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Qualitative analysis of informal curricular texts about multiculturalism in Korea: Two cases of government sponsored public service advertising

        나장함,차동춘,김희주 한국교육개발원 2016 KEDI Journal of Educational Policy Vol.13 No.2

        This qualitative study investigates how the multicultural family is represented and how multiculturalism is practiced in the Korean media. In order to identify the government’s assumptions regarding multiculturalism, this study investigates two cases of government-sponsored Public Service Advertisements (PSAs) about multiculturalism. Since PSAs are mainly designed to deliver and educate a certain message to the general public for the purpose of changing public opinion and raising awareness of social issues, they are a form of informal curricular texts. Because PSAs are composed of meaningful themes, symbols, images, narrations, and subtitles in a highly concise manner, analyzing PSAs with qualitative text analysis is ideal for verifying and demonstrating the rigor of qualitative study. Critical multiculturalist lenses are used in the analytical process, with careful attention paid to every detailed element of the two advertisements throughout the processes. Analysis of each case is divided into two parts: description of the advertisement and text analysis. Precise descriptions of the advertisement are provided explicitly so that readers may check the validity of the critical analysis. In doing so, this study transparently provides the processes and results of analysis with detailed critiques of PSAs. The study concludes with implications for current practices and discusses future directions for improving PSA practice.

      • KCI등재

        다문화주의 패러다임에 대한 종합 분석

        나장함(羅장함)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0 아시아교육연구 Vol.11 No.3

        다문화 교육은 현재 가장 주목 받고 있는 연구 분야 중의 하나이다. 다문화 교육에 대한 사회적 관심 확산에 따라 최근 들어 학계에서도 다문화 교육관련 연구물들이 급증하고 있다. 그러나 동시에 많은 연구에서 우리나라의 다문화 교육은 아직 연구 초기 단계이며, 특히 이론적 뒷받침이 상당히 필요한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본 연구는 다문화 교육에 관한 사회적ㆍ학문적 관심 증가에도 불구하고, 이론적 토대가 아직도 미흡하다는 문제 인식에서 비롯되었다. 이 같은 인식하에 본 연구에서는 현재 우리의 다문화 교육과 관련된 다양한 관점들을 비교해 볼 수 있는 이론적ㆍ철학적 패러다임 틀을 구성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본 연구서는 다문화 교육에 관한 다양한 방법론적 전략들이 5가지의 이론적ㆍ철학적 패러다임과 관련하여 실제로 어떻게 실행될 수 있는가를 Banks(1988)의 접근법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구성된 이론적ㆍ철학적 패러다임 틀은 지금까지의 선행연구에서 개념화하고 있는 다문화 교육이란 무엇인가를 밝히고, 그러한 개념 하에서 추진되고 있는 다양한 실행양상과 그 가능성과 한계를 미리 전망해 보게 해 주는 도구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이론적?철학적 패러다임과의 연관성속에서 살펴본 Banks의 접근법의 구체적 실행양상 유형 등은 우리의 불분명한 다문화 교육개념을 섬세하게 이론화하고, 나아가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하는 기반을 제공할 것으로 전망된다. This study arises from the lack of theocratical frame works and the growing confusion concerned with multicultural practices. This is problematic because it leaves many educators and teachers in the place of uncertainty about effective educational practices. By reviewing and analyzing various literature, this study makes an attempt to develop a synthesis of multicultural education frame works that can make sense of variations among current educational practices regarding multicultural education in Korea. This study provides an overview and critique of various multicultural education perspectives such as conservative multiculturalism, liberal multiculturalism, pluralist multiculturalism, left-essentialist multiculturalism, and critical multiculturalism. This study also connect Banks(1988) 4 different approaches to various multicultural education perspectives in order to explore the dynamic relations between the theocratical perspectives and methodological approaches.

      • KCI등재후보

        통합교육과정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탐구

        나장함 한국교육과정학회 2004 교육과정연구 Vol.2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일선 초등학교 교사들이 이해하고 있는 통합교육과정이란 무엇인가를 기술하여 교사양성, 교원연수, 행정지원 등의 교육정책 수립에 기여할 수 있는 현장 정보와 시사점을 도출함에 있다. 이를 위해 부산지역 두 공립초등학교에서 각각 9명씩 총 18명의 교사들을 인터뷰하여 그들이 개념화하고 있는 통합교육과정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교사는 다양한 견해로 통합교육과정을 해석하고, 통합교육과정을 전반적으로 지지하며, 그 동안의 교원연수/대학 등의 프로그램을 통하여 통합교육과정이라는 개념에 대체로 친숙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대부분의 교사들이 통합교육과정 실행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교육과정 재구성 능력을 구비하고 있지 않음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통합교육과정의 영향 및 문제점으로 분석된 사항들은, 앞으로의 교원양성, 교원연수 등의 교육내용 및 실행이 해당 교육과정 개정의 취지를 적절히 반영 할 수 있게 구성되어야 하며, 학교 및 현장 교사들의 입장을 보다 이해하는 토대 위에 교육행정가, 교육전문가, 교사들 간의 긴밀한 연대/협력 하에 현실적인 행적지원과 함께 교육개혁이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elementary school teachers' understandings about interdisciplinary curriculum(IDC) and to produce locally generated data and information that provide implications of policy makings on teacher education, staff development, and administrative support. Even though the IDC is a nation-wide program, it is generally believed that individual schools might have different experiences of and reactions to the IDC practice. Maximum variation sampling method was used for this study because I was particularly interested in gaining findings which could portray the unique experiences of schools, and the common patterns that exist despite the distinctive variation of each school. In this study, a distinctive difference in socioeconomic status of parents between the two schools is intentionally represented. Eighteen teachers from two public elementary schools in Pusan were selected for this research. I interviewed them as a way of exploring and describing teachers' conceptualized IDC practice. According to the data analysis, teachers interpret IDC in various and discursive patterns and are familiar with the basic concepts of IDC practice. What deserves attention, however, is that teachers are not equipped with knowledge and skills for curriculum reconstruction that is essential to be an active practitioner of IDC.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educational polices on teacher education, staff development, and administrative support should be adequately organized to reflect the idea and entity of the curriculum revision. This study also assumes that policy makers tend to less critically immerse into the educational discourse and educational practice in today's world while they overemphasize the benefits from a certain reform that were tested in other nations. This study concludes with the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for educational reforms aimed at producing locally generated data and information and aimed at rethinking and establishing a close relationship among teachers, scholars, and administrators to address problems in education.

      • KCI등재

        장애인의 직업 경험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 질적 메타분석의 적용과 이슈를 중심으로

        나장함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2008 장애와 고용 Vol.18 No.2

        개별 연구물에 대한 종합적인 분석은 기존 연구물들이 제시하는 결과로부터 축적된 지식과 보다 확정적인 결론을 도출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 종합·분석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우리의 교육연구 맥락에서 연구 종합·분석의 방법론들 전반에 대한 논의는 거의 없었던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본 논문은 연구 종합·분석의 고전적인 방법, 양적 연구의 전통을 따르는 메타분석 방법의 특성 및 제약 등을 간략하게 살펴본다. 그리고 질적 연구의 전통을 따르는 연구 종합·분석 방법의 특성, 과정, 장·단점 등을 논의함으로써 질적 연구 종합·분석에 대한 이해를 확대하고자 한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장애인 직업 교육 및 직업 유지"에 관한 개별 질적 연구들을 대상으로 질적 메타분석을 실행하여 서구적 맥락에서 소개된 질적 메타분석의 실행 과정에서 야기될 수 있는 실질적인 문제점들과 이슈들을 탐색하고 이를 어떻게 다룰 것인가를 논의하였다. 아울러, 질적 메타분석의 사례는"성찰적 자존감"이라는 관련 개념을 중심으로 관련 연구물의 결과를 종합·분석하였다. The findings of a single study are vulnerably influenced by the characteristic of sampling, the context of research setting, and the amount of time allowed for completing the study. As a result, the limitation of a single study is evident in that it can hardly provide a generalizable and definitive finding to a research question. In Western context, various types of research synthesis methods have been designed to address this problem. Although variations among different research synthesis methods are diverse form one to another(in terms of their philosophical assumptions, methodological procedures, and analytical strategies), all methods of research synthesis attempt to go beyond the limitations of single studies and to identify the consistence and dissonance in similar studies. In Korean context, however, these methods have not been publically discussed among researchers, and there has been almost no research addressing methodological and practical issues which arise from the application of research synthesis. This paper provides an overview and critique of research synthesis methods such as traditional narrative review, meta-analysis, and qualitative meta synthesis. This study also explores methodological issues in synthesizing qualitative studies on training and workplace Experiences of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and practical issues entangled with practicing qualitative meta synthesis in Korean educational context. This paper conclude with suggestions that may facilitate the process of applying qualitative meta synthesis, thereby expecting to generate an accumulative knowledge and a new insight from this synthesizing method.

      • KCI등재

        교과교육 분야 질적연구의 타당도 확보 기법에 대한 고찰 - 참여자 확인, 동료검토, 감사추적을 중심으로 -

        나장함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7 교육연구 Vol.70 No.-

        Since the mid 90s, the number of qualitative research has been constantly increasing in Korean educational research context. However, this does not necessary mean that qualitative research is recognized as a credible and alternative research method that can compete with quantitative research within the scholarly community. One simple reason for this kind of phenomenon is that the issues of rigor and strategies for ensuring validity in qualitative research have not been addressed in detail in previous studies. With this in mind, this study thoroughly reviews and analyzes 'member check', 'peer review', 'audit trail', three most often used strategies for ensuing rigor in qualitative research in Korean educational research context. Results of analysis are organized around three themes such as 1) compressive definition of each strategy; 2) a brief examples of each strategy used in various studies; 3) possibilities and potential limitations lie in each strategy. This study concludes with a suggestion that analytical strategies and procedures themself do not guarantee rigor. In other words, rigor resides in, is inherent in, manifest in rigorous thinking, including methods and analysis. 본 연구는 교과교육 분야에서 질적연구의 수는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으나, 질적연구의 질적 수준에 대한 의심과 불신이 여전히 줄어들고 있지 않으며, 질적연구의 타당성 확보 전략에 대한 체계적이고 심층적인 논의가 미흡하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타당도 확보 기법들 중에서, 국내 교과교육 연구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고 의미적 혼란이 있어 보이는 ‘참여자 확인’, ‘동료검토’, ‘추적감사’ 등을 종합적으로 고찰하고 있다. 고찰 결과는 각 타당도 전략에 대한 포괄적인 정의, 국내 교과교육 분야 논문에서 실제로 적용된 양상, 해당 타당도 기법의 가능성과 유의점을 중심을 논의하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질적연구를 통하여 어떻게 하면 보다 신빙성 있는 연구결과를 제시할 수 있을까 고민하는 실천 지향적인 교과교육 연구자들에게 타당도 확보 전략에 대한 균형 잡히고 종합적인 시각을 제시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 아울러, 본 연구는 타당도 기법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 연구 전반에 걸친 연구자의 결정과 정당화 논리, 현상을 이해하기 위하여 분투하는 연구자의 일관성 등에서 질적연구의 엄정성이 확보될 수 있다는 관점을 제시해 주고 있다.

      • KCI등재

        초등 수학교육 관련 연구에서 활용된 질적 연구 방법에 대한 분석

        나장함,김진호 한국학교수학회 2016 韓國學校數學會論文集 Vol.19 No.1

        90년대 중후반 이후 질적 연구법이 우리나라에서 본격적으로 소개되기 시작한 이후, 질적 연구물의 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그러한 변화에도 불구하고, 우리의 연구 맥락에서 실제로 적용된 질적 연구물에 대한 분석이나 방법론적 논의는 매우 미흡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본 연구는 출발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수학교육에서 질적 연구 방법을 어떻게 적용하고 있는지를 분석하여, 향후 질적 연구법을 활용하고자 하는 연구자들에게 연구에서 의도한 목적 달성과 연구 결과의 질적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방법론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성취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한국수학교육학회의 학회지인 초등수학교육에서 질적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2012년 게재된 논문 5편을 대상으로 샘플링 선정, 자료 수집 및 자료 분석 방법 등을 중심으로 세밀하게 분석하여, 그 결과와 논의점을 질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This qualitative study investigates how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are applied into educational journals, especially focusing on research articles in the field of mathematics education. Since the mid 90s, there has been growing interest in qualitative research in Korea. As a result,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are becoming one of the main research methods in education, quite different from before the mid 90s that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themselves alone were undisputed research methods. However, such change in research methods also lead to a matter of concern, the rigor and quality of qualitative research. In order to identify how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are applied, this study carefully selects and analyzes 5 article that used qualitative methods and were published by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Journal in 2012. Several leading scholars' ideas and theories of qualitative research are used in the analytical process, with careful attention paid to every detailed element of 5 selected articles. In sum, this study concludes with practical implications for qualitative researchers and discusses future directions for improving qualitative research practice.

      • KCI등재
      • KCI등재후보

        A Cross-case Analysis of the Use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in Mathematics Education Focusing on Series E Journal: Exploring to Current Practices and Future Possibilities

        나장함 한국수학교육학회 2023 수학교육연구 Vol.26 No.2

        In the context of Korean educational research, the number of qualitative research studies has gradually increased since 2000. It has become one of the most important research methods today. The field of math education is no exception to this trend, and qualitative approaches are now becoming one of the main research methods. This increase in qualitative research has contributed to the provision of detailed information about educational practice, but at the same time, the overall level of credibility in the results of qualitative research seems to be lower than that of quantitative research. This study started with the problem consciousness that the number of qualitative studies is increasing in the field of mathematical education, but there is a lack of discussion on the methodology of applyi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In this study, among the papers published in the journal related to mathematical education, papers using a qualitative approach are analyzed focusing on cross-case analysi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e tendency to use qualitative approaches is diagnosed, ways of improving the validity and trustworthiness of qualitative research results in the field of mathematical education are examined, and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are presented.

      • KCI등재

        구성주의적 관점에서의 교육텍스트 분석: 한국과 대만 대학입시 영어지문을 중심으로

        나장함,차동춘,오경미 한국교육개발원 2005 한국교육 Vol.32 No.2

        This study explored the English test texts in university entrance examinations of Korea and Taiwan from a constructivist epistemological perspective. Three English tests from years 2001-2003 were selected as sample data from each country for analysis. At the entry stage of the analysis, three researchers independently examined the test texts based on constructivist perspectives by employing a qualitative coding approach. Through a series of coding seminars, the researchers then narrowed the features down to three coding frameworks. The three frameworks have been composed of 1) interaction (wheth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xt and the test takers is interactive or not), 2) diversity (whether the text recognize the social diversities and/or the individual differences), and lastly 3) proximity of the topical knowledge (whether the difficulty level of the topical knowledge is appropriate for the test takers to approach). The findings have indicated that the Korean test texts have represented more interactive features than those of Taiwan. In addition, the Korean test texts illustrated that the text writers have more tolerance toward the social diversities and the individual differences than those of Taiwan. However, from the year of 2002, the Taiwanese test texts have started to demonstrate some level of interaction and diversity features. For the final framework, the Korean test texts have employed more approachable topical knowledge than those of Taiwan. Based upon the findings, suggestions have been made to increase value awareness of the test designers and administrators in the field. 본 연구는 한국과 대만의 대학입시 영어시험 지문들을 구성주의적인 인식론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연구자들은 영어시험지문을 분석하는데 있어 세가지의 분석틀(지문과 피평가자와의 상호작용 정도, 차이에 대한 개방성 정도, 지문 소재가 내포한 지식의 영역)을 사용하였으며, 최근 3개년(2001-2003)의 영어지문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한국의 영어지문이 대만에 비하여 총체적으로 구성주의적인 특성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만의 경우는 2001년 이후부터 지문의 형태와 내용이 지속적으로 구성주의적인 방향으로 전환되고 있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그러나 보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우리나라 수능영어 지문의 지식영역(소재)에 있어서는 상당히 구성주의적이라고 할 수 있으나 차이에 대한 개방성, 상호작용의 정도에 있어서는 구성주의적인 지향이 지배적인 것으로는 관찰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최근 교육과정 각론 및 교육학 분야에서 강조되고 있는 구성주의적인 패러다임이 평가 지문의 선별과 조직에 반영되어야 함을 지적하고, 한국과 대만 모두 구성주의에 입각한 평가지문 구성의 필요성에 대한 이해와 실천을 강조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를 지적하고 향후 보다 발전된 연구를 위해 고려해야할 문제들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초등수학교육에 적용된 혼합연구법의 특성 및 시사점에 대한 연구

        나장함 ( Na Janghaum ),김진호 ( Kim Jinho ) 한국수학교육학회 2017 初等 數學敎育 Vol.20 No.2

        In theory, mixed methods that incorporate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pproaches can maximize strengths of each method while minimize the short comings of each. Mixed methods research is a feature of educational research nowadays, and the number of studies applied mixed methods research has been gradually increasing. This study investigates how mixed methods research was applied in the field of mathematic education, especially focusing on how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methods are combined to best address their research questions. With this in mind, this study carefully selects and analyzes 4 research articles that used mixed methods and were published by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in 2015. This study provides detailed result of qualitative analysis on mixed methods research while other a few previous analysis on mixed methods research were tend to focusing on quantitative analysis, producing numeric quantitative informa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provides practical and in-depth analysis on how to improve validity and possibility of mixed methods research, addressing alternative ways to combine two different research methods and key elements to take into accou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