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 Qualitative Evaluation of the Interdisciplinary Curriculum Implementation : A Case of Two Elementary Schools in Korea

        나장함(Jangham Na) 한국교육평가학회 2005 교육평가연구 Vol.18 No.3

        This study examined what shapes prevalent interdisciplinary curriculum(IDC) practice in elementary schools in Korea. Although teachers have been encouraged to make use of an interdisciplinary approach to integrating teaching and learning, especially from the early 1990s, it is questionable whether they are fully equipped with proper knowledge and skills in practicing the IDC. Because educational reform demand sufficient amount of locally generated information and data describing what is actually occurring in the local schools when the IDC is supposedly in use, this study attempted to provide specific information on local teachers' views on IDC and their use of it in different schools. A qualitative evaluation(interviews and observations) carried out as a way of describing teachers' conceptualized IDC practice and classroom observations as a way of describing teachers’ actual IDC practices. 본 연구의 목적은 1)일선 초등학교 교사들이 이해하고 있는 통합교육과정이란 무엇인가를 기술하고, 2) 실제 교실 상황에서 적용된 통합교육과정은 분석하여 교사양성, 교원연수, 행정지원 등의 교육정책 수립에 기여할 수 있는 현장 정보와 시사점을 도출함에 있다. 이를 위해 부산지역 두 공립초등학교에서 각각 9명씩 총 18명의 교사들을 인터뷰하고 7개 반의 적용 사례를 분석하여 그들이 개념화고 있으며 실제로 운영하고 있는 통합교육과정을 무엇인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는 다양한 견해로 통합교육과정을 해석하고, 통합교육과정을 전반적으로 지지하며, 그 동안의 교원연수/대학 등의 프로그램을 통하여 통합교육과정이라는 개념에 대체로 친숙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대부분의 교사들이 통합교육과정 실행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교육과정 재구성 능력을 구비하고 있지 않음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연구에 참여한 대부분의 교사들은 교과중심의 교육과정과 통합교육과정을 서로 양립하기 힘든 것으로 받아들이는 경향이 있음을 고려하여, 서로 상반되게 보이는 양자 간의 협력적 관계설정의 중요성 및 과제를 제시하였다. 즉, 교육자가 제한된 교과중심의 영역에 자신을 한정시키지 않고 학생들의 다양한 요구, 경험, 관점 등을 토대로 하여 사회적 상황에서 생성된 교육적 지식을 재구성하는 대안적인 방안을 강구하는 과정이 궁극적으로 교사의 전문성을 신장 시키는데 이바지 할 수 있음을 지적하였다, 아울러, 교육(과정)개혁은(제시하는 이론적 근거나 기대효과에 관계없이), 그 계획을 실행하기 위한 여건의 마련 및 그러한 개혁으로부터 소외될 가능성이 있는 집단에 대한 적절한 배려가 따라야 할 것을 강조하였다. 연구결과로부터 나타난 사항들은, 앞으로의 교원양성, 교원연수 등의 교육내용 및 실행이 해당 교육과정 개정의 취지를 적절히 반영 할 수 있게 구성되어야 하며, 학교 및 현장 교사들의 입장을 보다 이해하는 토대 위에 현실적인 행적지원과 함께 교육개혁이 이루어져야 함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세계시민교육 유관기구 발간 교육자료에 나타난 세계시민교육의 양상 분석

        나장함(Na, Jangham),조대훈(Jho, Daeho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24

        본 연구는 문헌/내용 분석 방법을 통해 한국의 세계시민교육 담론 형성에 기여하는 세계시민교육 유관 기관의 교육 자료에 나타난 세계시민교육의 양상을 분석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국내 세계시민교육 유관기관 3곳의 홈페이지에 공개된 최근 10 년 간(2008-2017)의 교육 관련 출판물을 1) 자료 유형, 2) 주요 핵심어의 빈도수, 그리고 3) 두드러진 세계시민교육의 관점 등의 준거를 적용하여 분석했다. 분석 결과, 연구진이 선정한 20개의 세계시민교육 핵심어군 범주 중에서 가장 많은 자료 빈도수를 보인 상위 5개의 핵심어는 ‘문화다양성’, ‘간문화/다문화 이해’, ‘지속가능환경’, ‘개발/발전’, 및 ‘인권’이었고, 하위 5개 핵심어군은 ‘구조적 불평등’, ‘성평등’, ‘생물다양성’, ‘지속가능자원’ 및 ‘건강/보건’이었다. 또한, 자료에 반영된 세계시민교육 관점의 분석 결과, ‘인도주의적 관점’과 ‘여행자적 관점’이 압도적이었고, ‘비판적 관점’과 ‘신자유주의적 관점’은 낮은 빈도수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1) 주변화 된 세계시민교육의 주제들에 대한 관심 회복, 2) 세계시민교육의 담론적 한계에 대한 비판적 성찰, 그리고 3) 세계시민교육 담론 분석 연구 방법론의 엄밀성 제고의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By conducting the method of content analysis,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GCED) reflected on the education materials published by three major GCED agencies in South Korea, which contribute to the construction of the mainstream discourse of GCED. For this purpose, researchers analyzed education materials collected from the Internet websites of those three agencies, focusing on three main criteria: 1) types of materials, 2) frequencies of major key GCED themes, and 3) salient GCED perspectives/approaches. The analysis showed that cultural diversity, cross-cultural/multicultural understanding, sustainable environment, development, and human rights were the top five key themes. while structural inequality, gender equality, biodiversity, sustainable resources, and health/wellness held the bottom five. Regarding the GCED perspective-taking, the two approaches—Humanitarian and Tourist—constituted an overwhelming majority, while the Critical perspective and Neo-liberal perspectives were found the minority. The findings suggest the demand for paying equal attentions to the marginalized GCED themes, the critical reflection on the limitations of individual GCED discourses, and the enhancement of methodological rigor in the area of the analysis of GCED discourse.

      • KCI등재

        수학교육에서의 질적연구법 활용에 대한 분석: 연구결과의 타당성 증진 방안을 중심으로

        나장함 ( Na Jangham ) 한국수학교육학회 2021 수학교육논문집 Vol.35 No.2

        본 연구는 수학교육 관련 연구에서 질적 접근을 적용한 논문들의 질적 접근 활용양상을 탐색하고, 질적 접근의 타당도와 신실성 향상 방안을 논의하고, 수학교육 분야에서 질적 접근 활용에 대한 시사점과 제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9년부터 2020년까지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E <수학교육논문집>에 게재된 13편의 논문에 대한 기초분석을 실시하여 전반적인 경향성을 진단하였다. 질적연구 적용 양상에 대한 경향성은, 적극적 질적연구 6편, 반(semi) 질적연구 3편, 혼합연구 3편, 문헌연구와 질적연구의 혼입 1편 등으로 나타났다. 기초분석 결과를 토대로, 13편의 논문 중 질적 접근을 적극 활용하여 풍부한 논의를 가능하게 할 수 있는 6편의 논문에 대한 질적 분석을 실행하였다. 6편의 논문의 방법론에 대한 세밀한 질적 분석 결과는 질적연구의 타당도와 신실성(trustworthiness)과 관련된 이슈들을 해당 연구의 맥락에서 상세하게 논의하고 있다. 아울러, 이러한 질적 분석의 결과에 기초하여, 향후 수학교육 분야에서 질적연구를 활용할 때 유념해야 할 사항들을 제시하고 있다. Qualitative research has become a growing area of interest among the Korean educational researchers for the last two decades. As a consequence, the number of studies based on qualitative methods has rapidly increased while the quality of qualitative research has not gained much credit among scholars in Korea. This study explores to current practice of qualitative approaches in mathematics education-related studies. With this in mind, this study also seeks ways to improve the validity and trustworthiness of qualitative approaches, and to present implications for the practical practice of qualitative approaches in mathematics education. To this end, a general trend was investigated by conducting a basic analysis of 13 papers that used qualitative approaches and published in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Series E > from 2019 to 2020. Of the 13 papers. Through the basic analysis, 6 out of 13 papers were selected as the object of qualitative text analysis. The result of this qualitative text analysis discusses issues related to the validity and trustworthiness of qualitative research in a detailed manner. In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qualitative text analysis, this study suggests several key points to keep in mind when applying qualitative approaches in the field of mathematics education in the future.

      • KCI등재

        Popkewitz의 관점에서 본 교육변화의 세계적 경향과 과제 - 변화의 의도되지 않은 결과를 중심으로

        나장함(Na Jangham) 한국열린교육학회 2008 열린교육연구 Vol.1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변화의 원인 및 실행 양상과 관련하며 우리의 학문적 맥락에서 그 동안 상대적으로 다루어지지 않았던 관점들, 교육변화의 실행 과제 등에 관하여 살펴봄으로써 연구 결과와 정책 대안 간의 연결성을 높이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본문에서는 교육 변화의 세계적 경향성, 그러한 변화를 바라보는 전통적인 관점과 대안적인 관점, 세계적 교육 변화 경향성에 따른 문제점 등을 분석하여, 오늘날 세계 교육이 왜 수렴되어 가는지, 그러한 경향 속에서 경시되어 질 수 있는 요소는 무엇인지, 그리고 세계화와의 관련성을 점증적으로 더해가는 개별 국가의 교육 변화가 추구하고자 하는 교육개혁의 의미 실현을 위해서는 어떠한 노력과 연구가 요구되는지 등에 관한 답변을 시도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본 논문은 한 국가의 교육변화라는 것이 세계적인 추세, 세계적인 담론과의 관련성을 더해 가는 방향으로 추진되게 될 때, 이러한 변화로부터의 야기 될 수 있는 부정적인 영향을 최소화 하는 방안으로, 세계적인 교육담론ㆍ추세와 우리 교육과의 관련성에 대한 비판적인 분석, 비교교육학 연구 관점의 전환, 그리고 교육변화 실행의 괴정(process)에 영항을 미치는 요인들의 파악 및 이들 간의 보다 협력적인 관계성 확보 등을 중심으로 제시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nstitute the meanings, effects, and implications of the curriculum change in Korea and to reestablish the new relationships among policy makers, scholars, and teachers to address problems in educational reform.<BR>  Currently a reason for reform practice in a nation has to do with the complex force of educational discourse in the world. This means that policy makers tend to less critically immerse into the educational discourse and educational practice in today’s world while they overemphasize the benefits from a certain reform that were tested in other nations. In doing so, nowadays the meanings of educational reform become more complex and ambiguous because a reform creates disparities between its proposal and outcome.<BR>  In this research, I attempted to analyze the international trend in curriculum changes and their relations to individual nations" reform practice. This includes identifying general trends in curriculum practices in today"s world and comparing two traditional perspectives along with an alternative perspective toward the trend.<BR>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s that policy makers, teachers, and scholars need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urriculum changes in Korea and the complex force of educational discourse worldwide so that people become more critical of their engagement with it. This dissertation concludes with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for educational reforms aimed at rethinking the meaning of curriculum change and aimed at addressing problems of inclusion/exclusion entangled with reform practices.

      • KCI등재

        일상적 다문화 대중교육 텍스트로서의 TV 기업 공익 광고물에 대한 질적 분석

        나장함(Na, Jangham) 한국열린교육학회 2013 열린교육연구 Vol.21 No.1

        최근 들어,‘다문화’에 관한 관심과 논의가 우리사회에서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우리에게‘다문화’라는 개념은 여전히 모호한 측면이 많다. 이는 ‘다문화’라는 동일한 용어를 사용하고 있지만, 각각의 다양한 방식으로 개념화한 다문화 논의와 실천 사례들이 오히려 혼란을 초래하고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주의에 대한 다양한 관점과 다문화 교육이 궁극적으로 무엇을 추구해야 하는가를 제시하고, 대중매체에서 다문화가 어떻게 반영되고 있는가를 진단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다양한 다문화주의 유형 분류를 준거로 하여, TV라는 대중매체 기업 공익 광고물에서 다문화를 어떻게 다루고 있는가를 질적 텍스트 분석(qualitative text analysis)으로 도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TV 기업 공익 광고물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한 것은, 학교 밖에서 작용하고 있는 다문화 관련 텍스트의 가치와 한계를 규명하고자함에 있다. 또한 TV 광고물은 비교적 짧은 시간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의도한 메시지를 함축적으로 전달하는 강력한 표현물이기 때문이다. 분석 결과, TV 기업 공익 광고물은 다문화에 대한 올바른 인식 전환보다는 대체로 소수집단에게는 한국사회로의 동화를, 주류집단에게는 온정과 포용이라는 메시지를 전달하는 경향이 많았으며, 몇 가지 다문화주의 패러다임이 혼재된 양상을 보였다. 각 광고물에 대한 세밀한 분석 결과는, 향후 기업이나 사회적 차원에서 다문화를 어떻게 상정하고 다루어야하는가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고, 개인적 차원에서 일상에서 접하는 다양한 다문화적 텍스트를 어떻게 해석하고 비판적으로 받아들여야 하는가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Multiculturalism is one of the most growing areas of interest in Korean Society, especially among scholars, politicians, artists, and businessmen. It is present, not only the research article, but also in everyday life we encounter various forms of multicultural practices represented in movies, TV advertisements, literatures, etc. However, the presence of so many various practices only serves to confuse lay people and distort the true meaning of multiculturalism. This is problematic, because such practices tend to support cultural stereo types of minority groups, rathe than reducing prejudice toward them. This study investigate the meaning, potential effects, and implications of TV pubic service advertisements that explicitly transmit a certain message concerning multiculturalism. Due to the time restriction, TV public service advertising tends to be organized in a way that is effective and condensed to show its intended message to the general public. In fact, public service advertising is created through the process of social management, and it is both the object and the instrument of reflecting the social belief system. As for data analysis, this study applies qualitative text analysis and critical lenses to every aspects of selected public service advertizing as a way of reaching to hidden assumptions, implicit meanings, and potential effects of them. Although it takes time consuming efforts, and it does not allow to produce irreplaceable results, this qualitative text analysis process itself is confident enough to demonstrate a possible critical interpretation based on textual evidence and grounded on the logical relationship among the textual message. This study provides a detailed analysis and critique of TV public service advertising practices on multiculturalism. This study also offers a basic framework to investigate the meanings and effects of TV public service advertising.

      • KCI등재

        문화적으로 적합한 교수법에 대한 고찰

        나장함(Na, Jangham)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1 사회과교육 Vol.50 No.4

        본 연구는 ‘문화적 역량(cultural competence)’, ‘문화적으로 적합한 교수법(culturally relevant pedagogy)’에 대한 개념적 혼란이 있다는 문제 인식에서 시작되었다(그 의미를 다소 단순화하고 협의적으로 해석하는 경향이 강함). 다문화 교육에 대한 관심의 증가와 함께, 다문화 교사교육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우리의 연구맥락에서는, 다문화적 상황에서 요구되는 교사의 능력을 ’문화적 역량(또는 다문화적 역량/능력, 문화적 민감성, 문화적 감각, 다문화적 교수능력 등)에 중점을 두고 논의하고 있다. 그런데 대부분의 연구물은 ‘문화적 역량’을 사회ㆍ정치적 의식과 연결시켜 다루어 주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 경향에 대하여 본 연구는, 먼저 우리의 연구 맥락에서 왜 그러한 현상이 발생하고 있는가에 대한 원인과 이에 따른 실천에서 나타날 수 있는 문제 등을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이러한 경향에 대한 한 대안으로 Ladson-Billings의 ‘문화적으로 적합한 교수법’ 개념을 분석하고 그 가능성과 한계를 탐색하여, 현 다문화 교사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In Korean educational context, the idea of culturally competence or culturally appropriate teaching has received a great interest from many studies on multicultural teacher education as an effective tool to work with students of diverse backgrounds. Although they are presented with similar terms(such as culturally appropriate, culturally congruent, culturally responsive), studies used these terms as a theoretical framework provided varying definitions of the term. Most of studies conceptualize the meaning of Ladson-Billings’CRP in a manner that focused mainly on narrow definition of culture. Currently, many teacher eduction programs are based on liberal multiculturalism that tends to preclude analysis on power relations and social privilege. By reviewing and analyzing CRP related literature, this study suggest that multicultural teacher education needs to incorporate critical multicultural practices so that teachers will develop socipolitical consciousness of their own that will guide them toward critical practice of CRP.

      • KCI등재

        예비중등교사의 자기주도 학습능력 및 창의적 리더십과 문제해결능력 간의 관계 분석:

        나장함(Na, JangHam),고현(Ko, Hy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21

        본 연구는 예비중등교사로 양성되고 있는 사범계열 대학생을 대상으로 자기주도 학습능력 및 창의적 리더십과 문제해결능력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을 둔 실증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광주광 역시에 소재한 사범대학교 3~4학년 237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2017년 3월 6일부터 17일까지 2주간에 걸쳐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수집된 설문자료는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신뢰도 검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 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자기주도 학습능력과 창의적 리더십은 문제해결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기효능감은 문제해결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주도 학습능력과 문제해결능력, 창 의적 리더십과 문제해결능력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부분매개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에 주목해 볼 때, 향후 교원양성 기관의 교육과정은 예비교사들의 자기주도 학습능력, 창의적 리더십, 문제해결능력, 자기효능감 등과 같 은 핵심역량 개발에 초점을 두고 재구성하는 방향으로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This is an empirical study aiming to test the mediation effect of self-efficacy on relation betwee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ies, creative leaderships and problem solving skills for students in the college of education. With this in mind, 237 junior and senior students in a college of education, located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were selected and surveyed for this study. As for data analysis, reliability 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arried out using SPS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has shown that creative leadership of social leadership, personal leadership, problem solving leadership,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in cognitive․affective․behavioral domain had a positive effect on problem solving skills. It also has shown that self-efficacy had a positive effect on problem solving skills. Second, this study has shown that the partial mediation effect of self-efficacy on relation betwee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problem solving skill and between creative leadership and problem solving skill was significant. The results from study suggests that self-directed learning, creative leadership, self-efficacy and problem-solving skills are core competencies that pre-service teachers must develop, as proposed by many other leading educators today. In sum,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strategies and plans for reorganizing the university curriculum based on the core competencies, thereby enabling students to solve various problems in real situations.

      • KCI등재

        통합교육과정에 대한 한 관점 - 간학문적 접근의 영재 및 범재 교육에 대한 시사점

        나장함(Jangham Na) 한국영재교육학회 2005 영재와 영재교육 Vol.4 No.1

          본 연구는 교과중심 교육과정과 통합교육과정의 특성을 비교하며, 왜 학교에서 교과중심의 교육과정이 우위를 차지하여 왔는가, 왜 근자에 들어 통합교육과정이 주목 받게 되었는가를 비교교육적 관점에서 분석하여 교육과정 개정에서 다소 간과되기 쉬운 영역들을 살펴보았다. 또한 교과에 대한 통합적인 접근과 영재학생들의 지적발달과의 관련성을 논의하였다. 그리고 학자들의 통합교육과정에 대한 다양한 정의의 유사성 및 차별성을 조명하여 교사들이 현장에서 직접 실행하기 위해 취할 방안은 무엇인가 강구해 보았다. 아울러 교사들의 입장에서는 교과중심의 교육과정과 통합교육과정을 서로 양립하기 힘든 것으로 받아들이는 경향이 있음을 고려하여, 서로 상반되게 보이는 양자 간의 협력적 관계설정의 중요성 및 과제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1) establish supportive relations between discipline-oriented curriculum and interdisciplinary curriculum, and 2) reconstruct the meaning of the two curriculum approaches for gifted and ordinary students.<BR>  In order to answer these two primary purposes, I reviewed literatures on discipline-oriented curriculum, interdisciplinary curriculum and educational reform. The literature review was organized in the following manner around three related themes: 1) the characteristics of DOC and IDC; 2) the DOC tradition and a trend toward IDC in worldwide and Korea?: and 3) the importance of establishing the suppor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curriculum approaches for gifted and ordinary students.<BR>  This study incorporated various studies on educational reforms from the comparative educational perspectives and concluded with the suggestions and challenges of establishing an adequate relationship between discipline-oriented curriculum and interdisciplinary curriculum approaches.

      • KCI등재

        교과교육과 수업 연구에서의 질적 접근

        나장함(Jangham Na)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2 교육연구 Vol.53 No.-

        교과교육 분야에서의 질적 연구는 교사의 수엽 운영, 교사 또는 학생의 인식, 문제 상황 등에 대한 상서|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각 교과교육의 특수성과 수엽이라는 구체적 맥락에서 요구되는 고유한 지식을 생성 • 축적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우리의 연구 맥락에서도,90년대 중반 이후 질적 연구에 대한 관심이 증가됨에 따라 교과교육 분야에서도 질적 연구물의 수가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그런데 이는 오히려 질적 연구의 질적 저하와 결과에 대한 불신 초래로 이어지기도 한다. 다시 말해서, 교과교육과 수업관련 연구에서 질적 연구물이 증가하고, 최근 틀어 질적 연구 방법론을 설명하고 있는 문헌들도 많아지고 있다. 그러나 정작 질적 연구물의 타당성과 신실성 (turstworthiness) 확보를 위헌 초석이라 할 수 있는 질적 연구 샘플링 기법을 상세하게 체계적• 논리적으로 논의하고 있는 문현은 거의 없는 것으로 사료된다. 이러한 연유로 샘플링 선정의 고민한 논리적으로 제시하거나, 연구 목적에 가장 부합되는 질적 연구 샘플링 선정을 위해 고민한 흔적이 보이는 질적 연구물은 매우 드물어 보인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 인식에서 시작되었다. 이와 같은 관점 에서 본 연구는 그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제대로 다루어오지 못한 질적 연구 샘플링 기법을 상세하게 논의하여 향후 교과교육 분야에서 질적 연구의 질 제고를 도모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질적 연구 샘플링의 중요성, 질적 연구 샘플링 기법과 논리성, 다양한 질적 샘플링 전략들 간의 관계성,교과교육과 수엽 분야에서의 질적 연구 샘플링이 대한 분석 등을 논의하고자 한다 아울러, 본 연구는 질적 연구 샘플링을 자료수집(연구 목적에 부합하는 샘플링 전략 선정) 과정뿐만 아니라, 자료수집 및 자료분석 과정(자료 포화상대에 이르도록 연구 대상으로부터 충분한 정보를 수합),자료분석 및 결과보고(무엇을 얄 수 있었다는 논의와 함께, 무엇을 알 수 없었으며, 어떤 카테고리를 배제 하였는가에 대한 성찰) 에까지 이어지는 것으로 재개념화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Qualitative approach has become a growing area of interest among the Korean educational researchers since the late 1905. As a consequence, the number of studies based on qualitative methods has rapidly increased. In order to assure the validity and trustworthiness of qualitative studies, using a proper sampling scheme, that is most compatible with research purposes, is one of the crucial elements. However, this is not often the case. In many qualitative studies, samples are often arbitrarily selected with no or little rationale for their sampling designs. What is problematic, furthermore, is that current literature on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provides little guidance on sampling strategies for qualitative research in Korean educational contex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ll this gap by reviewing and analyzing various sampling strategies. The fruit of these efforts are illustrated with the identified relationship among sampling strategies and practical examples

      • KCI등재

        다문화 교육 관련 다양한 접근법에 대한 분석

        나장함(Na Jangham)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0 사회과교육 Vol.49 No.4

        2007 개정 교육과정을 시작으로 2009 개정교육과정에서도‘다문화’, ‘다문화 교육’이라는 용어들이 등장하고 있다. 이는 다문화 교육에 대하여 국가적인 수준에서 관심을 보이는 한 증거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정작 추구하고자 하는 다문화 교육이 무엇인가에 대한 더 이상의 부연 설명 없이, 다문화 교육에 대한 공유된 개념이 이미 존재하고 있다는 전제하에서 다문화 교육이라는 용어를 활용하고 있다. 다문화 교육은 근자에 들어 우리사회 여러 부문에서 자주 사용되는 용어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그것이 대략 무슨 의미 인지에 대해서는 공감하지만, 구체적으로 무엇을 의미하는가에 대해서는 개념상의 혼선이 있어 보인다. 다문화 교육에 관한 연구물에서 소개되는 접근법들도 전체적인 맥락에서 분리된 상태로 간략하게 다루어지거나, 서로 다른 학자의 구분되는 접근법을 매우 유사한 접근법으로 치부하는 경향도 있다. 이러한 동향은 다문화 교육에 관심을 갖고 이를 실천하고자하는 교사와 현장 전문가에게 다문화 교육 논의에 대한 종합적인 관점을 제공해 주지 못하므로, 그들이 다문화 교육을 계획하고 실천하고자 할 때 많은 혼란과 제약을 초래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이러한 문제 인식하에서 본 연구는, 다문화 교육 접근법과 관련한 다양한 연구물들을 수합·분석하여 5가지로 유형화하여 분류함으로써, 각 접근의 상호연관성을 전체적인 관점에서의 조망해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우리사회에서 개념화하고 있는 다문화 교육이란 무엇인가를 밝히고, 그러한 개념 하에서 추진되고 있는 다양한 실행양상과 그 가능성과 한계를 미리 전망해 보게 해주며, 나아가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하는 기반을 제공할 것으로 전망된다. Research on Multicultural education is one of the most growing areas of interest in Korean Society, seeking different agendas and new directions facing with global and social changes. This study arises from the lack of theocratical frame works and the growing confusion concerned with multicultural practices. This is problematic because it leaves many educators and teachers in the place of uncertainty about effective educational practices. In other words, the presence of similar and dissimilar approaches only serves to confuse the reader and distort meaning of suggested approaches by the orignal author. By reviewing and analyzing various literature, this study makes an attempt to develop a typology of multicultural education frame works that can make sense of variations among current educational practices regarding multicultural education in Korea. This study provides an overview and critique of various multicultural education perspectives such as conservative multiculturalism, liberal multiculturalism, pluralist multiculturalism, left-essentialist multiculturalism, and critical multiculturalism. This study also offers a synthesis of various approaches, curriculum transformations on multicultural education found in the related litera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