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헬스케어 응용 서비스를 위한 Mobility Agent 모듈 설계
남진우,정영지,Nam, Jin-Woo,Chung, Yeong-Jee 한국정보통신학회 2008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12 No.2
헬스케어 응용 서비스를 위한 센서 네트워크는 사람 또는 이동성을 가진 사물을 주요 센싱 대상으로 한다. 이러한 센싱 대상들의 이동에 따른 노드간 상호작용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노드의 동적 기능변경, 동적 자기구성, 에너지 효율성을 고려하여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노드간 에이전트 전이를 통해 동적 기능 변경을 지원하는 Agilla 모델과 노드간 계층적 클러스터의 구성을 통한 동적 자기구성, 에너지 효율성을 보장하는 LEACH 프로토콜에 대해 분석 한다. 이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노드간 동적 기능변경을 지원하는 Mobility Agent Middleware를 설계하고, 기존 LEACH 프로토콜의 취약점인 노드 이동성을 보장하는 LEACH_Mobile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또한 LRACH_Mobile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라우팅 모듈을 설계하고 Mobility Agent Middleware와의 연동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설계하였다. 그리고 LEACH_Mobile 프로토콜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통해 이동 노드에 대한 데이터 전송 성공률의 명확한 성능 향상을 보여준다. The sensor network for the health care application service has the man or movable object as the main sensing object. In order to support inter-node interaction by the movement of such sensing objects, the node's dynamic function modification, dynamic self-configuration and energy efficiency must be considered. In this paper, the Agilla model which supports the dynamic function modification through the agent migration between nodes and LEACH protocol which guarantees the dynamic self-configuration and energy efficiency through the configuration of inter-node hierarchical cluster configuration are analyz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e Mobility Agent Middleware which supports the dynamic function modification between nodes is designed, and LEACH_Mobile protocol which guarantees the node nobility as the weakness of the existing LEACH protocol is suggested. Also, the routing module which supports the LEACH_Mobile protocol is designed and the interface for conjunction with Mobility Agent Middleware is designed. Then, it is definitely increase performance which un mobility node of transfer data rate through LEACH_Mobile protocol of simulation result.
매복 하악 제3대구치 발치와에 Atelo-collagen Sponge 삽입이 제2대구치 예후에 미치는 영향
남진우,김경욱,Nam, Jin-Woo,Kim, Kyung-Wook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 2009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지 Vol.35 No.2
Extracellular matrix(ECM) is known to function as a reservoir of endogenous growth factors, can be an effective delivery system of growth factor that easily lost bioactivity in solution. Fibrillar collagens like type I collagen, are the major constituent of the ECM and structural protein of bone. Also, it can be a scaffold for osteoblast migr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s of absorbable Atelo-collagen Sponge($Teruplug^{(R)}$) insertion in tooth extraction sites on periodontal healing of the mandibular second molar after the extraction of the impacted third molar. The study population comprised 31 cases who had been scheduled for surgical removal of impacted mandibular third molars. All patients were in good general health and were not using any medication that would influence wound healing after surgery. In 15 cases control group, none was inserted into the tooth extraction site. In 16 cases experimental groups, $Teruplug^{(R)}$ was inserted into the tooth extraction site. We evaluated tooth mobility, pocket depth, gingival margin level preoperatively and 1 week, 2 weeks, 4 weeks, and 3 months postoperatively. The change was compared with two groups using Mann-Whitney tes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of tooth mobility on both groups. 2. There was tendency of decreasing of previous pocket depth causing tooth extraction on both groups. 3. On gingival margin level, there was various change according to initial swelling and loss of attachment on both groups. 4. There was tendency of decreasing of gingival margin level on both groups because of removal of inflammation and decreasing of previous pocket depth. 5. There was large change of pocket depth on buccal middle, distal, lingual distal area because of tooth extraction and bone reduction.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and experimental group, we observed significant difference during some period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absorbable atelo-collagen sponge($Teruplug^{(R)}$) is relatively favorable bone void filler with prevention of tissue collapse, food packing and enhance periodontal healing.
자유주제 : 윤동주 시에 나타난 향암성(向暗性)의 상상력
남진우 ( Jin Woo Nam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2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38
Dong Joo Yoon occupies a firm position in Korean literature as a representative poet of the late Japanese colonial period. As Dong Joo`s rhetoric nicknames such as ``the star in the dark age sky`` or ``the last star of the colony`` tell us, his poems written during the period of the aggravated oppression of Japanese imperialism have been interpreted as dealing with Korean ethnic group and resistance even though his work is lyrical and introspective by nature. Accordingly, the image of the light/dark in the poems are interpreted in a way that fits best for the mainstream interpretation. In other words, the unilinear interpretation that the dark in the poems is viewed as a metaphor for the colonial era and the light in the poems is viewed as the sign of hope for the independence of one`s country has been the mainstream interpretation. Attempting to interpret Dong Joo Yoon`s poems in the light of psychoanalysis, this article searches for the meaning of imagination of Scototropism in his poems. As a result, such attempt could unearth the phenomenon of mother fixation, the desire to return to the womb and other desires buried deep in the poet`s subconscious through a detailed image analysis. What I found is the poet wanted to live as a pure soul kept desire and passion in his inner world that he couldn`t even sense and control. From this perspective, his poems depict the cyclical journey: a soul expelled from the maternal space wonders the world experiencing discord and proceeds to the moment of gaining the imaginative sense of unity with the mother. Therefore, the stereotype of the manifestation that the dark image is negative and the light image is positive should be modified.
윤동주 시에 나타난 빛/어둠의 이원적 상상 구조 -간(肝)을 중심으로
남진우 ( Jin Woo Nam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2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49
한국 시문학사에서 일제 식민지 시대의 마지막 불꽃으로 평가 받는 윤동주 시인의 시 세계에 대해선 이미 많은 비평적 접근이 이루어져왔다. 일제의 가혹한 식민지배 아래 옥사한 그의 이력 때문에 그의 시는 주로 저항과 희생과 신념이라는 시각에서 다루어져 왔다. 그러나 그의 작품에 대한 면밀한 독해를 통해 그의 시를 순수와 고독과 내면성의 차원에서 바라보아야 한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어가고 있다. 본 논문에선 윤동주의 시적 매혹의 원천이 젊은이 특유의 내향적인 자기 성찰에서 연유한다고 보고 이를 정신분석학의 관점에서 접근해보고자 한다. 특히 윤동주의 시에 나타난 빛/어둠의 이원적 구조가 이 시인의 무의식과 관련을 맺고 있는 양상을 파악해보고자 한다. 그의 시에서 화자는 종종 짙은 어둠에 둘러싸인 채 빛을 희구하는 모습으로 등장하곤 한다. 하지만 그는 단지 어둠에 대해서 부정적인 감정을 느끼고 빛-새벽-태양에 대해 긍정적으로 반응하는 단선적인 태도를 취하지는 않는다. 빛/어둠 모두에 대해 그는 긍정/부정의 양가적 감정과 태도를 갖고 있다. 이는 고향, 방, 우물, 병원 뒤뜰 같은 이 시인이 애호하는 공간 이미지와 연결돼 이 시인의 무의식 속에 숨어 있는 모성으로의 회귀 욕망을 짐작하게 해준다. 부성(父性)과 로고스를 상징하는 빛은 그에게 세상으로 나아갈 것을 요구하지만 모성과 여성성을 나타내는 어둠은 그를 포근히 감싸주며 안식을 선사한다. 시인의 의식과 무의식은 이 양극 사이에서 찢겨 있으며 이러한 대립은 그를 갈등과 번민으로 몰아넣는다. 어머니의 어두운 체내에 머무르고 싶어하는 무의식적 충동이 은밀한 자기처벌의 욕망을 부르고 이것이 그의 시를 관류하는 죽음 충동과 연결된다. 어두운 시대현실 속에서 이 시인이 내보인 속죄양 의식의 저변엔 이런 무의식적 드라마가 숨어 있다고 볼 수 있다. There are many existing critics on the poems of Yoon Dong-joo who was recognized as the last flame of Korean poetry in Japanese colonial times. His poems were studied mainly on the angle of ``Resistance``, ``Sacrifice``, and ``Belief`` owing to his life history of the death in prison by the Japanese oppression. However, the opinion that his poems should be understood on the viewpoint of ``Pureness``, ``Solitude`` and ``Inner Spirit`` through the elaborate reading on his poems has been prevailed. This paper approaches his poems on the psychoanalytical viewpoint, under the premise that the fascination of his poems is rooted in the introvertive self-examination peculiar to the youth. Especially, this paper studies the aspect that the dual imagination structure represented as Brightness/Darkness is connected to his unconsciousness. In his poem, the persona often emerged as the shape aspirating brightness, surrounded by thick darkness. However, he did not take the single-dimensioned standpoint that darkness was felt as negative impression and brightness-daybreak-sun was represented as positive sense. He took the dual feeling and dual aspect on both brightness and darkness, This was connected to the space image such as hometown, room, water well, and hospital backyard that he used frequently in his poems This fact implied that he had the revolving aspiration to the motherhood hidden under his unconsciousness, The brightness symbolizing fatherhood and logos asked him to go to the world, the darkness showing motherhood and femininity embraced him softly and gave him the rest. His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is split between these two aspects, and this kind of confrontation drove him into complication and mental agony. The unconscious impulse staying in the darkness of mother`s body caused the aspiration of self-punishment, and this was connected to the death drive flowing through his poems. This kind of unconscious drama was hidden under his poems expressing the atonement for his si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times.
남진우(Jin Woo Nam) 한국통상정보학회 1999 통상정보연구 Vol.1 No.1
최근의 통상환경중 「Logistics」혁명을 통한 컨테이너 운송의 신속화, 인터넷혁명을 통한 전자상거래 활성화는 EDI, EC등을 통해 「Paperless trade」가 실현을 앞당기고 있다. 본 논고는 이러한 물류혁명과 인터넷 정보기술의 발달로 대두되는 문제중 기존의 종이서류로서의 운송서류를 전자식 운송서류로 대체하는데 따른 문제점과 이의 활성화 방안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인터넷 전자거래가 활성화되어지면 기존의 종이서류들은 전자메시지로 대체될 것으로 여겨진다. 이에 따라 전자계약서, 전자송장, 전자보험증권, 전자선하증권 등이 출현할 것이지만 이중 무엇보다도 전자식 운송서류중 유통성 운송서류의 전자화는 그간 전자화의 핵심부문으로 여겨서 상당한 중요성을 두어왔다. 현재 이용되는 유통성 운송서류는 그간 선하증권의 지연도착문제와 이에 따른 추가 경비의 소요, 또한 선하증권 발급에 따른 부대경비의 과다소비, 종이서류로서의 선하증권의 위조에 따른 사기문제 등에 제기되어 졌고 이에 따라 선취화물보상장 등의 현실적 대안이 제시되었지만 이 또한 여러 문제점을 야기시켜왔다. 전자식 운송서류는 이러한 문제점을 다소 해소할 수 있는 방안으로 알려져 왔다. 전자거래가 활성활 될 미래에는 운송서류의 전자화는 필연적으로 대두되게 될 것이고, 이러한 전자화에 있어 해상운송장의 사용은 바람직한 모델로 여겨지고 있다. 그렇지만 전매가 잦은 산업에 있어 해상운송장은 자체의 유통성의 미비로 인해 그 사용에 문제점이 있고, 실제 상관행에서 많은 이점을 가진 선하증권의 발행 욕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본 논고에서는 전자식 운송서류의 활성화 방안으로 첫째, 전자식 운송서류에 관한 법률정비가 필요할 것으로 여겨지며 둘째, 유통성 전자식 운송서류에 있어 관리기관의 안정성이 확보되어야 할 것으로 여겨지며 셋째, UCP에서 전자식 운송서류에 관한 조항이 삽입되어져야 할것으로 여겨지며 넷째, 여러 측면에서 우위성을 지닌 전자무역거래의 활성화는 점차적으로 운송서류의 전자화를 활성화시키는데 반드시 필요한 명제로 등장할 것으로 여겨진다.
남진우(Jin Woo Nam) 한국통상정보학회 1999 통상정보연구 Vol.1 No.2
현재 세계적으로 전자적 정보매체중 인터넷의 여러 기술적 방편인 Web, E-Mail, usenet 등을 통한 인터넷 무역이 보편화되어가고 있는 실정이다. 기존의 부가가치통신망(VAN)을 이용한 EDI에서 보다 보편적이며 접근이 용이하면서 개방적인 인터넷 EDI로 대체되고 있다. 인터넷을 이용한 무역계약의 체결은 기존 방식에 비해 신속성, 경제성, 편리성에 있어 뛰어난 장점을 지니고 있어 조만간 많은 이용이 뒤따를 것으로 예견되나 현재 준거법, 문서의 법적효력, 계약의 유효성, 청약의 유인, 계약성립시점 등의 법적 문제가 해결되어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특히 계약성립시점에 관하여 인터넷을 통한 승낙의 의사전달이 대화자간인지, 격지자간인지의 여부가 불투명한 실정이다. 대화자간 법리와 격지자간법리의 구분기준은 발신과 도달의 시간적 동시성을 기준으로 분석하는 것이 보다 합리적일 것으로 여겨진다. 본 연구는 현재 인터넷을 이용한 의사전달 중 가장 많은 이용이 예상되는 E-Mail을 중심으로 기타 인터넷기술을 이용한 의사전달의 효력발생시점에 관한 법리를 분석하고 만일 대화자간의 법리가 적용된다면 문제시될 도달시점에 대해서 논의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살펴보았을 때, 인터넷을 통한 승낙의 의사전달은 대화자간의 법리가 적용되어 영·미법이나 한국, 일본법이 준거법으로 채택된다 하더라도 도달주의가 지지되어야 하며, 이 경우 도달시점은 E-Mil의 경우 수신측 사용자 컴퓨터가 아닌 수신자가 지정한 수신서버컴퓨터에 기록되는 시점이 되어야 한다는 견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