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척수 손상시 Methylprednisolone, Naloxone 투여에 의한 뇌 유발 전위 변화에 관한 연구

        노영순,최영석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1992 고려대 의대 잡지 Vol.29 No.3

        Spinal cord injury may occur during surgical correction of spinal deformity. In this situation, administration of glucocorticoid steroids or opiate receptor antagonists have been known to improve spinal cord damage. Although therapeutic modalities for the management of acute trauma of the spinal cord has yielded conflicting results, controversy continues regarding their effectiveness. We evaluated the effects of methylprednisolone and naloxone on cortical somatosensory evoked potentials (cortical SEPs) measured in 21 cats undergoing compressive injury on the posterior spinal cord. After induction with pentobarbiturate (50mg/kg. im), a balloon tipped catheter was inserted into the epidural space with the tip located at thoracolumbar junction. Spinal cord compressive injury was produced by balloon inflation for 20 minutes. One hour after injury. a bolus intravenous injection of saline (1 ml/Kg). methylprednisolone (30 mg/Kg). or naloxone(10mg/Kg) were injected. Cortical SEPs were determined after induction of anesthesia. during the spinal cord compressive injury at 5, 10. 15, and 20 minutes. after administration of methylprednisolone or naloxone. The methylprednisolone group showed a significantly greater improvement in the latencies and amplitudes of the cortical SEPs compared to other two groups. The naloxone group showed less degree of recovery in the cortical SEPs response. We conclude that in acute spinal cord compressive injury, with the dose used in this study, treatment with methylprednisolone improves neurologic recovery in the cortical SEPs greater than naloxne.

      • [0.Ω]에 의한 位相空間들의 상호관계에 대하여

        盧永淳 공주대학교 사범대학 과학교육연구소 1982 과학교육연구 Vol.14 No.1

        We see that the toplogical space has an implication with each other, In this paper, we define the ordinal space, [0,Ω],[0,Ω[, and using the special property of this space, we study the relations of each space. In particular, adding the simple spaces, we note this relations by the diagram (of the main classes of toplogical spaces discussed in this paper.) in order to see more easily. 1. Preliminary Definition 1: Let λ be any ordinal number and in [0,λ] use the topology generated by all sets of form {x/x>α} and {x/x<β}. We call this topological space the ordinal space [0,λ]. This space have the sets ]α,β]={x/x>α}λ{x/x<β+1} as a basis for the topology. And we know that [α,β[ is open if and only if α=0 or if α has an immediate predecessor. Let ??, be the first ordinal number larger than ??. When treated as an ordinal number, ?? is denoted by Ωand called the first uncountable ordinal. In stead of λ we use Ω and then get the ordinal space [0,Ω]. The ordinal space[0,Ω[ is subspace of the ordinal space [0,Ω].

      • 국소약개주기성에 관하여

        盧永淳 공주대학교 사범대학 과학교육연구소 1993 과학교육연구 Vol.24 No.1

        변환군(X,T)에서 위상공간 X의 점 χ에 대하여 만일 U를 χ의 한 근방이라면 xA⊂U를 만족하는 T의 좌 신데틱 부분집합 A가 존재할 때 T를 x애서의 개주기라 한다. 본 논문에서는 개주기성 보다 조건이 강한 국소약개주기성에 관한 몇 가지 성질을 조사하고 다음의 결과를 얻는다. X가 국소 콤팩트 T₂-공간 일 때 다음 (1),(2),(3)은 상호 동치이다. (1) T가 국소약개주기이다. (2) T가 이산국소약개주기이다. (3) T에서의 모든 orbit-closure들의 모임은 X의 star-closed decomposition이다.

      • 지역문제 대응에 있어 지역연구의 역할과 정책적 함의 : 전주시를 사례로

        노영순 서울대학교 국토문제연구소 2023 地理學論叢 Vol.69 No.-

        현재 지역이 처한 문제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발전의 기회를 가지고 위하여 지역의 역사와 장소성, 주민들의 삶에 방식에 대한 고찰, 현재 처한 여건과 미래전망에 대한 분석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따라서 이에 관련 학계나 연구 집단은 물론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 차원에서도 지역연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아카데미즘에 입각한 회고적 접근이라는 비판에서 벗어나 앞으로 지향해야할 지역연구의 접근방향은 역사·지리·문화·경제 등 다분야간의 융합을 꾀하고 지역주민의 참여와 소통이 기본 전제가 되어야 하며, 지역사회의 현안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는 ‘정책 지역연구’를 지향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전주시의 사례를 통해 현 시점 지역연구의 실천적 의미를 기억(Remembrance), 회복(Resilience), 재생(Regeration) 등 ‘3R’로 규정하고 지역정책과 지역연구 간의 선순환 관계를 제시한다. In order to actively respond to the current problems of the region and have opportunities for development, consideration of the history and placeness of the region, the way of life of the residents, and analysis of the current conditions and future prospects are of paramount importance. Therefore, interest in regional studies is increasing not only in related academic and research groups, but also at the level of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Moving away from the criticism of retrospective approach based on academism, the approach direction of regional research that should be pursued in the future should seek convergence among various fields such as history, geography, culture, and economy, and the participation and communication of local residents should be the basic premise. It should aim for ‘policy regional studies’ that actively responds to current issues. Through the case of Jeonju, this study defines the practical meaning of regional research at the present time as ‘3Rs’ such as Remembrance, Resilience, and Regeneration, and presents a virtuous circle relationship between regional policies and regional studies.

      • KCI등재

        ‘조용한 항해’: 월드비전과 국제기아대책기구의 남중국해 해상 구조 활동

        노영순 한국해양대학교 국제해양문제연구소 2024 해항도시문화교섭학 Vol.- No.30

        이 연구는 1978-1979년 동안 남중국해에서 월드비전과 국제기아대책기구에 의해 운영된 구조선의 활동을 통해 해상 난민 구조의 변화하는 본질을 분석한다. 특히, 칼로더, 씨스윕, 아쿠나 선박의 사례를 중심으로 해상에서의 민간 구조선의 보트피플 구조 활동의 변화와 이와 관련된 지역적, 국제적, 상호작용의 역동성을 조명한다. 본문은 이 선박들이 어떻게 다양한 구조 활동을 조정하고 실행했는지, 그리고 이 과정에서 나타난 인도주의적 접근과 전술의 변화와 발전을 분석한다. 본 연구의 중요한 의미 중 하나는 보트피플 위기 동안 민간 및 비정부기구 수준에서 해상 구조 노력이 처음으로 시도된 사례를 다룬다는 점이다. 이러한 첫 시도는 해상 구조 활동은 물론 해상 인도주의의 획기적 변화를 가져왔으며, 이는 국제 난민 문제 해결에 새로운 차원을 더했다. 또한, 월드비전과 국제기아대책기구와 같은 NGO가 해상 구조 활동에 있어서 겪은 도전과 한계, 그리고 이들을 극복하고자 했던 전략적 모색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이 연구는 해상 난민 구조 활동의 역사적 맥락과 그 변화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현재와 미래의 유사 상황에 대한 이해와 준비에 기여할 수 있는 통찰력을 제공할 것이다. The paper discusses the humanitarian maritime search and rescue operations conducted by World Vision and Food for the Hungry International in the South China Sea, particularly during the boat people crisis of 1978-1979. The NGOs deployed ships like Seasweep, Cal Loader, and Akuna to assist refugees in distress, setting a precedent for non-governmental operations in international waters. The efforts were aimed at saving boat people who faced perilous conditions at sea due to political and social upheavals in their home countries, notably Vietnam. The paper covers the initiation of these operations, which were among the first of their kind, and explores the logistical and strategic challenges faced by the NGPs. The paper delves into the broader implications of these rescue missions, discussing the impact on international maritime regimes and the policies of refugee assistance. Additionally, the roles of different ships in the operations, their operational successes and failures, and the eventual legacy of these missions in terms of shaping future humanitarian efforts at sea are thoroughly analyzed. The analysis includes primary sources from NGO records, witness accounts, and substantial documentary evidence, providing a detailed narrative of the events and the critical humanitarian efforts made during a complex period of maritime crisis.

      • KCI등재

        1976~1977년 아시아종교평화회의(ACRP)의 <보트피플 구조 프로젝트>로 본 비정부기구와 틱녓하인의 해상난민 구조

        노영순 전남대학교 글로벌디아스포라연구소 2022 디아스포라 연구 Vol.16 No.1

        This study deals with the <Boat People Rescue Project> of the Asian Conference of Religion for Peace(ACRP) and Thích Nhất Hạnh(釋一行) in 1976-1977. Chapter II explains the birth and embodiment of the <Boat People Rescue Project> through the contact of ACRP members and Thích Nhất Hạnh with Boat People in Singapore, and analyzes the perspective and methodology for the boat people rescue of ACRP as an Asian INGO and Thích Nhất Hạnh as an individual. Chapter III focuses on Roland and Leap Dal of ACRP/WCRP, the INGO's first refugee rescue ship, and examines the identity and situation of the boat people rescued by the two rescue ships. Chapter IV identifies the meaning of the turnaround of the <Boat People Rescue Project> through an analysis of the issues in which ACRP/WCRP and Thích Nhất Hạnh were in conflict. In the last chapter, the meaning and impact of ACRP's <Boat People Rescue Project> are examined.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identified how the ACRP/WCRP recognized and tried to solve the boat people problem, and revealed how individuals sympathized with the boat people and became the subject of problem solving. 본 연구는 1970년대 중반 아시아종교평화회의(ACRP)와 틱녓하인(Thích Nhất Hạnh, 釋一行)의 보트피플 구조 활동을 다룬다. 국가나 국제기구가 아닌 민간 차원에서 기획되고 수행된 최초의 조직적이고 인도주의적인 노력에 초점을 맞춘 본 연구를 통해 초기 보트피플 구조에 대한 국제비정부기구와 자연인인 개인의 보트피플에 대한 인식과 구조 방법에 대한 관점이 드러날 것이다. 본문의 Ⅱ장에서는 ACRP, 틱녓하인, 보트피플의 만남을 통해 <보트피플 구조 프로젝트>가 탄생하고 구체화되는 과정, INGO로서의 ACRP/WCRP와 개인으로서의 틱녓하인이 가지고 있던 보트피플 구조에 대한 시각과 방법론을 분석한다. Ⅲ장에서는 INGO의 최초 난민 구조선인 ACRP/WCRP의 롤랑(Roland)과 립달(Leap Dal)에 초점을 두며, 두 구조선이 구조한 보트피플의 정체와 상황을 살펴본다. Ⅳ장에서는 ACRP/WCRP와 틱녓하인이 갈등했던 사안에 대한 분석을 통해 <보트피플 구조 프로젝트>의 국면전환이 갖는 의미를 파악한다. 마지막 장에서는 ACRP <보트피플 구조 프로젝트>의 의미와 영향을 짚어본다. 본 연구의 의미는 국제 민간기구(INGO)가 보트피플 문제를 어떻게 인식하고 해결하려고 했는지를 규명하고 자연인인 개인이 어떻게 보트피플에 공감하고 문제해결의 주체가 되었는지를 밝혔다는 데에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