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양교육으로서의 소프트웨어 교육 니즈 분석

        나정은 한국교양교육학회 2017 교양교육연구 Vol.11 No.3

        Yonsei University has been concerned about how to provide computational thinking and decided to launch the beginning course for all students, regardless their majors. Before opening the course, we conducted a survey on computational thinking & software education for all student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survey results whether the needs of students for SW education are different according to grades or colleges(majors), and to utilize the education needs of students as a material to reflect in the SW education curriculum is. In addition, other universities might be able to refer the results to the process of preparation for SW education. The overall response rate of students was 31.3%, and 65.3% of the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y would like to take a SW introductory course. The most students have the high expectation to learn the computer, and they realized the importance of computers and technologi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little difference by grades and by colleges. Since software courses are taken by various types of students(regardless their majors and grades), professors need more attentions to their students than other classes so that any students can catch up to the en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urvey, we have adjusted the level of the course(contents and practices). We are making sure that students have a pleasant learning experience through this computational thinking and software introductory course. Through the learning process, students experience step by step the seeking the solutions come to real life. The next goal is that we encourage students to take advanced course so that more IT experiences can be used to solve the real life problems. 연세대학교에서는 전교생을 대상으로 소프트웨어 교육을 실시하기에 앞서 SW과목 개설에 대한 설문을 실시했다. 본 논문은 설문 결과를 분석하여 SW교육에 대한 학생들의 니즈가 학년별 혹은 단과대학(전공)별로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고 학생들의 교육 니즈를 SW교육 교과과정에 반영하기 위한 자료로 활용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아울러 다른 대학에서도 SW교육을 준비하는 과정에 참고할 수 있는 자료가 될 것으로 예상한다. 설문은 1학년(국제캠퍼스)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 형식으로 우선 실시하였고, 1학년 설문 직후 동일 문항으로 2~4학년(신촌캠퍼스) 대상의 온라인 설문이 진행되었다. 설문에서는 소프트웨어 기초과목 개요를 설명하고 이런 과목이 개설되면 수강할 것인지,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하는 정도 등을 응답하게 하였고, 결과분석은 학년별, 단과대학별로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여 학생들의 수요 조사의 편차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전체 재학생 수의 31.3%의 학생이 응답하였고, 응답자 중 65.3%의 학생들이 소프트웨어 기초과목이 개설되면 수강하겠다고 응답했다. 예상했던 기대치보다 높은 응답률이었고, SW교육에 대한 수요가 특정 전공이나 학년과 무관하게 필요함을 분석 결과로 알 수 있었다. 필수교양으로 개설되는 만큼 학년과 전공에 구분 없이 다양한 학생들이 수강할 수 있으므로, 이런 상황을 고려하여 학생들이 잘 따라올 수 있도록 교과 내용과 교수 방법을 적절히 구성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설문 결과를 토대로 준비하고 있던 교과과정의 난이도 등을 검토할 기회를 가졌고, 실제 실습 문제의 난이도를 재검토하는 단계를 가지게 되었다, 학생들의 기대와 두려움이 상대적으로 큰 만큼, 소프트웨어 기초 과목은 이들의 좋은 학습경험을 끌어내도록 해야 한다. 기초 과목 이외에도 학생들의 관심과 기대를 교과과정에 반영하려는 노력을 해야 할 것이며, 수준별 교과과정 편성을 위해서도 기술의 변이와 관심도에 따른 다양한 주제의 교과과정의 준비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 KCI등재

        학습자 관찰을 통한 컴퓨팅적 사고 학습효과 분석

        나정은 한국교양교육학회 2017 교양교육연구 Vol.11 No.5

        지능정보기술의 기반이 되는 소프트웨어 교육이 중요하게 됨에 따라 대학에서는 비전공자들을 위한 SW교육을 강화하기 시작하였다. 연세대학교는 필수교양 영역에 소프트웨어 영역을 신설하고 SW기초과목을 개설하였고, 향후 영역별 심화학습과목을 점진적으로 개설하여 SW교육을 확대할 나갈 계획이다. SW기초과목의 첫 시행 학기 이후 수강생들의 설문을 통해 학습자들을 관찰하고 학습효과를 분석했다. 교양과목의 특성상 다양한 전공의 학생이 함께 수강하게 되므로, 학습현장과 성과에 특이점이 있는지 관찰해 보고자 하였다. 문·이과로 구분하여 분석해보고 전공그룹별로 분석하여 차이점을 살펴보았다. 필수교양 과목이라도 본인의 필요에 의한 과목 선택으로 수강하게 되었기 때문인지, 성적 분포는 인문사회 학생들이 이학공학 학생들보다 뒤처지지 않았다. 중상위그룹에 인문사회 학생들이 더 많이, 중하위 그룹에 이학공학 학생들이 더 많이 분포했다. 실력향상에 대한 인지변화도 학기 초와 학기말의 상황을 비교해보면 오히려 인문사회 학생들이 컴퓨터 일반 지식과 컴퓨터 프로그래밍 지식의 향상이 더 많이 되었다고 답한 것이 관찰되었다.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교양과목으로서의 SW기초과목의 학생 인지 변화와 학습 성취도에 대한 추이 분석을 누적하여 관찰하고 교과과정에 반영할 계획이다. As software education, which is the basis of intelligent information technology, became important. Thus universities began to strengthen SW education for non-major students. Yonsei University established a software field in the required Liberal Arts area and opened SW foundation courses, and has a plan to expand SW education in the future. After the first semester of the SW basic course, we did some surveys to students with questionnaires, and their learning effects were analyzed. Because of the nature of Liberal Arts courses, students from various majors take courses together. We want to observe whether there are any peculiarities in the learning and performance. Since students took courses by the choice of subjects according to their needs, the distribution of grades did not lag behind those majors in Science Engineering students in Humanities and Sociology. By having SW basic courses as common curriculum, through the course we plan to observe cumulative analysis of students’ cognitive change and learning performance.

      • KCI등재

        골프 긍정심리자본 검사지 개발과 타당화 검증

        나정은,정지혜 한국사회체육학회 2019 한국사회체육학회지 Vol.0 No.76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alidate golf poitsive psychological capital questionnaire. In order to develop the questionnaire for golfers, the opsitive psychological capital theory and research in the field were reviewed. Method: For this study, 73 items were produced based on previous resaerch. And 202 golfers were surveyed. 5 factors and 17 items were completed; three questions for self-efficacy, four for psychological strategy, four for resilience, three for optimism, and three for hoep were selected as a result of conducting th e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by (CSAI-2) for the verification of the predictive validity. Results: In the results, GPPCQ was confirmed about discriminant validtyi, convergent validity, and predictive validity. There were interactive effects in accordance with sex and level. In the results of the univariate analysis in accordance with sex, female pros showed higher resilience factor than male pros. In the results of univariate analysis in accordance with level, self-efficacy and resilience were high in the order of regular member, associate member, and amateur while the hope was high in the ordeor f associate member, regular member, and amateur. Conclusion: Therefore, the GPPCQ scale developed by this study can verify as a reliable and valid tool. In the future, it would be used efficiently as basic data to develop ocunseling programs for psychological skills and the evaluation of GPPCQ for researches in golf area.

      • KCI등재

        교양 영역의 정보기술 과목 수강 이력 분석

        나정은 한국문화융합학회 2022 문화와 융합 Vol.44 No.9

        Students have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the change to a software-centered society, and the demand for education for all students is increasing, and each university is preparing a curriculum for software education. Yonsei University also began strengthening software education in 2017 and prepared information and technology fields in general education. Starting in the 2022 academic year, the completion of information and technology fields is made mandatory to prepare for in-depth education. We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taken course history from 2017 to 2021. As a result of analysis, such as taken-course characteristics by division, withdrawal rate in basic courses, and completion pattern in related subjects, we can prepare a curriculum that reflects student demands. Also, other universities that want to strengthen software education can refer to this feature and refer to it in their educational preparation.

      • KCI등재

        스포츠 인권교육을 경험한 직장운동경기부 소속 감독, 코치, 선수의 인식 조사 : 멘티미터 프로그램 활용

        나정은,김민효,박예솔,김미선 한국코칭능력개발원 2023 코칭능력개발지 Vol.25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스포츠 인권교육을 경험한 직장운동경기부 소속 감독, 코치, 선수의 스포츠 인권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2021년 S시 직장운동경기부 인권교육에 참여한 감독, 코치, 선수 67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였다. 2019년부터 S시에서 진행한 인권실태조사와 1:1 전화상담의 결과에 근거하여 개방형 질문지를 개발하였으며 2021년 인권교육 중 수집된 자료를 시각화하여나타내는 멘티미터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구체적으로 스포츠 인권 인식 질문지는 스포츠 인권 교육, 스포츠 인권감수성, 스포츠 인권 환경을 주제로 구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4.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5점 Likert 척도 문항의 평균과 표준편차, 백분율을 분석하였고 주관식 문항은 빈도분석을 통해 응답수와 백분율을 분석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멘티미터를 통해 스포츠인권 인식을 조사한 결과 첫째, 스포츠 인권교육에 관한 인식은 감독·코치보다 선수들이 더 부정적인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스포츠 인권 감수성은 ‘훈련 후 식사는 모두 함께’‘훈련이 없는 주말에 팀원의 동선 파악’‘폭언과 욕설을 통한 일의 효율성 증대’요인에서는 매우 높게 인지하는 반면, 개인적 심부름 등의 부탁’‘팀워크를 위한 회식’‘훈련을 위한 지도자의 신체적 개입’이 세 가지 요인에서는 다소 낮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스포츠 인권환경 개선을 위한 노력에도 아직 어려운 점에는총 48개의 요인의 의미 있는 원자료가 수집되었고 더 좋은 스포츠 인권환경을 위해 개선해야 하는 점으로 행정적·개인적 요인에서각각 48개씩의 원자료를 수집하여 의미 있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이 연구를 통해 스포츠 인권교육 이후 감독, 코치, 선수의 스포츠 인권에 대한 인식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감독, 코치, 선수 간의 인식 차이에 대한 구체적 논의가 이루어졌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