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금융소비자의 펀드투자이해력에 있어서 자기과신과 과소평가의 결정요인 및 펀드투자 행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나혜림(Na, Hyerim),조혜진(Cho, Hyejin),최현자(Choe, Hyuncha) 한국소비문화학회 2014 소비문화연구 Vol.17 No.3

        본 연구는 금융소비자의 지식과 지식인지 수준의 불일치에 초점을 맞추어 펀드투자자를 중심으로 자기과신 및 과소평가의 결정요인을 알아보고, 이러한 특성이 펀드투자 행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객관적ㆍ주관적 펀드투자이해력의 표준점수를 기준으로 금융소비자를 유형화하였으며, 사회ㆍ인구학적 특성, 재무적 특성, 심리적 특성, 재무교육ㆍ상담관련 특성을 중심으로 금융소비자의 자기과신 및 과소평가의 결정요인을 살펴본 후 자기과신 및 과소평가에 따른 펀드투자 행태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금융소비자 유형화를 실시한 결과, 객관적ㆍ주관적 펀드투자이해력 수준이 모두 평균 이상인 고 이해력 집단이 전체 조사 대상자의 31.7%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고, 객관적ㆍ주관적 펀드투자이해력 수준이 모두 평균 미만인 저 이해력 집단이 30.3%로 그 뒤를 이었다. 한편 지식 및 지식인지 수준 간의 불일치가 존재하는 자기과신 성향을 지닌 집단과 과소평가 성향을 지닌 집단은 각각 9.1%와 28.9%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장 바람직한 집단인 고 이해력 집단을 기준으로 하여 금융소비자의 자기과신 및 과소평가의 결정요인을 규명해본 결과, 두 가지 유형의 지식 및 지식인지의 불일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사회ㆍ인구학적 특성, 재무적 특성, 심리적 특성, 재무교육관련 특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투자자교육을 받은 사람이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자기과신 성향을 가질 확률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나, 교육 실시 이후에 꾸준한 사후평가 및 피드백이 이루어질 경우 투자자교육이 자기과신 성향의 예방 및 개선에 긍정적인 역할을 할 수도 있음을 시사하였다. 셋째, 금융소비자의 자기과신 및 과소평가 성향에 따른 펀드투자 행태를 분석해 본 결과, 투자유형, 투자방법, 보유기간, 평가총액과 투자 원금의 비교, 적립식 펀드와 임의식 펀드의 월 불입액, 투자 총액, 연평균 기대수익률, 펀드투자 만족도, 어려움 및 불만의 차이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궁극적으로 본 연구는 자기과신 뿐만 아니라 기존 연구에서는 거의 다루어지지 않았던 과소평가 성향까지도 함께 다룸으로써 지식 및 지식인지 불일치의 결정요인과 이러한 특성이 재무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해를 심화하고, 실무 및 교육적 측면에서 실질적인 함의를 도출하였다는 의의를 지닌다. Financial consumer's objective financial literacy and subjective financial literacy both play important roles in rational financial decision making. So this study focused on inconsistency between knowledge and knowledge perception and explored determinants and effects on fund investment behavior of overconfidence and underconfidence. This study classified financial consumers into overconfidence group and underconfidence group based on T score of objective and subjective fund investment literacy and investigated determinants with socio-demographic, financial, psychological and financial educationㆍcounseling characteristics. Lastly, we analyzed the effects of overconfidence and underconfidence on fund investment behavior.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classification, the group with high objective literacy and high subjective literacy had the highest percentage (31.7%) and the group with low objective literacy and low subjective literacy followed (30.3%). Meanwhile, the groups of overconfidence and underconfidence accounted for 9.1percent and 28.9percent. Second, this study investigated determinants of financial consumer's overconfidence and underconfidence based on high literacy group, that is, most desirable group using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determinants of two type's inconsistency between knowledge and knowledge perception were socio-demographic, financial, psychological and investor education factors. Especially, it was verified that investor education may have a positive role in prevention and improvement of overconfidence with post evaluation and feedback after education because people who experienced investor education were less likely to have overconfidence. Third, the differences of investment type, method, holding period, comparison between the principal and an appraisement, monthly investment of installment fund, total amount of investment, the yearly expected rate of return, fund investment satisfaction and dissatisfaction were significant depending on overconfidence and underconfidence.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significance. First, this research deepens understanding of determinants of gap between knowledge and knowledge perception and effects of overconfidence and underconfidence on financial management behavior by covering not only overconfidence but also underconfidence which was not treated in previous research. Second, This study suggests the education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 KCI등재

        보령 명천동 유적을 중심으로 본 소도(蘇塗)와 의례공간

        나혜림 ( Na Hye-rim ) 백제학회 2017 백제학보 Vol.0 No.22

        보령 명천동 유적은 동쪽으로 차령산맥의 말단부인 성주산이 위치해 있으며 서쪽으로는 서해와 인접해 있다. 현재 조사지역과 서해까지는 약 5km정도인데 간척사업으로 인한 육지의 확장을 감안한다면 이전에는 더 가까웠을 것이라 생각된다. 이렇듯 유적이 형성된 곳은 바다와 산이 동서로 인접해 있는 저구릉지의 평탄면에 해당되는 곳에 3개의 환호가 연접하여 위치하고 있다. 이들 환호는 지점별로 환호의 다중여부가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일시에 축조된 것이 아니라 환호를 사용하면서 부분적인 구의 추가가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 환호의 내부와 외부에는 현재까지 동시기 유구가 뚜렷하게 확인되지 않고 있어 환호를 중심으로 이 일대는 공지가 형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환호 내부에는 주공이 확인되고 있지만 이것들을 내부 건축물 및 시설물, 입대목으로 보기는 어렵다. 보령 명천동 환호는 환호취락의 성격이 아닌 의례적 성격이 강한 특화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의례를 치루기 위한 성역의 장소로서 독립적으로 입지한 유적은 환호취락 내 의례공간으로 상정할 수 있는 공지, 즉 광장이 존재하는 유적들과는 다른 성격을 가진다고 볼 수 있다. 환호취락 내 광장을 영유했던 집단은 취락을 형성하고 있는 환호 안팎의 거주민들로 국한되었을 것으로 판단되며 광장이 갖고 있는 의례공간으로서의 성격 이외에도 정치적, 사교적인 기능을 겸비한 복합적 공간으로 볼 수 있다. 반면 독립적인 의례공간의 경우 이를 시설하고 관리하기 위한 별도의 기구가 필요했을 것이라 판단된다. Boryeong Myungcheon-dong remains are located in the eastern part of Mt. Sungju, which is the end of the Charyeong mountain range. It is about 5km from the present survey area to the west sea, and considering that the expansion of the land due to the reclamation project is considered, it would have been closer in the past. In this place, three places of Hwanho were arranged side by side on the low flat plain of the sea where the mountains and the mountains are close to the east and the west. These Hwanho appear to overlap in various ways in each region, which seems to have been partially added to the use rather than being built at the same time. It is presumed that vacant places inside Hwanho are formed because the same time period has not been clearly confirmed inside and outside the Hwanho. There is a hole in the interior of the Hwanho, but it is difficult to see these as internal buildings and facilities. This aspect indicate that Boryeong Myungcheon-dong Hwanho is not a personality related to the settlement but a special characteristic of the ritual personality. In the case of other remains site of the Hwanho village, there is an empty space that can be assumed as an independent courtroom space as a place of sanctuary for rites. In other words, it can be said that it has a character different from that of the ruins wheret he plaza exists. It seems that the group that was in the plaza of the Hwanho village was limited to the people living in and out of the Hwanho. In addition to its character as a ritual space, it can be viewed as a complex space containing political and social functions.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n independent court space such as Myungcheon-dong ruins, it seems that a separate mechanism was needed to install and manage it.

      • KCI등재후보

        개별연금 가입여부 및 다층연금체계 가입구조의 결정요인 분석

        나혜림(Hyerim Na),최현자(Hyuncha Choe) 한국FP학회 2014 Financial Planning Review Vol.7 No.4

        본 연구는 은퇴설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연금가입행동에 대한 이해를 심화하기 위하여 공적연금, 퇴직연금, 개인연금의 가입여부를 바탕으로 다층연금체계 가입구조의 유형을 분류하고, 개별연금 가입여부의 결정요인을 알아본 뒤, 다층연금체계 가입구조의 결정요인을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결정요인 분석에 있어서 본 연구는 소비자의 기본적인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재무적 특성 이외에도 연금퍼즐 및 은퇴준비 제약비용 관련 특성에 주목하였다. 분석 결과, 공적연금에 비해 사적연금의 가입률이 상대적으로 낮은 편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11.2%의 응답자가 어떠한 연금에도 가입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노후소득 보장을 위해 공적연금과 사적연금의 균형적인 보유를 유도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개별연금 가입여부의 경우, 사회?인구학적 특성 및 연금퍼즐 특성, 은퇴준비 제약비용 특성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밝혀졌다. 마지막으로 단계적 이행을 바탕으로 다층연금체계 가입구조의 특성을 살펴본 결과, 가장 바람직한 유형인 다층보장형의 경우, 연령이 낮고 전문대졸 이상의 학력을 지니며 총자산이 많고 가입한 보장성 보험의 개수가 많을수록 공적연금과 퇴직연금을 가입한 상태에서 개인연금까지 가입할 확률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하여, 소비자의 안정적인 다층연금체계 구축을 유도하기 위한 방안으로 연금시장뿐만 아니라 의료보험시장, 주택시장 등의 다양한 환경적 요인을 복합적으로 고려할 것, 자녀에 대한 상속 및 지원의 욕구와 노후준비 간의 균형을 유도할 것, 연금가입의 사각지대에 있는 저학력자와 고령자를 배려한 재무 교육 및 상담을 진행할 것 등을 제안한다. This study categorized the purchasing patterns of public pension, retirement plan, and private annuity and analyzed the determinants of each pension ownership and the purchasing patterns of the multi-pillar pension system to deepen our understanding of the decision making process with regard to pensions. Specifically, this study focused on the annuity puzzle and financial constraints on retirement preparation in addition to socio-demographic factors and financial factor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respondents were less likely to join a private pension as compared to a public pension, and the group which did not have a pension accounted for 11.9 percent of the total number of participants. Thus, an approach to convince consumers to buy into public and private pensions at a proper balance is needed. Second, types of pension ownership depended on the socio-demographic, annuity puzzle, and financial constraints on retirement preparation characteristics. Lastly, this study analyzed the purchasing patterns of the multi-pillar pension system based on phased transitions. The result showed that those who were younger, had more education and assets, and who had more insurance coverage were more likely to have three types of pensions, i.e., public, retirement pensions, and private annuity. Based on these results, we suggest that it is important to consider not only the annuity market but also medical insurance and the housing market when analyzing annuity ownership, to provide financial education and counseling for those with lower education levels and for the elderly, and to induce balance between desire of supporting children including bequest motives and retirement preparation to lead consumers to build a stable multi-pillar pension system.

      • 자기통제가 은퇴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구

        나혜림(Hye Rim Na),최현자(Hyun Cha Choe) 한국FP학회 2013 Financial Planning Review Vol.6 No.1

        본 연구는 체계적인 은퇴준비의 중요성은 증대되고 있으나 소비자의 실질적인 준비 수준은 미흡한 현실에 기초하여, 소비자의 은퇴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다차원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소비자의 은퇴준비행동을 보다 포괄적으로 이해하고, 이를 증진시키기 위한 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소비자의 은퇴관련 특성을 살펴보고, 행동재무학 및 계층적 성격모델, 투자자 행동모델을 바탕으로 연구모형을 설정하여 소비자의 은퇴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사회?인구학적 변수뿐만 아니라 성격적, 인지적, 동기적 변수 등 다양한 변수들의 구조를 이용하여 보다 심층적으로 검토하였다. 그 결과, 많은 소비자들이 은퇴준비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실천에 옮기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인구학적 요인의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객관적 은퇴준비행동의 경우에는 거주지 규모, 부채, 주관적 경제수준, 건강상태에 따른 차이가, 주관적 은퇴준비행동의 경우에는 주택보유 여부, 월 평균 소득, 자산, 주관적 경제수준, 건강상태에 따른 차이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통해 자기통제, 금융이해력 및 은퇴목표의 명확성과 은퇴준비행동의 관계를 분석해 본 결과, 자기통제가 은퇴준비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고, 금융이해력과 은퇴목표의 명확성을 매개로 하여 영향을 미치는 간접효과 또한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기통제로 은퇴준비행동을 설명하는 행동 재무학 및 중심적 특성이 표면적 특성을 매개로 하여 사회적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계층적 성격이론을 실증하는 결과이며 소비자의 은퇴준비행동을 이해하고 이를 활성화 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는 데 있어 성격적, 인지적, 동기적 요인을 모두 고려하는 다차원적인 접근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In spite of the growing importance of systematic retirement preparation, Many consumers’ level of preparation for retirement is still insufficient. Under these circumstan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rehensively understand consumer’s retirement preparation, and come up with solutions for promoting retirement planning through investigating the factors that affect consumer’s preparation for retirement with a multidimensional approach. For this, this study tried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related to consumer’s retirement and the factors that influence consumer’s preparation for retirement including not only demographic factors but also various factors such as personality factors, cognitional factors and motivational factors with the empirical model based on behavioral finance, the hierarchical model of personality and the model of investor behavior.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lthough many consumers recognize the necessity of retirement preparation, they don’t practice. Second, the results showed that residence, debt, perceived economic status and health status had an effect on objective retirement preparation. Furthermore, home ownership, monthly income, assets, perceived economic status and health status influenced subjective retirement preparation. Also, from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on the relation of self-control, financial literacy, retirement goal clarity, and retirement preparation findings it was shown that self-control had direct effects and indirect effects through financial literacy and retirement goal clarity on retirement preparation. This result suggested that a multidimensional approach is needed. That is, consumer’s personality factors, cognitional factors and motivational factors should all be considered when understanding and promoting consumer’s retirement preparation.

      • KCI등재

        세종특별자치시 학교급식 조리종사자의 위생교육과 위생관리 수행도 평가

        나혜림 ( Hye-lim Na ),김명희 ( Myung-hee Kim ),최미경 ( Mi-kyeong Choi ) 대한영양사협회 2019 대한영양사협회 학술지 Vol.25 No.1

        This study examined sanitary education and performance of sanitary management among employees related to cooking in school food services in Sejong. A total of 193 subjects (19.2% for kindergarten, 42.5% for elementary school, and 38.3% for middle and high school) participated in this questionnaire survey. The frequency of sanitary education was highest at 63.7% once a month, and it was higher in the order of middle and high school, elementary school, and kindergarten (P<0.001). The most important contents of sanitary education were personal sanitary management (43.5%), food material management (25.9%), and sanitary and safety management of equipment and utensils (17.6%). The necessity of sanitary education recognized by the subjects was absolutely necessary at 69.9% and necessary at 28.0%. The application of knowledge from sanitary education is high in proper application at 50.8% and absolute application at 40.4%. The improvement effect after sanitary education was higher in kindergarten than in elementary school and middle and high school (P<0.01). The performance of sanitary management was high at 4.7 out of 5. In particular, personal sanitary management was the highest in elementary school at 4.8 followed in order by middle and high school (4.7) and kindergarten (4.6) (P<0.01). The necessity of sanitary education and the application of knowledge obtained from sanitary education to the food service showed a significant and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sanitary management performance (P<0.05, P<0.001). These results highlight that the need for customized sanitary education for institution types and an awareness of sanitary education by employees will enhance sanitary management in school food service.

      • KCI등재

        한국 가계의 은퇴준비도 측정

        최현자(Hyuncha Choe),김민정(Minjung Kim),나혜림(Hyerim Na),심현정(Hyeon Jeong Sim),한지형(Jihyung Han),최홍철(Hong Cheol Choi) 한국FP학회 2017 Financial Planning Review Vol.10 No.1

        본 연구는 한국 가계의 전반적인 은퇴준비도를 행복의 관점에서 접근함으로써 평균수명의 증가에 따른 삶의 질적 수준을 계량화하는 은퇴준비도 측정 방법을 제안하였다. 한국 가계의 행복수명을 실증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모형을 검증하고 부족한 부분의 점검을 위하여 선행연구 고찰과 지표개발에 관한 전문가조사 및 예비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활동수명, 관계수명, 건강수명, 경제수명으로 각각 명명한 행복수명 지표의 네 가지 하위영역과 문항을 구체적으로 정의하고 정교화 하였다. 측정도구 구성에는 목표와 계획, 실행 정도의 합으로 각 영역별 행복점수를 측정하는 SPA 모델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행복수명의 평균은 평균 74.9세로 기대수명보다 평균 8.2세 더 낮고, 93%에 이르는 대다수 응답자의 행복수명이 기대수명보다 짧아 전 생존 기간 동안 행복한 삶을 이어나가는 것이 어려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비재무적 은퇴 준비에 있어서 남성의 활동수명과 관계수명, 건강수명이 여성보다 평균 3세~6.5세 낮았다. 남성의 은퇴 이후 시간활용, 가족관계와 대인관계 유지 노력이 필요하며 건강관련 행동 및 습관교정도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셋째, 재무적 은퇴 준비를 나타내는 경제수명은 최근 3년간의 물가상승률과 금리로 추정한 결과 평균 74.8세로, 평균 8.3년의 기간을 경제적 준비없이 보내야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 측정한 행복수명 지표는 효율적인 방법으로 재무적, 비재무적 은퇴준비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경제수명에서 물가상승률과 금리 및 위험관리와 보험에 대한 고려까지 포함한 포괄적인 지표로 구성되었다는 데 의의가 있다. 특히 은퇴기에 지출이 크게 증가하는 중증질환 치료비와 장기간병비를 별도의 항목으로 측정하여 은퇴필요자금에 반영하였으며, 경제적 준비의 일환으로 보험으로부터의 비용 충당 정도를 함께 고려하였다. This study suggests a qualitative measure of the retirement readiness according to the life expectancy in terms of the happy life expectancy. The model was verified by empirically measuring the happiness life span of Korean households. In order to check the deficiencies, we conducted preliminary research, expert research, and preliminary research. Four sub-domains were named and elaborated, viz. activity life, relationship life, health life, and economic life. We used the SPA model to measure the happiness index of each area by summing its levels of satisfaction, planning and a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happiness life span is 74.9 years, which is 8.2 years lower than the average life expectancy. The happiness life span of 93% of the respondents is shorter than their life expectancy. Second, in terms of the non-financial retirement preparation, the relationship, activity, and healthy life span expectancy of the males are 3 ~ 6.5 years lower than those of the females. Third, the economic life expectancy for financial retirement was 74.8 years, with an average life expectancy of 8.3 years without economic preparation. The happy life index is a comprehensive index composed of the financial and non-financialretirement readiness measured in an efficient manner, including economic growth, interest rates, risk management and consideration of insurance. Especially, the medical expenses for severe illness and long - term care costs were measured separately from the retirement funds, and the cost of insurance was considered as part of the economic preparation.

      • KCI등재

        소비자가 평가한 우리나라 금융시장에서의 은퇴설계서비스

        최현자(Hyuncha Choe),김민정(Minjung Kim),장경영(Kyoungyoung Jang),나혜림(Hyerim Na) 한국FP학회 2017 Financial Planning Review Vol.10 No.4

        향후 전문적인 은퇴설계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점차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에서 이러한 서비스를 통해 소비자가 진정으로 만족을 얻기 위해서는 소비자의 관점에서 은퇴설계서비스의 품질을 평가하고 소비자 지향적 서비스의 조건을 도출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비은퇴자를 대상으로 6개 은행, 4개 생명보험사로부터 은퇴설계서비스를 체험하고 품질 평가를 수행하도록 한 후 이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은퇴설계서비스 품질을 상품 품질, 전달 품질, 환경 품질의 3가지 차원으로 측정한 결과 전달 품질, 환경 품질, 상품 품질 순으로 점수가 높았다. 한편, 소비자들은 은퇴설계서비스를 평가함에 있어서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하는 차원의 우선순위를 상품 품질, 전달 품질, 환경 품질 순으로 높게 평가하고 있었다. 이처럼 가장 중요하게 여겨지는 상품품질의 점수가 가장 낮은 수준으로 평가되면서 전반적인 품질 점수를 낮추는 결과를 가 져왔다. 품질에 대한 평가가 전반적 만족도, 재이용 의도, 추천 의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상품 품질과 전달 품질에 대한 평가 점수가 높을수록 전반적 만족도가 증가하고, 전달 품질에 대한 평가가 좋을수록 재이용 의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추천 의향에는 상품 품질, 전달 품질, 환경 품질 모두가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소비자의 관점에서 은퇴설계서비스 품질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고, 이를 토대로 은퇴설계서비스 품질 개선에 대한 함의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Demand for professional retirement planning services is expected to increase in the future and as such it is necessary to evaluate the quality of retirement planning services from the consumer’s point of view in order to derive the conditions for truly satisfying, consumer-oriented service. Accordingly, in this study, non-retirees were given the chance to experience retirement planning services from 6 banks and 4 life insurers after which they were asked to evaluate the quality of their consultations. An analysis of the results followed. The quality of retirement planning services was measured by the three dimensions of product quality, delivery quality, and environment quality. As a result, the evaluation scores were high to low in the order of delivery quality, environment quality, and product quality. On the other hand, consumers ranked in the order of product quality, delivery quality, and environment quality the dimensions that they prioritized when evaluating retirement planning service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of quality evaluation on overall satisfaction, intent to return and intent to recommend, the study found overall satisfaction increased with higher evaluation scores in product quality and delivery quality, and a favorable evaluation of the delivery quality had a positive effect on intent to return. All three dimensions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intent to recommen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s a consumer-based evaluation of the quality of retirement planning services and provides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field based on this evaluation.

      • KCI등재후보

        NIHSS 활용을 통한 뇌졸중 환자 간호의 질향상 전략

        박경현,송경애,공혜성,화주,유수경,박소영,김상희,혜림,배희준,한문구,양미화 한국의료QA학회 2009 한국의료질향상학회지 Vol.15 No.2

        문제: 뇌졸중 환자를 돌보는 간호현장에서는 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증상악화에 대한 조기사정과 적절한 대처가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그러나 임상현장에서는 이를 객관화하고 수치화하여 모든 의료진이 의사소통할 수 있는 유용한 도구를 사용하고 있지는 못하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위해 NIHSS(National Institute of Health Stroke Scale)를 신경과 진료의사를 중심으로활용하고 있지만 아직 간호현장에서는보편적으로사용하지 않고있다. 이에 뇌졸중환자간호에 NIHSS를 활용하여 뇌졸중 증상악화의 조기사정과 빠른 대처로 궁극적으로는 뇌졸중환자 간호의 질을보다 향상시키기 위하여 본활동이 시도되었다. 목적: 첫째, 간호사의 NIHSS 측정 신뢰도의 현수준을 점검하고 이를향상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적용한다. 둘째, 간호사가급성기 뇌졸중환자에게 NIHSS 측정을 통하여 뇌졸중악화를 얼마나 예측할 수 있는지 분석하고 이를 향상시킬수있는 방법을 모색한다. 셋째, 궁극적으로 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증상악화의 조기 발견과치료를위한의료진의 올바른 대처지침을 마련하여 이를 적용한다. 의료기관: 경기도에 소재한 대학병원의 뇌졸중 집중치료실 질 향상 활동: 첫째, 간호사의 NIHSS 측정 신뢰도 향상을 위해 「NIHSS 간호사 교육 프로그램」을 마련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