ‘밑줄’, ‘색+음영’, ‘굵게’, ‘색+동그라미’, ‘네모’, ‘색+밑줄’, ‘색+세모’ 7가지 방법이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본고는 체계적인 시각적 입력 강화 방안을 마련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이에 따라 피동 및 사동 표현 예시에 대한 강화 방안을 적극성 수준에 따라 ‘최소 수준’, ‘소극적 수준’, ‘중간 수준’, ‘적극적 수준’, 4단계로 제안하였다.

      • KCI등재

        의미 규범의 문법교육적 재개념화

        노하늘(Noh Hanul),신희성(Shin Heese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8

        본 연구는 국어교육 및 문법교육 내에 ‘의미 규범’ 개념을 도입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기에, 한 사람이 사회화되는 과정에서 사회 규범은 중요한 동기로 작용한다. 이때 사회의 규범은 반드시 그러하거나 그러지 말아야 하는 것뿐 아니라 일반적으로 그러하거나 그러하지 않는 것 모두를 포함한다. 그간 국어교육 및 문법교육에서는 어문 규정을 중심으로 언어 형식의 의무적 규범만을 규범 범주에 포함시켜 왔다. 하지만 의미는 교육적 중재 없이 관찰이 어렵다는 점, 문법교육이 주체적으로 의미를 구성하는 학습자상을 지향한다는 점 등에서 의미 규범 역시 문법교육에서 주요하게 다루어질 필요가 있다. 의미 규범의 교육은 특히 내용뿐 아니라 방법적 측면에서 사회적 구성주의를 적극 지향한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있다. This study is aimed at introducing the concept of Semantic norm with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especially grammar education. Because human is a social animal, the social norm serve as an important motivation in socializing. The norm of society includes not only what it should or should not be done, but what it generally does or does not. Until now,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grammar education have been regarded the injunctive norm of language forms as a norm of language, focused on the Regulation of Standard Korean. However, the semantic norm also needs to be considered as a major part of grammar education, based on the fact that it is difficult to observe the meaning without educational mediation and that grammar education pursues learners who make up the meaning in their own way. Education of semantic norms has value of its social constructivist perspective not only in content but also in methodical terms.

      • KCI등재후보

        학습자의 문장 구조 이해력 신장을 위한 구문도해 활용 방안 연구 - 관형사절을 중심으로

        노하늘 ( Noh Hanuel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18 한국어문교육 Vol.24 No.-

        이 연구는 정보 시각화의 관점에서 상자식 구문도해 방법을 활용하여 문장 구조에 대한 문법적 정보를 시각화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일차적으로 문헌 검토를 통해 구문도해를 ‘문장 구조를 학습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시각화한 교육적 도구’로 정의하고, 고등학교 『독서와 문법』 6종 교과서 및 중학교 『국어』 14종 교과서에 나타난 구문도해의 양상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현재 문법 교과서에서는 상자식 및 종합식 도해와 수형도를 활용하는 도해, 3가지 방법이 활용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 따라, 여전히 구문도해의 방식이 문장 구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도구로서 활용되고 있다는 가정하에, 관형사절에 대한 구문도해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교과서에 제시된 관형사절에 대한 예문을 모두 추출하여 이를 동격절과 관계절로 분류하고, 관계절의 생략된 문장 성분 및 어절 수를 기준으로 문장 구조 분석의 난이도를 평정하였다. 그 결과를 바탕으로 학습자의 문장 구조 분석을 지원할 수 있는 관계절에 대하여 상자식 구문도해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visualize grammatical information about sentence structures using a box-shaped syntactic diagram from the perspective of information visualization. To do this, it primarily defined the syntactic diagram as ‘an educational tool visualized for learners to easily understand sentence structures’ by a literature review, then the syntactic diagrams of six kinds of Reading and Grammar text books used at high schools and 14 kinds of Korean Language text books used at middle schools were analyzed.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ree kinds of diagrams are currently being used in grammar textbooks and they include the box style, the bottom-up tree diagram and top-down tree diagram.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bove studies, assuming that the syntactic diagrams are still used as a tool to provide information on sentence structures, and syntactic diagrams have been used to construct a framework, this study intended to suggest a syntactic diagrams for determiner clauses. All examples for the relevant sentences provided in the textbooks were extracted and classified into sections related to the corresponding clauses, and an analysis was performed on sentence structure difficulty levels based on the omitted sentence components and word count in the relevant clause. Based on the results, the box-style syntactic diagrams were proposed for related clauses, which can help learners analyze sentence structures.

      • KCI등재

        중학교 언어문화 프로그램 개발 및 인성 교육 프로그램 인증 사례 연구 - 청소년 언어문화 프로그램 ‘따뜻한 언어 행복한 우리 아름다운 세상’을 중심으로 -

        정혜현,노하늘,조재윤 한국어교육학회 2020 국어교육 Vol.0 No.171

        This case study focuses on a language-culture program and a certification of character education program for middle school students. Through the Ministry of Education’s character education program certification system, youth language-culture status and language-culture program schooling for middle school students attempts to strengthen the connection between language-culture education and character education for teenagers, in order to gather data for institutional expansion. The middle school language and culture program, ‘With Warm Words, We are Happy, the World Becomes Beautiful’, modularized the core values and virtues presented in Article 2 of the Personality Education Promotion Act, covering six themes: “judging consciousness,” “discriminatory language,” “conversations with parents,” “formal conversations outside of school,” “online language,” and “language of empathy and consideration.” After conducting a middle school language-culture program for one class of 1st year middle school students, and validating the program’s effectiveness, the program examines participants using a KEDI character test paper, certifi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s part of the character education program. This specific middle school language-culture program is meaningful in that it was the first language-culture character education program certifi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it attempted to disseminate and proliferate the middle school character education program from an institutional perspecti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